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6974A - 건축공사용 안전망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축공사용 안전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6974A
KR20220146974A KR1020210053963A KR20210053963A KR20220146974A KR 20220146974 A KR20220146974 A KR 20220146974A KR 1020210053963 A KR1020210053963 A KR 1020210053963A KR 20210053963 A KR20210053963 A KR 20210053963A KR 20220146974 A KR20220146974 A KR 20220146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support
coupled
safety net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3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8801B1 (ko
Inventor
이길우
Original Assignee
이길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길우 filed Critical 이길우
Priority to KR1020210053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8801B1/ko
Publication of KR20220146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6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8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8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66Safety 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신축공사나 보수작업시 추락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건축 벽면 외측에 설치하는 건축공사용 안전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각형상의 그물과 상기 그물 테두리의 상단, 하단, 좌측, 우측에 그물지지대삽입부가 형성되어 낙하물을 받아내는 안전그물망; 상기 상하좌우 그물지지대삽입부에 삽입되는 상단, 하단, 좌측, 우측 그물지지대; 상기 상단, 하단, 좌측, 우측 그물지지대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고정나사를 이용해 그물지지대를 고정하는 복수의 엘보결속구; 상기 상단 그물지지대의 양측과 상기 수평지지대에 결합되어 상기 안전그물망을 경사지게 고정시키는 그물망지지로우프; 상기 안전그물망의 하단 그물지지대의 양단부측과 수평지지대에 사이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며, 일측에는 가동덮개 결합부를 포함한 클램프부가 결합되고, 타측에는 슬라이드 걸림고리부가 결합된 한쌍의 퀵결합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건축공사용 안전망 시스템{SAFETY NET SYSTEM FOR BUILDING CONSTRUCTION}
본 발명은 건물신축공사 또는 보수작업시 작업인부나 자재, 부품 등의 추락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건축 벽면 외측에 설치하는 건축공사용 안전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축공사용 안전망 시스템은 고층 건물의 신축이나 보수 등 공사현장에서 건축물 외벽부에 설치되는 임시 가설발판(비계)과 함께 설치하여 사용되고 있다. 건축공사용 안전망 시스템은 비계위에서 작업하는 현장 작업자의 추락방지뿐만 아니라 건축물의 상층부에서 추락하는 장비 및 기타 자재 등으로 안전망 아래의 작업자와 일반인, 지상 시설물 등을 보호하기 위해 정부의 산업안전 규정에 대응하여 설치된다. 이와 같은 안전망은 일반적으로 외부가 개방된 비계 바닥의 노출된 가장자리에서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미국 등록특허 5299654호는 지지 암 및 일단에서 상기 암을 피봇식으로지지하고 상기 암이 수직에 대해 일정 각도로 연장되도록하는 장착 수단을 포함하는지지 암 수단; 단부에서 피벗 가능하게 결합 된 제 1 및 제 2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섹션은 말단에서 상기지지 암에 연결되고, 상기 브레이스 수단은 상기 섹션에 결합 된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스트럿을 포함하는 브레이스 수단과 스프링 수단은 일반적으로 선형 구성으로 상기 섹션을 편향시키기 위해 버팀대 수단과 섹션의 중간 이격 된 위치 사이에 배치되고 브레이스 수단에 장착 된 한 쌍의 스프링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섹션은 상기 선형 구성으로부터 피벗 식으로 접을 수 있도록 하는 안전망 지지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 등록특허 10-1906503호에는 베란다나 창문이 설치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벽면의 내측면 양쪽으로 지지브라켓을 설치하되 상기 지지브라켓은 중앙이 돌출되는 돌출부위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돌출부위에는 수평방향으로 긴 장홈을 형성하고, 지지브라켓트의 장홈에는 고정볼트를 돌출되게 끼워서 고정볼트가 장홈을 타고 이동되게 하고, 상기 고정볼트에는 단면이 ㄷ자 형태의 텐션 조정용 가이드를 끼워서 너트로 고정하고, 상기 텐션 조정용 가이드에는 안전망의 양쪽에서 안전망을 걸어주는 사각 파이프가 끼워지게하되 상기 고정볼트가 사각파이프를 관통하며 끼워지게 하고, 상기 사각 파이프를 관통하여 돌출된 고정볼트에는 사각 파이프(20)의 내측으로 너트(32)를 끼워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안전 보호망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에 종래 특허 기술들의 안전망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물망의 사각 모서리 결합구를 용접하거나 볼트로 체결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조립과 해체가 어렵기 때문에,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망이 사각틀 형태로 미리 조립되어 공사 현장 주변에 야적되고 있으며, 야적된 안정망은 넓은 공간을 차지하고, 부피가 커 비가 올 때에는 실내로 옮길 수 없어 야외에 방치되고 있는 실정이고, 다른 공사장으로 수송을 하는 경우 커다란 부피와 무거운 중량 때문에 상하차와 수송에 불편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
