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9766Y1 - 비닐 피복기 - Google Patents

비닐 피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9766Y1
KR200259766Y1 KR2020010031892U KR20010031892U KR200259766Y1 KR 200259766 Y1 KR200259766 Y1 KR 200259766Y1 KR 2020010031892 U KR2020010031892 U KR 2020010031892U KR 20010031892 U KR20010031892 U KR 20010031892U KR 200259766 Y1 KR200259766 Y1 KR 2002597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nyl
wheel
cover
covering
mai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18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두
Original Assignee
김병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두 filed Critical 김병두
Priority to KR20200100318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97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97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9766Y1/ko

Links

Landscapes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닐 피복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닐을 거치하는 거치대의 전반부에 배토구조를 설치하고 그 후단에 복토구조를 설치하여 비닐을 깔면서 동시에 배토 및 복토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비닐을 비복하는 작업성을 높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피복기에 관한 것으로,
사각형태의 매인 프레임과; 상기 매인 프레임의 전방에 설치되어 범위를 벗어난 흙을 깍아내기 위한 배토부와; 상기 매인 프레임의 중앙에 설치되어 롤 형태로 감겨지는 비닐을 지지하는 비닐 거치부와; 상기 매인 프레임의 후방에 설치되며 풀린 비닐을 펴서 잡아당겨 밭두둑에 고정 밀착하는 비닐 밀착부와; 일측이 매인 프레임과 연결되고 타측은 비닐 밀착부와 밀착되며, 이랑의 흙을 복토하여 상기 비닐 밀착부에 의해 밀착된 비닐을 고정시키는 복토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비닐 피복기{Vinyl Covering Unit for Cover Vinyl with Earth}
본 고안은 비닐 피복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닐을 거치하는 거치대의 전반부에 배토구조를 설치하고 그 후단에 복토구조를 설치하여 비닐을 깔면서 동시에 배토 및 복토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비닐을 피복하는 작업성을 높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피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물을 이랑에서 재배할 때 잡초발생의 억제, 토양수분의 증발억제 및 보관, 이랑 토양의 유실방지와 토양 미생물의 보호목적등을 위하여 비닐을 피복하여 사용한다.
이때 비닐은 이랑에 밀착하게 깔려야 하고, 긴장된 상태로 이랑이 양쪽에서 충분히 복토되어 바람에 날리지 않도록 해야 한다.
작물의 이랑에 따라 폭이 다양한 비닐 피복작업에는 최소한 세 사람이 동시에 작업을 해야 하며, 요즘처럼 농촌에 일할 사람이 많치 않은 상태에서는 쉬운 일이 아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일개의 프레임의 비닐 장착구조와, 배토구조 및 복토구조를 설치하여 한사람의 노동력 제공만으로 비닐을 비폭하는 작업을 완료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사각형태의 매인 프레임과;
상기 매인 프레임의 전방에 설치되어 범위를 벗어난 흙을 깍아내기 위한 배토부와;
상기 매인 프레임의 중앙에 설치되어 롤 형태로 감겨지는 비닐을 지지하는 비닐 거치부와;
상기 매인 프레임의 후방에 설치되며 풀린 비닐을 펴서 잡아당겨 밭두둑에 고정 밀착하는 비닐 밀착부와;
일측이 매인 프레임과 연결되고 타측은 비닐 밀착부와 밀착되며, 이랑의 흙을 복토하여 상기 비닐 밀착부에 의해 밀착된 비닐을 고정시키는 복토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비닐 피복기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비닐 피복기를 이용한 작업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비닐 피복기의 비닐 밀착부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의 비닐 밀착부의 지지 브라켓 회동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비닐 밀착부의 수평바 회동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비닐 밀착부의 롤러 회동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배토부 11: 배토휠
12: 배토용 쟁기 13: 지지프레임
14: 배토 너비 조절부 15: 배토 높이 조절부
20: 비닐 지지부 21: 비닐 지지 프레임
22: 비닐 너비 조절부 23: 비닐 높이 조절부
24: 비닐 롤 30: 복토부
31: 복토 지지 프레임 32: 복토 너비 조절부
33: 복토휠 34: 복토용 쟁기
40: 비닐 밀착부 41: 수평바
42: 롤러 43: 비닐 고정 바퀴
44: 지지 브라켓 45: 스파이럴 스프링
46: 회동핀 47: 연결핀
100: 매인 프레임 110: 손잡이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동작상태도로서,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사각형태의 매인 프레임(100)과;
상기 매인 프레임의 전방에 설치되어 범위를 벗어난 흙을 깍아내기 위한 배토부(10)와;
상기 매인 프레임의 중앙에 설치되어 롤 형태로 감겨지는 비닐을 지지하는 비닐 거치부(20)와;
상기 매인 프레임의 후방에 설치되며 풀린 비닐을 펴서 잡아당겨 밭두둑에 고정 밀착하는 비닐 밀착부(40)와;
일측이 매인 프레임(100)과 연결되고 타측은 비닐 밀착부(40)와 밀착되며, 이랑의 흙을 복토하여 상기 비닐 밀착부(40)에 의해 밀착된 비닐을 고정시키는 복토부(3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미설명부호 110은 손잡이로서 비닐 피복기를 이동시키기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에서 매인 프레임(100)은 배토부(10)와 비닐 거치부(20)와 비닐 밀착부(40) 및 복토부(30)를 지지할 수 있는 정도의 강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 하며, 본 고안에서는 사각 파이프를 조립하여 매인 프레임으로 사용하였다.
