KR200276589Y1 - 안경 렌즈 고정 구조 - Google Patents

안경 렌즈 고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6589Y1
KR200276589Y1 KR2020020005252U KR20020005252U KR200276589Y1 KR 200276589 Y1 KR200276589 Y1 KR 200276589Y1 KR 2020020005252 U KR2020020005252 U KR 2020020005252U KR 20020005252 U KR20020005252 U KR 20020005252U KR 200276589 Y1 KR200276589 Y1 KR 2002765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screw
hole
fixing
eye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52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민우
Original Assignee
구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민우 filed Critical 구민우
Priority to KR20200200052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65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65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6589Y1/ko

Links

Landscapes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말단 부근에 전후방으로 고정공(3a, 6a)이 관통 형성된 금속제의 코다리 연결대 및 안경다리 연결대(3, 6)에 합성수지제 렌즈(2)의 전방 표면(2h)의 가장자리 부분을 고정하여 무테 안경을 구성하는 안경 렌즈 고정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기 합성수지제 렌즈(2)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전방에서부터 불관통 구멍(10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불관통 구멍(102) 내에는 상기 고정공(3a, 6a)을 통해 나사못(130)이 회전하면서 체결되고, 상기 나사못(130)은 그 외주면에 나사부(131)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선단에 원추나사부(13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렌즈(2)의 불관통 구멍(102)의 직경(d2)은 나사부(131)의 나사골의 직경(d1)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경 렌즈 고정 구조{HOLDING STRUCTURE FOR SPECTACLE LENS}
본 고안은 안경 렌즈 고정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테 안경에서 렌즈를 안경다리 연결대 또는 코다리 연결대에 고정하기에 적합한 고정 구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시야가 넓고 가볍다는 점에서 테가 없는 무테 안경이 각광받고 있다.
종래의 무테 안경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다리(8)에 힌지(9)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금속제 안경다리 연결대(6)의 말단 부근에는 전후방으로 고정공(6a)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합성수지제 렌즈(2)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전후방으로 렌즈 구멍(2c)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조립시, 안경다리 연결대(6)의 후면에 렌즈(2)의 전방 표면(2h)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체결부위에 와셔(33)를 개재한 다음, 렌즈(2)의 전방에서부터 고정공(6a) 및 렌즈 구멍(2c)를 통해 고정볼트(31)를 끼워 넣어 관통시킨 후, 렌즈(2)의 후방에서 너트(35)를 조여 렌즈(2)를 안경다리 연결대(6)에 고정함으로써 무테 안경의 렌즈(2)와 안경다리(8)를 체결하는 것이다.
코다리의 코다리 연결대에 렌즈를 체결하는 고정 구조는 안경다리 연결대에 렌즈를 체결하는 고정 구조와 동일하다.
그러나, 이러한 볼트와 너트에 의한 렌즈 고정 구조는, 렌즈를 관통한 볼트가 렌즈의 내측에서 너트에 의해 체결되어 렌즈의 후방 표면에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무테 안경에 충력이 가해지면 착용자의 안면에 외상을 입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렌즈면의 더러움을 닦을 때에 방해가 되며, 또한, 렌즈 구멍을 렌즈에 관통 형성하기 때문에, 형성시에 렌즈 구멍의 출구 주변 부분이 깎일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렌즈가 갈라질 우려가 있다.
이러한 도 4의 렌즈 고정 구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렌즈 고정 구조에서, 코다리(16)가 연결된 코다리 연결대(3)의 양단부에는 합성수지제 렌즈(2)의 코다리측 테두리면(2a)과 접촉하는 코다리측 접촉판(4)이 부착 형성되어 있고, 힌지(9)에 의해 안경다리(8)에 연결된 안경다리 연결대(6)의 전단부에는 렌즈(2)의 안경다리측 테두리면(2b)과 접촉하는 안경다리측 접촉판(7)이 부착 형성되어 있다.