미국 등록특허 5299654호(1994.04.05 등록) 한국 등록특허 10-1906503호(2018.10.09 등록) 한국 등록실용신안 20-0233705호(2001.05.30 등록) 한국 등록실용신안 20-19990020562호(1999.12.13 등
본 발명이 개선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언급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건축공사현장에서 조립 설치가 용이한 안전망 조립부재와 결합구를 개발하여 시공현장에서 바로 조립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하여 보관시 넓은 공간을 차지하는 문제점과 다른 공사 현장으로 수송시 부피를 줄여 수송불편을 해소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건축물 벽체쪽 또는 비계 외측에 수직 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설치 고정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수직지지대와 수평지지대 및 안전망으로 구성된 건축공사용 안전망 시스템에 있어서, 사각형상의 그물과 상기 그물 테두리의 상단, 하단, 좌측, 우측에 그물지지대삽입부(32, 33, 34, 35)가 형성되어 낙하물을 받아내는 안전그물망(30); 상기 상하좌우 그물지지대삽입부에 삽입되는 상단, 하단, 좌측, 우측 그물지지대(36, 37, 38, 39); 상기 상단, 하단, 좌측, 우측 그물지지대(36, 37, 38, 39)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고정나사를 이용해 그물지지대를 고정하는 복수의 엘보결속구(50); 상기 상단 그물지지대의 양측과 상기 수평지지대에 결합되어 상기 안전그물망을 경사지게 고정시키는 와이어로프(40); 상기 안전그물망의 하단 그물지지대의 양단부측과 수평지지대에 사이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며, 일측에는 가동덮개 결합부를 포함한 클램프부(70)가 결합되고, 타측에는 슬라이드 걸림고리부가 결합된 한쌍의 퀵결합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전망을 구성하는 그물망, 지지대, 결합구 등의 조립 부재를 따로 따로 제공하여 공사현장에서 요구되는 건축용 안전망 시스템을 바로 조립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공사 현장에 야적하는 문제점이 개선되고, 시공 현장에서 그물망 사각단부에 지지대를 삽입하여 코너부에 엘보에 결속시키고, 안전망 하단부지지대는 퀵결합구에 의해 수직 및 수평지지대에 결합될 수 있어 조립 설치 해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건축용 안전망이 야적된 모습(a)과 그물망 사각틀을 조립하기 전의 다양한 지지대 단부 형상을 나타낸 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건축공사용 안전망 시스템의 조립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안전그물망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그물망을 지지하는 상하좌우 지지대를 코너부에서 결속시키는 엘보결속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하단그물망지지대와 수평지지대를 조립한 결합구를 나타낸 퀵결합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퀵결합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발명의 안전망시스템을 조립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조립 사시도.
도 8은 양방향 결속구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건축공사용 안전망 시스템의 일부가 조립된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축공사용 안전망 시스템(100)은 신축 중이거나 수리 중인 건축물 벽체쪽에 설치되는 비상계단의 외부에 수직 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설치 고정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수직지지대(12, 14)) 및 수평지지대(22, 24)와, 경사지게 설치되는 사각형상의 안전그물망(30) 및 상기 안전그물망(30)의 단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안전그물망(30)을 둘러싸서 상하좌우에 구멍이 형성된 그물지지부(32, 33, 34, 35)를 구성하고, 상기 각 그물지지부(32, 33, 34, 35)의 구멍에는 상하좌우로 그물지지대((36, 37, 38, 39)가 삽입된다.
상기 수직지지대(12, 14)) 및 수평지지대(22, 24)는 비계파이프라고 불리우는 파이프로 충분한 강도를 가진 금속재 원형파이프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안전그물망(30)의 분해 사시도로서, 도시된바와 같이, 그물망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상기 그물지지부(32, 33, 34, 35)에는 직관으로 이루어진 4개의 그물지지대(36, 37, 38, 38)가 삽입된다. 상기 그물지지대(36, 37, 38, 38)가 삽입되어 돌출 형성된 4곳의 코너부는 엘보결속구(50)가 삽입되어 결속된다.
