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3019Y1 - 계란 포장장치 - Google Patents

계란 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3019Y1
KR200253019Y1 KR2020010023897U KR20010023897U KR200253019Y1 KR 200253019 Y1 KR200253019 Y1 KR 200253019Y1 KR 2020010023897 U KR2020010023897 U KR 2020010023897U KR 20010023897 U KR20010023897 U KR 20010023897U KR 200253019 Y1 KR200253019 Y1 KR 2002530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apping paper
folding
cylinder
wrapp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38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규
Original Assignee
김태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규 filed Critical 김태규
Priority to KR20200100238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30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30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3019Y1/ko

Links

Landscapes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절첩 방식으로 계란을 포장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계란포장지를 이용하여 계란이 안착된 난좌를 포장하여 주기 위한 계란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포장지를 전개상태로 적층 수용하는 포장지 저장부와, 설정된 조건 하에서 반복적으로 상기 포장지 저장부의 포장지를 한 장씩 인출하여 1차 절첩공정을 위해지지하는 기능을 하는 포장지인출구조와, 포장지를 소정 단계까지 절첩하여 주기 위한 1차 절첩구조와, 포장지를 2차 절첩이 수행되는 곳으로 이송하기 위한 포장지 이송구조와, 포장지에 2차 절첩공정을 위해 안치시키기 위한 포장지 안치부와, 포장지의 위치 세팅과 난좌의 재치 포인트를 설정하는 기능을 갖는 위치세팅구조와, 스위치를 통해 포장지가 절첩선을 따라 안으로 접어지면서 난좌와 계란을 수용 지지하도록 하는 2차 절첩구조와, 포장부분의 상측 일부만을 국부적으로 가압하여 계란의 안전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포장지의 양측이 완전하게 밀착되도록 하는 안전 가압구조와, 포장지 외측단이 안으로 접히도록 절첩방향을 안내하는 기능을 갖는 절첩안내구조와, 2차 절첩구조의 작동 완료 후 최종적으로 체결편을 체결공에 결합시켜 절첩된 양 측부를 결속시키기 위한 체결편 결속구조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계란 포장장치 {THE EGG PACKING APPARATUS}
본 고안은 절첩 방식으로 계란을 포장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계란포장지를 이용하여 계란이 안착된 난좌를 포장하여 주기 위한 계란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포장지의 절첩공정을 기계적 장치를 이용하여 신속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간과 인력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제조원가의 절감과 작업능률의 향상을 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계란은 취급 시 파손을 위하여 다양한 수용규격의 난좌상에 안착시켜 판매되며, 근자에는 소량구매를 선호하는 수요자의 기호를 감안하여 운반 시 의 안전성과 편의성을 기하기 위하여 소량 단위의 포장이 성행하고 있다.
상기의 포장 구조는 플라스틱 수지를 이용하는 구조 또는 종이를 절첩하여 난좌와 포장기능을 겸하도록 하는 구조, 또는 종이를 이용하여 계란을 난좌 째 포장하는 구조 등 다양한 구조와 방식이 알려져 있다.
