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0802B1 - 핸디형 핫멜트 도포장치 - Google Patents

핸디형 핫멜트 도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0802B1
KR101600802B1 KR1020140031476A KR20140031476A KR101600802B1 KR 101600802 B1 KR101600802 B1 KR 101600802B1 KR 1020140031476 A KR1020140031476 A KR 1020140031476A KR 20140031476 A KR20140031476 A KR 20140031476A KR 101600802 B1 KR101600802 B1 KR 101600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tank
tank
hot melt
roller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1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8551A (ko
Inventor
조명제
Original Assignee
조명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명제 filed Critical 조명제
Priority to KR1020140031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0802B1/ko
Publication of KR20150108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8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0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0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2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 B05C17/025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with self-contained reservoir or container for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located inside the coating 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1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9/00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 B05C9/08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 B05C9/14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the auxiliary operation involving heating or cooling

Abstract

본 발명은 핸디형 핫멜트 도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핸디형 핫멜트 도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탱크커버(110)와, 이 탱크커버(110) 내부에 결합 배치되어 핫멜트를 수용 가열하는 내부탱크(120)와, 상기 탱크커버(110) 일측으로 돌출 구비되어 외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182)이 배선된 손잡이부(130)와, 상기 내부탱크(120)에 수용되는 핫멜트(190)를 가열하여 용융시키는 전열히터(170)와, 상기 내부탱크(120)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71)와, 상기 내부탱크(120)의 저면에 체결 조립되어 내부탱크(120)와 연통되는 토출통로(121)를 통해 핫멜트(190)를 공급받아 피도포물에 도포하는 도포수단(150)을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부(130) 내부에는 전열히터(170)와 온도센서(171)를 제어할 수 있는 PLC 프로그램이 내장된 PLC기판(180)이 마련되고, 상기 전열히터(170)가 내부탱크(120)의 하단 쪽 일측면에 형성된 히터삽입공(122)에 삽입 배치되며, 상기 전열히터(170)의 일측인 내부탱크(120) 하단면 부위에 온도센서(171)가 내장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갖는다.

Description

핸디형 핫멜트 도포장치{Handy type hot melt dispenser}
본 발명은 핸디형 핫멜트 도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 등록된 등록특허공보 제1361014호에 개시된 핸디형 핫멜트 도포장치를 보완 개선함으로써, 내부탱크 내에서 핫멜트 용융에 따른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고, 내부탱크의 상단 개구면을 뚜껑체로 밀봉하여 핫멜트가 넘쳐 흐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용도에 따라 도포롤러를 볼 타입으로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 핸디형 핫멜트 도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가방, 지갑, 신발과 같은 피혁, 직물, 합성수지 제품을 생산할 때 그 제품의 특정부위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부착하는 공정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상기와 같이 제품 생산과정에서 접착제를 도포하여 부착하는 공정이 있을 때 핫멜트와 같은 가열에 의해 용융되는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도록 작고 무게가 가볍게 제작되어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롤러 구동을 통해 핫멜트를 피도포물에 도포할 수 있도록 된 핸디형 핫멜트 도포장치가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 출원되어 최근 특허 등록을 받은 바 있다.
즉,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 등록된 등록특허공보 제1361014호(2014.2.11. 공고)에 개시된 핸디형 핫멜트 도포장치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록특허공보 제1361014호에 개시된 핸디형 핫멜트 도포장치는, 상단면 일측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 개폐구(13)를 갖추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구비된 탱크커버(10)로 외관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탱크몸체(10) 후방 일측으로 길게 돌출되어 작업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구비됨과 동시에 그 내측면으로 탱크몸체(10) 내부와 외부 전원을 연결할 수 있는 전원코드선(18)이 배선된 손잡이부(11)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상기 탱크몸체(10) 내부에는 개폐구(13)를 통해 수용되는 고형 핫멜트(35)를 가열 용융시켜 저장한 상태에서 저면 일측에 형성된 토출공(26)을 통해 액상의 핫멜트를 공급하는 내부탱크(12)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내부탱크(12)의 내부 일측에는 고형 핫멜트(35)를 급속 가열하여 용융시키는 전열히터(31)와 가열판(32)으로 이루어진 가열수단(30)이 배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내부탱크(12) 일측에는 내부탱크(12)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범위에서 과부하되지 않게 감지하는 자동 과부하센서(36)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탱크몸체(10)의 저면 선단 부위에는 체결부(16)에 체결 조립되어 내부탱크(12)와 연통되는 토출공(26)을 통해 액상의 핫멜트를 공급받아 피도포물(50)에 핫멜트를 도포할 수 있는 도포롤러(21)를 갖는 핫멜트도포수단(20)이 결합되게 되며, 상기 내부탱크(12)와 핫멜트도포수단(20)의 연계 부위인 탱크몸체(10)의 저면 선단 내측 부위에는 발열히터(37)가 삽입 설치되는 구성을 갖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핸디형 핫멜트 도포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짧은 예열 시간으로 핫멜트를 내부탱크(12) 내부에서 용융할 수 있고, 핫멜트를 급속 가열하는 히터 외에도 발열히터(37)를 구비하여 롤러의 온도가 항상 120℃를 보온 유지할 수 있게 하여 도포 작업 중 핫멜트가 경화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탱크 내부 온도가 100℃ 수준에 유지할 수 있게 과부하를 자동 감지할 센서를 구비하여 별도의 온도계를 구비하지 않아도 탱크 내부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 용도에 따라 핫멜트 도포용 롤러를 쉽게 교체할 수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 도포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핸디형 핫멜트 도포장치를 실제품으로 제조하여 핫멜트를 가열하여 용융 도포할 때, 제품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과정에서 바이메탈 원리를 이용한 온도 감지기능을 수행하는 자동 과부하센서(36)가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즉, 상기 자동 과부하센서(36)의 바이메탈 기능이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면서 온도가 균일하지 못하거나 심한 경우에는 내부탱크(12)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으로 올라가게 되면서 핫멜트가 타는 현상이 나타나 제품의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단점이 노출되었다.
