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8597Y1 - 접착제 도포장치 - Google Patents

접착제 도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8597Y1
KR200248597Y1 KR2020010014797U KR20010014797U KR200248597Y1 KR 200248597 Y1 KR200248597 Y1 KR 200248597Y1 KR 2020010014797 U KR2020010014797 U KR 2020010014797U KR 20010014797 U KR20010014797 U KR 20010014797U KR 200248597 Y1 KR200248597 Y1 KR 2002485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roller
tank
application roller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47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희왕
Original Assignee
조희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희왕 filed Critical 조희왕
Priority to KR20200100147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85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85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8597Y1/ko

Links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착제 도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직물이나 합성수지로서 제작된 접착제 도포 대상물에 접착제를 도포할때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도포해야만 함에 따라 대상물에 도포되는 접착제의 두께가 일정하지 않게되고, 또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접착제가 작업자의 손이나 의류에 묻게되어 청결함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또 수작업으로 접착제를 도포함에 따라 빠른 속도로 접착제를 도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정양의 접착제를 저장하는 탱크를 구비하고, 이 탱크의 하측에는 접착제 도포 대상물에 접착제를 자동 도포하는 복수개의 롤러를 형성하며, 대상물에 도포되는 접착제의 두께를 조절하기위한 조절수단을 구성하며, 또 접착제 공급라인 상에 접착제가 완전히 용해되도록 가열하는 가열수단을 형성하므로서, 일정크기의 직물이나 합성수지 판재에 일정두께의 접착제를 자동으로 도포할 수 있고, 또 탱크 내부로 건조한 상태의 공기 또는 질소를 공급하여 탱크 내부에 습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므로서 탱크 내의 접착제에 습기와 같은 이물질이 섞이지 않도록 하며, 도포되는 접착제가 완전한 용액으로 용해되도록 하여 접착제 도포효율이 향상되도록 한한 접착제 도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접착제 도포장치{Roll coater for adhesive}
본 고안은 접착제 도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정크기의 직물이나 합성수지 판재에 일정두께의 접착제를 자동으로 도포할 수 있고, 또 탱크 내의 접착제에 습기와 같은 이물질이 섞이지 않도록하면서 도포되는 접착제가 완전한 용액으로 용해되도록 하여 접착제 도포효율이 향상되도록 한 접착제 도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직물이나 합성수지 제품을 생산할때 그 생산품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부착하는 공정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상기와같이 생산품의 특정부위에 접착제를 도포하고자 할때 종래에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생산품의 일측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작업자가 생산품의 일정부위에 접착제를 도포하고자 할때 붓과같은 별도의 공구에 접착제를 묻힌 후 그 공구에 묻어있는 접착제를 생산품에 묻히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직물이나 합성수지로서 제작된 접착제 도포 대상물에 접착제를 도포할때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도포해야만 함에 따라 대상물에 도포되는 접착제의 두께가 일정하지 않게되고, 또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접착제가 작업자의 손이나 의류에 묻게되어 청결함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또 수작업으로 접착제를 도포함에 따라 빠른 속도로 접착제를 도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정양의 접착제를 저장하는 탱크를 구비하고, 이 탱크의 하측에는 접착제 도포 대상물에 접착제를 자동 도포하는 복수개의 롤러를 형성하며, 대상물에 도포되는 접착제의 두께를 조절하기위한 조절수단을 구성하며, 또 접착제 공급라인 상에 접착제가 완전히 용해되도록 가열하는 가열수단을 형성하므로서, 일정크기의 직물이나 합성수지 판재에 일정두께의 접착제를 자동으로 도포할 수 있고, 또 탱크 내부로 건조한 상태의 공기 또는 질소를 공급하여 탱크 내부에 습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므로서 탱크 내의 접착제에 습기와 같은 이물질이 섞이지 않도록 하며, 도포되는 접착제가 완전한 용액으로 용해되도록 하여 접착제 도포효율이 향상되도록 한한 접착제 도포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일정양의 접착제를 저장하기 위해 그 내부가 밀폐되도록 하우징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탱크와;
상기 하우징의 상단 중앙부에 복수개소 형성되는 유입공과;
접착제의 주입을 위해 탱크 상단에 형성되는 제 1 튜브와;
탱크 내부에서의 습기 발생을 억제하기위해 에어드라이어를 통과시켜 건조해진 공기 또는 질소가스를 탱크 내부로 투입할 수 있도록 탱크 상단에 형성되는 제 2 튜브와;
