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1146Y1 - 전선관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전선관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1146Y1
KR200251146Y1 KR2020010020889U KR20010020889U KR200251146Y1 KR 200251146 Y1 KR200251146 Y1 KR 200251146Y1 KR 2020010020889 U KR2020010020889 U KR 2020010020889U KR 20010020889 U KR20010020889 U KR 20010020889U KR 200251146 Y1 KR200251146 Y1 KR 2002511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it
adhesive material
conduits
adhesive
pip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08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태영
Original Assignee
유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태영 filed Critical 유태영
Priority to KR20200100208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11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11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1146Y1/ko

Links

Landscapes

  • Standing Axle, Rod, Or Tube Structures Coupled By Welding, Adhesion, Or Deposi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선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접착재(50)가 도포되어진 전선관(11,12)의 선단을 관연결기구(20,30)에 끼워넣으면, 전선관(11,12)과 관연결기구(20,30) 사이 틈새로 접착재(50)가 충진되면서, 일부 접착재(50)가 관연결기구(20,30)의 개구홀(22,32)로 누출된 후에 응고되므로, 접착재(50)의 응고시간이 크게 단축되고, 전선관(11,12)과 관연결기구(20,30)의 체결력이 보다 향상 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전선관 연결구조 {Connecting structure of electric pipes}
본 고안은 전선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결부재와 전선관이 상호 긴밀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전선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전선들은 외부로부터의 간섭에 의해 손상되어서 누전될 위험이 있으므로, 건축물의 벽이나 바닥, 또는 지중(地中)에 전선관을 매설한 후, 전선들이 전선관 내부에 안착되도록 하고 있는데, 이러한 경우 전선의 손상방지효과뿐만 아니라, 배선에 의한 미관 손상이 방지되는 잇점도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선관 연결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에 의하면, 한 쌍의 전선관(11,12)이 커플링(20) 내부에 대향되게 끼워져서 접착재(50 ; 도 2 참조)를 매개로 고정되어 상호 연통되고, 최선단에 위치한 전선관(12)의 자유단이 콘넥터(30)의 한쪽 개구부를 통해서 이의 내부에 끼워져서 접착재(50 ; 도 2 참조)를 매개로 부착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상기 콘넥터(30)의 다른 한쪽 개구부로는 전선박스와 같은 구조체(40)의 체결부(41)가 끼워져서 부착된다.
상기 전선관(11,12)은 일정 규격으로 제조되므로, 배관설계에 따라서 다수의 전선관들(11,12)을 커플링(20)을 매개로 순차적으로 연결시키고, 최선단에 위치한 전선관(12)의 자유단은 구조체(40)에 고정된 콘넥터(30)에 최종적으로 연결하여 배관설치를 완료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르면, 전선관(11,12)의 선단 외주면에 접착재(50)를 도포하고, 이를 커플링(20)이나 콘넥터(30)의 개구부를 통해서 끼워 넣어서, 커플링(20)이나 콘넥터(30) 내부에 전선관(11,12)의 선단이 끼워진 상태에서, 이들 사이의 공간에 충진된 접착재(50)가 응고되도록 하여, 커플링(20)이나 콘넥터(30)에 전선관(11,12)의 선단이 부착되도록 하고 있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접착재(50)의 응고에 소요되는 시간이 오래걸려서 전선관(11,12)의 배관작업이 더디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더욱이, 접착재(50)의 응고시간의 지연으로 인해서, 접착재(50)가 완전히 응고되지 않은 상태에서 배관작업자가 연속적으로 전선관(11,12)의 배관작업을 수행하는 일이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전선관(11,12)과 커플링(20), 전선관(12)과 콘넥터(50) 사이의 밀봉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연결부재와 전선관이 상호 긴밀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전선관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선관 연결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부 혹은 B부를 확대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선관 연결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C부 혹은 D부를 확대도시한 도면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용어 설명 -
11,12 ; 전선관, 20 ; 커플링,
21 ; 스토퍼, 22 ; 개구홀,
30 ; 콘넥터, 31 ; 스토퍼,
32 ; 개구홀, 40 ; 구조체,
41 ; 체결부, 50 ; 접착재,
51 ; 돌출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외주면에 접착재가 도포되어진 전선관의 선단을 관연결기구의 개구부를 통해서 끼워넣어서, 관연결기구의 내부에 전선관의 선단이 끼워진 상태에서, 이들 사이의 공간에 충진된 접착재가 응고되어, 관연결기구와 전선관이 접착재를 매개로 상호 부착되도록 하는 전선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관연결기구의 전선관 삽입부분에 개구홀이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을 도시한 도면인 바, 종래 기술을 도시한 도 1 및 도 2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에 의하면, 한 쌍의 전선관(11,12)이 커플링(20) 내부에 대향되게 끼워져서 접착재(50)를 매개로 고정되어 상호 연통되고, 최선단에 위치한 전선관(12)의 자유단이 콘넥터(30)의 한쪽 개구부를 통해서 이의 내부에 끼워져서 접착재(50)를 매개로 부착되되, 관연결기구(20,30)의 전선관(11,12) 삽입부분에 적어도 1개 이상의 개구홀(22,32)이 형성되어진 구조를 이루고 있다. 상기 콘넥터(30)의 다른 한쪽 개구부로는 전선박스와 같은 구조체(40)의 체결부(41)가 끼워져서 부착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외주면에 접착재(50)가 도포되어진 전선관(11,12)의 선단을 관연결기구(20,30)의 개구부를 통해서 끼워넣어서, 관연결기구(20,30)의 내부에 전선관(11,12)의 선단이 끼워진 상태에서, 이들 사이의 틈새에 충진된 접착재(50)가 응고되도록 하면, 관연결기구(20,30)와 전선관(11,12) 사이 틈새의 양쪽 개구부와, 개구홀(22,32)을 통해서 접착재(50)에 함유된 휘발성분이 증발되면서 접착재(50)의 응고가 진행되므로, 접착재(50) 응고에 소요되는 시간이 크게 단축된.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외주면에 접착재(50)가 도포되어진 전선관(11,12)의 선단을 관연결기구(20,30)의 개구부를 통해서 끼워넣으면, 일부 접착재(50)가 개구홀(22,32)로 누출된 후에 응고되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돌출부(51)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돌출부(51)는 마치 고정턱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되므로, 전선관(11,12)과 관연결기구(20,30)의 상호 결합력이 증대된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접착재가 도포되어진 전선관의 선단을 관연결기구에 끼워넣으면, 전선관과 관연결기구 사이 틈새로 접착재가 충진되면서, 일부 접착재가 관연결기구의 개구홀로 누출되므로, 접착재가 빠르게 응고되어 배관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전선관과 관연결기구의 체결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접착재가 빠르게 응고된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배관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접착재가 응고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배관작업수행을 가능한 한 줄일 수 있게 되어, 접착부분의 밀봉손상이 가능한 한 억제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외주면에 접착재(50)가 도포되어진 전선관(11,12)의 선단을 관연결기구(20,30)의 개구부를 통해서 끼워넣어서, 관연결기구(20,30)의 내부에 전선관(11,12)의 선단이 끼워진 상태에서, 이들 사이의 공간에 충진된 접착재(50)가 응고되어, 관연결기구(20,30)와 전선관(11,12)이 접착재(50)를 매개로 상호 부착되도록 하는 전선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관연결기구(20,30)의 전선관(11,12) 삽입부분에 개구홀(22,32)이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관 연결구조.
KR2020010020889U 2001-07-10 2001-07-10 전선관 연결구조 KR2002511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889U KR200251146Y1 (ko) 2001-07-10 2001-07-10 전선관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889U KR200251146Y1 (ko) 2001-07-10 2001-07-10 전선관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1146Y1 true KR200251146Y1 (ko) 2001-11-17

