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9924Y1 - 과일 이송기의 상.하 진동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과일 이송기의 상.하 진동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9924Y1
KR200259924Y1 KR2020010030506U KR20010030506U KR200259924Y1 KR 200259924 Y1 KR200259924 Y1 KR 200259924Y1 KR 2020010030506 U KR2020010030506 U KR 2020010030506U KR 20010030506 U KR20010030506 U KR 20010030506U KR 200259924 Y1 KR200259924 Y1 KR 2002599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cup
shaft
conveyor
touch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05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수
Original Assignee
김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수 filed Critical 김성수
Priority to KR20200100305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99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99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9924Y1/ko

Links

Landscapes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과일 선별기에서 과일을 낱개로 이송되는 이송기에 과일이 이송되면 과일의 무게와 이송기의 스프링에 의해 이송기는 상. 하 진동이 일시적으로 발생하여 최초 터치바에 터치되지 못하고 통과하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상기와 같은 이송기의 진동을 방지하기 위해 터치바가 설치된 선별대에 브러쉬를 설치하고 이송기의 지지판 아랫 부분이 통과하도록 하므로서 브러쉬가 하강하는 지지판을 제지하므로서 이송기의 상. 하 진동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과일 이송기의 상. 하 진동 방지 장치{Prevention facility of fruits transferring machine}
본 고안은 과일 선별장치의 이송기 진동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프링으로 과일의 무게를 지지하는 이송기의 컵에 과일이 낙하하여 수용된 후에는 컵이 스프링에 의해 상. 하 진동이 일시적으로 발생하여 최초 터치바에 터치되지 못하고 통과하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상기와 같은 이송기의 진동을 방지하기 위해 터치바가 설치된 선별대에 브러쉬를 설치하고 이송기의 지지판 아랫 부분이 브러쉬를 통과하도록 하므로서 이송기의 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일 선별 장치에서 이송기는 선별대에 설치된 체인에 지지되어 선별대의 상. 하를 순환하면서 과일을 이송하게 되며 일정한 무게에서 만이 터치되는 터치바를 통과할 때, 과일을 하역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이송기는 과일을 수용할 때, 과일이 이송기 보다 높은 위치에서 낙하게되므로 이송기가 과일을 수용하게 되면 이송기는 상. 하로 진동하게 된다. 이송기는 진동이 지속되는 동안에 이동을 하게되므로 이송기의 터치 지점이 터치바에 터치되지 못하고 통과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 고안은 선별대 프레임에 차례로 형성된 터치바의 첫 번째 터치바의 전방에 브러쉬를 설치하여 이송기가 이동할 때, 이송기의 지지판 아랫 부분이 브러쉬의 털 부분을 통과하도록 하여 이송기가 진동하면서 아래로 하강할 때, 브러쉬의 털이 지지판을 저지하므로서 지지판의 지속적인 진동을 방지하는 구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브러쉬의 털은 이송기가 이동하는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연성의 탄성이 큰 재질을 사용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이용도
도 2는 이송기의 장치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이송기의 작용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브러쉬 12 : 털
13 : 지지판 14 : 샤프트
15 : 이송기 16 : 컵
17 : 스프링 18 : 프레임
21 : 터치바 23 : 체인
24 : 분리기 25 : 지지대
26 : 지지부재 27 : 터치대
첨부된 도면과 실시 예를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고자한다.
이송콘베어를 이용하여 이송되는 과일은 분리기에서 낱 개로 분리되는 과일을 이송기에서 수용하여 이동하면서 크기 별로 선별하는 과일 선별장치에 있어서, 본 고안은 과일 선별대의 프레임에 소정의 크기로 고정되며 털의 길이가 이송기의 샤프트 밖에 까지 진출할 수 있는 길이로 구성되고 천연 털로 구성하여 한 방향으로 반복하여 통과하는 이송기에 의해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고 털 부분이 선별대의 중앙 방향으로 질출되는 구성으로서, 이송기가 이동할 때, 이송기의 지지판은 브러쉬의 윗 부분으로 통과하며 이송기의 샤프트와 지지대가 털을 통과하는 구성이다.
