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7768Y1 - 다중구조 용기 - Google Patents

다중구조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7768Y1
KR200257768Y1 KR2020010029567U KR20010029567U KR200257768Y1 KR 200257768 Y1 KR200257768 Y1 KR 200257768Y1 KR 2020010029567 U KR2020010029567 U KR 2020010029567U KR 20010029567 U KR20010029567 U KR 20010029567U KR 200257768 Y1 KR200257768 Y1 KR 2002577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space
container
far
spac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95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희
Original Assignee
김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희 filed Critical 김진희
Priority to KR20200100295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77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77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7768Y1/ko

Links

Landscapes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열을 가하여 음식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 내부공간을 둘러싸는 내판, 내판 바깥쪽으로 결합되어 내판 측면과의 사이에 밀폐된 측면공간을 형성하는 외판 및 밀폐된 측면공간에 채워진 원적외선방사체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고, 바닥에서 측면공간으로 연장되고 측면공간에서는 외판 및 내판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측면공간 내부의 공기와 원적외선방사체를 가열하는 측면공간가열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측면공간 내부의 공기 대류 및 원적외선방사체의 원적외선방사를 촉진하여 용기 내부의 음식물이 용기의 측면을 통해서도 골고루 가열되고 원적외선에도 쬐여질 수 있도록 하여 바닥부근의 음식물이 타는 것을 감소시켜주면서 음식의 맛을 좋게 하여 준다는 탁월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중구조 용기{receptacle having multiple structure}
본 고안은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열을 가하여 음식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냄비 등의 용기에 담아 열을 가하여 요리를 할 때에 용기의 바닥에 집중적으로 열이 가해지기 때문에 바닥 부근에 있는 음식물은 타는데도 불구하고, 상부쪽의 음식물을 아직 익지도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이는 용기의 바닥을 통해 가해지는 열이 용기 내부의 상부쪽으로 골고루 전달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특허공개번호 2000-52319호(2000. 08. 16일자 공개)로 공개된 “이중구조의 냄비”가 있다. 이는 단순히 냄비 외피와 내피 사이에 단순히 에어포켓을 형성한 것으로, 외피로 전달된 열이 냄비 내피에 직접 전달되지 못하고, 공기를 통하여 일부 전달되므로 열분포를 고르게 한다는 단순한 효과밖에 얻을 수 없으며, 외피를 통한 열손실이 너무 크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 이와 유사한 것으로, 특허공개번호 2001-28517호(2001. 04. 06일자 공개)로 공개된 “이중구조의 냄비 및 그 제조방법”에 게재된 것이 있다. 이는 외피와 내피 사이의 공간에 실리콘오일 등의 열전달매체를 채워 넣은 것으로, 그 제조과정이 복잡하고, 장기간 사용시 실리콘 오일 등이 누출될 우려도 있다.
그 외에 내솥과 외솥 사이, 바닥부근 및 뚜껑에 공간을 형성하고, 바닥부근과 뚜껑의 내부에 세라믹볼이나 맥반석 등을 채운 것으로 실용신안공개번호 1999-36888호(1999. 09. 27일자 공개)로 공개된 “수증기 배출공이 저면에 구성된 2중 솥”이 있으나, 이는 외솥과 내솥 사이의 공간이 외부와 개방되어 있어 열손실이 크고, 특히 바닥부근의 공간에 있는 충전물에 직접 불꽃에 닿기 때문에 내부 충전물에 그을음이 생기거나 서로의 마찰에 의한 작은 부스러기들이 생길 수 있으며, 또한 세척하여 말리기에도 곤란하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뿐만 아니라 그 구조가 복잡하여 만들기도 어렵다.
본 고안의 목적은 열손실이 적으면서도 종래의 것에 비해 열분포가 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만들기 쉽고 세척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 실리콘 오일 등의 이물질이 유출되지 않는 다중구조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중구조용기의 단면도,
