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9751Y1 - 접속유지장치 - Google Patents

접속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9751Y1
KR200259751Y1 KR2020010031153U KR20010031153U KR200259751Y1 KR 200259751 Y1 KR200259751 Y1 KR 200259751Y1 KR 2020010031153 U KR2020010031153 U KR 2020010031153U KR 20010031153 U KR20010031153 U KR 20010031153U KR 200259751 Y1 KR200259751 Y1 KR 2002597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nection
holding body
connection holding
pc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11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시가와야스히로
스즈키마사오
Original Assignee
한국유니온머시너리 주식회사
일본국유니온머시너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유니온머시너리 주식회사, 일본국유니온머시너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유니온머시너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311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97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97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9751Y1/ko

Link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형화된 전자기기의 배선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기기의 경박화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접속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내부에 관통구멍을 가지는 접속유지본체와 상기 접속유지본체에 자유롭게 삽발되고 유지되는 판상의 메모리 카드와 접속유지본체에 자유로이 착탈되고 유지되는 플렉시블 PCB를 가지고 구성된다.

Description

접속유지장치{CONNECTION KEEP DEVICE}
본 고안은 접속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끝단부에 메모리측 단자를 가진 메모리 카드와 끝단부에 PCB측 단자를 가진 플렉시블 PCB 및 메모리 카드를 삽입 장착시키는 것과 더불어 PCB측 단자를 장착시켜서 메모리측 단자와 PCB측 단자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접속부재를 갖춘 접속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기기는 소형 경량화가 진행되고 또 타사 제품과의 차별화를 위해 기기본래의 기능 그 자체가 부가가능을 가진 것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비디오 레코드(Video Record)에서 테이프(Tape)에 정보를 기록하는 방법 외에 부가 기능으로 기기 본체에 소형의 메모리 카드를 탑재해서 이 메모리 카드에 정보를 기록하는 방법이 있다. 이 메모리 카드에 의한 정보 기록 방법을 이용하면 메모리 카드에 기록시킨 정보를 PC 등에 의해 처리함으로써 기록 정보의 이용을 보다 확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소형 경량화된 기기는 그 체적이 작아서 기기 본체 내에서 메모리 카드가 차지하는 설치 면적이 작아지게 되고, 기기의 조립 작업에 있어서 메모리 카드의 취급이 더욱 곤란하게 된다.
또, 전자기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에 메모리측 단자(19)가 있는 메모리 카드(7)의 착탈이 자유로우면서 유지가 가능하게 한 유지부재(5)가 있고, 상기 유지부재(5)는 메모리 카드(7)를 유지부재(5)에 삽입 장착한 상태에서 메모리측 단자(19)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단자(40)를 가지고 있다. 상기 접속단자(40)의 다른 끝단측은 구부러지지 않는 단단한 기판(Inflexible Circuit Board)(이하, 'Hard 기판(53)'이라 함)에 형성된 회로에 납땜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렇지만, 전자기기는 소형화되고 있어서, 불량 납땜이 발생하여 전기적 접속상태가 불완전하게 될 우려가 있다. 더욱이 접속단자(40)가 납땜된 회로기판(53)은 Hard 기판이므로 구부리고 접을 수 없어 기기내의 배선 자유도가 작아 기기의 경박화가 곤란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소형화된 전자기기에 있어 기기의 배선 작업이 용이하고 기기의 경량화를 가능하게 하는 접속유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1견지에 따른 본 고안은 끝단부에 전자부품측 단자를 지닌 전자부품(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과 전자부품을 자유롭게 삽발하면서 유지 가능케 한 접속유지본체와, 상기 접속유지본체에 자유롭게 착탈되며 장착이 가능하고 끝단부에 PCB측 단자가 있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을 가지고있고, 상기 접속유지본체는 전자부품을 접속유지본체로 삽입 장착 유지시키고, 플렉시블 PCB를 접속유지본체로 장착시킨 상태에서 한 끝단측에서 전자부품측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다른 끝단측에서 PCB측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단자가 구성된 접속유지장치를 구현하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접속유지부재의 구성을 보이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b는 상기 도 2a의 A-A 화살표 방향 단면에 해당하는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접속유지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3b는 슬라이드의 구성을 보이고 있는 평면도이다.