또한, 상기 안전그물망(30)은 질긴 섬유로 그물망을 편조하여 장력과 탄성을 부여하고, 상기 그물망의 테두리에는 그물지지대((36, 37, 38, 39)가 삽입되어 통과하도록 상단, 하단, 좌측, 우측 그물지지대삽입부(32, 33, 34, 35)가 형성되고, 그물지지대 삽입부는 그물망의 외측에 질긴 천을 연결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4개의 그물지지대(36, 37, 38, 38)는 사전에 길이가 맞추어져 상기 엘보결속구(50)에 삽입되어 조립되면, 안전그물망(30)을 상하좌우로 잡아 당겨 추락하는 물체가 탄성에 의해 중력이 흡수되어 추락이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안전그물망(30)의 상기 상단조립대(36) 코너부의 양단부는 와이어로프(40)의 단부에 형성된 와이어로프고리(42) 일단에 삽입되고, 와이어로프(40)의 타단에 형성된 상기 와이어로프고리(42)는 상부수평지지대(22)에 결합된다. 상기 와이어로프고리(42, 44)는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안전그물망(30)의 설치 경사각도가 유지되도록 고정하는 기능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와이어로프(40)는 충분한 인장 강도를 가지는 강선이 바람직하며, 단부에 형성된 상기 와이어로프고리(42)는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도록 개구부가 구비되면 조립과 해체가 더욱 편리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그물망을 지지하는 상하좌우 그물지지대(36, 37, 38, 38)를 코너부에서 결속시키는 엘보결속구(50)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엘보결속구(50)는 내부가 관통되어 90°를 이루는 엘보몸체부(51)와 엘보몸체부(51) 양단에 형성된 엘보개구부(52)와, 상기 엘보개구부(52)의 단부 표면에 융기된 단부보강테두리(53)와, 엘보개구부(52)의 양측 단부 영역에 형성된 나사홈과 고정나사(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엘보개구부(52)의 내경 크기는 상기 그물지지대(36, 37, 38, 39)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그물지지대(36, 37, 38, 39)의 외경보다 작지 않도록 하고, 양측 엘보개구부(52)의 원주 단부 영역에는 너트를 용접하거나 두께를 굵게 한 부분에 나사홈을 형성하여 고정나사가 나사결합되는 고정나사부(55)를 두어 그물지지대(36, 37, 38, 39)를 삽입한 후 고정나사를 조여 그물지지대의 단부가 빠지지 않도록 하고, 엘보개구부(52)의 단부에는 두껍게 보강된 단부보강테두리(53)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된 안전그물망(30)은 퀵결합구(60)에 의해 하부수평지지대(24)에 결합된다.
이렇게 구성된 안전그물망(30)은 퀵결합구(60)에 의해 하부수평지지대(24)에 결합된다. 퀵결합구는 금속판재로 이루어진 수직면몸체부(61)의 일측 단부에 하단그물지지대(37)의 단부와 결합되는 걸림고리부(62)가 연결되고, 타측 단부에는 하부수평지지대(20)와 결합되는 클램프부(70)가 연결된다. 수직면몸체부의 길이는 비계 파이프의 지름과 같은 50cm 정도의 길이이며, 비상계단을 설치할 때 건물의 외측에 수직지지대를 먼저 설치하고 그 안쪽(건물측)에 수평지지대를 수직지지대에 고정한 후 수평지지대의 안쪽에 비상계단의 발판을 설치하는 관행이 있으므로 수평지지대에 결합되는 수직면몸체부의 길이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폭만큼 띄운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퀵결합구의 사시도로서, 퀵결합구(60)는, 평판으로 이루어진 수직면몸체부(61)와 수직면몸체부(61)의 일측이 일체로 연장되어 하부에 원형 개구형상을 가진 고리부와 상기 걸림고리부(62)의 수직면몸체부(61) 쪽에 결합되는 슬라이드잠금부(63)가 부착되어 파이프를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걸림고리부(62)는 수직면몸체부(61)의 일단에 연장되어 수평지지대(20)에 걸치는 반구형태와 상기 걸림고리부(62)의 내측 하부에 슬라이드하면서 개구부를 폐쇄하는 슬라이드잠금부(63)를 갖는다. 