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0557B1 - 응축수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응축수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0557B1
KR102210557B1 KR1020200095909A KR20200095909A KR102210557B1 KR 102210557 B1 KR102210557 B1 KR 102210557B1 KR 1020200095909 A KR1020200095909 A KR 1020200095909A KR 20200095909 A KR20200095909 A KR 20200095909A KR 102210557 B1 KR102210557 B1 KR 102210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case
temperature
reservoir
pipe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5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인수
Original Assignee
(주)이앤이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앤이시스템 filed Critical (주)이앤이시스템
Priority to KR1020200095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05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0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0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04Drai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6Cooling; Heating; Prevention of freezing
    • F04B39/068Cooling; Heating; Prevention of freezing prevention of free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6Control using electri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저장된 응축수가 결빙되어 작동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응축수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배출장치는 히터(22)를 이용하여 외부케이스(21) 내부의 온도를 미리 입력된 설정온도 이상으로 유지함으로써, 저수통(10) 내부의 응축수가 결빙되어, 작동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응축수 배출장치{condensate drain apparatus}
본 발명은 내부에 저장된 응축수가 결빙되어 작동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응축수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를 압축하여 저장하는 에어컴프레서는, 압축된 공기를 저장하는 에어탱크와, 상기 에어탱크에 연결되어 외기를 압축하여 상기 에어탱크로 공급하는 압축펌프가 구비된다.
그런데, 이러한 에어컴프레서의 경우, 상기 압축펌프를 이용하여 공기를 압축하여 상기 에어탱크로 공급할 때, 공기중에 포함된 수분이 응축되어 응축수가 발생됨으로, 상기 압축기의 일측에는 응축수를 배출하는 응축수 배출장치가 구비된다.
상기 응축수 배출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수관(11)과 급기관(12)을 통해 상기 에어탱크(1)에 연결되어 에어탱크(1)의 내부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저장하는 저수통(10)이 구비되어, 상기 에어탱크(1)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저장하고, 저수통(10)의 내부에 저장된 응축수의 수위가 미리 정해진 수위 이상으로 상승되면 저수통(10)에 저장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저수통(10)에는 배수관(13)이 연결되어, 내부에 저장된 응축수를 상기 배수관(13)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응축수 배출장치는 저수통(10)의 내부에 항상 일정 수위의 응축소가 남아있게 되는데, 주위의 기온이 저하될 경우, 내부에 남아있는 응축수가 결빙되어 작동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1400594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에 저장된 응축수가 결빙되어 작동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응축수 배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급수관(11)과 급기관(12)을 통해 에어컴프레서의 에어탱크(1)에 연결되어 에어탱크(1)의 내부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저장하는 저수통(10)을 포함하는 응축수 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수통(10)의 외부를 감싸도록 구성된 외부케이스(21)와, 상기 외부케이스(21)의 내부에 구비된 히터(22)와, 상기 외부케이스(21)의 내부에 구비되며 외부케이스(21) 내부의 기온을 측정하는 온도센서(23)와, 상기 온도센서(23)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히터(22)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24)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24)은 상기 온도센서(23)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외부케이스(21)의 온도를 피드백하고 상기 히터(22)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외부케이스(21)의 내부 온도를 미리 입력된 설정온도로 유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배출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외부케이스(21)에는 흡기관(21b)과 배기관(21c)이 구비되고, 상기 외부케이스(21)의 외측에 구비되어 외부케이스(21) 외측의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보조온도센서(31)와, 상기 흡기관(21b)과 배기관(21c)에 각각 구비된 흡기밸브(32) 및 배기밸브(33)와, 상기 흡기관(21b)에 구비되어 외부의 공기를 외부케이스(21)의 내부로 공급하는 흡기펌프(3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24)은 상기 외부공기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면서 상기 외부케이스(21) 