코다리측 접촉판(4)의 외측면에는 핀 형상의 돌기부(13)가 2개씩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안경다리측 접촉판(7)의 외측면에도 핀형상의 돌기부(20)가 2개씩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2)의 코다리측 테두리면(2a)과 안경다리측 테두리면(2b)에는 상기 테두리면에 거의 수직으로 불관통 구멍(14, 21)이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대부분의 렌즈(2)는 전방 표면(2h)이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으므로, 도 8a에서와 같이 가공하면 렌즈 후면의 살두께(i)가 얇아져서 이 부분의 강도가 약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2)의 테두리면(2a, 2b)에 비스듬하게 불관통 구멍(14, 21)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돌기부(13, 20)는 각각 구멍(14, 21) 내에 삽입 고정되는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관통 구멍(14, 21)에 미리 에폭시계의 접착제(30)를 구멍(14, 21)의개구부 부근까지 충전해 두고, 이 상태에서 돌기부(13, 20)를 구멍(14, 21) 내에 삽입하면 밖으로 여분의 접착제(30)는 밖으로 밀려지며, 이 여분의 접착제(30)는 닦아 제거한다. 이와 같이 해서, 구멍(14, 21) 내의 접착제(30)가 굳어지면 돌기부(13, 20)는 구멍(14, 21)에 고정된다.
그러나, 이렇게 연결대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돌기부를 렌즈의 테두리면에 형성된 불관통 구멍 내에 접착제로 고정하는 고정 구조는, 금속제 연결대의 돌기부를 접착제에 의해 합성수지제 렌즈의 구멍 내에 접착하는 방식이므로 돌기와 구멍이 견고하게 결합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사용중에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돌기가 구멍에서 빠질 우려가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렌즈의 전방 표면 또는 테두리면에 불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코다리 및 안경다리 연결대 또는 이에 부착 형성된 접촉판의 고정공을 통과한 나사못을 렌즈의 상기 불관통 구멍에 삽입하면서 상기 불관통 구멍의 내주면에 나사홈을 형성함으로써 렌즈를 연결대 또는 접촉판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렌즈 고정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경 렌즈 고정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a는 분해도이고 도 1b는 결합도,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경 렌즈 고정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a는 분해도이고 도 2b는 결합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안경 렌즈 고정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3a는 분해도이고 도 3b는 결합도,
도 4는 종래기술의 일례의 안경 렌즈 고정 구조의 횡단면도,
도 5는 종래기술의 다른 일례의 안경 렌즈 고정 구조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코다리 연결대 및 코다리측 접촉판의 사시도,
도 7은 도 5에서 안경다리 연결대 및 안경다리측 접촉판의 사시도,
도 8a 및 도 8b는 도 5의 종래기술에서 렌즈의 테두리면에 형성된 구멍을 상세하게 도시한 단면도, 및
도 9는 도 5의 종래기술에서 렌즈의 테두리면에 형성된 구멍 내에 돌기부를 삽입, 고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안경 렌즈 고정 구조는, 말단 부근에 전후방으로 고정공(3a, 6a)이 관통 형성된 금속제의 코다리 연결대 및 안경다리 연결대(3, 6)에 합성수지제 렌즈(2)의 전방 표면(2h)의 가장자리 부분을 고정하여 무테 안경을 구성하는 안경 렌즈 고정 구조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제 렌즈(2)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전방에서부터 불관통 구멍(10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불관통 구멍(102) 내에는 상기 고정공(3a, 6a)을 통해 나사못(130)이 회전하면서 체결되고, 상기 나사못(130)은 그 외주면에 나사부(131)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선단에 원추나사부(13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렌즈(2)의 불관통 구멍(102)의 직경(d2)은 나사부(131)의 나사골의 직경(d1)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하나의 안경 렌즈 고정 구조는, 코다리 연결대 및 안경다리 연결대(3, 6)의 단부에 부착 형성된 코다리측 접촉판 및 