슬라이드잠금부(63)는 상기 수직면몸체부(61) 쪽에 상하 이격되게 고정된 2개의 고정핀(63-2, 63-4)과 상기 고정핀에 대응되게 형성된 1자형 장홀(63-1)과 "ㄴ"자형 장홀(63-3)을 가진 가동편으로 구성된 슬라이드잠금부(63)가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드잠금부(63)의 상부 고정핀(63-4)에 가이드되면서 슬라이딩하도록 형성된 "ㄴ"자형 장홀(63-3)의 상단부에는 멈춤홈이 형성되어 상기 가동편이 특정한 각도로 회전했을 때 상기 슬라이드잠금부(63)가 하중에 의해 내려가 멈춤홈에 삽입되면서 개구부의 하부를 폐쇄하여 삽입된 파이프를 잠그게 되고, 파이프 해체를 위해 슬라이드잠금부(63)를 들어 올리면 상부 고정핀(63-4)이 "ㄴ"자형 홀에 들어가 열린 사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로서 퀵결합구(60)는 상기 수평지지대(20)에 용이하게 그리고 안전하게 체결 또는 해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직면 몸체부(61)의 타단에는 클램프부(70)의 등부분(걸림턱부의 외측)이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클램프부(70)는 철판이 반구 형상으로 만곡되고 만곡된 양측면이 반구의 내측면으로 절곡되며, 돌출된 전단부에는 힌지핀이 결합된 걸림턱부(79)와 상기 걸림턱부(79)의 상단에 형성된 잠금힌지부(76)에 일측이 힌지결합되고 타단에 포크 형상으로 U자 개구부가 형성된 반구 형상의 가동덮개부(74)가 결합된다.
상기 가동덮개부(74)는 걸림턱부(79)의 잠금힌지부(76)에 결합되어 상하로 가동되면서 파이프를 그립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돌출된 전단부의 힌지핀에는 잠금볼트(75)가 되고, 잠금볼트는 파이프가 클램프부(70)에 삽입된 후 가동덮개부(74)에 마련된 U자 개구부에 삽입되어 상부에서 아래로 조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힌지핀에 결합된 상기 잠금볼트(75)는 상기 가동덮개부(74)에 마련된 U자 개구부를 용이하게 드나들면서 상기 수평지지대(20)를 용이하게 그리고 안전하게 체결 또는 해체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덮개부(74)와 반구 형태의 걸림턱부(79)로 이루어진 2개의 클램프부(70)가 90도로 비틀린 상태로 결합된 양방향 결속구(80)가 수직지지대와 수평지지대 사이에 간편하게 결합되어 수직지지대와 수평지지대를 묶는 철사 등을 대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퀵결합구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에서 설명한 기능과 작동 그리고 형상이 유사하다. 다만 도 5의 퀵결합구(60)와 다른 점은 도 6의 절곡퀵결합구(60', 60'')의 절곡수직면몸체부(61' 61'')는, 서로 마주보는 상기 걸림고리부(62)쪽이 안쪽 또는 바깥쪽을 향해 크랭크 형상으로 돌출했다는 점이다. 이와 같이 수직면 몸체부가 크랭크 형상으로 절곡 돌출된 절곡퀵결합구(60', 60'')는 수직지지대가 안전그물망의 모서리 부분을 통과하는 경우에 수직지지대를 회피하면서 안전그물망을 수평지지대에 결합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도 7은 본발명의 건축용 안전망시스템을 조립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조립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퀵결합구(60)의 일단에 형성된 걸림고리부(62)에 하부수평지지대(24)가 삽입 고정되고, 퀵결합구(60)의 타단에 형성된 클램프부(70)는 상기 안전그물망(30)의 좌측 코너부에 노출된 상기 하단그물지지대(37)의 단부와 결합되어 있다. 하단그물지지부(33)를 삽입 통과한 상기 하단그물지지대(37)의 좌측단부는 엘보결속구(50) 일단 우측 개구부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나사(55)에 의해 나사조임으로 안정되게 고정되고, 엘보결속구(50)의 타단 개구부에는 좌측그물지지대(38)가 결합되고, 엘보결속구(50)의 타단에 결합된 좌측그물지지대(38)는 좌측그물지지부(34)에 형성된 관통부에 삽입되었다. 도 7은 안전그물망(30)의 좌측하단부의 결합상태를 보이고 있지만, 안전그물망(30)의 우측하단부도 좌측하단부와 동일한 방법으로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안전망 시스템은 현장 조립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어 안전망을 제조공장에서 제조하여 공사 현장으로 운반한 다음 현장에 야적하는 문제점이 개선되고, 현장에서 편리하게 안전망을 조립 설치하고, 해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100 : 건축공사용 안전망시스템 10 : 수직지지대