도 2는 도 1 다중구조용기의 변형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 용기의 부분절개사시도,
도 4는 도 2의 변형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변형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중구조용기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도 6의 변형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100a∼100e : 다중구조용기 102 : 바닥
104 : 접합부 106 : 평판
108 : 홈 110 : 내판
120 : 외판 130 : 측면공간
140 : 원적외선방사체 150 : 뚜껑
160, 160a : 측면공간가열체 162 : 통공
본 고안의 목적은 용기에 있어서, 내부공간을 둘러싸는 내판, 내판 바깥쪽으로 결합되어 내판 측면과의 사이에 밀폐된 측면공간을 형성하는 외판 및 밀폐된 측면공간에 채워진 원적외선방사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구조용기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위 용기의 바닥에서 측면공간으로 연장되고, 측면공간에서는 외판 및 내판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측면공간 내부의 공기와 상기 원적외선방사체를 가열하는 측면공간가열체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좋다.
위 원적외선방사체는 직경이 1∼15㎜의 볼형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 위 원적외선방사체는 분체로된 것을 사용하여도 된다.
원적외선방사체로는 세라믹볼, 옥, 맥반석, 게르마늄 등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다중구조 용기에 있어서, 내부공간을 둘러싸는 내판, 내판 바깥쪽으로 결합되어 내판 측면과의 사이에 밀폐된 측면공간을 형성하는 외판 및 용기의 바닥에서 측면공간으로 연장되고, 측면공간에서는 내판과 외판과는 각각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측면공간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는 측면공간가열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구조용기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위 측면공간가열체는 판모양으로 되고 다수의 통공을 갖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 측면공간가열체는 다수의 봉이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연장된 높이가 서로 다른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중구조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중구조용기(100)는 내판(110)을 구비하고 있다. 이 내판(110)은 용기 형상을 하고 있다. 이 내판(110) 바깥쪽으로 내판(110)을 둘러싸는 외판(120)이 결합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외판(120)과 내판(110)은 바닥(102) 및 그 상단 가장자리가 함께 말려 들어가 접합된 접합부(104)를 통해 서로 결합되어 있다. 용기(100)의 바닥(102) 부근 외판(120)과 내판(110)의 사이에 개재된 평판(106)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외판(120)과 내판(110)을 직접 부착하여도 된다. 여기서 평판(106)은 열전도율이뛰어난 금속판으로 만드는 것이 좋으며, 내판(110)과 외판(120)으로는 스테인레스스틸이나 알루미늄이 적당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외판(120)과 내판(110)은 그 측면부에서 서로 이격하게 배치되어 측면공간(130)을 형성한다. 이 측면공간(130)에는 원적외선방사체(140)가 채워져 있다. 원적외선방사체(140)로는 세라믹볼, 맥반석, 옥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원적외선의 성질은 유기 고분자 화합물로 이루어진 생물에의 흡수도가 높으므로 생체내의 분자를 자극하여 활성화시킴으로써, 생체를 보온하고 식품의 경우 신선도를 유지하며 살균, 탈취뿐만 아니라 물이나 술 등을 숙성화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원적외선이 생체 내에 흡수되면 생체를 구성하는 유기 고분자 화합물이 자연스럽게 공진, 공명 운동을 하게 되어 식물에는 육성효과가, 발효술이나 증류술에는 숙성의 효과가, 인간이나 동물에는 혈행과 대사활동의 촉진으로 발한효과 및 진통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원적외선방사체(140)는 직경 1∼15㎜ 정도의 볼모양으로 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즉, 용기(100)의 바닥으로 열을 가하면 측면공간(130)의 공기가 가열되어 상하로 대류를 일으켜 순환함과 동시에 원적외선방사체(140)에서는 원적외선이 더욱 활발하게 방사된다. 이에 따라 측면공간(130)의 공기가 순환하면서 열분포를 고르게 하여 용기 내부의 음식을 위에서부터 아래까지 고르게 데워주어 음식을 골고루 익혀 맛을 좋게함과 동시에 원적외선방사체(140)에서 방사되어 외판(120)으로 투과되는 원적외선에 의해서는 조리하는 사람의 인체에 조사되어 신진대사를 촉진하며, 또 한편으로 내판(110)으로 투과되는 원적외선에 의해서는 내부 음식물에 조사되어 음식물의 맛이 더욱 좋아지게 된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원적외선방사체(140)로 가루형태의 것을 사용하여도 된다. 이 경우, 측면공간(130) 내부의 공기대류에 의한 효과는 기대하기 어려우며, 원적외선방사에 의한 효과만을 기대할 수 있다. 미설명부호 150은 뚜껑이다.