내부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로 저하될 경우, 상기 흡기밸브(32)와 배기밸브(33)를 개방하고, 상기 흡기펌프(34)를 작동시켜 외부의 공기가 외부케이스(21)의 내부로 순환되어 저수통(10)을 설정온도로 가열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배출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다르면, 상기 저수통(10)은 하측면에 복수개의 연장바(14)가 구비되어, 저수통(10)의 하측면이 외부케이스(21)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고정되고, 상기 외부케이스(21)의 내부에는 액상의 열매체가 저장되며, 상기 히터(22)는 상기 외부케이스(21)의 내부 바닥면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외부케이스(21)의 내부 바닥면에 상기 히터(22)를 덮도록 구비되며 일측에는 상기 저수통(10)의 하측을 향하도록 연장된 배출관(41a)이 구비되고 상면에는 흡입구(41b)가 형성된 내부덮개(41)와, 상기 배출관(41a)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덮개(41)의 내부에서 상기 히터(22)에 의해 가열된 열매체를 배출하는 순환펌프(42)와, 상기 배출관(41a)에 구비되어 배출관(41a)으로 열매체가 배출되면 회전되는 임펠러(43)와, 상기 저수통(1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된 지지브라켓(46)과, 상기 지지브라켓(46)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구동축(45)을 통해 상기 임펠러(43)에 연결된 분산부재(44)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산부재(44)는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지지브라켓(46)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축(44a)과, 상기 회전축(44a)의 둘레면에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분산판(44b)을 포함하여, 상기 배출관(41a)으로 열매체가 배출되면, 임펠러(43)가 회전되면서 상기 분산부재(44)를 회전시켜, 상기 배출관(41a)을 통해 배출된 열매체가 상기 분산판(44b)에 충돌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분산되어 상기 저수통(10)의 하측면에 넓게 접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배출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배출장치는 히터(22)를 이용하여 외부케이스(21) 내부의 온도를 미리 입력된 설정온도 이상으로 유지함으로써, 저수통(10) 내부의 응축수가 결빙되어, 작동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응축수 배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배출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배출장치의 회로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배출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배출장치의 제2 실시예의 회로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배출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배출장치의 제3 실시예의 분산부재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배출장치의 제3 실시예의 회로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배출장치의 제3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배출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급수관(11)과 급기관(12)을 통해 에어컴프레서의 에어탱크(1)에 연결되어 에어탱크(1)의 내부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저장하는 저수통(10)이 구비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저수통(10)에는 배수관(13)이 연결되어, 내부에 저장된 응축수를 상기 배수관(13)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저수통(10)의 외부를 감싸도록 구성된 외부케이스(21)와, 상기 외부케이스(21)의 내부에 구비된 히터(22)와, 상기 외부케이스(21)의 내부에 구비되며 외부케이스(21) 내부의 기온을 측정하는 온도센서(23)와, 상기 온도센서(23)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히터(22)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24)이 더 구비된다.
상기 외부케이스(21)는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되며, 둘레면에는 상기 급수관(11)과 급기관(12) 및 배수관(13)이 관통하는 관통공(21a)이 형성된다.
상기 저수통(10)은 상기 외부케이스(21)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된다.
상기 히터(22)는 외부에 실리콘이 피복된 것으로, 상기 외부케이스(21)의 내부 바닥면에, 상기 저수통(10)에 근접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온도센서(23)는 상기 외부케이스(21)의 내부 상측에 구비된다.
상기 제어수단(24)은 설정온도가 미리 입력된 것으로, 상기 온도센서(23)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외부케이스(21)의 온도를 피드백하고 상기 히터(22)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외부케이스(21)의 내부 온도를 미리 입력된 설정온도로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온도센서(23)와 제어수단(24)은 하나로 융합된 온도조절기 형태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응축수 배출장치는 히터(22)를 이용하여 외부케이스(21) 내부의 온도를 미리 입력된 설정온도 이상으로 유지함으로써, 저수통(10) 내부의 응축수가 결빙되어, 작동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외부케이스(21)에는 흡기관(21b)과 배기관(21c)이 구비되며, 상기 외부케이스(21)의 외측에 구비되어 외부케이스(21) 외측의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보조온도센서(31)와, 상기 흡기관(21b)과 배기관(21c)에 각각 구비된 흡기밸브(32) 및 배기밸브(33)와, 상기 흡기관(21b)에 구비되어 외부의 공기를 외부케이스(21)의 내부로 공급하는 흡기펌프(34)가 더 구비된다.
