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8270Y1 - 차량용 공기유동 덕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기유동 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8270Y1
KR200248270Y1 KR2020010019357U KR20010019357U KR200248270Y1 KR 200248270 Y1 KR200248270 Y1 KR 200248270Y1 KR 2020010019357 U KR2020010019357 U KR 2020010019357U KR 20010019357 U KR20010019357 U KR 20010019357U KR 200248270 Y1 KR200248270 Y1 KR 2002482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uct
air
air flow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93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문호
이강철
하치국
이종노
Original Assignee
손문호
하치국
이종노
이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문호, 하치국, 이종노, 이강철 filed Critical 손문호
Priority to KR20200100193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82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82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8270Y1/ko

Links

Landscapes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공기유동 덕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송풍기가 장착된 일단부는 차량의 엔진룸 측에 배치되고 타단부는 차량 실내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을 향하여 관통되며 출구를 형성하는 차량용 공기유동 덕트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와 상기 출구의 사이에 해당되는 상기 덕트의 어느 일측은 개폐가능한 개폐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개폐부재와 인접된 상기 덕트의 내측에는 방향용기가 장착된다.
따라서, 차량의 공기유동 덕트의 내부에 살균 및 탈취 그리고 항균과 졸음방지의 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별도의 방향제를 장착함으로써, 송풍기에서 부여되는 회전력에 의해 차내로 공기가 유입될 때 방향제의 향기가 차내로 유입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기유동 덕트{Duct for air flowing of using car}
본 고안은 차량용 공기유동 덕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공기유동 덕트의 내부에 살균 및 탈취 그리고 항균과 졸음방지의 기능을 부여할 수있는 별도의 방향제를 장착함으로써, 송풍기에서 부여되는 회전력에 의해 차내로 공기가 유입될 때 방향제의 향기가 차내로 유입되도록 한 차량의 공기유동 덕트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자동차의 공기유동 덕트를 보인 예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즉, 자동차에는 차내로 히터에 의해 생성된 더운 바람과 증발기에 의해 생성된 차가운 바람을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기유동 덕트(10)가 구비된다.
상기 덕트(10)는 차량의 엔진룸(도면표현을 생략함.) 측에 배치되는 일단부 측에 송풍기(20)가 장착되고, 타단부는 차내에 장착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등에 관통되며 출구(30)가 형성된다.
물론, 덕트의 요소에는 방향 전환용 밸브(40)가 장착되어 요소마다 배열된 출구(30)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유출 량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공기유동 덕트(10)는 송풍기에 의해 내, 외부공기를 실내측으로 송풍시키기 위한 단순한 기능 외에 별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없었다.
예를 들어 차내의 온도를 외부의 온도차에 의해 유실시키지 않기 위해서는 숭풍기(20)의 회전력에 의하여 실내의 공기를 반복하여 순환시키거나, 또는 실외의 공기를 실내로 순환시키는 근본적인 기능 외에 다양하게 요구되는 별도의 기능을 수행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운전자들은 통상적으로 차내에 방향제를 설치하여 자연적으로 휘산되는 방향제의 향기에 의해 차내의 분위기를 신선하게 유지시키며 사용하고 있지만, 이와 같이 차내에 설치되는 방향제의 향기를 호흡에 의해 장시간 흡입하게 되면 두통이 발생되거나, 오히려 방향제의 향기에 취해 졸음운전을 하게 될 우려의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은 방향제는 용기에 담겨지고, 그와 같은 용기는 통상적으로 용기의 하측에 부착된 접착테이프의 접착력에 의해 차내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접착되어 사용되는데, 그와 같이 방향제 용기를 '붙였다''떼었다' 하는 동작에 의해 인스트루먼트 패널에는 접착자국이 남게되어 미관을 저해하거나, 또는 접착자국을 별도의 세척작업에 의해 제거해야 하는 수고를 감수해야만 했다.
따라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즉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와 같은 차량의 공기유동 덕트에서 발생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의 공기유동 덕트의 내부에 별도의 방향제를 장착함으로써, 송풍기에서 부여되는 회전력에 의해 차내로 공기가 유입될 때 방향제의 향기가 차내로 유입되도록 한 차량의 공기유동 덕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차량의 공기유동 덕트의 내부에 살균 및 탈취 그리고 항균과 졸음방지의 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방향제를 장착함으로써, 차량의 실내를 쾌적하게 함은 물론 인체에 유익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차량의 공기유동 덕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의 공기유동 덕트에 새로운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제품의 다양화와 다변화를 욕구하는 소비자의 부응에 순응함은 물론, 타 제품과의 경쟁력에서도 신장시킬 수 있는 차량의 공기유동 덕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공기유동 덕트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차량용 공기유동 덕트의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를 보인 단면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덕트 11;걸림부
