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7293Y1 - 건축용 안전망 설치장치 - Google Patents

건축용 안전망 설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7293Y1
KR200257293Y1 KR2020010030018U KR20010030018U KR200257293Y1 KR 200257293 Y1 KR200257293 Y1 KR 200257293Y1 KR 2020010030018 U KR2020010030018 U KR 2020010030018U KR 20010030018 U KR20010030018 U KR 20010030018U KR 200257293 Y1 KR200257293 Y1 KR 2002572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net
bracket
fixing
support members
contact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00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덕
Original Assignee
(주)유원아이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원아이디 filed Critical (주)유원아이디
Priority to KR20200100300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72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72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7293Y1/ko

Links

Landscapes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용 안전망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타단에는 대향되게 고정핀이 각각 돌설되고, 일단에는 하층 슬라브의 브라켓에 구비된 고정부재에 삽입되는 걸림부를 갖는 걸림고리가 각각 고정된 한쌍의 제 1,2지지부재; 상기 제 1,2지지부재의 고정핀과 상층 슬라브의 브라켓에 구비된 결합부재의 삽입핀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는 제 1,2지지; 및 상기 제 1,2지지부재 사이의 외경에 각각 감겨 고정된 안전망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안전망을 길게 접어 제 1,2,3,4접위부를 직교되게 형성한 다음, 이 제 1,2,3,4접위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신축재질의 제 1,2,3,4밴드를 각각 구비하여 낙하물의 낙하시 접위부 만큼 신축재질의 밴드가 늘어나게 됨으로써 낙하물의 충격을 완충시켜 낙하물이 외부로 튕겨저 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산업재해를 방지하게 되었으며, 또한 안전망을 고정시키는 장치를 간단하게 구성하여 상하층 슬라브 사이에 설치 및 분리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건축용 안전망 설치장치{INSTALL APPARATUS SATETY NET FOR CONSTRUCTION}
본 고안은 건축용 안전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방형 안전망의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제 1,2,3,4접위부를 직교되게 형성한 다음, 이 제 1,2,3,4접위부의 상부에 신축재질의 제 1,2,3,4밴드를 구비하여 낙하물의 낙하시 안전망의 접위부 만큼 밴드가 늘어나게 됨으로써 낙하물의 충격을 완충시켜 낙하물이 외부로 튕겨저 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되었으며, 또한 안전망을 고정시키는 장치를 간단하게 구성하여 상하층 슬라브 사이에 설치 및 분리작업이 용이한 건축용 안전망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안전망은 건축현장 등에서 난간이 설치되지 않은 건축물의 슬라브에 설치되어 작업자의 추락 및 각종 부속품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한 구조물이다.
이러한 안전망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건축용 안전망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건축용 안전망이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안전망을 설치하기 위한 장치는, 비계파이프(200)에 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제 1,2지지부재(300A)(300B)와, 제 1,2지지부재(300A)(300B)의 각 타단이 내측으로 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 1,2보조파이프(400A)(400B)와, 제 1,2지지부재(300A)(300B)가 하방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 1,2파이프 지지대(500A)(500B)와, 제 1,2지지부재(300A)(300B)에 설치되는 망 설치부(6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비계파이프(200)는 건축물 하층의 슬라브(S)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고정브라켓(100)으로써 연결된다.
상기 제 1,2지지부재(300A)(300B)는 일단이 클램프 힌지(320)에 의해 비계파이프(2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각 타단 내측에는 브라켓(310)이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제 1,2보조파이프(400A)(400B)는 제 1,2지지부재(300A)(300B)의 타단이 내측으로 휘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와 동시에 망 설치부(600)의 중량에 의해 내측으로 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제 1,2보조파이프(400A)(400B)는 그 일단이 제 1,2지지부재(300A)(300B)의 브라켓(310)에 축설되고, 타단이 클램프 힌지(320)에 결합되어 비계파이프(200)와 연결된다.
