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7856Y1 - 자동차용 냉온 컵 홀더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냉온 컵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7856Y1
KR200247856Y1 KR2020010019650U KR20010019650U KR200247856Y1 KR 200247856 Y1 KR200247856 Y1 KR 200247856Y1 KR 2020010019650 U KR2020010019650 U KR 2020010019650U KR 20010019650 U KR20010019650 U KR 20010019650U KR 200247856 Y1 KR200247856 Y1 KR 2002478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heat sink
cup
thermoelectric module
cup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96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대현
Original Assignee
장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대현 filed Critical 장대현
Priority to KR20200100196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78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78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7856Y1/ko

Links

Landscapes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열전 모듈을 이용하여 컵 홀더에 보관되는 컵의 내용물을 냉장 또는 온장 상태로 유지시켜 주는 자동차용 냉온 컵 홀더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1)의 내부에는 냉온 블록(4)이 삽입되며 냉온 블록(4)에는 2개의 컵 수용 구멍(5),(6)이 형성되고 후방에는 열전 모듈이 부착되는 돌출부(7)가 형성되며 돌출부(7)의 양측에는 나사 구멍(8)이 형성되고 냉온 블록(4)의 후방에는 열전 모듈(9)이 부착되고 열전 모듈(9)의 후방에는 히트 싱크부(10)가 위치되어 볼트(11)에 의해서 냉온 블록(4)에 고정되며 냉온 블록(4)과 히트 싱크부(10)사이에는 단열재가 삽입되고 히트 싱크부(10)는 여러개의 방열 핀(12)을 가지며 저면에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바닥부(13)를 가지고 방열 핀(12)이 끝나는 바닥부(13)에는 냉각 팬이 설치되는 구멍(14)이 형성되며 히트 싱크부(10)의 바닥부(12)에는 냉각 팬(15)이 설치되고 바닥부(12)의 선단 하부에는 자동차의 콘솔 박스에 설치된 안내 가이드와 결합하는 슬라이더(16)가 부착되게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냉온 컵 홀더{Cooling/heating cup holder}
본 고안은 열전 모듈을 이용하여 컵 홀더에 보관되는 컵의 내용물을 냉장 또는 온장 상태로 유지시켜 주는 자동차용 냉온 컵 홀더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용 컵 홀더는 컵을 보관하는 기능만을 가져서 컵의 내용물이 시원한 음료일 경우에 보관 시간이 길어지면 맛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고자 컵 홀더의 케이스 내부에 냉온 블록을 삽입하고 냉온 블록의 후방에 열전 모듈을 설치하며 열전 모듈의 후방에는 히트 싱크부를 연결하게 구성된 열전 모듈을 이용한 자동차용 냉온 컵 홀더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자동차용 냉온 컵 홀더는 케이스의 내부에 냉온 블록이 삽입되며 냉온 블록에는 2개의 컵 수용 구멍이 형성되고 후방에는 열전 모듈이 부착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돌출부의 양측에는 나사 구멍이 형성되고 냉온 블록의 후방에는 열전 모듈이 부착되고 열전 모듈의 후방에는 히트 싱크부가 위치되어 볼트에 의해서 냉온 블록에 고정되며 냉온 블록과 히트 싱크부사이에는 단열재가 삽입되고 히트 싱크부는 여러개의 방열 핀을 가지며 저면에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바닥부를 가지고 방열 핀이 끝나는 바닥부에는 냉각 팬이 설치되는 구멍이 형성되며 히트 싱크부의 바닥부에는 냉각 팬이 설치되고 바닥부의 선단 하부에는 자동차의 콘솔 박스에 설치된 안내 가이드와 결합하는 슬라이더가 부착되게 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냉온 컵 홀더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냉온 블록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냉온 블록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히트 싱크부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히트 싱크부를 도시하는 저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 : 케이스 2 : 구멍
3 : 컵 받침 4 : 냉온 블록
5.6 : 컵 수용 구멍 7 : 돌출부
8 : 나사 구멍 9 : 열전 모듈
10 : 히트 싱크부 11 : 볼트
12 : 방열 핀 13 : 바닥부
14 : 구멍 15 : 냉각 팬
16 : 슬라이더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냉온 컵 홀더의 구조가 도시되는데, 컵 홀더 케이스(1)는 상부에 컵이 수용되는 구멍(2)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컵의 하부를 지지하는 컵 받침(3)이 힌지되게 부착된다. 컵 받침(3)은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서 지지되어 케이스(1) 내부로 접혀 있다가 케이스(1)가 외부로 연장되면 하부로 내려온다.
케이스(1)의 내부에는 냉온 블록(4)이 삽입되며 냉온 블록은 열전도성이 좋은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된다.
도 2에는 본 고안의 냉온 블록이 평면도로 도시되고, 도 3에는 본 고안의 냉온 블록이 정면도로 도시된다.
냉온 블록(4)에는 2개의 컵 수용 구멍(5),(6)이 형성되고 후방에는 열전 모듈이 부착되는 돌출부(7)가 형성된다.
돌출부(7)의 양측에는 나사 구멍(8)이 형성되어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냉온 블록(4)의 후방에는 열전 모듈(9)이 부착되고 열전 모듈(9)의 후방에는 히트 싱크부(10)가 위치되어 볼트(11)에 의해서 냉온 블록(4)에 고정된다.
냉온 블록(4)과 히트 싱크부(10)사이에는 단열재가 삽입된다.
도 4에는 본 고안의 히트 싱크부가 측면도로 도시되고, 도 5에는 본 고안의 히트 싱크부가 저면도로 도시된다.
히트 싱크부(10)는 여러개의 방열 핀(12)을 가지며 저면에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바닥부(13)를 가진다.
방열 핀(12)이 끝나는 바닥부(13)에는 냉각 팬이 설치되는 구멍(14)이 형성되어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히트 싱크부(10)의 바닥부(12)에는 냉각 팬(15)이 설치되고 바닥부(12)의 선단 하부에는 자동차의 콘솔 박스에 설치된 안내 가이드와 결합하는 슬라이더(16)가 부착되어 있다.
본 고안의 컵 홀더가 자동차의 콘솔 박스에 조립되어 보관 음료가 시원한 것일 경우에는 열전 모듈이 작동되어 냉기가 냉온 블록을 통하여 전달되며 온기는 냉각 핀과 냉각 팬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보관 음료가 따뜻한 것일 때는 열전 모듈은 열을 발생하여 온기가 냉온 블록을 통하여 전달되어 음료를 적당한 온도로 유지시켜 준다.
열전 모듈의 냉온 전환은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서 인가되는 전원의 극성을 바꾸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열전 모듈을 이용한 자동차용 냉온 컵 홀더는 열전 모듈을 작동하여 컵 홀더에 보관된 음료를 냉장 또는 온장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컵 홀더 케이스(1)는 상부에 컵이 수용되는 구멍(2)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컵의 하부를 지지하는 컵 받침(3)이 힌지되게 부착되며 컵 받침은 스프링에 의해서 지지되어 케이스(1) 내부로 접혀 있다가 케이스(1)가 외부로 연장되면 하부로 내려오는 자동차용 컵 홀더에 있어서,
    케이스(1)의 내부에는 냉온 블록(4)이 삽입되며 냉온 블록(4)에는 2개의 컵 수용 구멍(5),(6)이 형성되고 후방에는 열전 모듈이 부착되는 돌출부(7)가 형성되며 돌출부(7)의 양측에는 나사 구멍(8)이 형성되고 냉온 블록(4)의 후방에는 열전 모듈(9)이 부착되고 열전 모듈(9)의 후방에는 히트 싱크부(10)가 위치되어 볼트(11)에 의해서 냉온 블록(4)에 고정되며 냉온 블록(4)과 히트 싱크부(10)사이에는 단열재가 삽입되고 히트 싱크부(10)는 여러개의 방열 핀(12)을 가지며 저면에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바닥부(13)를 가지고 방열 핀(12)이 끝나는 바닥부(13)에는 냉각 팬이 설치되는 구멍(14)이 형성되며 히트 싱크부(10)의 바닥부(12)에는 냉각 팬(15)이 설치되고 바닥부(12)의 선단 하부에는 자동차의 콘솔 박스에 설치된 안내 가이드와 결합하는 슬라이더(16)가 부착되게 구성된 자동차용 냉온 컵 홀더.
KR2020010019650U 2001-06-29 2001-06-29 자동차용 냉온 컵 홀더 KR2002478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650U KR200247856Y1 (ko) 2001-06-29 2001-06-29 자동차용 냉온 컵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650U KR200247856Y1 (ko) 2001-06-29 2001-06-29 자동차용 냉온 컵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7856Y1 true KR200247856Y1 (ko) 2001-10-26

