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8169B1 - 계란등의 피처리물의 이체장치 - Google Patents

계란등의 피처리물의 이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8169B1
KR910008169B1 KR1019880005605A KR880005605A KR910008169B1 KR 910008169 B1 KR910008169 B1 KR 910008169B1 KR 1019880005605 A KR1019880005605 A KR 1019880005605A KR 880005605 A KR880005605 A KR 880005605A KR 910008169 B1 KR910008169 B1 KR 910008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holders
workpieces
delivery
transf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5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7152A (ko
Inventor
에이지 도이
Original Assignee
큐피 가부시끼가이샤
후지다 지까오
교오와 기까이 가부시끼가이샤
도모스에 히로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큐피 가부시끼가이샤, 후지다 지까오, 교오와 기까이 가부시끼가이샤, 도모스에 히로시 filed Critical 큐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17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7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8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3/00Packaging fragile or shock-sensitive articles other than bottles; Unpacking eggs
    • B65B23/02Packaging or unpacking eggs
    • B65B23/06Arranging, feeding, or orientating the eggs to be packed; Removing eggs from trays or car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53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between conveyors which cross one another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계란등의 피처리물의 이체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배열을 예시해서, 복수의 피처리물들을 인도컨베이어로부터 수납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개략 평면도.
제2도는 수납된 피처리물들을 제2컨베이어로 인도하는 중간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
제3도는 피처리물들의 이체가 완료된 다음에 피처리물들이 인도컨베이어로부터 재차 수납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
제4도는 이체장치, 인도컨베이어 및 제2컨베이어의 정면도.
제5도는 주요구성부재들을 예시하고 있는 확대 평면도.
제6도는 회전가능 수납대의 확대 정면도.
제7도는 상기 수납대의 평면도.
제8도는 제7도의 Ⅷ-Ⅷ선에 따른 단면도.
제9도는 제8도의 우측면도.
제10도는 상기 수납대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이체장치 2 : 수납대
4 : 인도컨베이어측 돌출부 5 : 제2컨베이어측 돌출부
7 : 종동부분 8 : 순환체인
10 : 피봇축 11 : 스프링
13 : 리프트바아 14 : 회전축
21 : 인도컨베이어 24 : 개별수납자리
31 : 제2컨베이어 33 : 지지대
35 : 구동장치 36 : 단속적 구동장치
37 : 제어장치 E : 계란
P1 : 계란수납부분 P2 : 계란이체부분
T : 이체장치
본 발명은 계란, 과일 또는 야채와 같은 손상되기 쉬운 대략 구형물등의, 다수의 피처리물들을 고속으로 계속 이체시키기 위한 이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더 상세히는, 본 발명은 피처리물들이 피처리물들에 대한 개별수납자리들의 배열 또는 복수열들을 갖춘 인도컨베이어로부터, 피처리물들을 상기 인도컨베이어로부터 수납하여 상기 인도컨베이어의 이동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이체시키는 이체부분을 갖춘 선별 컨베이어와 같은 그 다음의 또는 제2컨베이어로 이체되고, 그것에 의하여 피처리물들이 고속 처리속도로 계속해서 대량 처리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 이체장치에 관한 것이다.
손상되기 쉬운 물건들에 대한 선별 및 계량을 수행하고 계란들에 대한 파괴와 같은 피처리물에 대한 여러 가지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피처리물들을 컨베이어에 의하여 구동되는 지지대를 위에 손으로 각각 올려놓는 것은 잘 알려진 일이었다.
다른 방법으로서, 1978년 5월 11일자 공고된 일본국 특공소(Kokoku)53-13552호는 피처리물들을 복수의 개별 피처리물 수납자리들로 각각 이루어진 복수열들을 갖춘 인도컨베이어로부터, 세로축에 관하여 회전할 수 있고 상기 인도컨베이어의 이동방향과 수직으로 위치되어 있는 로드상에 그 로드를 따라 장착된 컵모양부재(수납대) 들을 통하여 계량장치와 같은 제2컨베이어로 이체시키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1986년 12월 15일자 공고된 일본국 특공소 61-59089호는 계란 인도컨베이어의 이동방향과 수직하고 제2 컨베이어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제2컨베이어와 동일방향 및 동일속도로 이동할 수 있는 계란 이체장치를 갖춘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피처리물들을 손으로 취급하는 상기 처음에 언급한 실시에 따르면, 피처리물들은 거의 손상되지 않지만, 취급효율이 지극히 낮아서 이러한 실시는 다량의 피처리물들의 신속한 취급에는 부적합하다.