상기 흡기관(21b)과 배기관(21c)은 상기 외부케이스(21)의 상면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흡기펌프(34)가 구동되면, 도 4에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흡기관(21b)을 통해 공급된 외부공기가 외부케이스(21)의 내부를 순환한 후, 상기 배기관(21c)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24)은 상기 보조온도센서(31)에 의해 측정된 외부공기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이면서, 상기 외부케이스(21) 내부의 온도가 설정온도로 저하될 경우, 상기 흡기밸브(32)와 배기밸브(33)를 밀폐하고, 상기 히터(22)를 on시켜, 외부케이스(21) 내부의 온도가 설정온도로 상승되도록 한다.
그리고, 외부공기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면서 상기 외부케이스(21) 내부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로 저하될 경우, 상기 제어수단(24)은 상기 흡기밸브(32)와 배기밸브(33)를 개방하고, 상기 흡기펌프(34)를 작동시켜 외부의 공기가 외부케이스(21)의 내부로 순환되어 저수통(10)을 설정온도로 가열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응축수 배출장치는 외부케이스(21) 외부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일 경우, 히터(22)를 on시키지 않고, 외부의 공기를 외부케이스(21)의 내부로 순환시켜 저수통(10)을 가열함으로써, 전기소비량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저수통(10)은 하측면에 복수개의 연장바(14)가 구비되어, 저수통(10)의 하측면이 외부케이스(21)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케이스(21)의 내부에는 액상의 열매체가 저장된다.
상기 열매체는 비열이 높은 오일이나, 일반적인 물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케이스(21)의 내부 바닥면에 상기 히터(22)를 덮도록 구비되며 일측에는 상기 저수통(10)의 하측을 향하도록 연장된 배출관(41a)이 구비되고 상면에는 흡입구(41b)가 형성된 내부덮개(41)와, 상기 배출관(41a)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덮개(41)의 내부에서 상기 히터(22)에 의해 가열된 열매체를 배출하는 순환펌프(42)와, 상기 배출관(41a)에 구비되어 배출관(41a)으로 열매체가 배출되면 회전되는 임펠러(43)와, 상기 저수통(1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된 지지브라켓(46)과, 상기 지지브라켓(46)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구동축(45)을 통해 상기 임펠러(43)에 연결된 분산부재(44)가 더 구비된다.
상기 임펠러(43)는 상기 배출관(41a)의 내부에 전후방향의 회전중심축을 갖도록 구비된다.
상기 분산부재(44)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지지브라켓(46)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축(44a)과, 상기 회전축(44a)의 둘레면에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분산판(44b)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축(45)은 후단부는 벨트(45b)와 풀리(45c)를 통해 상기 임펠러(43)에 연결되고, 전단부는 베벨기어(45a)를 통해 상기 분산부재(44)의 회전축(44a)에 연결되어, 임펠러(43)가 회전되면 상기 분산부재(44)를 상단부가 후방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배출관(41a)으로 열매체가 배출되면, 도 6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임펠러(43)가 회전되면서 상기 분산부재(44)를 회전시켜, 상기 배출관(41a)을 통해 배출된 열매체가 상기 분산판(44b)에 충돌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분산되어 상기 저수통(10)의 하측면에 넓게 접촉한다.