물론, 상기에서는 사각 파이프로서 프레임을 사용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PVC등 기타 다른 재질로서 사용 가능하며, 단지 프레임에 연결되는 각각의 구성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으면 된다.
상기에서 배토부(10)는 비닐을 피복하기 전에 일정범위를 벗어난 흙을 미리외부로 이탈 시키기 위한 구조로서 이랑과 이랑 사이의 길이를 일치시켜 비닐이 충분히 덮일 수 있기 위함이다.
그리고, 비닐 거치부(20)는 롤 형태의 비닐(24)을 탑재하여 순차적으로 풀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손잡이를 끌고 가면 비닐이 쉽게 풀리게 된다.
그리고, 비닐 밀착부(40)는 비닐 거치부에서 풀리는 비닐이 밭두둑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복토부(30)는 비닐(24a)이 깔린 다음에 뒷따라 오면서 흙을 차례로 덮기 위함이다.
이하에서 상기 구성품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고안의 배토부는 매인 프레임(100)의 운행을 위한 배토휠(11)과,
상기 배토휠(11)의 축상에 연결되어 범위를 벗어난 흙을 외부로 밀어내는 배토용 쟁기(12)와,
상기 매인 프레임을 가로질러 고정되는 배토 지지 프레임(13)과,
상기 배토 지지프레임의 양단에 끼움 결합되는 배토휠 너비 조절부(14)와,
상기 배토휠 너비 조절부에 일측이 열결되고 타측이 배토휠의 축에 연결되는 배토휠 높이 조절부(15)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배토부(10)의 배토휠(11)은 매인 프레임(100)을 이동시 이동방향으로 원할하게 유도할 수 있도록 지면의 마찰을 충분히 이용하며, 이와 연동되어 움직이는 배토용 쟁기(12)가 흙을 배토하면서 동시에 진행방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매인 프레임(100)을 전진시키게 되면 상기 배토휠(11)이 방향을 올바르게 유지시켜 본 고안의 비닐 피복기가 작업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막아주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토휠(11) 및 배토용 쟁기(12)는 배토휠 너비 조절부(14)에 연결되어 배토 지지프레임(13)에 지지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가로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이랑과 이랑 사이의 길이에 따라서 배토휠(11)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서 작업자가 원하는 비닐 피복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는 이랑과 이랑 사이가 약간씩 틀려질 수 있기 때문이며, 본 고안을 이용하게 되면 이랑과 이랑 사이의 간격에 따라 배토휠(11)을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상기 배토휠(11)과 연결된 배토용 쟁기(12)도 간격이 조절되어 작업자가 원하는 작업환경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배토휠(11)과 매인 프레임(100)과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배토휠 높이 조절부(15)를 형성하여 배토 높이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고안의 배토부는 흙을 깍아내는 작업을 함으로서 작업자가 지정한 이랑 간격을 벗어난 흙은 모두 외부로 걸러내어 일정한 작업범위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비닐 거치부(20)는 매인 프레임(100)에 가로질러 고정되는 비닐 지지 프레임(21)과,
상기 비닐 지지 프레임(21)의 양단에 끼움 결합되는 비닐 너비 조절부(22)와,
상기 비닐 너비 조절부(22)에 연결되어 비닐 롤(24)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비닐 높이 조절부(23)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비닐 롤(24)는 비닐 높이 조절부(23)에 형성되는 비닐 연결축(도시하지 않음)에 지지되고 롤 형태로 감겨있어 비닐 피복기가 전진함에 따라 순차적으로 풀릴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비닐 연결축에 비닐 롤(24)을 삽입한 후에 조립에 의하여 고정하고, 이후 비닐 사용이 끝나면 분리하여 새로운 비닐을 다시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복토부(30)는 매인 프레임(100)에 가로질러 고정되는 복토 지지 프레임(31)과,
상기 복토 지지 프레임(31)의 양단에 끼움 결합되는 복토 너비 조절부(32)와,
상기 복토 너비 조절부(32)의 하단에 결합되어 매인 프레임의 유동을 원할하게 하며 동시에 복토하는 복토 휠(33)과,
상기 복토휠(33)의 축상에 연결되어 복토휠로부터 모아지는 흙과 자체 경사에 의해 안쪽으로 모아지는 흙을 이용하여 비닐을 덮기 위한 복토용 쟁기(34)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복토부(30)는 이랑과 이랑 사이에 걸쳐진 비닐을 복토하여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들로, 비닐 롤(24)로 부터 비닐(24a)이 풀리게 되면 롤러(42)가 비닐을 양쪽으로 잡아당겨 팽팽하게 유지하고, 이어 복토용 쟁기(34)가 이랑의 흙을 걷어 올려 비닐(24a)을 고정하게 된다.