상기 언급된 일본국 특공소 53-13552호에 개시된 이체장치에 따르면, 피처리물들을 고속처리속도로 계속 처리하기 위하여, 각 피처리물의 이체가 제한된 시간간격내에서 수행될수도 있지만, 컵모양 부재들이 2개의 위치들 사이에서 왕복식으로 이동되어야 하므로, 피처리물들의 이체를 위한 이체장치의 왕복이동은 상당히 고속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 결과로서, 피처리물들을 수납하고 이체하는 동안에, 각 피처리물의 상태가 불안정하게 되고 피처리물들이 충돌 수납하기 쉬우므로해서 이 이체장치도 또한 피처리물들을 고속으로 처리하기에는 부적합하다.
상기 언급된 일본국 특공소 61-59089호에 개시된 이체장치에 따르면, 상기 이체장치는 제2컨베이어와 동일한 속도로 그것과 평행하게 이동하므로해서 피처리물들의 제2컨베이어에로의 원활한 이체가 확보되지만, 피처리물들의 인도컨베이어로부터의 수납의 경우에 있어서, 피처리물들은 인도컨베이어에 관련하여 이동하는 이체장치로 이체장치의 이동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인도되므로 해서 수납된 피처리물들의 상태가 어쩔수 없이 불안정해진다.
그러므로, 이체장치로부터 제2컨베이어에로의 피처리물들의 완전하고 확실한 이체가 확보되지 못한다.
상기 사항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계란과 같이 손상되기 쉬운 피처리물들을 인도컨베이어로부터 제2컨베이어로 연속적이고 조용한 방법으로 고속 이체할 수 있는 이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 및 기타목적들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체장치는 피처리물들을 운반하기 위한 제1방향으로 구동되고, 상기 피처리물들이 위치하는 개별수납자리들의 미리 결정된 수를 각각 포함하고 있는 평행한 열들로 이루어져서 상기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떨어져 있는 상기 수납자리들의 배열을 갖추고 있는 인도컨베이어, 상기 인도 컨베이어의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으로 뻗어있고 상기 인도컨베이어의 인도 끝부분과 인접하여 배치된 운반부분을 갖추고서 동일한 열의 인접수납자리들 간의 간격과 똑같은 간격만큼 상기 제2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떨어져 있으며 상기 피처리물들을 각각 그위에 수납하기 위한 복수의 지지대들을 그위에 장착한 제2컨베이어, 상기 제2컨베이어의 운반부분으로 하여금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2컨베이어를 일정한 속도로 구동시키기 위한 장치 및 상기 피처리물들을 각각 상기 제2컨베이어의 상기 지지대들상으로 이체시키도록 상기 인도컨베이어의 상기 수납 자리들의 각력상의 다수의 피처리물들을 동시에 수납하기 위하여 상기 인도컨베이어의 인도 끝부분과 상기 제2컨베이어의 운반부분 사이에 개재되어 있고, 동일한 열의 인접수납자리들 간의 간격과 똑같은 간격만큼 상기 제2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떨어져 있는 복수의 피처리물 수납대들을, 그위에 다수의 피처리물들을 수납하고 그 다음에 상기 지지대들 상으로 상기 피처리물들을 이체시키기 위하여 갖추고 있는 이체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특성을 기술하고 있는 특징에 따르면, 상기 이체장치는 상기 제2방향과 평행한 상기 방향으로 뻗어있고, 상기 피처리물들중의 하나가 수납되는 제1위치와 수납된 상기 피처리물이 상기 지지대들중의 하나에로 이체되는 제2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각각 장착되어 있는 상기 수납대들을 그위에 지탱하고 있는 부분을 갖추고 있는 순환운반장치, 상기 제2방향과 평행한 상기 방향으로 상기 수납대들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순환운반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단속적 구동장치, 상기 수납대들이 상기 인도컨베이어로부터 다수의 피처리물들을 그위에 수납할 때 상기 수납대들의 세트가 상기 제1방향에 대하여 상기 수납자리들과 각각 일직선으로 정렬된채로 상기 순환운반장치가 정지되고, 그 다음에 상기 피처리물들을 그위에 수납한 상기 수납대들이 상기 지지대들과 동일한 속도를 갖고, 평행하게 이동하는 상기 지지대들과 인접해있는 위치들을 각각 얻을때까지 상기 제2방향으로 상기 순환운반장치가 이동되고 가속되는 그러한 방식으로 상기 구동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 및 상기 수납대들이 상기 지지대들과 인접해 있는 위치들을 얻었을 때, 각각의 상기 수납대로 하여금 상기 제1위치로부터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하게 하고 그것에 의하여 상기 수납대들의 상기 세트상의 상기 다수의 피처리물들을 상기 지지대들상으로 동시에 이체시키도록 상기 수납대들의 상기 세트에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피처리물들이 수납되고 그 다음에 이체되는 부분에 있어서, 상기 이체장치의 각각의 피처리물 수납대는 상기 제2컨베이어의 이동방향과 동일방향으로, 즉 상기 인도컨베이어의 이동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인도컨베이어의 개별수납자리들, 이체장치의 수납대들 및 제2컨베이어의 지지대들은 동일한 간격만큼 서로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떨어져 있다.