본 고안의 장치는 상기의 종이를 이용하여 계란을 난좌 째 포장하는 구조에 적용되는 것으로,
본 고안의 장치는 도 2에서와 같이 이미 선 출원 등록되어 있으며 다수의 제1∼5의 절첩선(L1)(L1'),(L2)(L2'),(L3)(L3'),(L4)(L4')(L5)(L5')과 구멍(H1)(H2) 체결공(LH), 체결편(lT) 등을 포함하는 포장지(PS)를 절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기존에는 상기의 포장지를 이용하여 계란을 포장하기 위해서는 도 2에서와같이 전개 상태의 포장지의 가운데에 계란이 수용된 난좌를 얹어 위치시킨 다음 포장지의 양측에서 한 칸씩 안으로 접어 들어가 최종적으로 도 13과 같이 계란을 포장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포장 방식은 일일이 사람의 손을 거쳐 수공으로 작업하게 됨으로써 포장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의 낭비가 심하여 작업능률이 매우 저조하게 되고, 이로 인해 계란의 출하가격이 상승하게되어 경쟁력의 상실과 이윤의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계란의 포장작업을 기계적 장치를 이용하여 신속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간과 인력의 과소모를 억제하여 제조원가의 절감과 작업능률의 향상을 기할 수 있는 계란 포장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포장지를 전개상태로 적층 수용하는 포장지 저장부와, 설정된 조건 하에서 반복적으로 상기 포장지 저장부의 포장지를 한 장씩 인출하여 1차 절첩공정을 위해 홀딩 지지하는 기능을 하는 포장지인출구조와, 홀딩 지지된 포장지에 소정의 절첩 단계까지 절첩하여 주기 위한 1차 절첩구조와, 1차 절첩공정이 종료된 포장지를 2차 절첩이 수행되는 곳으로 이송하기 위한 포장지 이송구조와, 상기 포장지 이송구조를 통해 이송되어온 포장지에 2차 절첩공정을 위해 안치시키기 위한 포장지 안치부와, 2차 절첩공정 위치에 안치된 포장지의 위치 세팅과 난좌의 재치 포인트를 설정하는 기능을 갖는 위치세팅구조와, 난좌의 재치가 완료된 후 별도의 포장스위치를 통해 구동되며 포장지의 양측단을 동시에 밀어 포장지가 절첩선을 따라 안으로 접어지면서 구성되는 소정의 절첩형태를 통해 난좌와 계란을 수용 지지하도록 하는 2차 절첩구조와, 계란의 보호를 위해 고의로 포장지를 미완전 절첩시키는 2차 절첩구조의 동작 완료 후 포장부분의 상측 일부만을 국부적으로 가압하여 계란의 안전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포장지의 양측이 완전하게 밀착되도록 하는 안전 가압구조와, 포장지의 2차 절첩과정 중 외측단이 안으로 접히도록 절첩방향을 유도 안내하는 기능을 갖는 절첩안내구조와, 2차 절첩구조의 작동 완료 후 최종적으로 체결편을 체결공에 결합시켜 절첩된 양 측부를 결속시키기 위한 체결편 결속구조를 제시하는 것으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구성을 보이는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계란 포장지의 구성을 보이는 전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요부인 포장지 인출구조의 구조와 작동을 보이는 도면.
도 4는 인출된 포장지에 1차 절첩구조를 통해 1차 절첩공정을 부여하는 과정을 보이는 도면.
도 5는 상기 1차 절첩공정이 종료된 포장지를 이송구조를 통해 2차 절첩부로 이송하는 과정을 보이는 도면.
도 6은 도 5의 부분 상세도.
도 7은 2차 절첩공정 라인에 안치된 포장지와 난좌의 위치세팅 기능을 하기 위한 위치세팅구조의 구조와 작동을 보이는 도면.
도 8은 포장지의 절첩 방향을 안내하는 기능을 갖는 절첩안내구조의 구조와 작동을 보이는 도면.
도 9 및 10도는 2차 절첩구조를 통한 2차 절첩공정을 보이는 도면.
도 11은 안전 가압구조의 작동을 보이는 도면.
도 12는 본 고안의 일 요부인 체결편 결속구조의 작동을 보이는 도면.
도 13은 본 고안을 이용한 계란의 포장상태를 보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T:테이블 PS:포장지 10:포장지 저장부
20:포장지 인출구조 21:흡착구 22:받침대
23:작동대 24:제 1실린더 25:제 2실린더
26:포장지인출보조구 27:제 1감지센서 30:1차 절첩구조
31:작동 실린더 32:피스톤로드 33:절첩판
40:포장지이송구조 41:이송 실린더 42:피스톤로드
43:받침구 50:포장지안치부 51:포장지 지지편
60:위치세팅구조 61:작동 실린더 62:지지대
63:장착대 64:피스톤로드 65:통공
66:세팅봉 67:제 2감지센서 70:진공흡착구
80A,80B:2차절첩구조 81A,81B:구동실린더 82A,82B:피스톤로드
83A,83B:설치대 84:우선 절첩편 85A,85B:절첩 가이드
90:안전가압구조 91:실린더 92:피스톤 로드
93:가압구 100:절첩안내구조 101,101':지지대
102:지지프레임 103:작동 실린더 104:피스톤로드
105:통공 106:절첩안내핀 110:체결편 결속구조
111:지지대 112:실린더 113:피스톤로드
114:가압구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구성을 보이는 외관 사시도로서.