상기 복토용 휠(33)은 메인 프레임(100)의 진행이 원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조 하면서 동시에 내측으로 일정하게 꺽어진 각도를 이용하여 복토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복토용 쟁기(34)가 복토용 휠(33)의 축에 공통으로 연결되어 복토용 휠(33)로 인하여 복토된 흙을 복토용 쟁기(34)가 안쪽으로 몰아 비닐에 흙을 덮을 수 있도록 하였다.
결국, 복토용 쟁기(34)와 복토용 휠(33) 모두를 이용하여 복토 작업이 가능한 것이다.
이하에서 비닐 밀착부(40)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6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비닐 밀착부(4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비닐이 펴지도록 비닐 피복기의 진행방향에 대해 후방으로 적당한 각도로 벌어져 설치되고, 동시에 밭두둑의 경사면에 상응하여 밀착되도록 중심에 수평바(41)가 연결된 롤러(42)와,
상기 롤러(42)와 수평바(41)를 통해 수평선상으로 연결되어 수평바(41)를 중심으로 시소운동을 하며 복토시점에서 비닐을 잡아주는 비닐고정 바퀴(43)와,
복토 너비 조절부(32)를 이루는 지지 파이프(32a)의 축상에 감기되 일측은 파이프(32a)의 내벽에 지지되고 타측은 지지 브라켓(44)에 지지되어 상기 롤러(42)와 비닐고정바퀴(43)를 항상 아래로 눌러 비닐(24)과 밀착시키는 스파이럴 스프링 (45)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미설명부호 46은 지지 브라켓의 끝단에 설치되어 회동 가능한 구조로서 수평바에 용접 결합되는 회동핀이며, 47은 롤러를 구성하는 철편과 수평바를 연결하는 연결핀이다.
도 4는 스파이럴 스프링(45)의 작용으로 지지 브라켓(44)이 아래 방향으로 회동함을 나타내었는바,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45)은 지지 브라켓 (44)을 항상 아래로 누르는 방향으로 힘을 발생시키도록 감겨있다.
따라서, 매인 프레임(100)을 운행하게 되면 롤러(42)와 비닐고정 바퀴(43)는 지면을 압박하는 형태가 되어, 결국 비닐 롤(24)로 부터 인출되는 비닐(24a)이 땅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힘을 가하게 된다.
도 5는 회동핀(46)을 중심으로 롤러(42)와 비닐고정 바퀴(43)가 동작하는 것을 나타내었는바, 상기 비닐고정 바퀴(43)와 롤러(42)는 수평바(41)를 통해 지지 브라켓(44)에 연결되어 있으며, 지지 브라켓(44)의 회동핀(46)을 중심으로 상하 회전가능토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밭두둑이 일정각도로 경사져 내려가거나 올라가는 형태일때 이에 상응하여 비닐고정 바퀴(43)와 롤러(42)가 유동하게 되어 비닐(24a)의 지지를 항상 자연스럽게 유도한다.
즉, 롤러(42)가 아래로 내려가면 비닐고정 바퀴(43)가 위로 상승하여 밭두둑의 경사면에 밀착되고, 반대로 롤러(42)가 위로 올라가면 비닐고정 바퀴(43)가 아래로 내려가 밭두둑의 경사면에 말착되는 것이다.