단속적 구동장치에 의하여 정지되는 상기 수납대들은 일렬 또는 다수의 피처리물들을 상기 인도컨베이어로부터 원활한 방식으로 수납한다.
그후에는, 상기 단속적 구동장치는 상기 지지대들과 동일한 속도로 상기 수납대들을 가속시키는데, 그때에 그것들은 서로 평행하게 동일방향으로 이동한다. 그것들이 서로 평행하게 될 때, 상기 이체장치의 수납대들은 상기 다수의 피처리물들이 실질적인 충격력을 받지 않고 상기 이체장치로부터 상기 제2컨베이어로 조용하게 이체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컨베이어의 지지대들을 향하여 그것들의 제2위치들에로 이동하게 되어 있다.
계속되는 피처리물들도 또한 상기 인도컨베이어로부터 상기 이체장치에로 계속 수납되고 그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제2컨베이어에로 이체된다.
상기 이체장치의 수납대들은, 예를 들어 순환체인상에 장착되고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이동되며, 그리고 피처리물들은 그것들이 상기 제2컨베이어의 지지대들과 평행하게 될 때 상기 제2컨베이어에로 조용하게 이체된다.
그러므로 피처리물들을 제2컨베이어에 손으로 공급하는 종래의 실시와 비교해보면, 또 수납대들의 왕복 운동이 수행되는 장치와 비교해보면, 본 발명의 장치는 수납대들을 그것들의 초기위치들에로 복귀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손실이 없이 고속으로 대량의 피처리물들을 이체시킬 수 있다.
또, 이체장치가 항상 제2컨베이어의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이동하는 장치와 비교해보면, 본 발명에서 사용된 이체장치의 경우에 있어서, 수납대들은 다수의 피처리물들을 수납함과 동시에 일단 정지되고 그것에 의하여 피처리물들의 완전하고 확실한 이체가 보장될 수 있다.
더우기, 수납대들이 피처리물들을 수납한 뒤에 상기 피처리물들을 상기 지지대에로 이체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컨베이어의 계속 이동중의 지지대들을 따라가도록 가속됨과 동시에 상기 수납대들과 지지대들이 동일한 속도를 가지고 평행하게 이동하므로, 상기 이체작업은 피처리물들을 손상시킴이 없이 짧은 시간내에 조용하고 원활한 방식으로 수행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목적, 효과와 특징들은 첨부도면들과 관련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아래의 설명들로부터 보다 더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음 설명에 있어서, 피처리물은 계란이라고 가정하자.
먼저 제1도에 대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체장치는 일반적으로 부호(T)에 의하여 표시되고 인도컨베이어(21), 제2컨베이어(31) 및 상기 두 컨베이어(21 및 31)들 사이에 개재된 이체장치(1)를 구비하고 있다.
인도컨베이어(21)는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한쌍의 평행한 순환체인(22)들 사이에 개재된 복수의 로울러(23)들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체인(22)들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포로킷휘일들의 둘레를 돌게되고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상기 휘일들에 의하여 구동된다. 6개의 개별 피처리물 수납자리(24)들은 인접로울러(23)들의 오목하게 줄어든 부위(23a)들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데, 각 로울러(23)의 상기 줄어든 부위(23a)들은 로울러(23)의 축방향으로 서로 적당한 간격만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각 개별수납자리(24)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개의 계란(E)을 수납한다.