12 : 좌측수직지지대 14 : 우측수직지지대
20 : 수평지지대 22 : 상부수평지지대
24 : 하부수평지지대 30 : 안전그물망
31 : 그물망 32 : 상단 그물지지대삽입부
33 : 하단 그물지지대삽입부 34 : 좌측 그물지지대삽입부
35 : 우측 그물지지대삽입부 36: 상단그물지지대
37 : 하단그물지지대 38 : 좌측그물지지대
39 : 우측그물지지대 40 : 와이어로프
42 : 좌측와이어로프 44 : 우측와이어로프
45 : 와이어로프고리 50 : 엘보결속구
51 : 엘보몸체부 52 : 엘보개구부
53 : 단부보강테두리 55 : 고정나사
60 : 퀵결합구 61 : 수직면 몸체부
60', 60'' : 절곡퀵결합구 61', 61'' : 절곡몸체부
62 : 걸림고리부 63 : 슬라이드잠금부
70 : 클램프부 74 : 가동덮개부
75 : 잠금볼트 76 : 잠금힌지부
79 : 걸림턱부 80 : 양방향 결속구

Claims (4)

  1. 건축물 벽체쪽 또는 비계 외측에 수직 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설치 고정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수직지지대와 수평지지대 및 안전망으로 구성된 건축공사용 안전망 시스템에 있어서,
    사각형상의 그물과 상기 그물 테두리의 상단, 하단, 좌측, 우측에 그물지지대삽입부(32, 33, 34, 35)가 형성되어 낙하물을 받아내는 안전그물망(30);
    상기 상하좌우 그물지지대삽입부에 삽입되는 상단, 하단, 좌측, 우측 그물지지대(36, 37, 38, 39);
    상기 상단, 하단, 좌측, 우측 그물지지대(36, 37, 38, 39)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고정나사를 이용해 그물지지대를 고정하는 복수의 엘보결속구(50);
    상기 상단 그물지지대의 양측과 상기 수평지지대에 결합되어 상기 안전그물망을 경사지게 고정시키는 와이어로프(40);
    상기 안전그물망의 하단 그물지지대의 양단부측과 수평지지대에 사이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며, 일측에는 가동덮개 결합부를 포함한 클램프부(70)가 결합되고, 타측에는 슬라이드 걸림고리부가 결합된 한쌍의 퀵결합구를 포함하는 건축공사용 안전망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퀵결합구는,
    금속판재로 이루어진 수직면몸체부(61);
    상기 수직면몸체부의 일측에 일체로 연장되어 하부에 원형 개구형상을 가진 걸림고리부(62);
    상기 걸림고리부의 수직면몸체부측에 형성된 2개의 고정핀에 삽입되는 1자형 장홀과 "ㄴ"자형 장홀을 가진 가동편으로 구성되어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슬라이드잠금부(63);
    상기 수직면 몸체부(61)의 타단에 고정되고, 철판이 반구 형상으로 만곡되고 만곡된 양측면이 반구의 내측면으로 절곡되며, 돌출된 전단부에는 힌지핀이 결합된 걸림턱부(79)와 상기 걸림턱부(79)의 상단에 형성된 잠금힌지부(76)에 일측이 힌지결합되고 타단에 포크 형상으로 U자 개구부가 형성된 반구 형상의 가동덮개부(74)와 상기 가동덮개부(74)는 걸림턱부(79) 상기 돌출된 전단부의 힌지핀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U자 개구부에 삽입되어 너트조임이 가능한 잠금볼트(75)로 이루어진 클램프부(70);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공사용 안전망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엘보결속구는,
    내부가 관통되어 90°를 이루는 엘보몸체부와 양측 엘보개구부;
    상기 엘보개구부의 단부 원주에 융기된 단부보강테두리;
    상기 엘보개구부 원주 영역에 각각 형성된 나사홈;
    상기 나사홈에 나사결합되어 삽입되는 그물지지대를 고정하는 고정나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공사용 안전망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퀵결합구의 수직면몸체부는,
    상기 걸림고리부측이 일측으로 크랭크 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수직지지대의 설치공간을 이루는 절곡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공사용 안전망 시스템.