도 4a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접속유지본체의 측면도이고, 도 4b는 접속유지본체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접속단자의 단면을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접속유지본체에 삽입 장착된 접속 단자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접속유지부재 3: 관통구멍
5: 접속유지본체 7: 메모리 카드
9: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13: 도체
19: 메모리측 제1 단자 23: 접속단자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기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혹은 칩 설계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우선 본 고안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접속유지장치는 전자 부품을 접속유지본체로 삽입 유지시키고 또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Circuit Board)(이하 '플렉시블 PCB'라 함)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 결과, 전자부품이 플렉시블 PCB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전술한 플렉시블 PCB와 전자부품이 접속하게 되어, Hard 기판에 접속단자의일단을 납땜하고 있는 종래의 기술과 비교하면 납땜에 의한 불량을 없애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플렉시블 PCB의 절곡(꺾고 구부림)으로 기기 내의 배선 자유도를 증가시켜서 기기의 경박화를 한층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전술한 구성의 접속유지장치에 있어서, 접속유지본체에 있는 관통구멍의 한쪽 개구부를 통해 전자부품을 삽입하고, 관통구멍의 다른 방향의 개구부를 통해서 PCB측 단자를 삽입하면 전자부품이 접속단자를 통해 플렉시블 PCB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관통구멍에 접속단자를 배치하여 관통구멍의 한 끝단측에서 전자부품을 삽입하고, 다른 끝단측에서 PCB측 단자를 삽입하는 것으로, 접속단자를 통해 전자부품을 플렉시블 PCB와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접속단자에 PCB측 단자를 삽입 장착하고, 플렉시블 PCB를 자유로이 절곡하므로서 기기 내에서 자유도가 높은 배선이 가능하게 되어 기기의 경박화를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속유지장치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실시예의 형태는 메모리 카드를 자유로이 삽발하면서 유지하고, 플렉시블 PCB를 접속 가능하게 한 접속유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유지부재(1)는 내부에 사각단면형상의 관통구멍(3)을 가진 접속유지본체(5)와, 상기 접속유지본체(5)로 자유롭게 삽발되면서 유지되는 판상의 메모리 카드(7)와, 상기 접속유지본체(5)에 자유롭게 착탈되면서 유지되는 플렉시블 PCB(9)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플렉시블 PCB(9)는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소성 재료로 제조된 기판(11)에 도체(13)를 인쇄하고 그 위에 절연물(15)을 적층시킨 것이며, 상기 플렉시블 PCB(9)의 선단부에는 기판(11)의 하부에 쉽게 변형되지 않는 변형 방지부재(17)가 설치되어 있다. 또, 도 2a에 나타낸 것처럼 플렉시블 PCB(9)의 선단에 인쇄된 도체(13)의 상부에는 절연물(15)이 적층되어 있지 않아 도체(13)가 상방향으로 노출되어 있다.
메모리 카드(7)는 그림 3a에 나타난 것처럼, 그 선단부의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메모리측 제1 단자(19)를 가지고 있다. 또, 메모리 카드(7)의 측면부에는 선단이 원호 형상인 결합용의 오목한 요입부(21)가 만들어져 있다.