20;송풍기 30;출구
40;방향전환 밸브 50;개폐부재
60;방향용기 61;걸음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송풍기가 장착된 일단부는 차량의 엔진룸 측에 배치되고 타단부는 차량 실내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을 향하여 관통되며 출구를 형성하는 차량용 공기유동 덕트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와 상기 출구의 사이에 해당되는 상기 덕트의 어느 일측은 개폐가능한 개폐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개폐부재와 인접된 상기 덕트의 내측에는 방향용기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유동 덕트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덕트의 내측에는 걸림부가 구비되고, 상기 방향용기에는 상기 걸림돌기와 상응하는 걸음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공기유동 덕트의 일예를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유동 덕트의 요부를 보인 단면예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종래와 동일한 부분,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한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공기유동 덕트(10)는 히터에 의해 생성된 더운 바람과 증발기에 의해 생성된 차가운 바람을 차내로 선택적으로공급하기 위한 공기유동 덕트(10)가 구비된다.
상기 덕트(10)는 차량의 엔진룸(도면표현을 생략함.) 측에 배치되는 일단부 측에 송풍기(20)가 장착되고, 타단부는 차내에 장착되며 운전석과 조수석을 향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등에 관통되며 출구(30)가 형성되는데 이들 구성요소는 일반적인 차량용 공기유동 덕트(10)의 구성과 대동소이하다.
물론, 덕트(10)의 요소에는 방향 전환용 밸브(40)가 장착되어 요소마다 배열된 출구(30)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유출 량을 제어하게 된다.
다만 본 고안에서의 특징부는, 상기 송풍기(20)와 상기 출구(30)의 사이에 해당되는 상기 덕트(10)의 어느 일측은 개폐가능한 개폐부재(50)가 구비되며, 상기 개폐부재(50)와 인접된 상기 덕트(10)의 내측에는 방향용기(60)가 장착된다는 점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폐부재(50)와 인접하는 상기 덕트(10)의 내측에는 걸림부(11)가 구비되고, 상기 방향용기(60)에는 상기 걸림부(11)와 상응하는 걸음부(6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방향용기(60)를 덕트(10)의 내측에 설치하기 위한 상기 걸림부(11)와 걸음부(61)는 특정된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덕트(10)의 공간 내에 방향용기(60)를 설치하기 위한 기술수단으로 다양하게 변경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방향용기(60)에 담겨지는 내용물로는 여러 가지가 적용될 수 있지만, 천연식물에서 추출한 기능성 방향물질인 에센셜 오일과 라벤더 오일 그리고 레몬 오일과 민트오일, 로즈마리 오일 등의 기능성 방향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한 기능성 방향물질인 다양한 오일들은 혈액순환과 피부의 노화방지 및 항균, 탈취 등의 다양한 기능을 가지므로 차량의 좁은 실내에서 장시간 체류하는 탑승자들게 후술하는 송풍기에 의해 유익한 천연향이 더불어 공급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즉, 본 고안을 처음 설치할 때에는 덕트(10)의 요소에 구비된 개폐부재(50)를 개방한 후 그 개폐부재(50)와 인접한 곳에 구비된 걸림부(11)에 대해 방향용기(60)에 구비된 걸음부(61)를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덕트(10)의 내측에 방향용기(60)를 설치한 상태에서 에어컨 또는 히터를 작동시키게 되면 차량의 내, 외부 공기는 송풍기(20)가 구동하며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 덕트(10)의 정해진 통로를 통해 유입되며 다수개의 방향전환 밸브(40)에 의해 설정된 경로를 통해 차량의 내부로 유입되는데 이와 같은 공기의 유동경로는 종래의 기술에서 설명했던 바와 같이 일반적인 차량의 공기유동 덕트의 동작과 동일하다.
또 상기와 같이 공기유동 덕트를 경유한 공기는 차량의 실내에 장착된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형성된 출구(30)를 통하여 실내로 토출된다.
다만 이때 본 고안의 특징부는 상기와 같은 덕트(10)의 유로와 출구(30)를 통해 차량의 실내로 공기가 유입될 때 덕트(10)의 내부에 장착된 방향용기(60)에 담겨진 다양한 방향제의 향기가 차량의 실내로 함께 유입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차량의 실내로 유입되는 방향제의 향기에 의해 차내의 분위기를 신선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물론, 방향용기(60)에 담겨지는 방향제는 다양한 기능성을 갖는 물질들 중 천연의 허브 향 중 선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공기유동 덕트에의하면, 차량의 공기유동 덕트의 내부에 별도의 방향제를 장착함으로써, 송풍기에서 부여되는 회전력에 의해 차내로 공기가 유입될 때 방향제의 향기가 차내로 유입되는 특징이 있다.
또 본 고안은 차량의 공기유동 덕트의 내부에 살균 및 탈취 그리고 항균과 졸음방지의 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방향제를 장착함으로써, 차량의 실내를 쾌적하게 함은 물론 인체에 유익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특징도 있다.
또 본 고안은, 차량의 공기유동 덕트에 새로운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제품의 다양화와 다변화를 요구하는 소비자의 부응에 순응함은 물론, 타제품과의 경쟁력에서도 신장시킬 수 있는 특징도 있다.
한편, 지금까지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한정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 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그와 같은 변경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함이 명백하다.