상기 제어수단(24)은 상기 히터(22)를 on시킬 때, 상기 순환펌프(42)를 구동시켜, 상기 내부덮개(41)의 내부에 저장된 열매체가 히터(22)에 의해 가열된 후, 상기 배출관(41a)을 통해 배출되어 저수통(10)을 가열하고, 상기 흡입구(41b)를 통해 내부덮개(41)의 내부로 순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응축수 배출장치는 상기 히터(22)를 이용하여 열매체를 가열하여 저수통(10)이 가열되도록 함으로, 저수통(10)이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히터(22)에 의해 가열된 열매체가 배출관(41a)을 통해 배출된 후, 상기 분산부재(44)에 의해 넓게 분산되어 저수통(10)의 하측면에 넓게 접촉됨으로, 저수통(10)을 더욱 효과적으로 균일하게 가열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저수통 21. 외부케이스
22. 히터 23. 온도센서
24. 제어수단

Claims (3)

  1. 급수관(11)과 급기관(12)을 통해 에어컴프레서의 에어탱크(1)에 연결되어 에어탱크(1)의 내부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저장하는 저수통(10)을 포함하는 응축수 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수통(10)의 외부를 감싸도록 구성된 외부케이스(21)와,
    상기 외부케이스(21)의 내부에 구비된 히터(22)와,
    상기 외부케이스(21)의 내부에 구비되며 외부케이스(21) 내부의 기온을 측정하는 온도센서(23)와,
    상기 온도센서(23)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히터(22)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24)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24)은 상기 온도센서(23)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외부케이스(21)의 온도를 피드백하고 상기 히터(22)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외부케이스(21)의 내부 온도를 미리 입력된 설정온도로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저수통(10)은 하측면에 복수개의 연장바(14)가 구비되어, 저수통(10)의 하측면이 외부케이스(21)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고정되고,
    상기 외부케이스(21)의 내부에는 액상의 열매체가 저장되며,
    상기 히터(22)는 상기 외부케이스(21)의 내부 바닥면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외부케이스(21)의 내부 바닥면에 상기 히터(22)를 덮도록 구비되며 일측에는 상기 저수통(10)의 하측을 향하도록 연장된 배출관(41a)이 구비되고 상면에는 흡입구(41b)가 형성된 내부덮개(41)와,
    상기 배출관(41a)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덮개(41)의 내부에서 상기 히터(22)에 의해 가열된 열매체를 배출하는 순환펌프(42)와,
    상기 배출관(41a)에 구비되어 배출관(41a)으로 열매체가 배출되면 회전되는 임펠러(43)와,
    상기 저수통(1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된 지지브라켓(46)과,
    상기 지지브라켓(46)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구동축(45)을 통해 상기 임펠러(43)에 연결된 분산부재(44)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산부재(44)는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지지브라켓(46)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축(44a)과,
    상기 회전축(44a)의 둘레면에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분산판(44b)을 포함하여,
    상기 배출관(41a)으로 열매체가 배출되면, 임펠러(43)가 회전되면서 상기 분산부재(44)를 회전시켜, 상기 배출관(41a)을 통해 배출된 열매체가 상기 분산판(44b)에 충돌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분산되어 상기 저수통(10)의 하측면에 넓게 접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배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21)에는 흡기관(21b)과 배기관(21c)이 구비되고,
    상기 외부케이스(21)의 외측에 구비되어 외부케이스(21) 외측의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보조온도센서(31)와,
    상기 흡기관(21b)과 배기관(21c)에 각각 구비된 흡기밸브(32) 및 배기밸브(33)와,
    상기 흡기관(21b)에 구비되어 외부의 공기를 외부케이스(21)의 내부로 공급하는 흡기펌프(3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24)은 상기 외부공기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면서 상기 외부케이스(21) 내부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로 저하될 경우, 상기 흡기밸브(32)와 배기밸브(33)를 개방하고, 상기 흡기펌프(34)를 작동시켜 외부의 공기가 외부케이스(21)의 내부로 순환되어 저수통(10)을 설정온도로 가열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수 배출장치.