상기 제 1,2파이프 지지대(500A)(500B)는 일단이 제 1,2지지부재(300A)(300B)의 타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상층 슬라브(S)의 고정브라켓(100)에 설치되어 제 1,2지지부재(300A)(300B)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망 설치부(600)는 제 1지지부재(300A)(300B) 일단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고리(610)와, 상기 제 1지지부재(300A)(300B) 타단 상면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제 1,2안내롤러(630)(640)와, 제 2지지부재(300B) 일단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제 3안내롤러(650)와, 일단이 고정고리(610)에 걸려 고정되고, 타단이 제 1,2,3안내롤러(630)(640)(650)에 순차적으로 안내되는 와이어(660)와, 제 1지지부재(300A)의 일단 내측에 고정 설치되어 와이어(660)의 장력을 조절하는 래치기구(670)로 이루어져 안전망(700)을 설치하게 된다.
상기 안전망(700)은 다수의 걸림고리(720)로써 제 1,2,3안내롤러(630)(640)(650)와 래치기구(670)로써 장방형으로 와이어(660) 내측에 설치되어 작업자의 추락 및 각종 부속품이 낙하되는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안전망(700)은 자체가 신축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안전망을 건축물의 슬라브(S)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클램프 힌지(320)로써 하층의 슬라브(S)에 설치된 고정브라켓(100)의 비계파이프(200) 양측에 고정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고정고리(610)와 제 1안내롤러(630) 및 래치기구(670)가 설치된 제 1지지부재(300A)를 수직으로 세운 다음, 일단을 클램프 힌지(320)에 삽입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게 되고, 제 1지지부재(300A) 타단에 제 1파이프 지지대(500A) 일단을 결합하며, 브라켓(310)에 제 1보조파이프(400A) 일단을 결합한 다음, 타단을 클램프 힌지(320)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다른 클램프 힌지로써 비계파이프(2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게 된다.
그 다음으로는 제 2,3안내롤러(640)(650)가 설치된 제 2지지부재(300B)를 수직으로 세운 다음, 일단을 다른 클램프 힌지(320)에 삽입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게 되고, 타단부에 제 2파이프 지지대(500B)의 일단을 결합하며, 제 2보조파이프(400B)의 일단을 브라켓(3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한 후 그 타단은 클램프 힌지(320)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다른 클램프 힌지로써 비계파이프(2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공정으로 비계파이프(200)의 양측에 제 1,2보조파이프(400A)(400B)와 제 1,2파이프 지지대(500A)(500B)가 설치된 제 1,2지지부재(300A)(300B)가 클램프 힌지(320)에 의해 설치되면, 제 1,2파이프 지지대(500A)(500B)의 각 타단을 상층의 슬라브(S)에 설치된 비계파이프(200)에 임시로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 1,2지지부재(300A)(300B)가 하층의 슬라브(S)에 설치된 고정브라켓(100)의 비계파이프(200)에 수직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제 1지지부재(300A)에 설치된 고정고리(610)에 와이어(660) 일단을 걸어 고정시키고, 와이어(660) 타단은 제 1,2,3안내롤러(630)(640)(650)에 순차적으로 걸어 안내되도록 한 다음, 래치기구(670)로써 고정시키게 된다.
그 다음으로는 래치기구(670)를 별도의 공구를 결합시켜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래치기구(670)에 와이어(660)가 감기게 된다. 이에 따라 일단이 고정고리(610)에 고정된 와어어(660)가 제 1,2,3안내롤러(630)(640)(650)에 안내되면서 래치기구(670)에 감기게 된다. 이때, 래치기구(670)의 래치핀이 톱니바퀴에 걸리게 되어 감겨진 와이어(660)가 풀리지 않고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를 유지하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안전망(700)을 펼쳐 그 가장자리가 장방형의 사각형상을 이루는 와이어(660) 사이에 위치되도록 한 다음, 그 가장자리를 다수개의 걸림고리(720)를 이용하여 와이어(660)에 걸어 고정시키기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설치되는 안전망은 그 재질 자체가 다소의 신축성이 구비되고, 와어어에 적정한 장력이 유지되어 고정됨으로써 작업자 및 각종 부속품이 안전망으로 추락 및 낙하할 경우에 그 충격을 자체에서 흡수하지 못하고, 외부로 튕겨져 나가게 되어 안전사고가 발생되었으며, 또한 안전망 자체를 설치하는 장치가 복잡하게 되어 설치 및 분리작업이 용이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안전망의 자체에 신축이 구비된 밴드를 구비하게 됨으로써 낙하물의 낙하시 이 안전망의 접은부위 만큼 밴드가 늘어나 완충시키게 됨으로써 낙하물이 외부로 튕겨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상하층 슬라브에 간단한 구조로써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한 건축용 안전망 설치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건축용 안전망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건축용 안전망이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 건축용 안전망 설치장치에 따른 전체적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확대 단면도.