테이블(T)상에 입설되며 포장지(PS)를 인출이 가능한 상태로 적층 수용하는 포장지 저장부(10)와,
설정된 조건 하에서 반복적으로 상기 포장지 저장부(10)의 포장지(PS)를 한 장씩 인출하여 홀딩 지지하며 상기 포장지 저장부(10)의 직하방에 테이블(T)의 안내통공부(T')를 통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다수의 흡착구(21)와 받침대(22)가 설치되는 작동대(23)와, 상기 작동대(23)를 선택적으로 승강시켜 주기 위한 제 1 실린더(24)와, 상기 포장지 저장부(10)의 상면에 입설되는 제 2실린더(25)와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승강 가능하게 구성되며 적층된 포장지(PS)를 가압 또는 해제하는기능을 하는 포장지인출보조구(26)와, 상기 작동대(13)상에 설치되며 작동대(13)상에 포장지(PS)가 위치하고 있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제 1감지센서(2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포장지인출구조(20)와,
상기 안내 통공부(T')의 양 측방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작동 실린더(31)와, 상기 작동 실린더(31)의 피스톤로드(32)에 고정되어 직진 왕복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홀딩 지지된 포장지(PS)의 양측단을 소정의 절첩 단계까지 일차적으로 절첩하여 주기 위한 절첩판(33)으로 구성되는 한 조의 1차 절첩구조(30)와,
상기 1차 절첩 공정이 종료된 포장지(PS)를 2차 절첩이 수행되는 곳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테이블(T)의 후면에 설치되는 이송 실린더(41)와, 상기 이송 실린더(41)의 피스톤로드(42)에 고정되어 직진 왕복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판상의 받침구(43)로 구성되는 포장지 이송구조(40)와,
상기 테이블(T)의 전방에 위치되며 전후 연부에 만곡지게 요입되는 포장지 지지편(51)을 구비하며 상기 포장지 이송구조(40)를 통해 이송되어온 포장지(PS)에 2차 절첩공정을 위해 안치시키기 위한 포장지 안치부(50)와,
상기 포장지 안치부(50)의 내부의 지지대(62)에 고정되는 장착대(63)에 설치되는 작동 실린더(61)와, 상기 작동 실린더(61)의 피스톤로드(64)에 고정되어 지지대(62)의 통공(65)을 통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세팅봉(66)과, 상기 포장지 안치부(50)의 적소에 설치되며 포장지 안치부(50)에 포장지(PS)의 존재여부를 감지하여 차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 2감지센서(67)로 구성되며 포장지 안치부(50)에 안치된 포장지(PS)의 위치 세팅과 난좌(ES)의 재치 포인트를 설정하는기능을 갖는 위치세팅구조(60)와,
흡기라인(71)이 연결되는 상태로 상기 지지대(62)상에 고정 설치되며 포장지 안치부(50)에 안치된 포장지(PS)를 일시적으로 흡착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의 진공흡착구(70)와
포장지(PS)상에 난좌(ES)의 재치가 완료된 후 포장스위치(S2)를 통해 구동되며 상기 포장지 안치부(50)의 양측방에 위치되도록 테이블(T)상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구동 실린더(81A)(81B)와, 상기 각 구동 실린더(81A)(81B)의 피스톤로드(82A)(82B)에 고정되는 설치대(83A)(83B)의 양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조의 우선 절첩편(84)과, 상기 설치대(83A)(83B)의 중간부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호형의 절첩가이드(85A)(85B)로 구성되며 포장지(PS)의 양측단을 동시에 밀어 포장지(PS)가 절첩선을 따라 안으로 접혀지면서 일정한 형상의 포장구조를 이루도록 하는 한 조의 2차 절첩구조(80A)(80B)와,
상기 설치대(83A)(83B)의 양측에 고정 설치되는 실린더(91)와, 상기 실린더(91)의 피스톤 로드(92)에 고정되는 원판형의 가압구(93)로 구성되며 2차 절첩구조(80A)(80B)의 동작 완료 후 포장부분의 상측 일부만을 국부적으로 추가 가압하여 포장지의 양측이 완전하게 밀착되도록 하는 안전 가압구조(90)와,