도 6은 롤러(42)가 수평바(41)의 연결핀(47)을 중심으로 상하 유동하는 것을도시하고 있는바, 이러한 본 고안의 구성은 밭두둑의 경사도에 따라서 롤러(42)의 구름면이 밭두둑의 경사면에 항상 밀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경사도가 비교적 완만한 밭두둑은 롤러(42)의 회전각이 작게 되고, 경사도가 비교적 급한 밭두둑은 롤러(42)의 회전각이 크게 되는 것이다.
또한, 비닐(24a)이 펴지도록 비닐 피복기의 진행방향에 대해 후방으로 적당한 각도로 벌어져 설치되므로, 롤러(42)가 자체 회전하면서 비닐은 바깥쪽으로 계속하여 잡아당기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을 이용하게 되면 팽팽하게 비닐이 잡아당겨진 상태에서 복토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복토부(30)는 복토휠(33)이 연결되어 매인 프레임(100)의 구름을 양호하게 유지하고, 내측으로 일정한 경사각이 형성되어 약간의 흙을 복토하는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결국, 본 고안을 이용하게 되면, 매인 프레임(100)의 전단부에서 흙을 배토하여 너비가 고른 이랑을 형성할 수 있고, 또한 비닐(24a)이 펼쳐진 후에는 롤러 (24)에 의해서 팽팽하게 잡아당기며, 비닐(24a)이 팽팽하게 잡아당겨진 상태에서 흙을 복토하므로, 한번의 작업을 통해 비닐 피복이 완료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일개의 프레임에 복토장치와 비닐 거치대 및 배토장치를 설치하므로 작업자 한사람이 매인 프레임을 끌고 전진하는 동작에 의해서이랑이 고른 비닐 피복작업이 완료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피복된 비닐의 복토가 확실하게 일어나므로 작업시 바람이 불어도 날리는 일이 없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관리기에 부착하기 위한 부속품이나 조절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동력에너지가 필요없어 운영비용이 불필요하다.
결국, 본 고안을 이용하게 되면 비닐 피복기를 1인의 인력으로 사용하면서도 비닐피복시 충분한 복토를 수행할 수 있고, 팽팽한 비닐피복을 얻을 수 있기 바람에 쉽게 날리는 일이 없으며, 작업인원이 종래에 최소 3명이 필요한 것에 비해 줄어들어 작업량에 따른 노동력을 대폭 줄일 수 있고, 운영비를 절감할 수 있다.

Claims (6)

  1. 사각형태의 매인 프레임(100)과;
    상기 매인 프레임(100)의 전방에 설치되어 범위를 벗어난 흙을 깍아내기 위한 배토부(10)와;
    상기 매인 프레임의 중앙에 설치되어 롤 형태로 감겨지는 비닐을 지지하는 비닐 거치부(20)와;
    상기 매인 프레임의 후방에 설치되며 풀린 비닐을 펴서 잡아당겨 밭두둑에 고정 밀착하는 비닐 밀착부(40)와;
    일측이 매인 프레임과 연결되고 타측은 비닐 밀착부와 밀착되며, 이랑의 흙을 복토하여 상기 비닐 밀착부에 의해 밀착된 비닐을 고정시키는 복토부(3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피복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토부(10)는 상기 매인 프레임을 가로질러 고정되는 배토 지지 프레임 (13)과,
    상기 배토 지지프레임(13)의 양단에 끼움 결합되어 슬라이딩하는 배토휠 너비 조절부(14)와,
    상기 배토휠 너비 조절부(14)에 끼움 결합되어 슬라이딩하는 배토휠 높이 조절부(15)와,
    상기 배토휠 높이 조절부의 하단에 연결되며 매인 프레임(100)의 운행을 보조하여 전방으로의 운행이 똑바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배토유도휠(11)과,
    상기 배토유도휠(11)의 축상에 연결되어 범위를 벗어난 흙을 외부로 밀어내는 배토용 쟁기(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피복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 지지부(20)는 매인 프레임에 가로질러 고정되는 비닐 지지 프레임 (21)과,
    상기 비닐 지지 프레임(21)의 양단에 끼움 결합되는 비닐 너비 조절부(22)와,
    상기 비닐 너비 조절부(22)에 일측이 연결되어 비닐 롤(24)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비닐 높이 조절부(23)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비복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토부(30)는 매인 프레임(100)에 가로질러 고정되는 복토 지지 프레임 (31)과,
    상기 복토 지지 프레임(31)의 양단에 끼움 결합되는 복토 너비 조절부(32)와,
    상기 복토 너비 조절부(32)의 하단에 결합되어 매인 프레임의 유동을 원할하게 하며 동시에 복토하는 복토 휠(33)과,
    상기 복토휠(33)의 축상에 연결되어 복토휠(33)로부터 모아지는 흙과 자체 경사에 의해 안쪽으로 모아지는 흙을 이용하여 비닐을 덮기 위한 복토용 쟁기(34)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피복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토휠(33)은 내측으로 일정각도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피복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 밀착부(40)는 비닐이 펴지도록 비닐 피복기의 진행방향에 대해 후방으로 적당한 각도로 벌어져 설치되고, 동시에 밭두둑의 경사면에 상응하여 밀착되도록 중심에 수평바(41)가 연결된 롤러(42)와,
    상기 롤러(42)와 수평바(41)를 통해 수평선상으로 연결되어 수평바(41)를 중심으로 시소운동을 하며 복토시점에서 비닐을 잡아주는 비닐고정 바퀴(43)와,
    복토 너비 조절부(32)를 이루는 지지 파이프(32a)의 축상에 감기되 일측은파이프(32a)의 내벽에 지지되고 타측은 지지 브라켓(44)에 지지되어 상기 롤러(42)와 비닐고정바퀴(43)를 항상 아래로 눌러 비닐(24)과 밀착시키는 스파이럴 스프링(45)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피복기.