그러므로 상기 체인(22)들의 전진이동에 의하여, 6개의 계란(E)들의 일렬또는 다수열들이 인도컨베이어(21)의 인도끝부분에 이체장치(1)의 수납대(2)들에로 미리 결정된 시간간격을 가지고 계속 인도된다.
제4도에 있어서, 부호(25)는 계란(E)들을 상기 수납자리(24)들로부터 상기 수납대(2)들에로 안내하는데 사용하는 안내판을 표시한다.
제2컨베이어(31)는 이 실시예에서는 통상의 선별 컨베이어이고 미리 결정된 속도를 가지고 수평면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구동되는 순환체인(32)상에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장착된 일련의 지지대(33)들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지지대(33)들은 각 로울러(23)의 인접수납자리(24)들의 사이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만큼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계란(E)들을 인도컨베이어(21)로부터 이체장치(1)를 통하여 제2컨베이어(31)로 이체시키기 위하여, 제2컨베이어(31)는 인도컨베이어(21)가 이동되는(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으로 지지대(33)들이 이동되도록 하는 부분을 구비하고 있다.
제2컨베이어(31)는 제4도에 도시된 구동장치(35)에 의하여 구동된다.
상기 컨베이어(21 및 31)들 사이에 개재된 이체장치(1)는 이하에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6도 내지 제10도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체장치(1)의 수납대(2)는 회전가능하고 인도컨베이어(21)에 인접한 수납대(2)쪽에 배치된 대략 사다리꼴모양의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떨어져 있는 한쌍의 인도컨베이어측 돌출부(4)들과, 제2컨베이어(31)에 인접한 수납대(2)쪽에 배치되고 수납대(2)의 상부표면(3)에서 상기 돌출부(4)들로부터 작은 거리만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떨어져 있는 삼각형 모양의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떨어져 있는 한쌍의 제2컨베이어측 돌출부(5)들을 구비하고 있다.
각 돌출부(5)는 경사표면(5a 및 5b)들을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돌출부(4)는 제2컨베이어(31)를 향하여 아랫쪽으로 비교적 작은 각도로 경사져 있고 비교적 큰 각도로 경사진 상부표면(4b)과 인접해 있는 상부표면(4a)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돌출부(4)들의 대향표면(4c)들과 상기 돌출부(5)들의 대향표면(5c)들은 서로를 향하여 아랫쪽으로 경사져 있다.
각각의 대향경사표면(4c)은 인도컨베이어(21)를 향하여 뻗음에 따라 더 원만하게 경사지고 제2컨베이어(31)을 향하여 뻗음에 따라 더 가파르게 경사지도록 그렇게 잘려져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7도에 가장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4)들의 경사표면(4c)들은 상기 한쌍의 돌출부(4)들간의 간격의 폭(W)이 제2컨베이어(31)를 향하여 점차로 좁아지게 함으로써 인도컨베이어(21)로부터 인도되는 계란(E)들을 완전하고 확실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삼각형 돌출부(5)들의 경사표면(5c)들은 상부표면(3)을 향하여 뻗음에 따라 서로 접근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인도컨베이어(21)로부터 인도되는 계란(E)들은 상기 경사표면(4c)에 의하여 안내되어 상기 돌출부(4)들의 상부부재들을 상을 구르고 그 다음에 상기 동출부(4 및 5)들 사이에 정확하고 안전하게 자리잡게 된다.
그후에, 회전가능수납대(2)가 이하에 기술될 피봇식 장착부재에 기인하여 제2컨베이어(31)의 지지대(33)를 향하여 경사지도록 회전될 때, 계란(E)은 상기 돌출부(5)들의 경사표면(5c)들에 의하여 정확하고 부드럽게 안내되고 상기 지지대(33)상으로 이체된다(제4도 참조).
부호(6)은 이하에 기술된 피봇축(10)의 위에 느슨하게 결합된 회전가능수납대(2)의 장착용 다리를 표시한다. 또, 부호(7)은 상기 다리(6)의 하부부분으로부터 인도컨베이어(21)를 향하여 뻗은 후부 또는 종동부분을 표시한다.
