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5463Y1 - 자동차의 루프랙 마운팅 브라켓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루프랙 마운팅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5463Y1
KR200255463Y1 KR2019960063688U KR19960063688U KR200255463Y1 KR 200255463 Y1 KR200255463 Y1 KR 200255463Y1 KR 2019960063688 U KR2019960063688 U KR 2019960063688U KR 19960063688 U KR19960063688 U KR 19960063688U KR 200255463 Y1 KR200255463 Y1 KR 2002554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rack
roof
mounting bracket
vehicle
drip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36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0517U (ko
Inventor
송두순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20199600636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5463Y1/ko
Publication of KR199800505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051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54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5463Y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루프 사이드 플랜지면과 드립레일 몰딩의 사이에 겹치면서 설치되어 루프 랙을 장착할 수 있도록한 자동차의 루프 랙 마운팅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루프 사이드 플랜지면(31)과 드립레일 몰딩(32) 사이에서 겹치는 평판고정부(41)와, 상기 평판고정부(41)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차량의 측방향 바깥쪽을 향해 절곡되어 다시 그 말단부가 아랫쪽을 향하도록 재차절곡되어 루프 랙(33)의 끝단이 걸리는 루프 랙 걸림부(42) 및 상기 루프 사이드 플랜지면(31)과 드립레일 몰딩(32)에 각각 여러개 형성되어 있는 체결장공(31a)(31b)(32a)(32b)의 중심과 일치되고 여러개의 체결공(44a)(44b)으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루프 랙 마운팅 브라켓
본 고안은 자동차의 루프 랙 마운팅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루프 사이드 플랜지면과 드립레일 몰딩의 사이에 겹치면서 설치되어 루프 랙을 장착할 수 있도록한 자동차의 루프 랙 마운팅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으로 하드 톱 차량에 설치되는 루프랙은 도어 프레임 또는 루프 사이드부에 설치된 드립레일 몰딩에 설치된다.
그러나, 드립레일 몰딩에 설치되는 루프 랙의 경우에는 측방향으로의 흔들림이 심하여 드립레일 몰딩의 변형을 가져오거나 루프 사이드 웨더스트립의 실링기능에 문제를 일으키게 되었다. 즉, 첨부도면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립레일 몰딩(10)은 지지되지 않는 여러개소의 절곡된 부위(10a)(10b)(10c)(10d)를 가지므로 차량운행중 각종 요인 때문에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도면중 화살표 S방향으로 심하게 흔들리면서 루프 사이드 웨더스트립(11)의 리테이너 역할을 겸하도록 되어 있는 드립레일 몰딩(10)의 흔들림을 유발시켜 루프 사이드 웨더스트립(11)을 변형시키게 되고, 이것은 다시 루프 사이드 웨더스트립(11)과 도어 글래스(12)간에 순간적인 틈새를 만들게 되어 루프 사이드 웨더스트립(11)의 실링기능을 저하시키게 되었으며, 심한 경우 드립레일 몰딩(10)에 영구적인 변형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루프 랙의 장착에 따라 수반할 수 있는 드립레일 몰딩의 흔들림이나 할 수 있는 자동차의 루프 랙 마운팅 브라켓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루프 사이드 플랜지면과 드립레일 몰딩 사이에서 겹치는 평판고정부와, 상기 평판고정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차량의 측방향 바깥쪽을 향해 절곡되어 다시 그 말단부가 아랫쪽을 향하도록 재차절곡되어 루프 랙의 끝단이 걸리는 루프 랙 걸림부 및 상기 루프 사이드 플랜지면과 드립레일 몰딩에 각각 여러개 형성되어 있는 체결장공의 중심과 일치되고 여러개의 체결공으로 자동차의 루프 랙 마운팅 브라켓이 제공된다.
도 1 은 일반적인 자동차에서 루프 랙 마운팅 브라켓의 적용부위를 보이는 자동차의 사시도
도 2 는 종래 루프 랙의 장착예를 보이는 도1의 A-A선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루프 랙 마운팅 브라켓의 구성을 보이는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루프 랙 마운팅 브라켓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31:루프 사이드 플랜지면 33:루프 랙
32:드립레일 몰딩 41:평판고정부
42:루프 랙 걸림부 31a,31b,32a,32b:체결장공
44a,44b:체결공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루프 랙 마운팅 브라켓의 구성을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루프 랙 마운팅 브라켓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사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루프 사이드 플랜지면(31)과 드립레일 몰딩(32) 사이에서 겹치는 평판고정부(41)와, 상기 평판고정부(41)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차량의 측방향 바깥쪽을 향해 절곡되어 다시 그 말단부가 아랫쪽을 향하도록 재차절곡되어 루프 랙(33)의 끝단이 걸리는 루프 랙 걸림부(42) 및 상기 루프 사이드 플랜지면(31)과 드립레일 몰딩(32)에 각각 여러개 형성되어 있는 체결장공(31a)(31b)(32a)(32b)의 중심과 일치되고 여러개의 체결공(44a)(44b)으로 구성하였다.