도 1은 과일 선별장치를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이송기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실시예
과일 선별기의 일반적 구성에서 이송기의 컵이 과일의 무게를 실측할 때, 정확성을 기하기 위해 스프링이 예민하게 반응해야하며 탄성의 폭이 커야할 필요가 있다. 상기와 같이 탄성의 폭이 크면 스프링의 수축이나 팽창시 외부 압이 없는 한 스프링의 길이 방향으로 진동을 하게 되고 장시간 반복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본 고안은 과일의 무게를 실측할 때, 정확성을 기하기 위해 구성된 이송기에 있어서, 이송기의 컵이 일정한 높이에서 낙하하는 과일을 수용하게 되면 상기 컵은 과일의 낙하하는 충격에 의해 상. 하 진동하게 되고 터치바 역시 진동하게 되며, 상기와같은 터치바의 진동 폭에 의해 터치바가 터치대의 상. 하를 진동하게 되고 상기와 같은 터치바의 진동 중에 터치바가 터치대의 상 하에 위치하게 되면 터치바는 터치대에 터치되지 못하고 통과하기 때문에 이송기는 과일을 수용한 채로 이동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므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과일 이송기가 선별대의 상. 하를 순환하면서 과일을 선별
은 기의 이송장치로 과일을 낱개로 이송하면서 상기 과일의 무게를 실측하여 과일의 무게 별로, 크기별로 선별하는 이송기(11a)에 있어서, 과일의 무게를 상세하게 실측하고 과일을 세분화하여 선별하므로서 과일의 가치를 현실화하기 위한 것이고, 받침대(1)의 컵받이(3)에 지지되고 터치바(18a)의 보호대(2)와 접촉되고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과일이 수용되면 중심 중력축이 이동되도록 형성된 컵(12a)과 상기 받침대(1) 저면의 중심에 고정되어 아랫 방향으로 진출된 샤프트(14a)와 상기 받침대(1)의 일측에 고정되고 하방향으로 진출된 절개부(25a)와, 체인(27)의 고정대(28)에 고정되고 그 중앙에는 상기 샤프트(14a)를 지지하기 위한 방사형으로 롤러(17a)가 배치되고 그 측면에 상기 지지대(23)의 절개부(25a)와 결합된 지지부재(24)가 고정된 고정판(16a)이 형성된 지지판(13)과 상기 지지판(13)의 저부에 고정되고 하 방향으로 진출되며 그 내부에는 스프링(21)이 착설된 샤프트(17a)가 내재되고 그 하단에는 고정판(16b)이 고정되며 상기 샤프트(14a)가 노출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일부가 절개된 하우징(15a)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을 실시 예로 설명하면,
과일 선별기에 있어서 과일 낱개 이송기는 과일의 크기 별로 세분화하여 선별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송기(11a)가 선별대(26)의 체인(27)에 고정된 고정대(28)에 고정되어 체인(27)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면서 설정된 위치에서 터치바(18a)가 작동되어 잠금이 해제되면서 과일을 하역하는 일련의 순환 작업으로, 무게가 상이한 6개의 과일이 컵(12a)에 수용되어 이동할 때, 즉 100g, 95g, 90g, 85g, 80g, 75g의 과일이 컵(12a)에 무작위로 수용되어 이동할 때 100g의 과일을 수용한 컵은 100g의 과일이 하역하는 장소에서 만이 터치바(18a)가 터치되어 잠금이 해제되고, 90g의 과일을 수용한 컵(12a)은 90g의 과일이 하역하는 장소에서만이 하역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일반적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선별기의 궁극적인 목적은 과일의 크기를 세분화하고 과일의 가격을 세분화하여 과일의 무게가 반 내림되므로서 과일의 실제 가격이 하향 매김되는 것을 방지하자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일반적 과일 선별장치에서 과일의 선별 기준을 세분화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과일의 실질 무게를 정확하게 계측하기 위한 구조이다.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된 샤프트(14a)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중앙에 방사형으로 롤러(17a)가 배치된 상. 하 고정판(16a,16b)의 롤러(17a)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고정되어 롤러(17a)와 샤프트(14a) 사이는 긴밀하게 밀착되므로 유격 없이 상. 하 이동할 수 있고, 샤프트(14a)의 외경에는 스프링(21)이 삽설되어 하강된 컵(12a)의 원 위치가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컵(12a)이 이동되면서 과일이 수용되면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컵이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과일의 하중이 지지축인 샤프트(14a)의 길이 방향과 일치하지 않고 컵(12a)이 꺽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컵(12a)의 잠금 장치가 해제되면 하역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므로 과일을 하역 장소에 정확하게 하역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2에 도시된 과일 선별기가 작동되어 과일이 컵(12a)에 수용되면 컵(12a)은 과일의 무게만큼 강하(降下)되므로 컵(12a)을 지지하는 샤프트(14a) 역시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터치바(18a) 역시 아래로 하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여러 개의 컵(12a)이 과일을 수용하고 이동하게 되면 과일의 무게에 따라 하강한 샤프트(14a)의 길이가 상이하게 된다. 즉, 100g의 과일을 수용한 컵의 샤프트(14a)가 100mm 하강하였다면 95g의 과일을 수용한 컵의 샤프트(14a)는 95mm 하강할 것이며, 90g의 과일을 수용한 컵(12a)의 샤프트(14a)는 90mm 하강할 것이다. 