KR1020210053963A 2021-04-26 2021-04-26 건축공사용 안전망 시스템 KR102558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963A KR102558801B1 (ko) 2021-04-26 2021-04-26 건축공사용 안전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963A KR102558801B1 (ko) 2021-04-26 2021-04-26 건축공사용 안전망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6974A true KR20220146974A (ko) 2022-11-02
KR102558801B1 KR102558801B1 (ko) 2023-07-21

Family

ID=84045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3963A KR102558801B1 (ko) 2021-04-26 2021-04-26 건축공사용 안전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8801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9654A (en) 1992-02-28 1994-04-05 Sinco Incorporated Safety net support system
KR19990020562U (ko) 1997-11-26 1999-06-15 전주범 텔레비젼의 화면 도어 개폐 제어 장치
KR200233705Y1 (ko) 1998-11-08 2001-10-29 김영진 건축용 안전망
KR200257293Y1 (ko) * 2001-09-28 2001-12-29 (주)유원아이디 건축용 안전망 설치장치
KR200292764Y1 (ko) * 2002-07-31 2002-10-25 (주)유원아이디 건축용 낙하 방지장치
KR200317483Y1 (ko) * 2003-03-21 2003-06-25 쓰리엠안전개발(주) 낙하방지용 방호틀
KR200436224Y1 (ko) * 2007-04-03 2007-07-10 김형진 낙하방지망 고정구조
KR101906503B1 (ko) 2016-12-22 2018-10-10 오관근 건축용 안전 보호망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9654A (en) 1992-02-28 1994-04-05 Sinco Incorporated Safety net support system
KR19990020562U (ko) 1997-11-26 1999-06-15 전주범 텔레비젼의 화면 도어 개폐 제어 장치
KR200233705Y1 (ko) 1998-11-08 2001-10-29 김영진 건축용 안전망
KR200257293Y1 (ko) * 2001-09-28 2001-12-29 (주)유원아이디 건축용 안전망 설치장치
KR200292764Y1 (ko) * 2002-07-31 2002-10-25 (주)유원아이디 건축용 낙하 방지장치
KR200317483Y1 (ko) * 2003-03-21 2003-06-25 쓰리엠안전개발(주) 낙하방지용 방호틀
KR200436224Y1 (ko) * 2007-04-03 2007-07-10 김형진 낙하방지망 고정구조
KR101906503B1 (ko) 2016-12-22 2018-10-10 오관근 건축용 안전 보호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8801B1 (ko) 2023-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22068B1 (en) An improved fall safety barrier
KR20130042117A (ko) 낙하방지용 안전망장치
US20080264725A1 (en) Hook-On Scaffold
JP7316728B2 (ja) 日除け
KR20220146974A (ko) 건축공사용 안전망 시스템
KR200386867Y1 (ko) 안전방호망장치
JP7300907B2 (ja) 簡易設置型の日除け
KR20120001132A (ko) 가설 안전 난간대
KR100726467B1 (ko) 낙하방지 망 고정부재
KR20170000701U (ko) 건축용 수직형 안전방망
KR100466602B1 (ko) 낙하물 방호 선반
KR200491429Y1 (ko) 낙하물 방지망 겸용 추락 방지망
WO2002038887A1 (en) Support apparatus
KR101253030B1 (ko) 도르래 및 볼베어링을 이용한 내부펼침 낙하물 방지망
KR200294790Y1 (ko) 낙하물 방호 선반
KR20080045595A (ko) 낙하방지 망 고정부재
CA2859917C (en) Improved safety device
AU2002214812B2 (en) Support apparatus
KR200300595Y1 (ko) 안전발판장치
JP7313910B2 (ja) 手摺装置
KR20090109174A (ko) 아파트 발코니 브래킷
KR200271657Y1 (ko) 낙하물방지틀
KR200386866Y1 (ko) 수평방호망장치
JPH0725150U (ja) 建築工事用仮設屋根
KR200271518Y1 (ko) 안전방망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