Family

ID=73067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0889U KR200251146Y1 (ko) 2001-07-10 2001-07-10 전선관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114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24700B2 (en) Sealing cover boot and cover and interconnection junctions protected thereby
RU2257652C2 (ru) Кабельный штекер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их кабельных соединений
JP4099471B2 (ja) 改善されたケーブルシール部を備えたプラグケーシング
JPH11355949A (ja) 壁体への螺旋管体連結用コネクタ
KR200251146Y1 (ko) 전선관 연결구조
KR200256956Y1 (ko) 파형관용 접속장치
JP3089320B2 (ja) 接続用継手
KR101674516B1 (ko) Cod 연결구조
KR100331495B1 (ko) 콘크리트 실링 박스
JPS585570B2 (ja) 電気用配線ボックスのケ−ブル接続方法
KR200146812Y1 (ko) 가요 전선관용 커넥터
KR0129905Y1 (ko) 인상관로 인입 슬리브
JP2002199546A (ja) 屋内配線用ボックス
KR970004492Y1 (ko) 인수공의 인입관 연결구
JP2004187354A (ja) グロメット
KR940003806Y1 (ko) 케이블의 이동방지용 관구플럭
KR20040038121A (ko) 합성수지파형관의 이음부분 연결 장치
KR20190011938A (ko) 운동물체용 점퍼 케이블 그랜드 구조체
JP3217026B2 (ja) 地中埋設管の接続方法
HU222739B1 (hu) Fali átvezetés vezetékeknek falnyíláson történż átvezetésére
JP2007141706A (ja) スリーブ部材と挿入部材との仮固定構造及び活線接続工法
JP2796072B2 (ja) 電線引き出し構造
JP4541587B2 (ja) 配管材の引出具、および配管材の引出構造
JP2556208Y2 (ja) ケーブル用保護管の地中箱取付具
KR200236115Y1 (ko) 방수관용 파이프의 방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