상기 위치세팅구조(60)의 양측에 위치되며 포장지 안치부(50)의 내부의 지지대(101)(101')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102)에 설치되는 작동 실린더(103)와, 상기 작동 실린더(103)의 피스톤로드(104)에 고정되어 지지대(101)(101')의 통공(105)을 통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절첩안내핀(106)으로 구성되며 포장지(PS)의2차 절첩과정 중 포장지(PS)의 외측단이 안으로 접히도록 절첩방향을 유도 안내하는 절첩안내구조(100)와,
상기 2차 절첩구조(80A)의 설치대(83A)상에 일체로 형성되는 한 조의 지지대(111)에 각각 고정 입설되는 실린더(112)와, 상기 실린더(112)의 피스톤로드 (113)에 고정되어 승강 가능하게 구성되며 체결편(LT)을 체결공(LH)에 결합시켜 절첩된 포장지의 양 측부를 상호 결속시키기 위한 가압구(114)로 구성되는 체결편 결속구조(110)를 각각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 도면 중 미 설명 부호 ※
(CB)는 콘트롤박스이고,
(SB)는 스위치박스이며,
(L1)(L1')는 포장지의 제 1절첩선이고,
(L2)(L2')는 제 2절첩선이며,
(L3)(L3')는 제 3절첩선이고,
(L4)(L4')는 제 4절첩선이며,
(L5)(L5')는 제 5절첩선이고,
(H1)는 절첩안내핀(106)이 통과되는 구멍이며,
(H2)는 세팅봉(66)이 통과되는 구멍을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장치에 전원을 인가한 상태에서 스위치박스의 작동 스위치(S1)를 온 시키면 도 3에서와 같이 포장지저장부(10)에 적층된 포장지 중 최하층의 포장지를 인출하게 되는 바 먼저 제 1실린더(24)가 작동되어 가상선과 같이 작동대(23)를 테이블(T)의 안내통공부(T')를 통해 상승시키면 흡착구(21)가 최하층의 포장지(PS)에 밀착되며 밀착됨과 동시에 진공을 발생시켜 흡착구(21)에 포장지(PS)가 흡착되도록 하며 동시에 제 2실린더(25)가 작동되어 포장지인출보조구(26)가 순간적으로 적층된 포장지를 눌러주도록 하여 최하층의 포장지(PS)가 흡착구(21)에 보다 견고하고 안정되게 흡착되도록 한다.
이후 제 2실린더(25)는 최 하단의 포장지 인출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바로 가압력을 해제하며 동시에 제 1실린더(24)가 하강하면서 최하층의 포장지(PS)를 인출하여 내려온다.
이때 포장지(PS)는 도 4에서와 같이 인출과정에서 최소한 제 1절첩선 (L1)(L1')은 어느 정도 꺽인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포장지가 인출되면 양측의 작동실린더(31)가 작동되어 절첩판(33)을 전진시키게 되면 도 4의 가상선에서와 같이 절첩판(33)의 가압에 의해 포장지(PS)의 제 1절첩선(L1)(L1')과 제 2절첩선(L2)(L2')이 꺽여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포장지(PS)의 제 1, 2절첩선(L1)(L1'),(L2)(L2')을 꺽어주는 동작이 완료되면 절첩판(33)은 곧 바로 원위치로 복귀되며 흡착구(21)의 진공이 해제되어 포장지(PS)를 구속하지 않게 된다.
상기 포장지 안치부(50)에 포장지가 존재하지 않음을 알리는 제 2감지센서(67)의 신호가 접수됨과 동시에 테이블(T)의 후면에 설치되는 이송 실린더(41)가 작동되어 피스톤로드(42)에 고정되어 있는 판상의 받침구(43)를 도 6에서와 같이 포장지(PS)의 저부로 이동시켜 판상의 받침구(43)가 포장지(PS)를 받쳐드는 상태로 차기의 공정이 수행될 포장지안치부(50)로 이송한다.
포장지안치부(50)에 포장지(PS)가 이송되어옴 즉 포장지(PS)의 존재를 제 2감지센서(67)가 감지함과 동시에 작동실린더(61)가 작동되어 세팅봉(66)이 지지대(62)의 통공(65)을 통해 상승 돌출되어 포장지(PS)의 구멍(H2)에 도 7에서와 같이 끼워지게 된다.
상기에서 세팅봉(66)이 끼워지는 이유는 포장지 안치부(50)상에서 포장지(PS)의 안착위치를 정확하게 유지하는 목적과 포장지의 외부로 돌출된 세팅봉(66)을 통해 포장지(PS)상에 재치 할 난좌(ES)의 정확한 위치를 안내시키기 위한 것이다.