도 6은 도 4의 B-B선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안전망이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1 : 브라켓 12 : 결합부재
13 : 삽입핀 20a,20b : 제 1,2지지부재
21 : 고정핀 30 : 걸림고리
31 : 걸림부 40 : 보조걸림고리
41 : 장공 42 : 체결볼트
50a,50b : 제 1,2지지대 60 : 안전망
62,63,65,66 : 제 1,2,3,4접위부 70,71,72,73,74 : 제 1,2,3,4밴드
80 : 공간부 90 : 고정부재
91 : 연결바 92 : 고정브라켓
93 : 클램프 S1,S2 : 상하층 슬라브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은, 타단에는 대향되게 고정핀이 각각 돌설되고, 일단에는 하층 슬라브의 브라켓에 구비된 고정부재에 삽입되는 걸림부를 갖는 걸림고리가 각각 고정된 한쌍의 제 1,2지지부재; 상기 제 1,2지지부재의 고정핀과 상층 슬라브의 브라켓에 구비된 결합부재의 삽입핀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는 제 1,2지지; 및 상기 제 1,2지지부재 사이의 외경에 각각 감겨 고정된 안전망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안전망은 양측의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제1,2,3,4접위부를 각각 직교되게 형성하고, 상기 제 1,2,3,4접위부가 직교되는 부위에는 공간부를 각각 형성하며, 상기 공간부를 제외한 제 1,2,3,4접위부 상부에는 신축을 갖는 제 1,2,3,4밴드를 구비함으로써 달성되는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3은 본 고안 건축용 안전망 설치장치에 따른 전체적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선 확대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B-B선 확대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안전망이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안전망 설치장치는 적정 직경과 길이를 유지하여 이루어진 한쌍의 제 1,2지지부재(20a)(20b)와, 제 1,2지지부재(20a)(20b) 사이에 각각 고정되는 안전망(6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2지지부재(20a)(20b)의 타단에는 대응되게 고정핀(21)이 각각 돌설되고, 일단에는 대응되게 걸림고리(30)가 돌출되게 각각 고정된다.
상기 걸림고리(30)는 제 1,2지지부재(20a)(20b)의 일단에 각각 고정되고, 그 일단에는 하층 슬라브(S1)에 설치된 브라켓(10)에 삽입되도록 반원형의 걸림부(31)가 형성된다. 그리고, 걸림고리(30)의 걸림부(31)에는 반원형으로 이루어진 다수의보조걸림고리(40)가 각각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보조걸림고리(40)는 반원형을 유지하여 형성되고, 복수개의 장공(41)이형성되며, 이 장공(41)에는 체결볼트(42)가 이동 가능하게 각각 고정되어 하층 슬라브(S1)의 브라켓(10)에 삽입 안착된다.
이때, 제 1,2지지부재(20a)(20b)의 연결부위에는 고정부재(90)가 구비되어 하층 슬라브(S1)에 설치된 브라켓(10)에 삽입 고정된다.
상기 고정부재(90)는 걸림고리(30)의 걸림부(31)와 보조걸림고리(40)가 외경에 순차적으로 걸리게 되는 연결바(91)가 구비된 'ㄷ'자형의 고정브라켓(92)과, 고정브라켓(92) 하부에 구비되고, 하층의 슬라브(S1)의 브라켓(10)에 고정되는 클램프(93)로 이루어진다.