도 2는 도 1 다중구조용기의 변형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 용기의 부분절개사시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우에 따라서는 내판(110)과 외판(120) 사이에 측면공간가열체(160)를 설치하여 본 고안에 따른 다중구조용기(100a)를 구성하여도 된다. 즉, 용기(100a)의 바닥부근에서는 내판(110), 외판(120) 및 그 사이의 측면공간가열체(160)를 서로 밀착시킨 상태로 하고, 측면공간가열체(160)를 측면공간(130)으로 연장하여 측면공간(130)의 내부 공기와 측면공간(130)에 채워져 있는 원적외선방사체(140)를 가열하도록 하면 열을 측면공간으로 골고루 분산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외부로 발산되는 열을 줄일 수 있다. 이 측면공간가열체(160)는 내판(110)을 둘러싸는 용기형상을 하고 있다. 이 측면공간가열체(160)에는 다수의 통공(162)을 형성하여두는 것이 좋다. 그래야만 공기유동이 쉽게 일어난다.
즉, 용기(100a)의 바닥을 통해 열을 가하면 이 열 중 일부는 외판(120)을 통해 대기중 및 측면공간(130)으로 전달되고, 또 일부는 측면공간가열체(160)를 통해 측면공간(130)으로 발산되고, 나머지 일부는 내판(110)을 통해 그 내부공간의 음식물과 측면공간(130)으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용기(100a)의 측면공간(130)의 온도는 앞에서 설명한 경우보다 빨리 올라가고 그 내부의 공기대류도 더욱 활발해진다. 이에 따라 도 2 용기(100a)는 음식물 조리시 열분포를 더욱 고르게 하여 용기 내부의 음식을 위에서부터 아래까지 고르게 데워주어 음식을 골고루 익혀 맛을 더욱 좋게함과 아울러 앞에서 언급한 것보다 더 향상된 원적외선에 의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4는 도 2의 변형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다중구조용기(100b)는 외판(120)의 바닥부분을 절개하여 홈(108)을 형성한 것으로, 불꽃이 측면공간가열체(160)에 직접 닿도록 하여 외판(120)을 통해 외부로 대기중으로 발산되는 열량을 줄임과 동시에 측면공간가열체(160)가 빠르게 가열되도록 한 것이다. 나머지는 도 2와 도 3을 통해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도 5는 도 4의 변형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우에 따라서는 측면공간(130)에 볼형태의 원적외선방사체 대신에 가루로 된 원적외선방사체(140)를 충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다중구조용기(100c)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측면공간(130) 내부의 공기대류로 인한 효과는 기대할 수는 없다. 나머지는 도 4에서와 동일하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중구조용기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우에 따라서는 측면공간(130)에 앞에서 설명한 원적외선방사체(140)를 채우지 않고, 측면공간가열체(160)만을 연장시켜 본 고안에 따른 다중구조용기(100d)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측면공간가열체(160)가 측면공간(130)의 공기를 급속히 가열하여 그 내부공기의 대류를 활성화시킴으로써, 바닥을 통해 가해지는 열을 용기 전체로 활발하게 분산시켜 내판(110)을 종래의 것에 비해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변형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우에 따라서는 측면공간가열체(160a)를 봉형태의 것을 소정 각도 간격으로 배치하되 그 높이를 서로 다르게 하여 측면공간(130) 내부에서 상하뿐만 아니라 좌우로도 원활하게 대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나머지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중구조용기는 측면공간 내부의 공기 대류 및 원적외선방사체의 원적외선방사를 촉진하여 용기 내부의 음식물이 용기의 측면을 통해서도 골고루 가열되고 원적외선에도 쬐여질 수 있도록 하여 바닥부근의 음식물이 타는 것을 감소시켜주면서 음식의 맛을 좋게 하여 준다는 탁월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다중구조용기는 측면공간으로 연장된 측면공간가열체를 직접 가열함에 따라 외판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열손실을 줄일 수 있어 열효율이 매우 뛰어나다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에 따른 다중구조용기는 구조가 복잡하지 않아 만들기 쉬우며, 세척하기도 쉽다.