안경다리측 접촉판(4, 7)에 합성수지제 렌즈(2)의 코다리측 테두리면 및 안경다리측 테두리면(2b, 2b)을 고정하여 무테 안경을 구성하는 안경 렌즈 고정 구조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제 렌즈(2)의 안경 렌즈(2)의 코다리측 테두리면 및 안경다리측 테두리면(2b, 2b)에는 상기 테두리면에 거의 수직 또는 비스듬하게 2개의 불관통 구멍(10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코다리측 접촉판 및 안경다리측 접촉판(4, 7)에는 2개의 고정공(4a, 7a)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상기 2개의 불관통 구멍(102) 내에는 상기 2개의 고정공(4a, 7a)을 통해 나사못(130)이 각각 회전하면서 체결되고, 상기 나사못(130)은 그 외주면에 나사부(131)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선단에 원추나사부(13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렌즈(2)의 불관통 구멍(102)의 직경(d2)은 나사부(131)의 나사골의 직경(d1)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하나의 안경 렌즈 고정 구조는, 코다리 연결대 및 안경다리 연결대(3, 6)의 단부에 부착 형성된 코다리측 접촉판 및 안경다리측 접촉판(4, 7)에 합성수지제 렌즈(2)의 코다리측 테두리면 및 안경다리측 테두리면(2b, 2b)을 고정하여 무테 안경을 구성하는 안경 렌즈 고정 구조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제 렌즈(2)의 안경 렌즈(2)의 코다리측 테두리면 및 안경다리측 테두리면(2b, 2b)에는 상기 테두리면에 거의 수직 또는 비스듬하게 2개의 불관통 구멍(10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코다리측 접촉판 및 안경다리측 접촉판(4, 7)에는 1개의 고정공(4a, 7a)이 관통 형성되며 또한 1개의 지지 돌기(14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2개의 불관통 구멍(102) 중 1개의 불관통 구멍(102) 내에는 상기 1개의 고정공(4a, 7a)을 통해 나사못(130)이 각각 회전하면서 체결되며 또한 상기 2개의 불관통 구멍(102) 중 다른 1개의 불관통 구멍(102) 내에는 상기 1개의 지지 돌기(140)가 삽입되고, 상기 나사못(130)은 그 외주면에 나사부(131)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선단에 원추나사부(13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렌즈(2)의 불관통 구멍(102)의 직경(d2)은 나사부(131)의 나사골의 직경(d1) 이하이며 또한 상기 지지 돌기(140)의 직경은 상기 렌즈(2)의 불관통 구멍(102)의 직경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안경 렌즈 고정 구조를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 종래기술과 동일할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경 렌즈 고정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a는 분해도이고 도 1b는 결합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안경 렌즈 고정 구조에서, 금속제의 코다리 연결대 및 안경다리 연결대(3, 6)의 말단 부근에는 전후방으로 고정공(3a, 6a)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합성수지제 렌즈(2)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전방에서부터 불관통 구멍(102)이 형성되어 있다.
조립시, 코다리 연결대 및 안경다리 연결대(3, 6)의 후면에 렌즈(2)의 전방 표면(2h)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고정공(3a, 6a)을 통해 불관통 구멍(102) 내에 나사못(130)을 회전시키면서 체결하여 렌즈(2)를 코다리 연결대 및 안경다리 연결대(3, 6)에 고정하는데, 나사못(130)은 그 외주면에 나사부(131)가 형성되어 있고, 그 선단에 원추나사부(133)가 형성되어 있다.
체결시, 나사못(130)의 선단의 원추나사부(133)가 불관통 구멍(102)의 상단부에 안착되며, 이 상태에서 나사못(130)을 계속 회전시키면 외주면의 나사부(131)가 불관통 구멍(102)의 내주면을 파고 들어가면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관통 구멍(102)의 내주면에 나사홈(103)을 형성한다.
이렇게 나사못(130)의 나사부(131)가 렌즈(2)의 불관통 구멍(102)에 나사홈(103)을 형성하므로 나사못(130)은 렌즈(2)에 견고하게 체결되며, 따라서 렌즈(2)가 연결대(3, 6)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나사못(130)의 나사부(131)가 렌즈(2)의 불관통 구멍(102)의 내주면에 완전한 나사홈(103)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렌즈(2)의 불관통 구멍(102)의 직경(d2)이 나사부(131)의 나사골의 직경(d1) 이하이어야 한다.