또한, 상기 내부탱크(12) 내의 핫멜트가 용융된 상태에서 핸디형 핫멜트 도포장치(1)를 사용하거나 이동 및 보관 중 일측으로 과도하게 기울이거나 부주의하게 취급하는 경우, 상기 내부탱크(12)의 상단면이 개구된 상태에서 밀폐되어 있는 않은 관계로, 액상의 핫멜트가 내부탱크(12)의 상단 개구부위로 흘러나오는 단점이 노출되었다.
그리고, 상기 핫멜트를 도포하는 수단이 도포롤러(21)로 이루어져 있어 도포롤러(21)를 사용하는 데 어려운 부위나 작업방식이 도포롤러(21)로 수행하기 까다로운 경우에는 핫멜트를 도포할 수 없어 사용에 제약이 따른다는 단점이 노출되었다.
또, 상기 내부탱크(12)에 전열히터(31)와 가열판(32)으로 이루어진 가열수단(30)을 배치하고 있어 내부탱크(12)의 핫멜트(35) 수용 용량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조립 공정 상에서 내부탱크(12) 내의 가열수단(30)을 체결구(34)로 조립하고 외부 전원을 연결 조립하는 작업이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61014호(2014.2.11. 공고, 명칭: 핸디형 핫멜트 도포장치)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 등록된 등록특허공보 제1361014호에 개시된 핸디형 핫멜트 도포장치의 문제점을 보완 개선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연구 개발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탱크 내에서 핫멜트 용융에 따른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고, 내부탱크의 상단 개구면을 뚜껑체로 밀봉하여 핫멜트가 넘쳐 흐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용도에 따라 도포롤러를 볼 타입으로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 핸디형 핫멜트 도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 제품에서 내부탱크에 가열판과 전열히터로 이루어진 가열수단을 배치하던 것을 없애고, 내부탱크의 저면에 카트리지형 전열히터를 배치하여 내부탱크의 자체 가열을 통해 핫멜트를 용융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기존과 동일한 체적을 갖는 내부탱크 내의 핫멜트 수용 용량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부품의 간소화 및 기존에 비해 상대적으로 조립 공정을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게 변경한 핸디형 핫멜트 도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탱크커버와, 이 탱크커버 내부에 결합 배치되어 핫멜트를 수용 가열하는 내부탱크와, 상기 탱크커버 일측으로 돌출 구비되어 외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이 배선된 손잡이부와, 상기 내부탱크에 수용되는 핫멜트를 가열하여 용융시키는 전열히터와, 상기 내부탱크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내부탱크의 저면에 체결 조립되어 내부탱크와 연통되는 토출통로를 통해 핫멜트를 공급받아 피도포물에 도포하는 도포수단을 포함하는 핸디형 핫멜트 도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 내부에는 전열히터와 온도센서를 제어할 수 있는 PLC 프로그램이 내장된 PLC기판이 마련되고, 상기 전열히터가 내부탱크의 하단쪽 일측면에 형성된 히터삽입공에 삽입 배치되며, 상기 전열히터의 일측인 내부탱크 하단면 부위에 온도센서가 내장 배치되는 핸디형 핫멜트 도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특징으로 갖는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내부탱크의 저면에는 롤러 회동을 통해 핫멜트를 도포하는 도포롤러를 갖는 롤러 타입의 도포수단이나, 볼 회동을 통해 핫멜트를 도포하는 도포볼을 갖는 볼 타입의 도포수단 중 어느 하나를 교체 조립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롤러 타입의 도포수단은, 내부탱크 저면에 조립 결합하기 위한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탱크와 연통되게 이어지는 통로인 토출통로를 갖춘 양쪽으로 분할되는 롤러하우징과, 상기 롤러하우징에 각각 일체로 형성된 롤러고정판 상의 조립공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롤러조립핀으로 조립 고정되는 도포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볼 타입의 도포수단은, 내부탱크의 저면에 조립 결합하기 위한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탱크와 연통되게 이어지는 통로인 토출통로를 갖춘 볼하우징과, 이 볼하우징의 외주면에 체결 조립되는 선단이 개구된 볼캡과, 상기 볼캡의 내부에 삽입되어 볼캡의 선단 개구 부위에 안착되는 도포볼과, 상기 볼하우징의 저면에 형성된 스프링안착부와 도포볼 사이에서 배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손잡이부의 내부에 전열히터와 온도센서를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PLC 프로그램이 내장된 PLC기판을 구비함으로써, 내부탱크 내에서 핫멜트 용융에 따른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탱크의 상단 개구면을 뚜껑체로 밀봉하여 핫멜트가 넘쳐 흐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핫멜트형 접착제가 도포수단 쪽으로만 흘러내려 도포됨에 따라 작업자 및 제품의 불필요한 부위에 묻지 않게 되므로 청결한 작업환경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제품에서 내부탱크에 가열판과 전열히터로 이루어진 가열수단을 배치하던 것을 없애고, 내부탱크의 저면에 카트리지형 전열히터를 배치하여 내부탱크의 자체 가열을 통해 핫멜트를 용융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기존과 