KR2020010031892U 2001-10-18 2001-10-18 비닐 피복기 KR2002597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892U KR200259766Y1 (ko) 2001-10-18 2001-10-18 비닐 피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892U KR200259766Y1 (ko) 2001-10-18 2001-10-18 비닐 피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9766Y1 true KR200259766Y1 (ko) 2002-03-15

Family

ID=73069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1892U KR200259766Y1 (ko) 2001-10-18 2001-10-18 비닐 피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976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9890A (ko) * 2002-11-05 2004-05-12 나대제 밭이랑 비닐 피복기
CN108966980A (zh) * 2018-08-28 2018-12-11 农业部南京农业机械化研究所 一种垄上覆膜装置
KR102225676B1 (ko) * 2020-07-03 2021-03-12 한국농기계 주식회사 두둑 성형 및 비닐 피복이 가능한 복합형 비닐피복기
KR20210091444A (ko) * 2020-01-14 2021-07-22 김수영 조립식 카트 겸용 비닐 피복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9890A (ko) * 2002-11-05 2004-05-12 나대제 밭이랑 비닐 피복기
CN108966980A (zh) * 2018-08-28 2018-12-11 农业部南京农业机械化研究所 一种垄上覆膜装置
KR20210091444A (ko) * 2020-01-14 2021-07-22 김수영 조립식 카트 겸용 비닐 피복기
KR102344020B1 (ko) 2020-01-14 2021-12-27 김수영 조립식 카트 겸용 비닐 피복기
KR102225676B1 (ko) * 2020-07-03 2021-03-12 한국농기계 주식회사 두둑 성형 및 비닐 피복이 가능한 복합형 비닐피복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8752Y1 (ko) 비닐 수거기
US7802338B1 (en) Rain-gutter cleaning system
KR200259766Y1 (ko) 비닐 피복기
KR101297620B1 (ko) 연장차양이 구비된 차양
KR101714734B1 (ko) 피복기
KR200484967Y1 (ko) 비닐 피복기용 비닐 절단장치
KR101419270B1 (ko) 비닐 피복기용 비닐 절단장치
KR200448356Y1 (ko) 두둑 성형기 및 비닐피복기가 장착된 경운기
CN211745704U (zh) 一种方便组装搭建的农产品种植用大棚
JP3741397B2 (ja) 茶園用の昇降型低所防霜ファン装置
JP3319149B2 (ja) 人工芝敷設装置
JP6647483B1 (ja) ハローガイド
KR200245169Y1 (ko) 무동력 비닐 피복기
JP6030500B2 (ja) 被覆資材の巻取展開装置
KR20160041212A (ko) 농업용 휴립 복토기
KR101189496B1 (ko) 비닐하우스용 이동식 그늘막장치
JP2872975B2 (ja) 農業用フイルムの自動取除き方法及びその自動取除き装置
TWI650062B (zh) 鋪膜覆土機
KR19980085945A (ko) 농업용 비닐피복장치
KR200217207Y1 (ko) 무동력 비닐 피복기
JP2001000055A (ja) 伸縮式防霜ファン
JP6268640B2 (ja) 設置補助装置
JP2859257B1 (ja) 育苗用自動潅水機における両側ブームの開閉装置
KR200357830Y1 (ko) 농사용 비닐 피복장치
JPH09294447A (ja) 自走型茶園管理機における管理装置の上下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