또한,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경 렌즈 고정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a는 분해도이고 도 2b는 결합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안경 렌즈 고정 구조에서, 코다리 연결대 및 안경다리 연결대(3, 6)의 단부에는 안경 렌즈(2)의 코다리측 테두리면 및 안경다리측 테두리면(2b, 2b)과 접촉하는 코다리측 접촉판 및 안경다리측 접촉판(4, 7)이 부착 형성되어 있다.
또한, 코다리측 접촉판과 안경다리측 접촉판(4, 7)에는 2개의 고정공(4a, 7a)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렌즈(2)의 코다리측 테두리면 및 안경다리측 테두리면(2a, 2b)에는 상기 테두리면에 거의 수직 또는 비스듬하게 2개의 불관통 구멍(102)이 형성되어 있다.
조립시, 코다리측 접촉판 및 안경다리측 접촉판(4, 7)의 렌즈(2)의 코다리측 테두리면 및 안경다리측 테두리면(2a, 2b)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2개의 고정공(4a, 7a)을 통해 2개의 불관통 구멍(102) 내에 각각 나사못(130)을 체결하여 렌즈(2)를 코다리측 접촉판 및 안경다리측 접촉판(4, 7)에 고정한다.
나사못(130)의 나사부(131) 및 원추나사부(133)가 렌즈(2)의 불관통 구멍(102)에 체결되는 과정은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또한,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안경 렌즈 고정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3a는 분해도이고 도 3b는 결합도이다.
제3 실시예는, 코다리측 접촉판과 안경다리측 접촉판(4, 7)에는 1개의 고정공(4a, 7a)만 형성하고, 나머지 1개의 고정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1개의 지지돌기(140)을 일체로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2 실시예와 동일하다. 실질적으로, 1개의 나사못(130)이 1개의 불관통 구멍(102)에 결합되어도 렌즈(2)와 접촉판(4, 7)은 충분히 견고하게 체결되며, 지지 돌기(140)는 2개의 불관통 구멍(102) 중 나머지 1개의 불관통 구멍(102)에 삽입되어 단지 접촉판(4, 7)이 렌즈(2)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그 직경이 렌즈(2)의 불관통 구멍(102)의 직경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본 고안의 안경 렌즈 고정 구조에 의하면, 볼트가 렌즈의 후방 표면으로 돌출되지 않고 너트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렌즈를 연결대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말단 부근에 전후방으로 고정공(3a, 6a)이 관통 형성된 금속제의 코다리 연결대 및 안경다리 연결대(3, 6)에 합성수지제 렌즈(2)의 전방 표면(2h)의 가장자리 부분을 고정하여 무테 안경을 구성하는 안경 렌즈 고정 구조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제 렌즈(2)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전방에서부터 불관통 구멍(10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불관통 구멍(102) 내에는 상기 고정공(3a, 6a)을 통해 나사못(130)이 회전하면서 체결되고,
    상기 나사못(130)은 그 외주면에 나사부(131)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선단에 원추나사부(13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렌즈(2)의 불관통 구멍(102)의 직경(d2)은 나사부(131)의 나사골의 직경(d1)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렌즈 고정 구조.
  2. 코다리 연결대 및 안경다리 연결대(3, 6)의 단부에 부착 형성된 코다리측 접촉판 및 안경다리측 접촉판(4, 7)에 합성수지제 렌즈(2)의 코다리측 테두리면 및 안경다리측 테두리면(2b, 2b)을 고정하여 무테 안경을 구성하는 안경 렌즈 고정 구조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제 렌즈(2)의 안경 렌즈(2)의 코다리측 테두리면 및 안경다리측 테두리면(2b, 2b)에는 상기 테두리면에 거의 수직 또는 비스듬하게 2개의 불관통 구멍(10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코다리측 접촉판 및 안경다리측 접촉판(4, 7)에는 2개의 고정공(4a, 7a)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상기 2개의 불관통 구멍(102) 내에는 상기 2개의 고정공(4a, 7a)을 통해 나사못(130)이 각각 회전하면서 체결되고,
    상기 나사못(130)은 그 외주면에 나사부(131)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선단에 원추나사부(13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렌즈(2)의 불관통 구멍(102)의 직경(d2)은 나사부(131)의 나사골의 직경(d1)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렌즈 고정 구조.