상부표면(3), 돌출부(4 및 5)들, 장착용다리(6) 및 종동부분(7)은 합성수지로부터 바람직하게 수납대(2)로 일체로 형성되거나 성형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구조 및 재료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는 것과 수납대는 피처리물들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회전가능 수납대(2)들은 제2컨베이어(31)의 인접 경간과 동일방향으로 이동되기에 적합한 순환체인(8)상에 장착되어 있다. 제1도,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장착부재(9)들은 인도컨베이어(21)의 로울러(23)의 세로방향에 관련한, 인접개별수납자리(24)들간의 간격과 동일 간격만큼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떨어져 있는 위치들에서 부착부재(9a)(제4도참조)를 통하여 상기 순환체인(8)에 부착되어 있다.
또, 제6도 및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회전가능수납대(2)는 장착용다리(6)와 상기 장착부재(9)의 상부부위를 상기 피봇축(10)의 위에 느슨하게 결합함으로써 상기 장착부재(9)와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인접수납대(2)들간의 간격은 상기 수납대(2)들이 상기 순환체인(8)상에 장착될 때 인도컨베이어(21)의 인접개별수납자리(24)들간의 간격과 동일하다.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11)들은 상기 피봇축(10)의 위에 결합되어 있고, 코일스프링(11)들의 한쪽 끝부분들은 상기 수납대(2)의 종동부분(7)의 상부표면과 걸려있는 반면에 그것들의 다른쪽 끝부분들은 상기 장착부재(9)의 측벽(12)의 외부표면에 걸려있다.
그러므로 수납대(2)는 코일스프링(11)들의 탄성력하에서 상기 장착부재(9)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통상 가압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11)들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제4도에서 실선들에 의하여 표시된 제1위치로부터 가상선들에 의하여 표시된 제2위치로 피봇축(10)에 관하여 회전되기에 적합하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계란(E)들의 이체의 경우에는, 6개의 계란(E)들로 이루어진 일렬은 제1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도컨베이어(21)로부터 동시에 인도되고, 각 계란(E)은 각회전가능 수납대(2)에 의하여 수납된다.
그후에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대(2)들은 상기 인도컨베이어(21)의 인접 개별수납자리(24)들 간의 간격만큼 미리 결정된 거리의 대략 3배까지 화살표 방향으로 체인(8)에 의하여 전방으로 이동되고, 그 다음에 6개의 계란(E)들은 제2도에 가상선들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제2컨베이어(31)의 각 지지대(33)에로 동시에 이체된다.
보다 더 상세하게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대(2)들은 계란(E)들을 인도컨베이어(21)로부터 수납할 때 일시 정지되고 그 다음에 제2컨베이어(31)의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가속된다.
상기 수납대(2)들이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정지위치로부터 상기 미리 결정된 거리까지 이동되어서 상기 지지대(33)들과 상기 수납대(2)들이 서로 횡방향으로 일직선으로 정렬될 때, 상기 수납대(2)들상에 수납된 계란(E)들은 각 지지대(33)들 상으로 동시에 이체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란(E)들이 인도컨베이어(21)로부터 상기 수납대(2)들상으로 수납되는 계란수납부분(P1)과 상기 수납대(2)들상의 계란(E)들이 상기 지지대(33)들 상으로 이체되는 계란이체부분(P2)은,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6개의 계란(E)들의 일렬(인접개별수납자리(24)들 간의 간격의 6배를 차지함)이 수납되고 그렇게 수납된 계란들이 상기 간격의 3배까지 이동될 때, 그것들이 제2컨베이어(31)에로 이체되기 때문에, 인접수납자리(24)들간의 간격의 3배와 동일한 상치부분을 갖는다.
상기 상치부분은 피처리물들을 수납하고 이체시키는데 필요한 시간을 단축하는데 유용하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그 결과로서, 계란들의 효율적인 이체가 보장되고 상기 이체장치(1)는 크기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방식으로 계란들을 이체시키기 위하여, 순환체인(8)은 상기 수납대(2)들이 인도컨베이어(21)의 이동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최소한 인도컨베이어(21)의 인접 개별수납자리(24)들간의 간격의 9배만큼 이동된 후, 즉 상기 수납대(2)들이 제2컨베이어(31)의 이동방향과 평행하게 이동한 후에, 수납대(2)들이 아랫쪽으로 회전되고 그다음에 윗쪽으로 회전되고, 그것에 의하여 계란들의 이체가 완성될 수 있도록 그렇게 배열되어 있다.