동일한 체적을 갖는 내부탱크 내의 핫멜트 수용 용량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부품의 간소화 및 기존에 비해 상대적으로 조립 공정을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 특성에 따라 롤러 타입이나 볼 타입의 도포수단을 선택적으로 조립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 상대적으로 접착제 도포 작업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접착제를 도포하는 다양한 분야에서 범용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등록특허공보 제1361014호에 개시된 핸디형 핫멜트 도포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종래 등록특허공보 제1361014호에 개시된 핸디형 핫멜트 도포장치의 구성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핸디형 핫멜트 도포장치가 받침대 상에 안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핸디형 핫멜트 도포장치의 구성 상태를 보여주는 받침대 상에 안착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핸디형 핫멜트 도포장치의 구성 상태를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핸디형 핫멜트 도포장치에서 롤러 타입을 갖는 도포수단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핸디형 핫멜트 도포장치에서 손잡이부에 설치된 PLC기판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볼 타입을 갖는 도포수단을 보여주는 핸디형 핫멜트 도포장치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볼 타입을 갖는 도포수단을 보여주는 핸디형 핫멜트 도포장치의 정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핸디형 핫멜트 도포장치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될 수 있으며, 도면에 병기된 도면부호에 따라 부여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핸디형 핫멜트 도포장치(100)는, 종래 등록특허공보 제1361014호(2014.2.11. 공고)에 개시된 핸디형 핫멜트 도포장치를 개량한 것으로써, 그 구성을 크게 구분하여 살펴보면, 고형의 핫멜트(190)를 수용하여 가열 용융할 수 있는 수용공간으로써 내부탱크(120)와, 이 내부탱크(120)를 감싸고 외관을 형성하는 탱크커버(110)와, 작업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게 탱크커버(110)의 일측에 돌출 결합된 손잡이부(130)와, 상기 내부탱크(120)로부터 공급되는 액상의 핫멜트를 도포할 수 있게 내부탱크(120)의 저면 부위에 체결 조립되는 도포수단(150)과, 상기 핫멜트(190)를 가열하여 급속으로 용융시킬 수 있게 내부탱크(12)의 하단 부위에 설치된 전열히터(170)와, 상기 내부탱크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71)와, 상기 전열히터(170) 및 온도센서(171)를 제어하기 위한 손잡이부(130)에 배치되는 PLC기판(18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탱크커버(110)는 전체적인 제품의 외관을 형성하는 수용체로써, 판상의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입체형으로 수용틀을 형성하고 있고, 측면에서 바라볼 때, 사각 구조를 갖는 플레이트의 하단 일측 모서리 부위를 경사지게 절개한 구조를 취함으로써 대략 오각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상단면과 전방 및 후방은 대략 사각 구조를 갖는 입체형 구조를 갖고 있다.
물론, 상기 탱크커버(110)는 핫멜트형 접착제를 수용하는 내부탱크(120)를 장착하기 위한 수용틀로써, 그 형상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 부분이고, 상기 탱크커버(110)의 상, 하단면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어, 이 개구부를 통해 내부탱크(120)가 삽입 수용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기 탱크커버(110) 내에 수용된 내부탱크(120)의 상단면은 탱크커버(110)의 상단면과 거의 동일평면 상에 위치하게 되며, 내부탱크(120)의 하단면(혹은 저면)은 탱크커버(110)의 하단 부위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를 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탱크커버(110)와 내부탱크(120)는 탱크커버(110)의 양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나사체결공(112)을 통해 상호 나사 체결됨으로써, 탱크커버(110)와 내부탱크(120)가 상호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상기 탱크커버(110)의 양측면에는 고온 가열되는 내부탱크(120)와의 사이에 공기 순환을 위한 슬릿 형태의 통기공(1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부탱크(120)는 고형의 핫멜트(190)를 수용하여 가열 용융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부위로써, 탱크커버(110) 내부에 수용되어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의 수용공간을 갖고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부탱크(120)의 수용공간은 대략 40그램(g)정도의 핫멜트(190)를 수용하여 액상의 핫멜트로 가열 용융시킬 수 있는 비교적 작은 용량을 갖고 있으나, 수용 용량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내부탱크(120)에 수용되는 접착제로는 핫멜트(190)가 적당하다.