한편, 전술한 접속유지본체(5)는 도 4b에 도시한 것처럼 관통구멍(3)의 선단부에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접속단자(23)가 조립되어 있다. 이 접속단자(23)는 도 5a에 나타난 것처럼, 금속 재질로 수직상 방향으로 늘린 중앙판(23a)과 상기 중앙판(23a)의 아래에서 접속유지본체(5)의 선단측으로 늘어나 상방향으로 굴곡되어 접속유지본체(5)의 후단측으로 연장된 PCB측 제2 단자(23b)와, 상기 중앙판(23a)의 위에서 접속유지본체(5)의 후단측으로 연장되어 아래쪽으로 늘어져 나온 후에 상방향으로 연장된 메모리측 제2 단자(23c)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PCB측 제2 단자(23b)는 PCB측 제2 단자(23b)의 아래부분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이고, 메모리측 제2 단자(23b)는중앙판(23a)의 윗부분을 지지점으로 해서 상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이게 되어 있다. 더욱이 접속단자(23)는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대칭의 구조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접속단자(23)는 중앙판(23a)의 하부에서 접속유지본체(5)의 선단측으로 연장되어 우상측으로 굴곡된 후에 우하측으로 연장된 PCB측 제2 단자(23b)와 중앙판(23a)의 상부에서 접촉유지본체(5)의 후단부측으로 연장되고 좌하측으로 연장되어 나온 후에 좌상측으로 연장된 메모리측 제2 단자(23c)를 구비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도 5b에 도시한 접속단자(23)와 상하 대칭의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전술한 접속유지본체(5)의 관통구멍(3) 내의 앞쪽에는 도 3a에 나타낸 것처럼, 슬라이드(25)가 접속유지본체(5)의 전후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설치되어져 있다. 상기 슬라이드(25)는 직육면체 형상이고 그 내부에는 접속유지본체(5)의 전후 및 폭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이는 요동부재(27)가 설치되어져 있다. 상기 요동부재(27)의 선단부에는 접속유지본체(5)의 밑판측으로 돌출한 캠(CAM)-돌출부(31)가 설치되어져 있으며, 슬라이드(25)의 선단부에는 압축스프링(33)의 한쪽 끝단이 접속하고 있다. 접속유지본체(5)의 관통구멍(3)의 밑면에는 CAM-홈(3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캠홈(35)은 도 4에 나타낸 것처럼 역 'Y'자 형태이고, 도 3b에 도시한 캠-돌출부(31)의 선단이 캠-홈(35)을 따라서 움직이면 결합용 돌출부(29)가 메모리 카드(7) 측으로 접근하거나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접속유지부재(1)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면에서는 표시되지 않은 작업자가 도 2b에서 나타낸 플렉시블 PCB(9)의 선단부에 만들어둔 도체(13)를 아래로 향한 상태로 잡고, 이 상태에서 플렉시블 PCB(9)의 선단부를 도 5a에 나타낸 접속유지본체(5)의 선단측으로 향해서 관통구멍(3) 안으로 삽입한다. 상기 관통구멍(3) 안에 플렉시블 PCB(9)의 선단부가 삽입되면 도 2a에 나타낸 도체(13)가 PCB측 제2 단자(23b)에 접촉해서 탄성 변형하는 PCB측 제2 단자(23b)의 반발력을 이겨내며 PCB측 제2 단자(23b)를 아래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플렉시블 PCB(9)의 선단부가 접속유지본체(5)의 후단측으로 이동하여 소정의 위치에서 정지한다. 그 결과 PCB측 제2 단자(23b)와 관통구멍(3) 사이에 플렉시블 PCB(9)의 선단부가 끼워진 채로 잡혀있어 플렉시블 PCB(9)가 PCB측 제2 단자(23b)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유지본체(5)에 장착된 플렉시블 PCB(9)을 접고 구부려서 기기(37) 내의 좁은 공간 안에 플렉시블 PCB(9)을 배치하여 기기(37)내의 다른 전자부품(도면에 도시하지 않음)과 전기적으로 용이하게 접속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플렉시블 PCB(9)가 접속된 접속유지본체(5)에 메모리 카드(7)를 장착할 때는 도 3a에 표시한 것처럼 메모리측 제1 단자(19)를 접속유지본체(5)의 후단측으로 향하도록 하여 관통구멍(3) 안으로 메모리 카드(7)를 삽입한다. 메모리 카드(7)가 관통구멍(3) 안으로 삽입되면 메모리 카드(7)의 측면벽이 슬라이드(25)의 측면벽에 미끌리면서 접촉하고 메모리 카드(7)의 이동과 함께 슬라이드(25)가 접속유지본체(5)의 선단측으로 이용하여 메모리측 제1 단자(19)가 메모리측 제2 단자(23c)와 접촉한다. 또, 이것과 동시에 도 3b에 나타낸 슬라이드(25)의 캠-돌출부(31)가 캠-홈(35)을 따라 이동하여 소정의 위치에서 지지된다. 