즉, 하층 슬라브(S1)의 브라켓(10)에 클램프(93)로써 고정된 'ㄷ'자형의 고정브라켓(92)의 연결바(91) 외경에 제 1,2지지대(20a)(20b) 일단의 걸림고리(30) 및 보조 걸림고리(40)가 안착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제 1,2지지부재(20a)(20b)의 고정핀(21)과 상층 슬라브(S2)의 브라켓(11)에 구비된 결합부재(13)의 삽입핀(12)에는 제 1,2지지대(50a)(50b)가 각각 회동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제 1,2지지부재(20a)(20b)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결합부재(13)는 'ㄷ'자 형으로 이루어지고, 양단에 삽입핀(12)이 돌설되어 제 1,2지지대(50a)(50b) 타단이 삽입된다.
상기 제 1,2지지대(50a)(50b)는 양단에 끼움공(51)이 각각 형성되어 제 1,2지지부재(20a)(20b)의 고정핀(21)과 상층 슬라브(S2)의 브라켓(11)에 구비된 결합부재(12) 양단의 삽입핀(12)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제 1,2지지부재(20a)(20b)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안전망(60)은 한쌍의 제 1,2지지부재(20a)(20b) 외경에 양단이 말려 각각 고정되고, 상부에 사선 방향으로 교차되게 제 1,2보강밴드(61)(62)가 각각 구비되며, 양측의 가로 방향으로는 제 1,2접위부(63)(64)를 각각 형성하게 되고, 세로 방향으로는 제 1,2접위부(63)(64)와 직교되게 제 3,4접위부(65)(66)를 각각 형성하게 되며, 제 1,2,3,4접위부(63)(64)(65)(66)에는 자체 신축성이 구비된 제 1,2,3,4밴드(70)(71)(72)(73)를 각각 구비하게 된다.
즉, 장방형으로 이루어진 각각의 안전망(60) 양단을 한쌍으로 이루어진 제 1,2지지부재(20a)(20b) 외경 사이에 말아 고정시키고, 상부에 사선으로 교차되게 제 1,2보강밴드(61)(62)를 봉접으로 고정시킨 다음, 제 1,2보강밴드(61)(62)를 포함한 가로 또는 세로 방향을 유지하여 하방으로 길게 접어 제 1,2접위부(63)(64)와 제 3,4접위부(65)(66)를 각각 형성하고, 제 1,2,3,4접위부(63)(64)(65)(66) 상부에는 자체 신축성이 구비된 제 1,2,3,4밴드(70)(71)(72)(73)를 각각 봉접으로 고정시키게 됨으로써 낙하물이 안전망(60) 상부로 낙하시 낙하되는 충격에 의해 제 1,2,3,4밴드(70)(71)(72)(73)가 제 1,2,3,4접위부(63)(64)(65)(66)의 접혀진 폭 만큼 늘어나게 되어 충격을 완충시키게 됨으로써 작업자 및 부속품이 외부로 튕겨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제 1,2,3,4접위부(63)(64)(65)(66)가 직교되는 부위에 공간부(80)가각각 형성되고, 이 공간부(80)를 제외한 제 1,2,3,4접위부(63)(64)(65)(66)의 상부에 제 1,2,3,4밴드(70)(71)(72)(73)를 구비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안전망을 건축물의 상하층 슬라브(S1)(S2)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도 3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장방형으로 이루어진 안전망(60)의 상부에 사선으로 교차되게 제 1,2보강밴드(61)(62)를 봉접으로 고정시킨 다음, 제 1,2보강밴드(61)(62)를 포함한 가로 또는 세로 방향을 유지하여 하방으로 길게 접어 제 1,2접위부(63)(64)와 제 3,4접위부(65)(66)를 각각 형성하고, 제 1,2,3,4접위부(63)(64)(65)(66) 상부에는 자체 신축성이 구비된 제 1,2,3,4밴드(70)(71)(72)(73)를 각각 봉접으로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제 1,2,3,4접위부(63)(64)(65)(66)가 직교되는 부위에는 공간부(80)가 각각 형성되고, 이 공간부(80)를 제외한 제 1,2,3,4접위부(63)(64)(65)(66) 상부에는 제 1,2,3,4밴드(70)(71)(72)(73)가 각각 구비된다.