그 상측이 유입공과 접하도록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펌핑롤러와;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측이 펌핑롤러와 맞물려 회전하면서 그 하측으로 통과하는 대상물에 접착제를 도포하되, 그 표면에는 접착제가 잘묻어나오도록 하기위한 다수의 홈이 형성되어있는 도포롤러와;
상기 도포롤러와 대향되는 하측에 설치되고, 도포롤러와의 사이를 통과하는 대상물을 지지해주는 지지롤러와;
상기 도포롤러의 일측에 형성되고, 조절축의 회전량에 따라 도포롤러와의 간극이 조절되어 대상물에 도포되는 접착제의 두께가 조절되도록 하는 조절판과;
상기 도포롤러의 타측에 형성되고, 도포롤러와 일정간극을 유지하면서 도포롤러와 펌핑롤러 사이에 존재하는 접착제의 역류를 방지하는 스토퍼; 로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도포롤러의 양측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입력전원에 의해 발열하는 히터와;
상기 히터의 상측에 유입구와 펌핑롤러의 주변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히터의 열에 의해 가열되어 펌핑롤러로 공급되는 접착제가 완전히 용해되도록 하는 방열부와;
상기 히터의 발열온도 및 도포롤러로 공급되는 접착제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온도에 따라 히터를 온/오프 제어하여 방열부가 과열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도포롤러에 의해 도포되는 접착제가 항상 균일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접착제 도포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적용된 히터제어계를 보인 블럭도.
도 4 는 본 고안에 적용된 도포롤러를 보인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적용된 도포롤러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하우징, 2: 탱크,
3: 제 1 튜브, 4: 제 2 튜브,
5: 펌핑롤러, 6: 도포롤러,
7: 조절판, 8: 조절축,
9: 스토퍼, 10: 지지롤러,
11: 실리콘, 20: 히터,
21: 온도센서, 22: 방열부,
23: 안전판, 24: 제어부,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면에 기재된 도면부호 1 은 본 고안의 뼈대를 이루는 하우징을 나타낸다.
상기 하우징(1)의 상측으로는 일정양의 접착제(100)를 저장할 수 있는 탱크(2)가 결합되는데, 상기 탱크(2)의 저면에 하우징(1)의 상측에 형성되어있는 플랜지(1b)를 맞댄 후 볼트(1c)로서 결합하여 탱크(2) 내부가 완전히 밀폐되도록 한다.
탱크(2)의 상측에는 제 1 튜브(3)와 제 2 튜브(4)가 형성되며, 하우징(1)의 상측 중앙부분에는 접착제(100)의 유입을 위한 복수개의 유입공(1a)이 형성된다.
상기 탱크(2)는 외부와 밀폐되도록 형성하되, 상기 하우징(1)과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형성하여 하우징(1)의 내부 청소가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 1 튜브(3)를 통해서는 도포를 위한 접착제(100)가 공급되고, 상기 제 2 튜브(4)로는 탱크(2) 내부에 습기와 같은 이물질이 생성되지 않도록 하기위한 일정온도의 공기(드라이어를 통과한 건조한상태의 공기) 또는 질소가스가 투입된다.
상기 설명과같이 하우징(1)과 탱크(2)가 서로 분리되도록 하므로서, 탱크(2)로부터 하우징(1)을 분리하여 하우징(1) 내부의 부품들을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게되고, 또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도 하우징(1)을 분리하여 고장난 부품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게된다.
탱크(2) 내부가 외부와 밀폐되어 있기 때문에 탱크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이에 따라 탱크 내벽면에 습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상기와같이 탱크(2) 내부로 일정온도의 공기와 질소가스를 투입하면 탱크(2) 내부가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게되므로 습기가 발생하지 않게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1)에는 펌핑롤러(5)와 도포롤러(6)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펌핑롤러(5)는 하우징(1)의 내부 중앙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그 상측 일부분이 도 1 에 도시된 바와같이 유입공(1a)의 출구측과 접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접착제를 도포롤러(6)에 공급한다.
펌핑롤러(5)의 표면에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같이 보다 안정적으로 접착제를 펌핑하기위한 다수의 홈(5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포롤러(6)는 하우징(1)의 하단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도 1 에 도시된 바와같이 그 상면이 펌핑롤러(5)와 접하도록 형성되어있고, 그 하측은 통과하는 대상물의 상면에 접하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상기 도포롤러(6)의 표면에는 도 4 에 도시된바와같은 홈(6a)이 복수개소에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홈(6a)은 다각형 모양으로 형성하거나 원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포롤러(6)가 펌핑롤러(5)와 맞물려 회전하면서 도포롤러(6)의 홈(6a)을 통해 접착제(100)가 이송되어 그 하측으로 통과하는 대상물의 상면에 일정두께의 접착제를 도포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도포롤러(6)의 일측에는 조절판(7)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스토퍼(9)가형성된다.