상기 핫멜트(190)는 상온에서는 고체로 있기 때문에 이를 접착제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내부탱크(120)의 온도를 핫멜트를 용융시킬 수 있는 수준으로 유지해 주어야 한다.
특히, 상기 핫멜트(190)는 그 종류가 사용용도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알려져 있는바, 통상 60∼70℃의 저온에서 용융되는 종류와, 100℃ 이상의 중온에서 용융되는 종류와, 200℃ 이상의 고온에서 용융되는 종류 등 다양한 핫멜트형 접착제가 용도별로 현재 시판되고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상기 핫멜트(190)로써, 현재 시중에서 필로(pillow)라는 상표명으로 20그램(g)정도의 크기로 판매되고 있는 핫멜트형 접착제를 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고, 이 필로(pillow)라는 상표명으로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핫멜트(190)는 70℃ 정도의 저온에서 용융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내부탱크(12)에 20그램(g)짜리 2개의 핫멜트(19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고 있다.
물론, 상기 내부탱크(120)의 용량은 제조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당연하나, 본 발명의 핸디형 핫멜트 도포장치(100)의 경우,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핫멜트형 접착제를 도포하기 위한 장비인 관계로, 대체적으로 작고 무게가 가볍도록 설계 방향을 잡고 있어, 전반적으로 내부탱크(120)의 수용 용량을 작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내부탱크(120)의 하단면에는 히터삽입공(122)이 형성 구비되고, 이 히터삽입공(122)에는 내부탱크(120)에 수용된 고형의 핫멜트(190)를 가열하여 액상의 핫멜트로 용융시킬 수 있는 전열히터(170)가 삽입 장착되게 된다.
즉, 상기 전열히터(170)는 상온에서 유동성이 떨어지는 핫멜트형 접착제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핫멜트형 접착제를 가열하여 용융시켜 줌으로써 핫멜트(190)의 유동성을 높여주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카트리지형 전열히터를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전열히터(170)는 내부탱크(120) 자체를 가열하여 내부탱크(120)에 수용된 고형 핫멜트(190)를 빠른 예열시간 동안에 가열 용융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는바, 즉, 220V의 가정용 전원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70W급 전열히터(170)를 사용하고 있다.
물론, 상기 전열히터(170)은 전원선(182)을 통해 전원공급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음은 당연하다.
이렇게 설치된 전열히터(170)는 내부탱크(120) 내부로 발열을 넓고 고르게 전달하도록 내부탱크(120) 하단 부위에 설치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고형의 핫멜트(190)를 빠르게 용융시킬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경우에는 전원 공급 후 12분 정도의 짧은 예열시간 내에 고형 핫멜트(190)를 용융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핫멜트(190)의 용융온도에 빠르게 도달할 수 있는 150℃ ~ 170℃까지 온도 조절이 가능한 규격의 전열히터를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70℃정도 저온의 용융온도를 갖는 핫멜트(190)를 사용하는 경우, 내부탱크(120)의 내부온도는 100℃정도로 유지하여 주는 것이 좋다.
이처럼, 상기 내부탱크(120)의 내부온도를 핫멜트(190)를 용융시킨 상태로 일정한 온도수준을 유지하기 위하여 내부탱크(120)의 하단면 일측 부위에 온도센서(171)를 장착 구비하고 있다.
상기 온도센서(171)에서 감지된 내부탱크(120)의 온도는 후술하는 PLC기판(180)의 제어프로그램에 의해 기 설정된 온도로 제어되면서 온도 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처럼, 상기 온도센서(171)는 내부탱크(120)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액상의 핫멜트(190) 온도가 과부하되어 타는 것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경우 내부탱크(120)의 온도가 100℃에 도달하게 되면, 온도센서(171)가 이를 감지하고, 이 온도 감지신호에 따라 PLC기판(180)에서 제어프로그램에 의해 전열히터(170)에 인가되는 전원을 강제로 차단함으로써, 더 이상 가열되지 못하도록 전열히터(170)의 작동을 원천적으로 막아주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내부탱크(120)의 온도가 100℃ 미만인 경우에는 자연스럽게 전열히터(170)에 전원이 인가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탱크(120)의 바닥면에는 토출통로(121)가 형성되어 있다. 이 토출통로(121)는 내부탱크(120) 내부에 있는 액상의 핫멜트(190)가 유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토출통로(121)는 후술하는 도포수단(150)의 도포롤러(153)까지 이어지게 된다.
상기 도포수단(150)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하고, 내부탱크(120)의 개구면을 밀봉하는 뚜껑체(140)에 대해서 먼저 살펴보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탱크(120)의 상단 개구면은 뚜껑체(140)에 의해 밀봉되게 된다.