상기 순환체인(8)은 통상의 크랭크장치, 캠기구 등과 같은 구동장치(36)(제4도참조)에 의하여 단속적으로 구동된다. 상기 단속적 구동장치(36)는 인도컨베이어(21)로부터 동시에 인도되는 계란수에 따라 적당하게 설계되고 제조될 수 있다.
다음에, 회전가능 수납대(2)들을 회전시키기 위한 장치의 일례가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제4도 및 제5도에 대하여 설명하면, 부호(13)은 아암(15)들을 통하여, 예를들어 단속적 구동장치(36)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는 회전축(14)과 연결된 리프트바아(lift bar)를 표시한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프트바아(13)는 상기 이체부분(P2)의 범위내에서 상기 수납대(2)들의 종동부분(7)들의 하부표면과 접촉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상기 축(14)이 제4도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리프트바아(13)는 상기 이체부분(P2)의 범위내에 있는 6개의 수납대(2)들의 종동부분들을 동시에 들어올림으로해서 상기 수납대(2)들은 제2컨베이어(31)의 지지대(33)들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회전되고, 그것에 의하여 계란(E)들이 상기 지지대(33)들 상으로 이체된다.
계란(E)들의 이체후에, 상기 리프트바아(13)는 상기 종동부분(7)들을 해체시키기 위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그것에 의하여 상기 수납대(2)들은 코일스프링(11)들의 탄성력하에서 각각 그것들의 최소위치들로 부드럽게 복귀된다.
상기 설명된 복귀장치 대신에, 각 회전가능수납대(2)와 각 장착부재(9)를 스프링으로 직접 상호 연결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리프트바아(13)까지 설명되었던 회전가능수납대(2)를 회전시키기 위한 장치 대신에, 솔레노이드, 유압 실린더, 캠기구등과 같은 통상의 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속적 구동장치(36)는 제어장치(37)에 의하여 제어되는데, 그것은 단속적 구동장치(37)가 최초에는 정지되어 있고 그 다음에는 인도컨베이어(21)와 제2컨베이어(31)의 이동들간의 적절한 시기관계를 가지고 제2컨베이어(31)의 속도와 동일속도로 가속될 수 있도록 그렇게 순환체인(8)을 제어하는 기계적 제어기일 수도 전기적 제어기일 수도 있다.
상기 제어장치(37)는 또한 수납대(2)들의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의 그것들의 회전운동을 위한 회전축(14)의 회전운동의 정확한 시기를 제어한다.

Claims (5)

  1. 계란등의 피처리물들(E)을 이체시키기 위한 이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처리물들을 운반하기 위한 제1방향으로 구동되고 상기 피처리물들이 위치하는 개별수납자리들(24)의 미리 결정된 수를 각각 포함하고 있는 평행한 열들로 이루어져서 상기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떨어져 있는 상기 수납자리들(24)의 배열을 갖추고 있는 인도컨베이어(21), 상기 인도컨베이어(21)의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으로 뻗어 있고 상기 인도컨베이어의 인도 끝부분과 인접하여 배치된 운반부분(P1)을 갖추고서 동일한 열의 인접 수납자리들(24)간의 간격과 똑같은 간격만큼 상기 제2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떨어져 있으면서 상기 피처리물들을 각각 그 위에 수납하기 위한 복수의 지지대들(33)을 그위에 장착한 제2컨베이어(31), 상기 제2컨베이어의 운반부분으로 하여금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하게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2컨베이어(31)를 일정한 속도로 구동시키기 위한 장치(35) 및 상기 피처리물들을 각각 상기 제2컨베이어의 상기 지지대들(33)상으로 이체시키도록 상기 인도컨베이어의 상기 수납자리들의 각렬상의 다수의 피처리물들(E)을 동시에 수납하기 위하여 상기 인도컨베이어(21)의 인도끝부분과 상기 제2컨베이어(31)의 운반부분 사이에 개재되어 있고 동일한 열의 인접 수납자리들 간의 간격과 똑같은 간격만큼 상기 제2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떨어져 있는 복수의 피처리물 수납대들(2)을 그위에 다수의 피처리물들을 수납하고 그 다음에 상기 지지대들상으로 상기 피처리물들을 이체시키기 위하여 갖추고 있는 이체장치(1)로 구성되어 있는 계란등 피처리물의 이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방향과 평행한 상기 방향으로 뻗어 있고, 상기 피처리물들(E)중의 하나가 수납되는 제1위치와 수납된 상기 피처리물(E)이 상기 지지대들(33)중의 하나에로 이체되는 제2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가능 하도록 각각 장착되어 있는 상기 수납대들(2)을 그위에 지탱하고 있는 부분을 갖추고 있는 순환운반장치(8), 상기 제2방향과 평행한 상기 방향으로 상기 