  3. 코다리 연결대 및 안경다리 연결대(3, 6)의 단부에 부착 형성된 코다리측 접촉판 및 안경다리측 접촉판(4, 7)에 합성수지제 렌즈(2)의 코다리측 테두리면 및 안경다리측 테두리면(2b, 2b)을 고정하여 무테 안경을 구성하는 안경 렌즈 고정 구조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제 렌즈(2)의 안경 렌즈(2)의 코다리측 테두리면 및 안경다리측 테두리면(2b, 2b)에는 상기 테두리면에 거의 수직 또는 비스듬하게 2개의 불관통 구멍(10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코다리측 접촉판 및 안경다리측 접촉판(4, 7)에는 1개의 고정공(4a,7a)이 관통 형성되며 또한 1개의 지지 돌기(14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2개의 불관통 구멍(102) 중 1개의 불관통 구멍(102) 내에는 상기 1개의 고정공(4a, 7a)을 통해 나사못(130)이 각각 회전하면서 체결되며 또한 상기 2개의 불관통 구멍(102) 중 다른 1개의 불관통 구멍(102) 내에는 상기 1개의 지지 돌기(140)가 삽입되고,
    상기 나사못(130)은 그 외주면에 나사부(131)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선단에 원추나사부(13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렌즈(2)의 불관통 구멍(102)의 직경(d2)은 나사부(131)의 나사골의 직경(d1) 이하이며 또한 상기 지지 돌기(140)의 직경은 상기 렌즈(2)의 불관통 구멍(102)의 직경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렌즈 고정 구조.
KR2020020005252U 2002-02-22 2002-02-22 안경 렌즈 고정 구조 KR2002765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252U KR200276589Y1 (ko) 2002-02-22 2002-02-22 안경 렌즈 고정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252U KR200276589Y1 (ko) 2002-02-22 2002-02-22 안경 렌즈 고정 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9439A Division KR20030069580A (ko) 2002-02-22 2002-02-22 안경 렌즈 고정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6589Y1 true KR200276589Y1 (ko) 2002-05-24

Family

ID=73083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5252U KR200276589Y1 (ko) 2002-02-22 2002-02-22 안경 렌즈 고정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658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7165B1 (ko) * 2022-05-17 2024-05-20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아이웨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7165B1 (ko) * 2022-05-17 2024-05-20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아이웨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17809A1 (en) Eyeglasses
KR101940376B1 (ko) 안경테와 안경 다리의 연결구조체
JP2001228446A (ja) めがねユニットの組み付け方法
KR200276589Y1 (ko) 안경 렌즈 고정 구조
EP0790519A1 (en) Lens fastening structure for rimless glasses
KR200410499Y1 (ko) 무테안경의 렌즈지지구조
KR20030069580A (ko) 안경 렌즈 고정 구조
US6896367B1 (en) Assembly structure of rimless eyeglasses
KR102234023B1 (ko) 렌즈의 고정력을 향상시킨 안경
KR200220749Y1 (ko) 무테안경의 구조
JP3091753B1 (ja) 眼鏡レンズのネジ止め機構
KR200255301Y1 (ko) 무테 안경렌즈 고정구조
JPH0138574Y2 (ko)
KR102543383B1 (ko) 렌즈림조정구와 일체로 되는 안경경첩
KR200270274Y1 (ko) 무테 안경렌즈 고정구조
KR20110026736A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 구조
KR200257452Y1 (ko) 무테안경의 안경부재와 랜즈의 결합구조
KR100524430B1 (ko) 무테 안경의 연결구
KR200246391Y1 (ko) 절곡철선 안경테
JP2996460B2 (ja) 眼鏡フレーム
JP2006017887A (ja) テンプル取付け部の構造及びメガネフレーム
KR200278743Y1 (ko) 무테안경의 체결구조
KR200289965Y1 (ko) 무테안경의 연결구조
KR200222096Y1 (ko) 무테안경 조립구조
JP3488522B2 (ja) 眼 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