상기 뚜껑체는 내부탱크(120)의 상단 개구면을 밀봉하여 액상의 핫멜트(190)가 개구면을 통해 외부로 흘러나오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뚜껑체(140)는 내부탱크(120)의 상단 개구면에 밀착 삽입되는 오링 구조의 팩킹부(143)를 갖춘 밀폐뚜껑부(141)와, 이 밀폐뚜껑부(141)에 결합되어 밀폐뚜껑부(141)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사용자가 잡고 조작할 수 있는 뚜껑노브(142)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핸드형 핫멜트 도포장치(100)는,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접착제 도포작업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탱크커버(110) 일측으로 길게 돌출되는 손잡이부(130)를 갖추고 있다.
상기 손잡이부(130)는 탱크커버(110)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매우 좁은 폭을 가지고 작업자가 편안하게 잡을 수 있는 충분한 길이로 형성되어 있고, 이 손잡이부(130)의 내측면으로는 탱크커버(110) 내부의 내부탱크(120)에 배치되는 전열히터(170) 및 온도센서(171)와 외부 전원을 연결할 수 있는 전원선(182)이 배선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선(182)이 배선된 손잡이부(130)의 상단면 상에는 핸드형 핫멜트 도포장치(100)에서 전열히터(170)의 작동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엘이디(LED)를 이용한 작동램프(13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130)의 작동램프(133) 일측에는 전원의 인가 상태를 온(ON)/오프(OFF)할 수 있는 전원스위치(132)가 마련되어 있다.
즉, 작업자가 전원스위치(132)의 온/오프 조작을 통해서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원 공급을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130) 내에는 소프트웨어적인 프로그램에 의해 전원 공급제어 및 온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PLC기판(180)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PLC기판(180)은 프로세서를 제어하는 프로그램 가능한 메모리를 사용하고 제어 회로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하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프로그램이 내장된 것으로써, 전원 공급 제어 및 온도 제어를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전열히터(170) 및 온도센서(171)와 각각 회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PLC기판(180) 상에는 사용자가 간편하게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온도컨트롤나사(181)가 구비되어 있고, PLC기판(180)에는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될 수 있게 전원선(182)이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PLC기판(180)은 손잡이부(130)의 일측 손잡이커버(131)를 개방한 상태에서 손잡이부(130) 내에 장착되게 되고, 손잡이부(130)내에 설치된 PLC기판(180)에 외부의 전원선(182)이 연결됨과 아울러, 회로적으로 전원스위치(132), 작동램프(133), 전열히터(170), 온도센서(171)가 PLC기판(180)과 연결되게 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130)내에 PLC기판(180)이 설치된 상태에서 손잡이커버(131)를 체결보스와 나사체결공(134)을 맞물려 체결나사(136)로 조립 장착하게 되면, PLC기판(180) 상에 구비된 온도컨트롤나사(181)가 손잡이커버(131)에 형성된 컨트롤나사조절공(135)과 일직선상에 놓이게 되고, 상기 온도컨트롤나사(181)는 손잡이커버(131)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컨트롤나사조절공(135)의 안쪽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온도 조절을 하고자 할 때에는 컨트롤나사조절공(135)에 별도의 공구를 끼워서 온도컨트롤나사(181)를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손잡이부(130)를 잡고 도포장치(100)를 사용 중에는 온도컨트롤나사(181)가 외부 접촉에 의해 임의로 조작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도포수단(150)은 내부탱크(120)의 저면에 체결 조립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면이 내부탱크(120)의 토출통로(121)와 연통되도록 조립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포수단(150)은 도포롤러(153)를 갖는 롤러 타입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 타입의 도포수단(150)은 내부탱크(120) 저면상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어 내부탱크(120)와 이어지는 통로인 토출통로(121)를 갖춘 양쪽으로 분할되는 롤러하우징(151,152)과, 상기 롤러하우징(151,152)의 조립공(155a)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조립 고정되는 도포롤러(153)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양쪽으로 분할되는 롤러하우징(151,152)의 상단면에는 외측방향으로 연장 절곡된 구조의 플랜지부(151a,152a)가 각각 형성 구비되어 있고, 이 각각의 플랜지부(151a,152a) 상에는 체결공(156a)이 각각 형성 구비됨으로써, 상기 롤러하우징(151,152)의 플랜지부(151a,152a)가 내부탱크(120)의 저면에 맞접된 상태에서 체결볼트(156)가 체결공(156a)에 삽입 결합됨에 따라 롤러하우징(151,152)이 내부탱크(120)의 저면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 결합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양쪽으로 분할되는 롤러하우징(151,152) 중 일측의 롤러하우징(151)은 플랜지부(151a)를 기준으로 하향 수직하게 형성된 롤러고정판(151b)을 갖춘 격자형 구조를 취하고 있고, 이 롤러고정판(151b) 상에는 타측 롤러하우징(152)과 체결나사(157)에 의해 체결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의 나사체결공(157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나사체결공(157a)의 밑으로 도포롤러(153)를 조립할 수 있는 조립공(155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반대편 롤러하우징(152)은 도포롤러(153)의 상단면과 연접될 수 있는 통로몸체(152c)가 플랜지부(152a)와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이 통로몸체(152c)의 일측으로 플랜지부(152a)를 기준으로 하향 수직하게 형성된 롤러고정판(152b)을 갖춘 격자형 구조를 취하고 있다.