그 다음으로 안전망(60)의 양단을 파이프 타입으로 이루어진 한쌍의 제 1,2지지부재(20a)(20b) 사이 외경에 말아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면, 양측의 제 1,2지지부재(20a)(20b) 사이의 외경에 안전망(60)이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 1,2지지부재(20a)(20b) 일단에 각각 고정된 걸림고리(30) 및 보조 걸림고리(40)를 고정부재(90)의 고정브라켓(92) 사이에 구비된 연결바(91) 외경에 순차적으로 안착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면, 걸림고리(30)의 반원형 걸림부(31)가 고정브라켓(92)의 연결바(91) 외경에 안착되고, 보조걸림고리(40)의 장공(41)이 체결볼트(42)를 따라 외측으로이동되어 고정브라켓(92)의 연결바(91) 외경에 안착 고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고정브라켓(92) 하부의 클램프(93)로써 하층 슬라브(S1)의 브라켓(10) 외경에 각각 고정시킨 다음, 제 1,2지지부재(20a)(20b) 타단의 고정핀(21)과 상층 슬라브(S2)의 브라켓(11)에 구비된 결합부재(13)의 삽입핀(12)에 제 1,2지지대(50a)(50b)의 끼움공(51)를 각각 삽입시키게 된다.
그러면, 걸림고리(30) 및 보조걸림고리(40)로써 하층 슬라브(S1)의 브라켓(10)에 구비된 고정부재(90)에 제 1,2지지부재(20a)(20b)가 각각 고정되고, 제 1,2지지부재(20a)(20b)와 상층 슬라브(S2)의 브라켓(11) 사이에 제 1,2지지대(50a)(50b)가 회동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어 제 1,2지지부재(20a)(20b)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하층의 슬라브(S1)(S2) 사이에 다수의 안전망(60)이 연결되어 설치됨으로써 낙하물이 안전망(60) 상부로 낙하시 낙하되는 그 충격력에 의해 제 1,2,3,4밴드(70)(71)(72)(73)가 제 1,2,3,4접위부(63)(64)(65)(66)의 접혀진 폭 만큼 늘어나게 되어 충격을 완충시키게 됨으로써 작업자 및 부속품이 외부로 튕겨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사용이 완료된 안전망 설치장치를 해체하기 위해서는 걸림고리(30)의 걸림부(31)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반원형의 보조걸림고리(40)를 내측으로 이동시켜 고정부재(90)로부터 이탈시킨 다음, 걸림고리(30)를 고정부재(90)로부터 순차적으로 이탈시키게 된다.
그 다음으로는 제 1,2지지부재(20a)(20b) 타단의 고정핀(21)과 상층슬라브(S2)의 브라켓(11)에 구비된 결합부재(13) 양단의 삽입핀(12)으로부터 제 1,2지지대(50a)(50b)의 끼움공(51)를 분리시키게 된다. 그러면, 제 1,2지지부재(20a)(20b)와 안전망(60)이 상,하층 슬라브(S1)(S2)로부터 분리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 1,2지지부재(20a)(20b) 외경에 안전망(60)을 감아 간편하게 보관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안전망을 길게 접어 제 1,2,3,4접위부를 직교되게 형성한 다음, 이 제 1,2,3,4접위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신축재질의 제 1,2,3,4밴드를 각각 구비하여 낙하물의 낙하시 접위부 만큼 신축재질의 밴드가 늘어나게 됨으로써 낙하물의 충격을 완충시켜 낙하물이 외부로 튕겨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산업재해를 방지하게 되었으며, 또한 안전망을 고정시키는 장치를 간단하게 구성하여 상하층 슬라브 사이에 설치 및 분리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5)

  1. 타단에는 대향되게 고정핀(21)이 각각 돌설되고, 일단에는 하층 슬라브(S1)의 브라켓(10)에 구비된 고정부재(30)에 삽입되는 걸림부(31)를 갖는 걸림고리(30)가 각각 고정된 한쌍의 제 1지지부재(20a) 및 제 2지지부재(20b);
    상기 제 1,2지지부재(20a)(20b)의 고정핀(21)과 상층 슬라브(S2)의 브라켓(11)에 구비된 결합부재(13)의 삽입핀(12)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 고정된 제 1,2지지대(50a)(50b); 및
    상기 제 1지지부재(20a) 및 제 2지지부재(20b) 사이의 외경에 각각 감겨 고정된 안전망(60);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안전망 설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고리(30)의 걸림부(31)에는 복수개의 장공(41)이 형성된 보조 걸림고리(40)가 체결볼트(42)로써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안전망 설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90)는