따라서 100g의 과일을 수용한 컵(12a)이 하역을 하기 위해서는 정확히 100mm 하강한 지점에 터치바(18a)를 터치하여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터치대(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어야하고 95g의 과일을 수용한 컵(12a)이 하역하기 위해서는 정확히 95mm 하강한 지점에 터치바(18a)를 터치하여 잠금으로 해제할 수 있는 터치대가 설치될 것이다. 만약 100g의 과일을 수용한 컵(12a)의 샤프트(14a)가 97mm를 하강하였다면 상기 과일은 100mm의 터치대에서 잠금이 해제되지 않고 95mm의 터치대에서 잠금이 해제될 것이므로 100g의 과일이 95g의 과일로 선별될 것이므로 정확한 선별이라고 할 수 없을 것이다. 샤프트(14a)가 99.5mm를 하강하더라도 즉 하강의 길이가 0.5mm 모자라도 100g의 과일이 95g의 과일로 선별된다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100g의 과일은 100mm의 위치에서 터치바(18a)가 터치되고 95g의 과일은 95mm의 위치에서 터치되도록 하므로 서 설정된 무게는 설정된 장소에서 정확히 터치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과일의 무게에 의해 상. 하 작동하는 샤프트(14a)에 발생하는 마찰 저항을 최소로 하기 위해 상기 방사형으로 배치된 롤러(17a)가 샤프트(14a)의 외경에 접촉되므로 롤러(17a)와 샤프트(14a)의 접촉은 선(線)으로 접촉되도록 구성한 것이며, 상기와 같은 수치는 스프링(21)의 탄성 값을 고려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샤프트(14a)는 롤러(17a)와 유격 없이 접촉되어 있으므로 선별기의 진동에도 같은 마찰 저항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상기와 같이 터치대(도시되지 않음)는 선별대(26)에 설치되고 낮은 것에서부터 점진적으로 높게 형성되어 낮게 하강한 터치바(18a)가 먼저 터치되고 높게 하강한 터치바(18a)가 후에 터치되도록 구성되어 과일은 큰 것부터 선별되어 가장 작은 과일이 가장 후에 선별된다.
본 고안에 의한 과일 이송기는 컵을 지지하는 샤프트가 방사형으로 배치된 롤러에 선으로 접촉하여 최소한의 접촉면을 가지므로 샤프트와 롤러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 저항을 최소화하므로서 과일의 무게를 정확하게 실측할 수 있으므로 큰 과일이 작은 과일로 선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과일의 하역시는 신속한 하역이 가능하므로 선별되는 과일이 혼재되어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과일 선별기의 이송기에 있어서, 하역 방향으로 진출되어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과일이 수용되었을 경우 하중 위치가 상기 하역 방향으로 이동되는 컵(12a)과 상기 컵(12a)의 저부에 고정되고 하 방향으로 진출되며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된 샤프트(14a)와 상기 샤프트(14a)를 중앙에 위치케 하고 샤프트(14a)와 긴밀하게 선(線)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방사형으로 배치된 롤러(17a,17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선별기의 과일 이송기
KR2020010030506U 2001-10-06 2001-10-06 과일 이송기의 상.하 진동 방지 장치 KR2002599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506U KR200259924Y1 (ko) 2001-10-06 2001-10-06 과일 이송기의 상.하 진동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506U KR200259924Y1 (ko) 2001-10-06 2001-10-06 과일 이송기의 상.하 진동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9924Y1 true KR200259924Y1 (ko) 2002-01-09

Family

ID=73054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0506U KR200259924Y1 (ko) 2001-10-06 2001-10-06 과일 이송기의 상.하 진동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992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48506A (en) Tuned card weight
KR930702085A (ko) 전자장치 테스트 처리기
KR101478488B1 (ko) 사출물의 무게감지기능을 구비한 취출로봇
KR200259924Y1 (ko) 과일 이송기의 상.하 진동 방지 장치
KR910008169B1 (ko) 계란등의 피처리물의 이체장치
KR101111981B1 (ko) 다수의 펠렛 요소 로딩장치
US4687093A (en) Vibratory feeder
KR20150144301A (ko) 사출물의 무게감지기능을 구비한 취출로봇
KR200250331Y1 (ko) 과일선별기의 과일 이송기
KR101067609B1 (ko) 과일 선별기
KR920022461A (ko) To-220 반도체 제조기의 리드프레임 자동 공급장치
JP2015166721A (ja) 重量測定装置
CN210883953U (zh) 一种用于环状物料的振动输送器
KR100528706B1 (ko) 반도체 소자 테스트 핸들러의 트레이 이송장치
JP2001097557A (ja) トレーの分離装置
US4686816A (en) Dip tube loader and handler apparatus
JP2981660B2 (ja) 分散供給装置
JPH04371414A (ja) 分散供給装置
JPH07294321A (ja) 重量測定装置
JP6615560B2 (ja) 均し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計量装置
JPH08133472A (ja) 円筒形金具の整列方法及び整列装置
KR20190040684A (ko) 테스트핸들러용 진동 장치
KR200278959Y1 (ko) 파란방지 기능을 갖는 계란이송방향 전환장치
JPH051723U (ja) 分散供給装置
JP6262009B2 (ja) 重量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