조절판(7)은 조절축(8)의 회전방향에 따라 전후진하여 그 선단부가 도포롤러(6)와 일정간극을 유지하게되고, 이에의해 도포롤러(6)가 회전하여 대상물의 표면에 접착제(100)를 도포하려고할때 상기 조절판(7)이 도포롤러(6)의 표면에 묻어있는 접착제의 두께를 한정해주므로서 대상물에 도포되는 접착제의 두께가 조절된다.
조절판(7)의 외각으로는 작업자의 손이 롤러(6)(10)에 끼이지 않도록 막아주기위한 안전판(2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9)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같이 도포롤러(6)의 타측에 일정간극을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서, 도포롤러(6)와 펌핑롤러(5)의 사이에 존재하는 접착제(100)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며, 또 도포되고난 후 도포롤러(6)에 묻어있는 잔여 접착제가 말려서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탱크 청소시나 접착제를 교체하고자 할 경우 스토퍼(9)를 조절하여 도포롤러(6)와의 간격을 좁히게되면 도포롤러(6)에 묻어나온 접착제가 스토퍼에 걸려 흘러내리게되어 빠른시간 내에 청소 및 교체할 수 있게된다.
한편, 상기 도포롤러(6)와 일정간격이 이격되도록 그 하측에는 지지롤러(10)가 형성된다.
이 지지롤러(10)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같이 도포롤러(6)와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것으로서, 그 사이로 통과하는 대상물이 도포롤러(6)와 일정간극(접착제 도포두께보다 작은 두께)을 가진 상태로 통과하도록 지지해준다.
상기 지지롤러(10)의 외주면에는 일정두께의 실리콘(11)이 도포되어 있는데, 이 실린콘(11)은 통과하는 대상물을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대상물의 표면이 고르지 않더라도 압력조절이 가능한 에어실린더에 이해 항상 일정간격과 압력으로 대상물을 가압하여줌에 따라 대상물이 보다 도포롤러(6)에 밀착되어 접착제의 도포량과 두께가 일정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실리콘(11)이외에도 접착제가 잘 묻지 않으면서도 일정탄성력을 가지는 물질을 지지롤러(10)의 외주면에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펌핑롤러(5)에 의해 펌핑되는 접착제가 완전히 용해되도록 가열해주는 가열수단으로서, 히터(20), 온도센서(21), 방열부(22), 제어부(24)가 구성된다.
상기 히터(20)는 도포롤러(5)의 양측 하우징(10) 내부에 설치되어 제어부(24)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으로 동작하여 발열하는 것이고, 방열부(22)는 유입구(1a)와 펌핑롤러(5)의 주변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히터(20)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가열되어 펌핑롤러(5)로 공급되는 접착제가 완전히 용해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
온도센서(21)는 히터(20)의 발열온도 및 도포롤러(6)에 의해 도포되는 접착제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24)에 공급하며, 상기 제어부(24)는 온도센서(21)에서 공급되는 감지온도에 따라 펄스폭변조된 PWM 제어신호로서 히터(20)를 적절하게 온/오프 제어하여 방열부(22)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대상물에 도포되는 접착제의 온도가 항상 균일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는 탱크(2) 내부에 일정양의 접착제를 투입한다.
접착제는 제 1 튜브(3)를 통해 투입하며, 상기 제 1 튜브(3)를 통해서 접착제가 투입된 후에는 제 2 튜브(4)를 통해 일정온도의 공기와 질소가스를 같이 투입한다.
상기 공기와 질소가스가 혼합된 상태의 가스를 투입하게되면 탱크(2) 내부가 건조상태를 유지하게되므로 탱크(2) 내벽면에 습기가 발생하지 않게된다.
그리고, 조절축(8)을 회전시켜 조절판(7)이 도포롤러(6)와 일정간격(접착제 도포두께)을 유지하도록 셋팅한다.
또한, 제어부(24)가 구동함에 따라 히터(20)가 발열하게되며, 이 히터(20)의 열이 방열부(22)로 전달되면서 유입공(1a)과 탱크(2) 저면에 존재하는 접착제가 완전한 액체로 용해되게 된다.
