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7358Y1 - 냉각수용서지탱크 - Google Patents

냉각수용서지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7358Y1
KR200257358Y1 KR2019970043667U KR19970043667U KR200257358Y1 KR 200257358 Y1 KR200257358 Y1 KR 200257358Y1 KR 2019970043667 U KR2019970043667 U KR 2019970043667U KR 19970043667 U KR19970043667 U KR 19970043667U KR 200257358 Y1 KR200257358 Y1 KR 2002573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ater
surge tank
cap
coolant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36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0969U (ko
Inventor
최지우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20199700436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7358Y1/ko
Publication of KR199900309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09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73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73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02Liquid-coolant filling, overflow, venting, or draining devices
    • F01P11/0204Filling
    • F01P11/0209Closure c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각수의 비등에 의한 팽창으로 냉각수가 서지 탱크의 외부로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한 냉각수용 서지 탱크에 관한 것으로서, 상면에 냉각수 보충 주입을 위한 제 1 캡(3)을 가지며 하부에 냉각 유로와 연결되는 통로(4)를 갖는 하부 영역과 상면에 냉각수 보충 주입을 위한 제 2 캡(5)을 갖는 상부 영역으로 격판(2)에 의해 분리된 서지 탱크(1)와, 격판(2)의 소정 위치에 형성되며 하부 영역의 압력 상태에 따라 개폐되는 고압 밸브(6)와 저압 밸브(7)의 개폐 여부에 따라 오버 플로우 파이프(8)를 통하여 하부 영역과 상부 영역의 냉각수가 상호 이동되는 여압식 캡(9)을 포함하여, 냉각수용 서지 탱크를 이중으로 분리하여 냉각수 비등 시점에 냉각수의 외부 손실을 방지하여, 냉각수의 보충 회수를 줄일 수 있는 편리성을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냉각수용 서지 탱크{SURGE TANK FOR COOLING WATER}
본 고안은 냉각수용 서지 탱크에 관한 것으로서, 냉각수의 비등에 의한 팽창으로 냉각수가 서지 탱크의 외부로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냉각수용 서지 탱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냉각 장치는 엔진의 과열을 방지 및 적온 유지를 위한장치로서, 외기를 이용하여 엔진의 외부를 직접 냉각하는 공랭식과 냉각수를 엔진 내부로 순환시켜 냉각하는 수냉식이 있다.
한편, 수냉식은 엔진을 작동 온도 범위로 유지하면서 운전하기 위하여 물을 사용하는 방식이며, 폭발 핸정에서 혼합 가스가 발생하는 열에너지의 일부분은 운동 에너지로 변환되어 엔진 내에 남고, 이를 방치하게 되면 축적된 열에 의하여 엔진의 운동이 방해된다. 따라서 실린더 주위에 워터 재킷을 설치하여 냉각수를 순환시켜 냉각하고 이 냉각수를 라디에이터로 끌어들여 방열하며 데워진 물은 다시 워터 펌프를 이용해 순환시키켜, 워터 펌프에는 팬이 설치되어 있어서 강제적으로 라디에이터로 보내 외기를 접촉시켜서 방열 효과를 극대화시킨다.
한편, 이러한 냉각수를 저장하는 냉각수용 서지 탱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냉각수용 서지 탱크(1)는 냉각수의 비등으로 내부 압력이 급 상승하여 서지 탱크(1)의 내부 압력이 0.5bar 이상이 되면 압력 캡(2)이 열려서 토출관(3)을 통해서 비등에 의한 팽창량이 외부로 유실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비등에 의한 냉각수 손실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냉각수의 비등으로 손실되는 냉각수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냉각 장치에서 사용하는 냉각수용 서지 탱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냉각수용 서지 탱크는, 냉각수를 저장하는 서지 탱크로서,상면에 냉각수 보충 주입을 위한 제 1 캡을 가지며 하부에 냉각 유로와 연결되는 통로를 갖는 하부 영역과 상면에 냉각수 보충 주입을 위한 제 2 캡을 갖는 상부 영역으로 격판에 의해 분리된 서지 탱크와, 격판의 소정 위치에 형성되며 하부 영역의 압력 상태에 따라 개폐되는 고압 밸브와 저압 밸브의 개폐 여부에 따라 오버 플로우 파이프를 통하여 하부 영역과 상부 영역의 냉각수가 상호 이동되는 여압식 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냉각수용 서지 탱크에 대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냉각수용 서지 탱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2의 A를 확대하여 정압시 여압식 캡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2의 A를 확대하여 부압시 여압식 캡을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서지 탱크 2 : 격판
3,5 : 제 1, 2 캡 4 : 통로
6 : 고압 밸브 7 : 저압 밸브
8 : 오버플로우 파이프 9 : 여압식 캡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되는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냉각수용 서지 탱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4는 도2의 A를 도시한 도면이다.
서지 탱크(1)를 하부 영역(B)과 상부 영역(0)으로 분리하는 격판(2)과, 하부 영역(B)으로 냉각수를 보충하기 위한 제 1 캡(3)과, 냉각 유로와의 냉각수 통로로 하부 영역에 마련된 통로(4)와, 상부 영역(0)으로 냉각수를 보출하기 위한 제 2 캡(5)과, 격판(2)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며 하부 영역(B)의 압력에 의거하여 고압 밸브(6)와 저압 밸브(7)가 선택적으로 개폐되어 오버플로우 파이프(8)를 통하여 하부 영역(B)의 냉각수와 하부 영역(B)의 냉각수를 상호 이동시키 여압식 캡(9)을 포함한다.
다음에,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냉각수용 서지 탱크의 냉각수 이동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냉각수용 서지 탱크내의 정압시 여압식 캡(9)의 동작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서지 탱크(1)의 상부 영역(0)은 통상적으로 대기압 수준을 유지하게 된다.
한편, 냉각 유로의 냉각수가 비등 시점에 이르면 냉각수의 팽창으로 인하여 서지 탱크(1)의 하부 영역(B)의 압력이 상승하게 된다.
이때, 하부 영역(B)이 대기압보다 소정 압력, 예를 들면 0.5bar 정도 더 높아지면 여압식 캡(9)의 고압 밸브(6)가 열려서 하부 영역(B)의 냉각수가 오버플로우 파이프(8)를 통하여 상부 영역(0)으로 유출된다.
따라서, 종래에 외부로 손실되었던 냉각수가 서지 탱크(1)의 상부 영역에 보관되고, 아울러 냉각 유로의 내부 압력이 감소되고 대기압보다 0.5bar 이하로 떨어지면 고압 밸브(6)가 닫히게 된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냉각수용 서지 탱크내의 부압시 여압식 캡(9)의 동작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자동차의 시동이 꺼지고 냉각 장치가 냉각되기 시작하면 냉각 유로내에 존재하는 수증기는 응축되고, 따라서 내부 압력은 대기압보다 낮아지게 된다.
그러므로, 서지 탱크(1)의 하부 영역(B)도 부압 상태로 전환되고 예를 들어, 대기압보다 0.04bar 정도가 낮아지게 되면, 여압식 캡(9)의 저압 밸브(7)가 열리게된다.
그러면, 서지 탱크(1)의 상부 영역(0)에 저장된 냉각수가 화살표(G)를 따라오버플로우 파이프(8)를 통하여 저압 밸브(7)를 거쳐서 하부 영역으로 리턴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실시가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냉각수용 서지 탱크를 이중으로 분리하여 냉각수 비등 시점에 냉각수의 외부 손실을 방지하여, 냉각수의 보충 회수를 줄일 수 있는 편리성을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