즉, 첨부도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팅 브라켓(40)은 루프 사이드 플랜지면(31)상에서 간격을 이루도록 복수개 설치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좌우양측의 루프 사이드 플랜지면(31)에 각각 두 개씩 설치하였으나 꼭 이러한 개수에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마운팅 브라켓(40)의 루프 랙 걸림부(42)는 평판부재인 예컨대, 강판을 이용하여 두 군데의 직각절곡부(40a)(40b)를 두고 형성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60은 그로메트를 나타낸 것이며, 60a는 그로메트(60)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중앙홀을 나타낸 것이고, 62는 탭핑 스크류를 나타낸 것이며, 32f,32g,32h, 32i는 상기 드립레일 몰딩(32)의 절곡부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도면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팅 브라켓(40)을 루프 사이드 플랜지면(31)에 조립하는 경우에 드립레일 몰딩(32)이 루프 사이드 플랜지면(31)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그 둘 사이에 마운팅 브라켓(40)의 평판고정부(41)를 개재시킨 상태에서 평판고정부(41)에 형성된 체결공(44a)(44b)과 루프 사이드 플랜지면(31)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장공(31a)(31b) 및 드립레일 몰딩(32)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장공(32a)(32b)의 중심을 서로 일치시킨 상태에서 루프 사이드 플랜지면(31)에 평판고정부(41)와 드립레일 몰딩(32)을 겹치고 그로메트(60)를 삽입한 다음 그 그로메트(60)의 중앙홀(60a)에 탭핑 스크류(62)를 강제로 비틀려서 밀어 넣게 되면, 그로메트(60)의 끝단부가 바깥쪽으로 벌어지면서 체결장공(31a)(31b)(32a)(32b)의 안쪽 구멍테두리에 걸리게 되게 되면서 마운팅 브라켓(40)과 드립레일 몰딩(32)이 루프 사이드 플랜지면(31)에 고정된다.
위와 같이 마운팅 브라켓(40)이 루프 사이드 플랜지면(31)에 고정된 상태에서 마운팅 브라켓(40)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루프 랙 걸림부(42)에 루프 랙(33)의 끝단부를 걸게 되면, 루프 랙(33)의 장착이 완료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차량운행중에 발생하는 진동이 마운팅 브라켓(40)에 영향을 주게 되어 있으나, 진동시 실링에 문제를 일으키게 되는 부위인 드립레일 몰딩(32)의 절곡부(32f)(32g)(32h)(32i)에는 직접적인 하중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드립레일 몰딩(32)은 흔들리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루프 랙의 장착을 루프 사이드 플랜지면과 드립레일 몰딩의 사이에 개재되는 마운팅 브라켓을 이용하여 지지토록 구성하였으므로, 측방향 흔들림에 대해 매우 취약한 구조를 하고 있는 드립레일 몰딩의 흔들림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실링기능의 저하를 막을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드립레일 몰딩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루프 사이드 플랜지면(31)과 드립레일 몰딩(32) 사이에서 겹치는 평판고정부(41)와, 상기 평판고정부(41)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차량의 측방향 바깥쪽을 향해 절곡되어 다시 그 말단부가 아랫쪽을 향하도록 재차절곡되어 루프 랙(33)의 끝단이 걸리는 루프 랙 걸림부(42) 및 상기 루프 사이드 플랜지면(31)과 드립레일 몰딩(32)에 각각 여러개 형성되어 있는 체결장공(31a)(31b)(32a)(32b)의 중심과 일치되고 여러개의 체결공(44a)(44b)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루프 랙 마운팅 브라켓.
KR2019960063688U 1996-12-30 1996-12-30 자동차의 루프랙 마운팅 브라켓 KR2002554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3688U KR200255463Y1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의 루프랙 마운팅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3688U KR200255463Y1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의 루프랙 마운팅 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0517U KR19980050517U (ko) 1998-10-07
KR200255463Y1 true KR200255463Y1 (ko) 2002-01-12

Family

ID=54001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3688U KR200255463Y1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의 루프랙 마운팅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546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0517U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16990A (ko) 플래그 타입 사이드 미러의 장착 구조 및 장착 방법
KR200255463Y1 (ko) 자동차의 루프랙 마운팅 브라켓
KR100239661B1 (ko) 글래스 및 트림 고정용 클립구조
KR200198399Y1 (ko) 자동차의 윈드 쉴드 글래스 장착구조
KR100222258B1 (ko) 버스의 드립 레일
KR0123981Y1 (ko) 자동차의 웨더스트립 장착용 리테이너 구조
KR0150835B1 (ko) 엔진후드에 설치되는 하니스고정구조
KR20050112273A (ko) 자동차용 도어 스커프 트림의 체결구조
KR200155511Y1 (ko) 자동차 도어 로어 채널 마운팅 구조
KR970002669Y1 (ko) 자동차의 번호판 램프 설치구조
KR200291316Y1 (ko) 차량용 사이드스텝의 브래킷 조립체
KR100448076B1 (ko) 차량의 윈드실드글라스용 사이드 몰딩
KR200143068Y1 (ko) 마운팅용 클립
KR960002165Y1 (ko) 자동차용 도어트림의 취부구조
KR960006314Y1 (ko)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 커넥터의 유동방지 브라켓
JP2000351350A (ja) 成形天井
KR200148939Y1 (ko) 자동차의 발전기 취부용 브라켓
KR200149574Y1 (ko) 자동차의 쿼터가니시 장착구조
KR0126227Y1 (ko) 자동차 사이드미러용 도어 내측 커버패널 체결구조
KR0138047Y1 (ko) 루프 패널의 보강 장치
KR200152179Y1 (ko) 차량용 카울의 겸용 클립구조
KR19980036914U (ko) 도난방지 기능이 구비된 후드래치 어셈블리
KR19980058089A (ko) 자동차의 프레임레스 도어 글래스 고정구조
KR19980029274A (ko) 리어 범퍼 체결구조
KR19990010409U (ko) 자동차의 도어 트림 패널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