포장지(PS)가 세팅봉(66)에 끼워지면 이송 실린더(41)가 원위치로 복귀하게되고 동시에 제 1감지센서(27)가 작동대(23)상에의 포장지 존재여부을 감지하여 포장지가 없으면 상기한 포장지 인출과정을 수행하며 제 2감지센서(67)를 통해 포장지 안치부(50)에서 포장지가 감지되는 동안 더 이상의 작동이 진행되지 않고 도 3에서와 같이 포장지(PS)를 인출한 상태로 대기하고 있게된다.
이와 같이 포장지 안치부(50)상에 포장지가 정위치되면 도 8에서와 같이 돌출된 세팅봉(66)이 난좌(ES)의 중간 요홈에 끼워지도록 계란이 안착된 난좌(ES)를 포장지(PS)상에 재치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스위치박스(SB)에 있는 포장스위치(S2)를 온 시키면 흡기라인(71)을 통해 진공흡착구(70)에 흡착을 위한 진공이 걸리게 되어 포장지(PS)를 강하게 흡착 지지하게 되며 동시에 작동실린더(103)이 작동되어피스톤로드(104)에 고정되어 있는 절첩안내핀(106)을 도 8의 가상선과 같이 포장지(PS)의 구멍(H2)을 통해 상승시킨다.
이와 같이 절첩안내핀(106)이 상승되면 포장지 안치부(50)의 양측방에 위치되는 한 쌍의 구동 실린더(81A)(81B)가 전진 작동되어 도 9에서와 같이 절첩가이드(85A)(85B)보다 돌출된 우선 절첩편(84)이 먼저 포장지(PS)의 양측단에 접촉되어 밀어 접어주게 되고 접혀지는 양측단은 일차적으로 절첩안내핀(106)에 접촉하면서 안으로 접혀지게 되며 곧 바로 절첩가이드(85A)(85B)와 접촉하면서 말려 들어가면서 절첩과정이 이루어지며 추후 절첩안내핀(106)이 원위치로 빠지더라도 포장지(PS)의 접혀진 양측단이 역으로 펴지지 않을 정도가 되면 작동 실린더(103)가 하강되어 절첩안내핀(106)을 원위치로 하강시키고 진행되는 절첩가이드(85A)(85B)에 의해 도 10에서와 같이 계속적으로 포장지의 양측이 접혀지며 우선절첩편(84)은 접혀지는 부위와 접촉하면서 탄성적으로 누르고 있는 상태가 되며 절첩가이드(85A)(85B)는 최종적으로 도 11에서와 같이 포장지(PS)의 양측을 안으로 말아가면서 절첩하게 된다.
도 11의 상태는 포장지(PS)의 절첩되는 양측의 중간 접촉면이 완전히 밀착되지 않는 약간 사이가 떨어진 상태를 유지하는 정도로서 절첩가이드(85A)(85B)가 이 범위까지만 절첩하는 이유는 작동의 오차범위를 가정하여 난좌에 과도한 압력이 부여되는 경우 계란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까지 포장지(PS)를 절첩한 상태에서 도 11의 가상선에서와 같이 안전 가압구조(90)의 실린더(91)가 전진되어 피스톤 로드(92)에 고정되는 원판형의 가압구(93)로 포장부분의 양측 상부를 국부적으로 추가로 가압하여 양측의 절첩면이 완전하게 밀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포장지의 절첩과정이 마무리되며 이후에는 체결편(LT)을 체결공(LH)에 끼워넣는 포장지의 결속 공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실린더(112)가 작동되어 피스톤로드(113)에 고정된 가압구(114)가 체결편(LT)을 체결공(LH)내에 밀어 결합시켜 절첩된 포장지의 양측 상부를 상호 결속시키게 되는 것으로 최종적으로 포장작업이 완료된 상태는 도 13에서와 같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다수의 절첩선을 갖는 포장지를 이용하여 계란을 난좌 째 포장함에 있어서 포장지의 절첩공정을 기계적 장치를 이용하여 신속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간과 인력의 과소모를 억제하여 제조원가의 절감과 작업능률의 향상을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전개상태의 포장지(PS)를 적층 수용하는 포장지저장부(10)와,
    설정된 조건 하에서 반복적으로 상기 포장지저장부(10)의 포장지(PS)를 한 장씩 인출하여 일시적으로 홀딩 지지하는 기능을 하는 포장지인출구조(20)와,
    안내 통공부(T')의 양 측방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작동 실린더(31)와, 상기 작동 실린더(31)의 피스톤로드(32)에 고정되어 직진 왕복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홀딩 지지된 포장지(PS)의 양측단을 소정의 절첩 단계까지 일차적으로 절첩하여 주기 위한 절첩판(33)으로 구성되며 포장지인출구조(20)를 통해 홀딩 지지되는 포장지(PS)에 일차적으로 소정의 절첩 단계까지 절첩하여 주기 위한 1차 절첩구조(30)와,
    상기 테이블(T)의 후면에 설치되는 이송 실린더(41)와, 상기 이송 실린더(41)의 피스톤로드(42)에 고정되어 직진 왕복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판상의 받침구(43)로 구성되며 상기의 1차 절첩공정이 종료된 포장지를 2차 절첩이 수행되는 곳으로 이송하기 위한 포장지 이송구조(40)와,
    테이블(T)의 전방에 위치되며 전후 연부에 만곡지게 요입되는 포장지 지지편(51)을 구비하며 상기 포장지 이송구조(40)를 통해 이송되어온 포장지(PS)를 2차 절첩공정을 위해 안치시키기 위한 포장지 안치부(50)와,
    2차 절첩공정 위치에 안치된 포장지(PS)의 위치 세팅과 난좌(ES)의 재치 포인트를 설정하는 기능을 갖는 위치세팅구조(60)와,