만약 접착제가 완전히 용해되지 않은 상태로 펌핑롤러(5)에 공급되면 끈적끈적한 상태의 접착제가 롤러(5,6) 사이에 붙어있거나 심할경우 구동용 모터에 침투하게되어 기계가 정지하게되는 심각한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설명과같이 탱크(2) 내부에 일정양의 접착제가 투입되고, 또 방열부(22)에 의해 펌핑롤러(5) 주변의 접착제가 완전히 용해된 상태에서 미도시된 모터를 구동시켜 펌핑롤러(5)를 구동시키고, 또 지지롤러(1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2 와같이 펌핑롤러(5)가 회전(반시계방향)하면서 이와 맞물려있는도포롤러(6)가 반대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펌핑롤러(5)로부터 접착제를 공급받게된다.
이때, 상기 도포롤러(6)와 지지롤러(10)의 사이에 대상물이 통과하게되면, 지지롤러(10)의 실리콘(11)에 의해 탄지된 대상물이 도포롤러(6)와 일정간격을 가진 상태로 통과하게되므로 도포롤러(6)의 표면에 묻어있는 접착제(100)가 대상물의 표면에 도포되는 것이다.
상기 설명과같이 대상물의 표면에 묻게되는 접착제의 두께는 펌핑롤러(5)의 회전속도와 조절판(7)과 도포롤러(6)의 간극에 의해 조절된다.
즉, 펌핑롤러(5)의 회전속도가 빨라지면 그만큼 많은 양의 접착제가 펌핑롤러(5)에 공급됨에 따라 상기 펌핑롤러(5)의 회전속도를 늦추거나 빨라지도록 하므로서 펌핑롤러(5)의 표면에 묻는 접착제의 두께가 조절된다.
또, 대상물에 도포되는 접착제의 두께는 상기 조절판(7)에 의해 조절된다.
즉, 도포롤러(6)가 회전할때 상기 조절판(7)이 도포롤러(6)의 표면에 묻어있는 접착제(100)를 긁어내게 됨에 따라 대상물에 묻게되는 접착제의 두께가 조절되는 것이다.
상기 설명과같이 동작하는 본 고안의 접착제 도포장치를 이용하게되면, 직물이나 합성수지재로서 형성된 생산품에 접착제를 도포하고자 할때 그 접착제 도포작업을 연속적으로 실행할 수 있게되어 그만큼 접착제 도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접착제가 작업자에게 묻지 않게되므로 청결한 작업환경을 유지할 수 있게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일정양의 접착제를 저장하는 탱크를 구비하고, 이 탱크의 하측에는 접착제 도포 대상물에 접착제를 자동 도포하는 복수개의 롤러를 형성하며, 대상물에 도포되는 접착제의 두께를 조절하기위한 조절수단을 구성하며, 또 접착제 공급라인 상에 접착제가 완전히 용해되도록 가열하는 가열수단을 형성하므로서, 일정크기의 직물이나 합성수지 판재에 일정두께의 접착제를 자동으로 도포할 수 있고, 또 탱크 내부로 건조한 상태의 공기 또는 질소를 공급하여 탱크 내부에 습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므로서 탱크 내의 접착제에 습기와 같은 이물질이 섞이지 않도록 하며, 도포되는 접착제가 완전한 용액으로 용해되도록 하여 접착제 도포효율이 향상되도록 한한 접착제 도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2)

  1. 일정양의 접착제를 저장하기 위해 그 내부가 밀폐되도록 하우징(1) 상단에 형성된 플랜지(1b)에 볼트(1c)로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탱크(2)와;
    상기 하우징(1)의 상단 중앙부에 복수개소 형성되는 유입공(1a)과;
    접착제의 주입을 위해 탱크(2) 상단에 형성되는 제 1 튜브(3)와;
    탱크(2) 내부에서의 습기 발생을 억제하기위해 에어드라이어를 통과시켜 건조해진 공기 또는 질소가스를 탱크 내부로 투입할 수 있도록 탱크(2) 상단에 형성되는 제 2 튜브(4)와;
    그 상측이 유입공(1a)과 접하도록 하우징(1)의 내부에 형성되어 일방향으로 회전하며 그 표면에 다수의 홈(5a)이 형성되어 있는 펌핑롤러(5)와;
    상기 하우징(1)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측이 펌핑롤러(5)와 맞물려 회전하면서 그 하측으로 통과하는 대상물에 접착제(100)를 도포하되, 그 표면에는 접착제가 잘묻어나오도록 하기위한 다수의 홈(6a)이 형성되어있는 도포롤러(6)와;
    상기 도포롤러(6)와 대향되는 하측에 설치되고, 도포롤러(6)와의 사이를 통과하는 대상물을 지지해주는 지지롤러(10)와;
    상기 도포롤러(6)의 일측에 형성되고, 조절축(8)의 회전량에 따라 도포롤러(6)와의 간극이 조절되어 대상물에 도포되는 접착제(100)의 두께가 조절되도록 하는 조절판(7)과;
    상기 도포롤러(6)의 타측에 형성되고, 도포롤러(6)와 일정간극을 유지하면서도포롤러(6)와 펌핑롤러(5) 사이에 존재하는 접착제(100)의 역류를 방지하는 스토퍼(9); 로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도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롤러(5)의 양측 하우징(1) 내부에 설치되고 입력전원에 의해 발열하는 히터(20)와;
    상기 히터(20)의 상측에 유입구(1a)와 펌핑롤러(5)의 주변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히터(20)의 열에 의해 가열되어 펌핑롤러(5)로 공급되는 접착제가 완전히 용해되도록 하는 방열부(22)와;
    상기 히터(20)의 발열온도 및 도포롤러(6)를 통해 도포되는 접착제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21)와;
    온도센서(21)에서 감지되는 온도에 따라 PWM변조된 제어신호로서 히터(20)를 온/오프 제어하여 방열부(22)가 과열되지 않도록 하면서 도포롤러(6)를 통해 배출되는 접착제가 항상 균일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제어부(24);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도포장치.