Claims (2)

  1. 송풍기가 장착된 일단부는 차량의 엔진룸 측에 배치되고 타단부는 차량 실내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을 향하여 관통되며 출구를 형성하는 차량용 공기유동 덕트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와 상기 출구의 사이에 해당되는 상기 덕트의 어느 일측은 개폐가능한 개폐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개폐부재와 인접된 상기 덕트의 내측에는 방향용기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유동 덕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와 인접된 상기 덕트의 내측에는 걸림부가 구비되고, 상기 방향용기에는 상기 걸림부와 상응하는 걸음부가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기유동 덕트.
KR2020010019357U 2001-06-27 2001-06-27 차량용 공기유동 덕트 KR2002482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357U KR200248270Y1 (ko) 2001-06-27 2001-06-27 차량용 공기유동 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357U KR200248270Y1 (ko) 2001-06-27 2001-06-27 차량용 공기유동 덕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8270Y1 true KR200248270Y1 (ko) 2001-10-17

Family

ID=73104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9357U KR200248270Y1 (ko) 2001-06-27 2001-06-27 차량용 공기유동 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827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159645A (zh) 一种车载香氛香味浓度控制装置及车辆
US8302669B2 (en) Louvre for an air-conduction housing of a vehicle air-conditioning system
DE102008032613A1 (de) Duftmittelvorratsvorrichtung
CN106143066A (zh) 可调节香氛散发器
KR200248270Y1 (ko) 차량용 공기유동 덕트
JP2000071752A (ja) 車両用空調装置
EP2269850B1 (de) Beduftungssystem
KR20190078976A (ko) 향기 발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조장치
JPH01218458A (ja) 芳香剤の散布方法と散布器
US20090081939A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H0530762Y2 (ko)
JP3031087U (ja) 車両空調装置用の付属構造
KR101515884B1 (ko) 차량용 향기 발산장치
KR100218992B1 (ko) 자동차용 에어컨디셔너의 청정방법 및 그 장치
JPH06255358A (ja) 居眠り運転防止装置
KR101351783B1 (ko) 차량용 공조 장치
JPS59107135A (ja) 消臭剤入り空調グリル
KR100435887B1 (ko) 에어덕트 도어자동개폐장치
JPH01219481A (ja) 冷蔵庫等の脱臭装置
JP2577438Y2 (ja) 空気清浄器
KR20030026439A (ko) 차량의 산소발생 및 공급장치
JPH0632126U (ja) 車両用香り発生装置
JP3029872U (ja) 車両空調装置用の付属構造
JPH0112971Y2 (ko)
EP2094320A1 (en) Fragranc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