    상기 걸림고리(30)의 걸림부(31)와 상기 보조걸림고리(40)가 외경에 걸리게 되는 연결바(91)가 구비된 고정브라켓(92)과,
    상기 고정브라켓(92) 하부에 구비되고, 하층 슬라브(S1)의 브라켓(10)에 삽입 고정되는 클램프(9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안전망 설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망(60)은
    양측의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제 1,2,3,4접위부(63)(64)(65)(66)를 각각 직교되게 형성하고,
    상기 제 1,2,3,4접위부(63)(64)(65)(66)가 직교되는 부위에는 공간부(80)를 각각 형성하며,
    상기 공간부(80)를 제외한 제 1,2,3,4접위부(63)(64)(65)(66) 상부에는 신축을 갖는 제 1,2,3,4밴드(70)(71)(72)(7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안전망 설치장치.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망(60)은
    상부에 사선 방향으로 교차되게 제 1,2보강밴드(61)(6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안전망 설치장치.
KR2020010030018U 2001-09-28 2001-09-28 건축용 안전망 설치장치 KR2002572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018U KR200257293Y1 (ko) 2001-09-28 2001-09-28 건축용 안전망 설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018U KR200257293Y1 (ko) 2001-09-28 2001-09-28 건축용 안전망 설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7293Y1 true KR200257293Y1 (ko) 2001-12-29

Family

ID=73109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0018U KR200257293Y1 (ko) 2001-09-28 2001-09-28 건축용 안전망 설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729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6974A (ko) * 2021-04-26 2022-11-02 이길우 건축공사용 안전망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6974A (ko) * 2021-04-26 2022-11-02 이길우 건축공사용 안전망 시스템
KR102558801B1 (ko) * 2021-04-26 2023-07-21 이길우 건축공사용 안전망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6665B1 (ko) 지지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낙하방지용 안전망 지지장치
KR200257293Y1 (ko) 건축용 안전망 설치장치
KR102127867B1 (ko) 갱폼 일체형 접이식 낙하물 방지장치
KR200436224Y1 (ko) 낙하방지망 고정구조
US6035967A (en) Safety apparatus using parallel line catchers for elevated work site operations
KR200417314Y1 (ko) 낙하물 방지장치
JPH11343742A (ja) 防護装置
JP5561687B2 (ja) 幅木取付け用金具
KR200386867Y1 (ko) 안전방호망장치
KR200190085Y1 (ko) 건축용 안전망
KR200294813Y1 (ko) 안전망 설치장치의 프레임 구조
KR200292764Y1 (ko) 건축용 낙하 방지장치
JP4091608B2 (ja) 安全手摺
JP3077560B2 (ja) 建築物構築作業用ジャンピング足場の渡り板機構
KR200303809Y1 (ko) 건축용 낙하 방지장치
KR200459397Y1 (ko) 갱 폼의 추락방지를 위한 지지브라켓 구조
KR200233705Y1 (ko) 건축용 안전망
KR200238562Y1 (ko) 건축용 안전망 설치장치
KR0131396Y1 (ko) 낙하물 차단용 안전장치
JP4701443B2 (ja) 鉄筋フレームの結束具及びこの結束具を用いた鉄筋フレームの組立方法
JP4053035B2 (ja) 安全手摺
JP3051359B2 (ja) 安全建築作業方法および安全建築作業用具
KR100711973B1 (ko) 철골구조물의 가설용 사다리
KR200426557Y1 (ko) 철골구조물의 가설용 사다리
JP6788282B2 (ja) 大型テ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