  3. 삭제
KR1020200095909A 2020-07-31 2020-07-31 응축수 배출장치 KR102210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909A KR102210557B1 (ko) 2020-07-31 2020-07-31 응축수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909A KR102210557B1 (ko) 2020-07-31 2020-07-31 응축수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0557B1 true KR102210557B1 (ko) 2021-02-01

Family

ID=74571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5909A KR102210557B1 (ko) 2020-07-31 2020-07-31 응축수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055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6356Y1 (ko) * 2001-06-01 2001-10-17 주식회사 크린에어 밀폐된 공간 냉방 장치
KR20110123061A (ko) * 2010-05-06 2011-11-14 현대합성공업 주식회사 자동차 워셔액 탱크 및 그 제어구조
KR101232378B1 (ko) * 2012-03-13 2013-02-13 박삼식 동결 방지용 저수장치 및 물탱크의 동결 방지 보강방법
KR101400594B1 (ko) 2012-09-28 2014-05-27 이충기 압축공기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응축수 배출 장치
KR20170071051A (ko) * 2015-12-15 2017-06-2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온 유지가 가능한 조립식 물탱크
KR20180010868A (ko) * 2016-07-22 2018-01-3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하이드레이트 반응기 및 이를 구비하는 수 처리시스템
KR102058385B1 (ko) * 2019-05-17 2019-12-23 (주)이앤이시스템 응축수 배출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6356Y1 (ko) * 2001-06-01 2001-10-17 주식회사 크린에어 밀폐된 공간 냉방 장치
KR20110123061A (ko) * 2010-05-06 2011-11-14 현대합성공업 주식회사 자동차 워셔액 탱크 및 그 제어구조
KR101232378B1 (ko) * 2012-03-13 2013-02-13 박삼식 동결 방지용 저수장치 및 물탱크의 동결 방지 보강방법
KR101400594B1 (ko) 2012-09-28 2014-05-27 이충기 압축공기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응축수 배출 장치
KR20170071051A (ko) * 2015-12-15 2017-06-2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온 유지가 가능한 조립식 물탱크
KR20180010868A (ko) * 2016-07-22 2018-01-3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하이드레이트 반응기 및 이를 구비하는 수 처리시스템
KR102058385B1 (ko) * 2019-05-17 2019-12-23 (주)이앤이시스템 응축수 배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43412B1 (en) Clothing dry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305287B1 (ko) 냄새제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
JP2009002324A (ja) 真空強自吸式ポンプ。
US20060207440A1 (en) Steam oven
KR101849674B1 (ko) 건조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10557B1 (ko) 응축수 배출장치
EP3553224B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N111685577B (zh) 烹饪器具及其控制方法、控制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572956A (zh) 带有衣物烘干功能的洗衣机
KR102585175B1 (ko) 건조기의 제어 방법
KR102048290B1 (ko) 연료유 이송장치
WO2012093337A2 (en) Household appliance, in particular laundry dryer
KR20050027697A (ko) 반도체 설비용 배기장치의 진공펌프
JP3609531B2 (ja) 厨芥処理装置
JP3047129B2 (ja) 給湯装置
CN117385607A (zh) 衣物烘干机
JP2003247778A (ja) 穀粒乾燥機の集穀室構造
KR200387357Y1 (ko) 온수순환펌프
CN116837606A (zh) 一种洗衣机台面水冷模块、洗衣机台面及洗衣机
KR950012730B1 (ko) 의류건조기
JP2973672B2 (ja) 穀粒乾燥機の穀粒繰出制御方式
KR19980068530A (ko) 냉장고의 자동제빙기용 급수장치
JPH07294125A (ja) 穀粒乾燥機の穀粒温度検出装置
JPH074840A (ja) 穀粒乾燥機の穀粒排出制御装置
KR20090049151A (ko)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