Family

ID=73067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9650U KR200247856Y1 (ko) 2001-06-29 2001-06-29 자동차용 냉온 컵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785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1295E1 (en) Motor vehicle temperature controlled compartment
KR100376161B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저장고
JP2001208465A (ja) 飲料用保温保冷器
JPH0771890B2 (ja) 自動車のグラブコンパートメントを冷却する装置
KR101344526B1 (ko) 차량용 냉온장 장치
JP2002147918A (ja) 温冷蔵用ドリンクホルダー
KR101950751B1 (ko)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
KR980001411A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자동차용 냉온장장치
KR200247856Y1 (ko) 자동차용 냉온 컵 홀더
KR20100009599U (ko) 휴대용 쿨링 및 히팅 장치
KR20010054133A (ko) 대형 차량용 냉,온장고
KR101445554B1 (ko) 차량용 냉온장고
JP2001304739A (ja) ワイン貯蔵庫
KR200221103Y1 (ko) 무공해 냉온장고
KR200197140Y1 (ko) 자동차 냉온장치
KR20010000992A (ko) 열전모듈을 이용한 차량용 냉온장고
KR101154614B1 (ko) 차량 후석 사용자를 위한 냉온장 장치
KR200300360Y1 (ko) 주류용기의 보냉장치
KR200194589Y1 (ko) 차량용 콘솔박스 냉온장고
KR200389678Y1 (ko) 프레온 가스를 사용하지 않는 직접냉온장치
KR200236074Y1 (ko) 열전반도체를 사용하는 냉각장치
KR100614254B1 (ko) 프레온 가스를 사용하지 않는 직접냉온장치
JPH0814725A (ja) 車両用冷温蔵庫
CN220615591U (zh) 一种温控式杯托结构
KR200186721Y1 (ko) 차량용 냉·온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1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