Claims (7)

  1. 용기에 있어서,
    내부공간을 둘러싸는 내판;
    상기 내판 바깥쪽으로 결합되어 상기 내판 측면과의 사이에 밀폐된 측면공간을 형성하는 외판; 및
    상기 밀폐된 측면공간에 채워진 원적외선방사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구조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바닥에서 상기 측면공간으로 연장되고, 상기 측면공간에서는 상기 외판 및 내판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측면공간 내부의 공기와 상기 원적외선방사체를 가열하는 측면공간가열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구조용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방사체는 직경이 1∼15㎜의 볼형태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구조용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방사체는 분체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구조용기.
  5. 다중구조 용기에 있어서,
    내부공간을 둘러싸는 내판;
    상기 내판 바깥쪽으로 결합되어 상기 내판 측면과의 사이에 밀폐된 측면공간을 형성하는 외판; 및
    상기 용기의 바닥에서 상기 측면공간으로 연장되고, 상기 측면공간에서는 상 내판과 외판과는 각각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측면공간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는 측면공간가열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구조용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공간가열체는 판모양으로 되고 다수의 통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구조용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공간가열체는 다수의 봉이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연장된 높이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구조용기.
KR2020010029567U 2001-09-25 2001-09-25 다중구조 용기 KR2002577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567U KR200257768Y1 (ko) 2001-09-25 2001-09-25 다중구조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567U KR200257768Y1 (ko) 2001-09-25 2001-09-25 다중구조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7768Y1 true KR200257768Y1 (ko) 2001-12-29

Family

ID=73109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9567U KR200257768Y1 (ko) 2001-09-25 2001-09-25 다중구조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776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13367A1 (en) * 2006-07-25 2008-01-31 Aic Co. A manufacturing method of cookpo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13367A1 (en) * 2006-07-25 2008-01-31 Aic Co. A manufacturing method of cookpot
KR100834413B1 (ko) 2006-07-25 2008-06-09 청수정밀(주)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33322B2 (en) Portable, smokeless, indoor/outdoor grill
KR200257768Y1 (ko) 다중구조 용기
KR101152903B1 (ko) 만두 찜용 항아리
KR200371963Y1 (ko) 조리기구판
KR200384352Y1 (ko) 숯불 구이기
KR20080006689U (ko) 할로겐세라믹 히터가 구비된 바베큐 구이기
KR100934715B1 (ko) 황토침대
KR200374650Y1 (ko) 원적외선 그릴장치
KR100690401B1 (ko) 냄새제거기를 갖춘 조리장치
WO2009005482A2 (en) Healthy and cost-effective infrared radiant radiation generator
KR200162744Y1 (ko) 다공성 세라믹이 내장된 대류전열식 남비
KR200302084Y1 (ko) 육류의 저온 조리장치
JP3053379U (ja) セラミック製小型燻製器
KR200214909Y1 (ko) 열차단소재가 충진되는 중공형상의 파이프가케이지상으로 배열배치되어서 된 구이판
KR200206888Y1 (ko) 황토 숯불 구이기
JP3837668B2 (ja) 遠赤外線調理器
CN214414651U (zh) 一种节能蒸烤箱
KR20070078758A (ko) 마스크 찜질팩 원적외선 온열기
KR200266919Y1 (ko) 탄소성형체가 부착된 온열기
KR200347908Y1 (ko) 고기구이기
KR200178542Y1 (ko) 원적외선을 이용한 보온의자
KR200332204Y1 (ko) 황토 구이판
KR200185546Y1 (ko) 고기구이판
KR200359511Y1 (ko) 수증기가 자동으로 배출 및 차단되는 바이오 냄비 뚜껑의구조
KR20040037530A (ko) 육류의 저온 조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