상기 롤러하우징(152)의 통로몸체(152c) 상에는 내부탱크(120)의 토출통로(121)와 대향되게 맞물려 연통되는 토출통로(121)가 형성되어 있고, 통로몸체(152c)의 측면에는 반대쪽 롤러하우징(151)의 나사체결공(157a)과 대향되게 형성된 나사체결공(157b)이 형성되어 있으며, 롤러고정판(152a)에는 도포롤러(153)를 조립 고정하기 위한 조립공(155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양쪽으로 분할된 롤러하우징(151,152)이 체결나사(157)를 통해 일체화된 롤러하우징(151,152)으로 결합되게 되고, 이렇게 결합된 롤러하우징(151,152)의 롤러고정판(151a,152a) 사이에 도포롤러(153)가 배치되어 장착되게 된다.
이때, 상기 도포롤러(153)는 롤러하우징(151,152)의 롤러고정판(151a,152a) 사이에서 롤러조립핀(155)과 베어링(154)에 의해 원할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조립공(155a)을 통해 조립 결합되게 되는바, 상기 베어링(154)은 도포롤러(153)의 중심에 배치되고, 롤러조립핀(155)이 베어링(154)을 관통하는 구조로 조립공(155a) 사이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도포롤러(153)가 롤러하우징(152)의 통로몸체(152c) 하방에 연접되는 형태로 장착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조립된 도포수단(150)은 체결볼트(156)를 통해 내부탱크(120)의 저면에 장착됨으로써, 내부탱크(120)의 토출통로(121)가 통로몸체(152c)의 토출통로(121)까지 연속적으로 이어지게 되고, 내부탱크(120)내의 핫멜트(190)가 토출통로(121)를 통해 흘러 내려와 도포롤러(153)의 도포면(혹은 구동면)에 공급되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도포롤러(153)의 폭은 작업용도에 맞춰 다양하게 설계 제조되어 롤러하우징(151,152) 상에 각각 조립됨으로써, 다양한 규격의 도포수단(150)이 준비되게 된다.
이렇게 준비된 다양한 규격의 도포수단(150)은 작업용도에 맞춰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내부탱크(120)의 저면 상에 교체 조립되어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경우, 상기 도포롤러(153)의 폭이 3mm, 5mm, 7mm, 9mm 등으로 설계 제조됨으로써, 작업용도에 따라 교체 사용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포수단(150)을 볼 타입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롤러 타입의 도포수단(150)은 도포롤러(153)의 회전을 통해 피도포물에 핫멜트(190)를 도포하게 되는바, 도포롤러(153)가 회동하는 데 제약이 따르는 제품이나, 기타 도포롤러(153)를 사용하기 까다로운 부위에는 볼 타입의 도포수단(150)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볼 타입의 도포수단(150)을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 볼 타입의 도포수단(150)은, 내부탱크(120)의 저면에 조립 결합하기 위한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탱크(120)와 연통되게 이어지는 통로인 토출통로(121)를 갖춘 볼하우징(160)과, 이 볼하우징(160)의 외주면에 체결 조립되는 선단이 개구된 볼캡(161)과, 상기 볼캡(161)의 내부에 삽입되어 볼캡(161)의 선단 개구 부위에 안착되는 도포볼(163)과, 상기 볼하우징(160)의 저면에 형성된 스프링안착부(164)와 도포볼(163) 사이에서 배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162)를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볼하우징(160)은 플랜지부로 둘러쌓인 원통형 구조를 가지고 있고, 상기 볼하우징(160)의 플랜지부에 체결볼트(165)를 관통 체결하여 내부탱크(120)의 저면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볼캡(161)은 볼하우징(160)의 외주면에 나사방식으로 체결 조립되면서 선단이 개구된 컵 구조를 갖고 있으며, 상기 볼캡(161)의 선단 개구부위에 안착 배치되는 도포볼(163)의 일부 표면이 외측으로 노출됨으로써, 도포볼(163)과 피도포물이 서로 접촉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부재(162)는 볼하우징(160)의 저면에 형성된 스프링안착부(164)와 도포볼(163) 사이에 위치하면서 도포볼(163)을 밀어주는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도포볼(163)이 피도포물에 핫멜트(190)를 도포하는 과정에서 도포볼(163)이 볼캡(161)의 개구된 선단 내부로 완전히 밀려 들어가지 않고 지속적으로 피도포물과 접촉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핸디형 핫멜트 도포장치(100)는 구조적 특징으로 인해서 별도의 받침대(200)를 통해서 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대(200)는 탱크커버(110)의 전면 형상과 후방 형상에 대응되게 전면거치턱(201)과 후면거치턱(202)이 형성된 격자형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 전면거치턱(201)은 도포수단(150)의 앞쪽인 도포장치(100) 저면을 받쳐주게 되고, 후면거치턱(202)은 탱크커버(110)의 후방 쪽에 형성된 받침대걸림턱(111)에 끼움 삽입되는 형태로 받쳐주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별도의 받침대(200)는 핸디형 핫멜트 도포장치(100)를 사용하지 않거나 사용 중에 잠시 놓아두고자 할 때 사용하게 되는바, 도포장치(100)를 별도의 받침대(200)를 이용하여 받쳐두게 되면, 도포롤러(153)에 묻어 있는 핫멜트(190)가 불필요한 곳에 묻어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핸디형 핫멜트 도포장치(100)를 이용한 작업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는 내부탱크(120) 상단의 뚜껑체(140)를 개방하여 일정량(예를 들어 20그램(g)짜리 2개의 고형 핫멜트)의 고형 핫멜트(190)를 내부탱크(120)에 투입한다.