KR2020010014797U 2001-05-21 2001-05-21 접착제 도포장치 KR2002485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797U KR200248597Y1 (ko) 2001-05-21 2001-05-21 접착제 도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797U KR200248597Y1 (ko) 2001-05-21 2001-05-21 접착제 도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8597Y1 true KR200248597Y1 (ko) 2001-10-31

Family

ID=73065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4797U KR200248597Y1 (ko) 2001-05-21 2001-05-21 접착제 도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859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2984B1 (ko) 2004-06-10 2006-06-26 주식회사 온지구 글래스판넬의 프라이머 자동 도포장치
KR100745807B1 (ko) 2006-02-02 2007-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분사재료의 점도유지장치 및 그 방법
KR20150108551A (ko) * 2014-03-18 2015-09-30 조명제 핸디형 핫멜트 도포장치
KR101888633B1 (ko) 2017-08-22 2018-08-16 원재희 전해액 코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2984B1 (ko) 2004-06-10 2006-06-26 주식회사 온지구 글래스판넬의 프라이머 자동 도포장치
KR100745807B1 (ko) 2006-02-02 2007-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분사재료의 점도유지장치 및 그 방법
KR20150108551A (ko) * 2014-03-18 2015-09-30 조명제 핸디형 핫멜트 도포장치
KR101600802B1 (ko) 2014-03-18 2016-03-08 조명제 핸디형 핫멜트 도포장치
KR101888633B1 (ko) 2017-08-22 2018-08-16 원재희 전해액 코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42951A1 (en) Dryer using high frequency vibration
KR200248597Y1 (ko) 접착제 도포장치
ATE544899T1 (de) Trockner mit trockensequenz unter verwendung eines additifs
EP0793259A3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ying substrates
BRPI0808627A2 (pt) Método para aplicação de adesivo em pó termoplástico sobre uma superficia de objeto não metálico e sistema para aplicação de adesivo em pó termoplastico sobre superficie de um objeto não metálico
RU2608706C2 (ru) Устройство флексографской печати полотна упаковочного материала
JP2001110712A5 (ko)
JP2017205588A (ja) 乾燥機
KR100324699B1 (ko) 플렉시블 로울러를 이용한 자유형상 소재의 표면 본드도포장치
CN202986182U (zh) 一种鞋盒面纸涂胶装置
KR102297198B1 (ko) 고점도 물질 공급 및 건조장치
CN111822243B (zh) 一种自动化涂胶机系统
US4633976A (en) Method of controlling lubricating-oil quantity for internal mixer
KR200250877Y1 (ko) 정제 코팅장치
KR20030006690A (ko) 정제 코팅장치
KR101431440B1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JP3963126B2 (ja) 液体原料の凍結機構を具えた真空乾燥機
KR200337821Y1 (ko) 접착제 도포기의 롤러
JPH10309307A (ja) タブレットコーティング装置
JPH1137648A (ja) 水分乾燥装置
KR20090000913U (ko) 두 대이상의 효과를발휘하는 볍씨및종자발아기
KR101408842B1 (ko) 열전사 인쇄 장치
KR100702992B1 (ko) 건조기의 제어방법
JP3683655B2 (ja) 接合媒体塗布装置
KR102210557B1 (ko) 응축수 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1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