  1. 냉각수를 저장하는 서지 탱크로서,
    상면에 냉각수 보충 주입을 위한 제 1 캡(3)을 가지며 하부에 냉각 유로와 연결되는 통로(4)를 갖는 하부 영역과 상면에 냉각수 보충 주입을 위한 제 2 캡(5)을 갖는 상부 영역으로 격판(2)에 의해 분리된 서지 탱크(1)와;
    상기 격판(2)의 소정 위치에 형성되며 하부 영역의 압력 상태에 따라 개폐되는 고압 밸브(6)와 저압 밸브(7)의 개폐 여부에 따라 오버 플로우 파이프(8)를 통하여 하부 영역(B)과 상부 영역(0)의 냉각수가 상호 이동되는 여압식 캡(9)을 포함하는 냉각수용 서지 탱크.
KR2019970043667U 1997-12-30 1997-12-30 냉각수용서지탱크 KR2002573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3667U KR200257358Y1 (ko) 1997-12-30 1997-12-30 냉각수용서지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3667U KR200257358Y1 (ko) 1997-12-30 1997-12-30 냉각수용서지탱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969U KR19990030969U (ko) 1999-07-26
KR200257358Y1 true KR200257358Y1 (ko) 2002-04-22

Family

ID=53897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3667U KR200257358Y1 (ko) 1997-12-30 1997-12-30 냉각수용서지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735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969U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50008381A (ko) 내연기관 냉각방법 및 장치
US2844129A (en) Temperature contro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0257358Y1 (ko) 냉각수용서지탱크
KR100246579B1 (ko) 냉각장치
KR970000369Y1 (ko) 자동차의 밀폐식 냉각 시스템
KR100218644B1 (ko) 차량의 라디에이터 캡 로킹 장치
KR100203112B1 (ko) 라디에이터 캡 구조
KR200156703Y1 (ko) 차량용 엔진 냉각 장치
KR200163178Y1 (ko) 냉각수 보충이 필요없는 엔진 냉각장치
KR20090013229U (ko) 리저버탱크 일체형 라디에이터탱크
KR100259637B1 (ko) 엔진의 증기 분리형 수냉식 냉각 장치
KR19990017596A (ko) 자동차용 냉각장치
JPH11141411A (ja) Egrバルブ冷却装置
KR0139720Y1 (ko) 내연기관의 냉각장치
JP2626313B2 (ja) 内燃機関の沸騰冷却装置
KR200175769Y1 (ko) 수냉엔진의 냉각장치
KR19980044318U (ko) 라디에이터의 냉각수 보충장치
KR19980060487A (ko) 라디에이터 구조
JPS58190514A (ja) 水冷エンジンの冷却装置
KR0177615B1 (ko) 서모스탯
KR19980048915U (ko) 자동차의 라디에이터
KR19980052495U (ko) 라디에이터 캡
KR19990018328U (ko) 서모스탯
KR20000009898U (ko) 라디에이터 캡 개방 주의 장치
JPH02188620A (ja) 水冷式内燃機関の冷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