이에 따라 메모리 카드(7)는 메모리측 제1 단자(19)와 메모리측 제2 단자(23c)가 접촉한 상태에서 접속유지본체(5)의 소정의 위치에서 유지되어, 접속단자(23)를 통해 플렉시블 PCB(7)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더욱이,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도 5a에 나타낸 접속단자(23)를 사용한 경우의 예를 나타낸 것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 5b에 나타낸 접속단자(23)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접속단자(23)는 좌우 대칭인 형상이기 때문에 접속유지본체(5)에 접속단자(23)를 삽입 장착하는 조립작업에 있어서, 그 방향을 고려하지 않고 조립 작업을 행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자부품을 접속유지본체에 삽입 장착 유지시키고 또한 플렉시블 PCB를 접속유지본체로 장착시킨 상태에서 일측 끝단에서 전자 부품측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다른 끝단측에서 상기의 PCB측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단자를 가지게 함으로써, Hard 기판에 접속단자의 일단을 납땜하고 있던 종래 기술과 비교하면, 플렉시블 PCB를 전자부품에 접속시킴으로써 납땜 불량에 의한 불량을 없앨 수 있고, 또 플렉시블 PCB를 접고 구부림으로 기기내의 배선의 자유도가 증가하여 기기의 경박화를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관통구멍에 접속단자를 배치하여 관통구멍의 일단측에 전자부품을 삽입하고 다른 끝단측에 PCB 단자를 삽입하는 경우에는 접속단자를 통해서 전자부품을 플렉시블 PCB와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접속단자에 PCB측 단자를 접속시키므로서 플렉시블 PCB를 자유롭게 접고 구부려서 기기 내에서 자유도가 있는 배선이 가능해져 기기의 경박화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상승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끝단부에 전자 부품측 단자가 있는 전자 부품과, 상기 전자 부품이 자유롭게 삽발되고 유지 가능하게 하는 접속유지본체와, 상기 접속유지본체에 자유롭게 착탈되고 장착이 가능하면서 끝단부에 PCB측의 단자가 있는 플렉시블 PCB가 있으며;
    상기 접속유지본체는 상기 전자 부품을 접속유지본체로 삽입 장착 유지시키며, 상기 플렉시블 PCB를 접속유지본체로 장착시킨 상태에서 일측 끝단에서 상기 전자 부품측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다른 끝단측에서 상기 PCB측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유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유지본체는 관통구멍을 가지고 있고, 상기 관통구멍의 한 방향에 있는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전자 부품이 삽입되고, 상기 삽입된 전자 부품의 선단측의 관통구멍에 접속단자를 배치하며, 상기 관통구멍의 다른 방향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PCB측 단자가 삽입되어 전자 부품이 접속 단자를 통해 상기 플렉시블 PCB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유지장치.
KR2020010031153U 2001-10-12 2001-10-12 접속유지장치 KR2002597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153U KR200259751Y1 (ko) 2001-10-12 2001-10-12 접속유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153U KR200259751Y1 (ko) 2001-10-12 2001-10-12 접속유지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2834A Division KR20030030615A (ko) 2001-10-12 2001-10-12 접속유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9751Y1 true KR200259751Y1 (ko) 2002-01-05

Family

ID=73082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1153U KR200259751Y1 (ko) 2001-10-12 2001-10-12 접속유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975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9909B1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 structure
KR20020028786A (ko) 카드커넥터
JP4794905B2 (ja) Icカードコネクタの端子取付方法
JPH0631088U (ja) エッジコネクタ及びそれに使用する接触子
JP4121465B2 (ja)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および回路基板とフレキシブル基板との接続構造
KR100581033B1 (ko) 전자부품부착용 소켓
JP3845244B2 (ja) 接続保持手段
US7153144B2 (en) Module connector
KR200259751Y1 (ko) 접속유지장치
JPH11250194A (ja) Icカードリーダ
JP2002117945A (ja) コネクタ
US20220140510A1 (en) Card retaining member and card connector set
KR20030030615A (ko) 접속유지장치
US7153166B2 (en) Small-size connector enabling selective use of different types of connection objects
JP2004303693A (ja) プリント配線基板用コネクタ
US7866994B1 (en) Card connector
JP4509857B2 (ja) カードコネクタ用上下共用のコンタクト
JP2619334B2 (ja) プリント基板用コネクタ
JP2005032446A (ja) スモールカードコネクタ
JP2005005176A (ja) カードコネクタ
JP2564711Y2 (ja) 付属回路基板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JP2002117924A (ja) コネクタ
JP2003059557A (ja) 小型カード用コネクタ
JP5144036B2 (ja) ピン挿入治具
JP4036795B2 (ja) カード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