그리고, 상기 뚜껑체(140)를 통해 내부탱크(120)의 상단 개구면을 완전히 밀폐 상태로 잠근 다음, 상기 내부탱크(120) 하단의 전열히터(170)을 통해서 수용된 고형 핫멜트(190)를 용융시키는 예열시간을 진행하게 된다. 이때, 핫멜트(190)의 가열온도는 100℃ 정도까지 도달하도록 유지하는 것이 적당하다.
이렇게 상기 전열히터(170)에 전원을 공급하여 발열하게 함으로써, 급속 가열을 통해 짧은 예열 시간(예를 들어, 12분정도)만에 고형 핫멜트(190)가 완전한 액체 상태로 용융되도록 한다.
만약, 상기 핫멜트(190)가 완전히 용융되지 않은 상태로 내부탱크(120)의 토출통로(121)으로 토출되면, 끈적끈적한 상태의 핫멜트(190)가 토출통로(121) 상에 들러붙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충분하게 핫멜트(190)를 액체 상태로 용융시킬 필요가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핸디형 핫멜트 도포장치(100)의 경우, 핫멜트의 용융온도가 일정 이상(예를 들어, 100℃)이 되면, 내부탱크(120)의 일측에 부착되어 있는 온도센서(171)가 이를 감지하여 전열히터(17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또, 상기 내부탱크(170)의 온도(즉, 핫멜트의 용융온도)가 일정온도 이하로 떨어지면, 자동으로 전열히터(170)에 전원이 인가될 수 있는 상태로 PLC기판(180)의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핫멜트는 정해진 온도 범위에서 안정적으로 액상 상태를 유지하면서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용융된 상태의 핫멜트(190)가 내부탱크(120)에 형성되어 있는 토출통로(121)를 통해 도포수단(150)의 도포롤러(153) 쪽으로 흘러내려 가게 된다.
이렇게 흘러내린 핫멜트(190)가 도포롤러(153)의 구동면을 타고 흘러내리게 되면, 도포롤러(153)가 피도포물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핫멜트(190)의 도포작업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본 발명의 핸디형 핫멜트 도포장치(100)를 이용하게 되면, 직물이나 합성수지재로서 형성된 생산품에 접착제를 도포하고자 할 때, 그 접착제 도포작업을 연속적으로 실행할 수 있게 되어 그만큼 접착제 도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접착제가 작업자에게 묻지 않게 되므로 청결한 작업환경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핸디형 핫멜트 도포장치(100)는 위에서 예를 들어 설명한 분야 외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분야에는 어떠한 분야에서도 이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가 있고,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가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00 : 도포장치 110 : 탱크커버
111 : 받침대걸림턱 112, 134 : 나사체결공
120 : 내부탱크 121 : 토출통로
122 : 히터삽입공 130 : 손잡이부
131 : 손잡이커버 132 : 전원스위치
133 : 작동램프 135 : 컨트롤나사조절공
140 : 뚜껑체 141 : 밀폐뚜껑부
142 : 뚜껑노브 143 : 팩킹부
150 : 도포수단 151, 152 : 롤러하우징
153 : 도포롤러 154 : 베어링
155 : 롤러조립핀 156, 165 : 체결볼트
160 : 볼하우징 161 : 볼캡
162 : 스프링부재 163 : 도포볼
164 : 스프링안착부 170 : 전열히터
171 : 온도센서 180 : PLC기판
181 : 온도컨트롤나사 182 : 전원선
190 : 핫멜트 200 : 받침대
201 : 전면거치턱 202 : 후방거치턱

Claims (4)

  1. 외관을 형성하는 탱크커버(110)와, 이 탱크커버(110) 내부에 결합 배치되어 핫멜트를 수용 가열하는 내부탱크(120)와, 상기 탱크커버(110) 일측으로 돌출 구비되어 외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182)이 배선된 손잡이부(130)와, 상기 내부탱크(120)에 수용되는 핫멜트(190)를 가열하여 용융시키는 전열히터(170)와, 상기 내부탱크(120)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71)와, 상기 내부탱크(120)의 저면에 체결 조립되어 내부탱크(120)와 연통되는 토출통로(121)를 통해 핫멜트(190)를 공급받아 피도포물에 도포하는 도포수단(150)을 포함하는 핸디형 핫멜트 도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130) 내부에는 전열히터(170)와 온도센서(171)를 제어할 수 있는 PLC 프로그램이 내장된 PLC기판(180)이 마련되고, 상기 PLC기판(180) 상에는 온도컨트롤나사(181)가 구비되며, 상기 온도컨트롤나사(181)은 손잡이커버(131)에 형성된 컨트롤나사조절공(135)과 일직선상에 놓이게 되면서 손잡이커버(131)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컨트롤나사조절공(135)의 안쪽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전열히터(170)가 내부탱크(120)의 하단 쪽 일측면에 형성된 히터삽입공(122)에 삽입 배치되며, 상기 전열히터(170)의 일측인 내부탱크(120) 하단면 부위에 온도센서(171)가 내장 배치되고, 상기 내부탱크(120)의 저면에는 롤러 회동을 통해 핫멜트(190)를 도포하는 도포롤러(153)를 갖는 롤러 타입의 도포수단(150)이나, 볼 회동을 통해 핫멜트(190)를 도포하는 도포볼(163)을 갖는 볼 타입의 도포수단(150) 중 어느 하나를 교체 조립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디형 핫멜트 도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타입의 도포수단(150)은, 내부탱크(120) 저면에 조립 결합하기 