    포장지 안치부(50)에 안치된 포장지(PS)를 진공을 이용하여 일시적으로 흡착 고정시키기 위한 진공흡착구(70)와,
    난좌(ES)의 재치가 완료된 후 별도의 포장스위치(S2)를 통해 구동되며 포장지(PS)의 양측단을 동시에 밀어 포장지(PS)가 절첩선을 따라 안으로 접어지면서 구성되는 소정의 절첩형태를 통해 난좌(ES)와 계란을 수용 지지하도록 하는 2차 절첩구조(80A)(80B)와,
    상기 설치대(83A)(80B)의 양측에 고정 설치되는 실린더(91)와, 상기 실린더(91)의 피스톤 로드(92)에 고정되는 원판형의 가압구(93)로 구성되며 포장부분의 상측 일부만을 국부적으로 가압하여 계란의 안전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포장지(PS)의 양측이 완전하게 밀착되도록 하는 안전 가압구조(90)와,
    상기 위치세팅구조(60)의 양측에 위치되며 포장지 안치부(50)의 내부의 지지대(101)(101')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102)에 설치되는 작동 실린더(103)와,
    상기 작동 실린더(103)의 피스톤로드(104)에 고정되어 지지대(101)(101')의 통공(105)을 통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절첩안내핀(106)으로 구성되며 포장지(PS)의 2차 절첩과정 중 포장지의 외측단이 안으로 접히도록 절첩방향을 유도 안내하는 기능을 갖는 절첩안내구조(100)와,
    2차 절첩구조의 작동 완료 후 최종적으로 체결편(LT)을 체결공(LH)에 결합시켜 절첩된 양측부를 결속시키기 위한 체결편 결속구조(110)를 각각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 포장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지인출구조(20)는,
    상기 포장지 저장부(10)의 직하방에 테이블(T)의 안내통공부(T')를 통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다수의 흡착구(21)와 받침대(22)가 설치되는 작동대(23)와,
    상기 작동대(23)를 선택적으로 승강시켜 주기 위한 제 1 실린더(24)와,
    상기 포장지 저장부(10)의 상면에 입설되는 제 2실린더(25)와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승강 가능하게 구성되며 적층된 포장지(PS)를 가압 또는 해제하는 기능을 하는 포장지인출보조구(26)와,
    상기 작동대(13)상에 설치되며 작동대(13)상에 포장지(PS)가 위치하고 있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제 1감지센서(27)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되는 계란 포장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세팅구조(60)는,
    상기 포장지 안치부(50)의 내부의 지지대(62)에 고정되는 장착대(63)에 설치되는 작동 실린더(61)와,
    상기 작동 실린더(61)의 피스톤로드(64)에 고정되어 지지대(62)의 통공(65)을 통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세팅봉(66)과,
    상기 포장지 안치부(50)의 적소에 설치되며 포장지 안치부(50)에 포장지(PS)의 존재여부를 감지하여 차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 2감지센서(6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포장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2차 절첩구조(80A)(80B)는,
    포장지(PS)상에 난좌(ES)의 재치가 완료된 후 포장스위치(S2)를 통해 구동되며 상기 포장지 안치부(50)의 양측방에 위치되도록 테이블(T)상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구동 실린더(81A)(81B)와,
    상기 각 구동 실린더(81A)(81B)의 피스톤로드(82A)(82B)에 고정되는 설치대(83A)(83B)의 양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조의 우선 절첩편(84)과,
    상기 설치대(83A)(83B)의 중간부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호형의 절첩가이드(85A)(85B)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포장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체결편 결속구조(110)는,
    상기 2차 절첩구조(80A)의 설치대(83A)상에 일체로 형성되는 한 조의 지지대(111)에 각각 고정 입설되는 실린더(112)와,
    상기 실린더(112)의 피스톤로드(113)에 고정되어 승강 가능하게 구성되며 체결편(LT)을 체결공(LH)에 결합시켜 절첩된 포장지의 양 측부를 상호 결속시키기 위한 가압구(11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포장장치.