수납대들(2)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순환운반장치(8)를 구동시키기 위한 단속적 구동장치(36), 상기 수납대들(2)이 상기 인도컨베이어(21)로부터 다수의 피처리물들(E)을 그 위에 수납할 때, 상기 수납대들의 세트가 상기 제1방향에 대하여 상기 수납자리들(24)과 각각 일직선으로 정렬된채로 상기 순환운반장치(8)가 정지되고,, 그 다음에 상기 피처리물들을 그위에 수납한 상기 수납대들(2)이 상기 지지대들(33)과 동일한 속도를 갖고, 평행하게 이동하는 상기 지지대들(33)과 인접해 있는 위치들을 각각 얻을때까지 상기 제2방향으로 상기 순환운반장치(8)가 이동되고 가속되는 그러한 방식으로 상기 구동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37) 및 상기 수납대들(2)이 상기 지지대들과 인접해 있는 위치들을 얻었을 때, 각각의 상기 수납대(2)로 하여금 상기 제1위치로부터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하게 하고 그것에 의하여 상기 수납대들(2)의 상기 세트 상의 상기 다수의 피처리물들을 상기 지지대들(33)상으로 동시에 이체시키도록 상기 수납대들의 상기 세트에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7,13,1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등의 피처리물의 이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37)는 상기 수납대들(2)이 상기 지지대들(33)과 인접해 있는 위치들을 얻었을 때, 몇몇의 상기 수납대들은 아직도 상기 인도컨베이어의 상기 인도끝부분의 영역에 있는 그러한 방식으로 상기 구동장치(36)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등의 피처리물의 이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수납대(2)는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와의 사이에서 회전가능할 수 있도록 피봇식으로 상기 순환운반장치(8)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등의 피처리물의 이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대들(2)은 각각 종동 부분(7)을 갖추고 있고, 상기 수납대들의 상기 세트에 작동하기 위한 상기 장치는 상기 수납대들을 그것들의 상기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에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납대들(2)에로 힘을 가하기 위해 상기 종동부분들(2)에 작동하기에 적합한 리프트바아(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등의 피처리물의 이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대들(2)은 상기 리프트바아(13)가 상기 수납대들에로 힘을 가하는 것을 중단할 때 상기 수납대들은 그것들의 최초 위치들 에로 복귀시키기 위해 그위에서 작동하는 스프링 장치(11)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등의 피처리물의 이체장치.
KR1019880005605A 1987-04-17 1988-05-13 계란등의 피처리물의 이체장치 KR9100081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95834 1987-04-17
JP62095834A JPH0659931B2 (ja) 1987-04-17 1987-04-17 鶏卵等の被処理物の移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7152A KR890017152A (ko) 1989-12-15
KR910008169B1 true KR910008169B1 (ko) 1991-10-10

Family

ID=14148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5605A KR910008169B1 (ko) 1987-04-17 1988-05-13 계란등의 피처리물의 이체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863008A (ko)
JP (1) JPH0659931B2 (ko)
KR (1) KR910008169B1 (ko)
DK (1) DK1741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9100785A (nl) * 1991-05-07 1992-12-01 Food Processing Systems Inrichting voor het opnemen in casu overnemen, vertikaal transporteren en afgeven van voorwerpen zoals eieren.
ES2086076T3 (es) * 1991-08-12 1996-06-16 Pillsbury Co Dispositivo de deposicion de una pluralidad de objetos sobre un transportador.
NL9201530A (nl) * 1992-09-02 1994-04-05 Food Processing Systems Inrichting voor het overzetten van in hoofdzaak bolvormige of ellipsoide produkten, zoals bijvoorbeeld eieren, fruit of groenten.