위한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탱크(120)와 연통되게 이어지는 통로인 토출통로(121)를 갖춘 양쪽으로 분할되는 롤러하우징(151,152)과, 상기 롤러하우징(151,152)에 각각 일체로 형성된 롤러고정판(151a,152a)상의 조립공(155a)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롤러조립핀(155)으로 조립 고정되는 도포롤러(1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디형 핫멜트 도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 타입의 도포수단(150)은, 내부탱크(120)의 저면에 조립 결합하기 위한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탱크(120)와 연통되게 이어지는 통로인 토출통로(121)를 갖춘 볼하우징(160)과, 이 볼하우징(160)의 외주면에 체결 조립되는 선단이 개구된 볼캡(161)과, 상기 볼캡(161)의 내부에 삽입되어 볼캡(161)의 선단 개구 부위에 안착되는 도포볼(163)과, 상기 볼하우징(160)의 저면에 형성된 스프링안착부(164)와 도포볼(163) 사이에서 배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16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디형 핫멜트 도포장치.
KR1020140031476A 2014-03-18 2014-03-18 핸디형 핫멜트 도포장치 KR101600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1476A KR101600802B1 (ko) 2014-03-18 2014-03-18 핸디형 핫멜트 도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1476A KR101600802B1 (ko) 2014-03-18 2014-03-18 핸디형 핫멜트 도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8551A KR20150108551A (ko) 2015-09-30
KR101600802B1 true KR101600802B1 (ko) 2016-03-08

Family

ID=54246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1476A KR101600802B1 (ko) 2014-03-18 2014-03-18 핸디형 핫멜트 도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080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597Y1 (ko) 2001-05-21 2001-10-31 조희왕 접착제 도포장치
KR101114265B1 (ko) 2011-07-27 2012-03-05 이동훈 콘크리트구조물에 형성된 틈새를 방수하기 위한 열가소성 핫멜트수지 인젝션 핸드건
KR101361014B1 (ko) * 2012-09-19 2014-02-11 조명제 핸디형 핫멜트 도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145Y1 (ko) * 2012-03-06 2014-08-25 허영철 휴대용 접착제 도포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597Y1 (ko) 2001-05-21 2001-10-31 조희왕 접착제 도포장치
KR101114265B1 (ko) 2011-07-27 2012-03-05 이동훈 콘크리트구조물에 형성된 틈새를 방수하기 위한 열가소성 핫멜트수지 인젝션 핸드건
KR101361014B1 (ko) * 2012-09-19 2014-02-11 조명제 핸디형 핫멜트 도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8551A (ko) 2015-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32046A (en) Apparatus for feeding glue to a hot melt glue dispensing appliance
US5970847A (en) Baby formula preparation system
US4232064A (en) Method for melting and applying a fusion adhesive
JP2011161440A (ja) 加熱ディスペンサシステム
US20060249186A1 (en) Heated liquid cleaner
AU2012309161A1 (en) Brewed beverage appliance and method
WO2013070698A1 (en) Melting system
US4865034A (en) Depilating apparatus
KR101600802B1 (ko) 핸디형 핫멜트 도포장치
AU2012328794A1 (en) Modular heated dispensing device
CA2166790C (fr) Table inclinable pour le conditionnement de liquides, notamment de la semence animale a l'interieur de sachets souples d'insemination artificielle
CA2327934A1 (en) Incrementally heated fluid dispenser with non-volatile constituent parts
KR200442958Y1 (ko) 글루건
KR101361014B1 (ko) 핸디형 핫멜트 도포장치
JPH0376986B2 (ko)
US20090050673A1 (en) Soldering Apparatus and Solder Tip
US7315691B1 (en) Wax dispenser for hot wax applications
JP2008110324A (ja) ヒーターディスペンサ及びヒーターディスペンサ容器
JP2023531614A (ja) コーヒーを調製するための電気的動力供給マシン
JP6681710B2 (ja) 接着剤吐出装置
KR20200031253A (ko) 제모용 왁스 용융 장치
US20020194746A1 (en) Foot dryer apparatus
KR200474145Y1 (ko) 휴대용 접착제 도포기
JP7137991B2 (ja) スチーマー
JP2018201659A (ja) 飲料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