KR2020010023897U 2001-08-07 2001-08-07 계란 포장장치 KR2002530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3897U KR200253019Y1 (ko) 2001-08-07 2001-08-07 계란 포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3897U KR200253019Y1 (ko) 2001-08-07 2001-08-07 계란 포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3019Y1 true KR200253019Y1 (ko) 2001-11-23

Family

ID=73068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3897U KR200253019Y1 (ko) 2001-08-07 2001-08-07 계란 포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301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78404A (zh) * 2018-08-31 2019-01-11 江西大江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真空包装机的防蛋破损装置
KR102023708B1 (ko) * 2019-04-23 2019-09-20 정광천 계란판 종이덮개 자동공급기 및 그를 구비하는 계란판 패킹 시스템
KR102050570B1 (ko) 2018-06-20 2020-01-08 유창수 달걀 포장용기 포장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0570B1 (ko) 2018-06-20 2020-01-08 유창수 달걀 포장용기 포장장치
CN109178404A (zh) * 2018-08-31 2019-01-11 江西大江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真空包装机的防蛋破损装置
CN109178404B (zh) * 2018-08-31 2023-10-24 江西温汤佬食品有限责任公司 一种真空包装机的防蛋破损装置
KR102023708B1 (ko) * 2019-04-23 2019-09-20 정광천 계란판 종이덮개 자동공급기 및 그를 구비하는 계란판 패킹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12894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pplying cornerboards to a load
AU2021224444A1 (en) Withdrawal system for withdrawing items from packaging box
KR200253019Y1 (ko) 계란 포장장치
JP2002104658A (ja) 容器供給装置
KR101820454B1 (ko) 패널 자동 포장 장치
JP2007297063A (ja) 積層平海苔束結束方法及び積層平海苔束結束装置
KR102051118B1 (ko) 수출용 박스 제함기 및 이 제함기에 의한 수출용 박스 제조방법
CN217704918U (zh) 一种用于纸壳过胶衬纸的下翻折边机构
CN103935817A (zh) 卷型胶带自动切割器
KR20140112318A (ko) 포장 장치
KR100231004B1 (ko) 포장박스 자동공급장치
JPH0632307A (ja) 包装機の胴巻き装置
JPH07223613A (ja) 箱製函装置
CN215283587U (zh) 纸盒自动贴角机上纸机构
KR100825828B1 (ko) 슈홀드 스프링과 슈홀드 컵의 조립머신
JP2005059918A (ja) 物品と紙片の装填方法および装填装置
JP5132167B2 (ja) 食品包装装置における包材供給機構
JPH0752913A (ja) 物品の袋入れ装置
JP2901782B2 (ja) 梱包材料の把持ハンド
JP2949858B2 (ja) 包装装置
JP5535130B2 (ja) フィルム包装機用シートパレット折込み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フィルム包装機
JP2568972Y2 (ja) ストレッチ包装機
KR100208074B1 (ko) 제품 포장용 박스의 자동 투입 장치
JP2001146210A (ja) 包装紙の保持装置
JP2000255523A (ja) 物品包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