US5653328A (en) * 1994-11-18 1997-08-05 Soremartec S.A. Equipment for forming ordered groups of articles from a generally flat flow of articles, particularly for automatic packaging systems
US5483872A (en) * 1995-01-13 1996-01-16 Diamond Autom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weighting and breaking eggs
IT1285931B1 (it) * 1996-06-07 1998-06-26 Schnell Spa Dispositivo di stoccaggio per linee di taglio di barre metalliche
DE102006044286A1 (de) * 2006-09-20 2008-04-03 Weber Maschinenbau Gmbh & Co. Kg Transportvorrichtung
JP5063241B2 (ja) * 2006-12-29 2012-10-31 株式会社ナベル 卵の移載装置
KR20140062033A (ko) * 2011-07-05 2014-05-22 모바 그룹 비.브이. 란 이송 장치 및 방법
ES2744327T3 (es) * 2012-11-13 2020-02-24 Sanovo Tech A/S Un procedimiento de alimentación de huevos a un aparato para romper huevos y un aparato para romper huevos
NL2014158B1 (en) * 2015-01-19 2017-01-05 Sanovo Technology Netherlands Bv Egg transfer device.
CN107494329B (zh) * 2017-09-15 2020-09-29 钦州学院 自动集蛋装置
NL2024179B1 (en) * 2019-11-07 2021-07-20 Sanovo Technology Netherlands Bv Egg conveyo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35778A (en) * 1935-07-03 1938-11-08 J W Wyland & Sons Multiple egg feeding and tilting device
US2961087A (en) * 1955-09-14 1960-11-22 Walter J Reading Egg grader
US3176821A (en) * 1963-09-23 1965-04-06 Eldred Company Article conveying and transferring mechanism
NL6512102A (ko) 1965-09-16 1967-03-17
US3298499A (en) * 1965-12-06 1967-01-17 Standard Brands Inc Conveying and transfer apparatus for eggs
DK130914B (da) * 1972-04-05 1975-05-05 J T Klint Transportør til fremføring og orientering af æg og overføring af æggene til griberaggregater i en ægknækkemaskine.
US3894631A (en) * 1973-12-26 1975-07-15 Fmc Corp Egg transfer mechanism
JPS538423A (en) * 1976-07-10 1978-01-25 Ntn Toyo Bearing Co Ltd Flow rate measuring means
JPS5989A (ja) * 1982-06-21 1984-01-05 ダイワゴム株式会社 競輪場における退避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174106B1 (da) 2002-06-17
JPH0659931B2 (ja) 1994-08-10
JPS63262334A (ja) 1988-10-28
DK207088A (da) 1988-10-18
US4863008A (en) 1989-09-05
KR890017152A (ko) 1989-12-15
DK207088D0 (da) 1988-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8169B1 (ko) 계란등의 피처리물의 이체장치
US3929234A (en) Article transfer and spacer means
EP0885160B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objects from a first to a second conveyor
EP0876957B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alignment of products
US9199795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egg transfer within an egg handling machine
CN107404860B (zh) 蛋打印系统和方法
DE3760725D1 (en) Pick-up device, particularly for automatic lifting and conveying apparatus for plants for the packaging of food products
US4575993A (en) Machine for packaging eggs
JPH06211213A (ja) 物品処理方法および装置
EP0139775A1 (en) An article conveying and accumulating device
JPH034456B2 (ko)
NL8900584A (nl)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tijdelijk stilzetten van een over omkeerwielen geleide, aangedreven transporteur met houders.
US4079845A (en) Egg transfer machine
US3282464A (en) High-speed automatic orientation, alignment and supply machinery for confectionary articles
US3984964A (en) Bottle packing system
EP1069837A1 (en) Orientation mechanism
JPS6042127B2 (ja) 卵をコンベヤ−に移送する装置
KR940018074A (ko) 정제의 젤라틴 피복 장치용의 할출 및 이송 시스템
US3108679A (en) Conveying apparatus
US3207286A (en) Vial loading apparatus
US3179230A (en) Conveyor system
US5230201A (en) Block filling apparatus
EP4025507B1 (en) Packaging device for packaging eggs
US4286422A (en) Walking beam bag loader
KR100195307B1 (ko) 포장 스테이션에서의 허용용기 범위 자동화 기구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24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