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7710Y1 - 자동차의스텐션서포트브라켓 - Google Patents

자동차의스텐션서포트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7710Y1
KR200247710Y1 KR2019960050613U KR19960050613U KR200247710Y1 KR 200247710 Y1 KR200247710 Y1 KR 200247710Y1 KR 2019960050613 U KR2019960050613 U KR 2019960050613U KR 19960050613 U KR19960050613 U KR 19960050613U KR 200247710 Y1 KR200247710 Y1 KR 2002477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racket
tension
horizontal
vertica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06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7588U (ko
Inventor
이주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600506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7710Y1/ko
Publication of KR199800375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75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77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7710Y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스텐션 서포트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종전 일체형의 스텐션 서포트 브라켓을 수직용 스텐션 파이프을 끼울 수 있는 2개의 수직용 스텐션 서포트 브라켓과 수평용 스텐션 파이프를 끼울 수 있는 2개의 수평용 스덴션 서포트 브라켓으로 분리 구성함으로써, 수평용 스텐션 서포트 브라켓의 회전 가능한 구조로 인해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수평용 스텐션 파이프를 직선으로 연결할 수 있어 거주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는 자동차의 스텐션 서포트 브라켓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스텐션 서포트 브라켓
본 고안은 자동차의 스텐션 서포트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텐션 서포트 브라켓을 분리형으로 구성하여 회전가능하게 함으로써, 조립성 향상과 더불어 거주공간의 확보를 용이하게 한 자동차의 스텐션 서포트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 등에 사용되는 스텐션 서포트 브라켓(1)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체형의 십자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스텐션 서포트 브라켓(1)의 4곳으로 수직용 스텐션 파이프(2) 및 수평용 스텐션 파이프(3)를 끼운 다음, 나사(4)로 체결하여 고정시키면 수직용 및 수평용 스텐션 파이프(2),(3)의 조립이 완료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진 방향으로 세워지는 2곳의 수직용 스텐션 파이프(2) 사이에 수평용 스텐션 파이프(3)를 연결하는 경우, 90°밴딩하여 만든 수평용 스텐션 파이프(3)를 사용하여 연결하게 되므로서, 2곳의 수직용 스텐션 파이프(2)가 정확한 위치에 세워지지 않거나, 또는 수평용 스텐션 파이프(3)가 밴딩가공이 정확하지 않게 되면 조립이 용이하지 않고, 또 돌출되는 수평용 스텐션 파이프(3)로 인해 거주공간이 좁아지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종전 일체형이 스텐션 서포트 브라켓을 수직용 스텐션 파이프을 끼울 수 있는 2개의 수직용 스텐션 서포트 브라켓과 수평용 스텐션 파이프를 끼울 수 있는 2개의 수평용 스텐션 서포트 브라켓으로 분리 구성함으로써, 수평용 스텐션 서포트 브라켓의 회전 가능한 구조로 인해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수평용 스텐션 파이프를 직선으로 연결할 수 있어 거주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는 자동차의 스텐션 서포트 브라켓을 제공하는데 그 안출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스텐션 서포트 브라켓을 보여주는 결합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스텐션 서포트 브라켓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스텐션 서포트 브라켓을 보여주는 결합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텐션 서포트 브라켓 2 : 수직용 스텐션 파이프
3 : 수평용 스텐션 파이프 4 : 나사
5 : 단차부 6 : 수직용 스텐션 서포트 브라켓
7 : 슬라이더 8 : 수평용 스텐션 서포트 브라켓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위아래로 수직용 스텐션 파이프(2)를 끼워 고정시킬 수 있으며 길이 중간에 둘레를 따라가면서 연속되는 단차부(5)를 갖는 2개의 수직용 스텐션 서포트 브라켓(6)과, 양쪽으로 수평용 스텐션 파이프(3)를 끼워 고정시킬 수 있으며 전단부가 상기 단차부(5) 내에 안착가능한 원호형의 슬라이더(7)로 되어 있는 2개의 수평용 스텐션 서포트 브라켓(8)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스텐션 서포트 브라켓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스텐션 서포트 브라켓을 보여주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스텐션 서포트 브라켓(1)은 가운데 2개의 수직용 스텐션 서포트 브라켓(6)과 양쪽 2개의 수평용 스텐션 서포트 브라켓(8)을 조합시킨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수직용 스텐션 서포트 브라켓(6)의 위아래에는 수직용 스텐션 파이프(2)를 각각 끼워 고정시킬 수 있으며, 그 길이 중간에는 둘레를 따라가면서 소정의 폭으로 연속되는 단차부(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평용 스텐션 서포트 브라켓(8)의 양쪽에는 수평용 스텐션 파이프(3)를 끼워 고정시킬 수 있으며, 각각의 마주보는 선단부에는 상기 단차부(5) 내에 안착가능한 원호형의 슬라이더(7)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스텐션 서포트 브라켓을 사용하여 스텐션 파이프를 조립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직용 스텐션 서포트 브라켓(6)의 위아래 구멍으로 수직용 스텐션 파이프(2)를 끼운 다음 나사(4)로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계속해서, 수평용 스텐션 서포트 브라켓(8)의 슬라이더(7)를 수직용 스텐션 서포트 브라켓(6)의 단차부(5)에 밀착시킨 다음 나사(4)로 체결하여 고정시키고, 각 수평용 스텐션 서포트 브라켓(8)의 양옆 구멍으로 수평용 스텐션 파이프(3)를 끼운 다음 나사(4)로 체결하여 고정시키면, 스텐션 서포트 브라켓을 사용한 스텐션 파이프의 조립작업이 완료된다.
만일, 경사진 위치에 서로 떨어져 있는 2곳의 수직용 스텐션 파이프(2) 사이에 수평용 스텐션 파이프(3)를 연결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수평용 스텐션 서포트 브라켓(8)봐 슬라이더(7)를 수직용 스텐션 서포트 브라켓(6)의 단차부(5)를 따라 회전시켜 서로 마주보게 위치시킨 다음 이렇게 서로 마주보고 있는 수평용 스텐션 서포트 브라켓(8) 사이에 수정용 스텐션 파이프(3)를 끼우고 각각을 나사(4)를 체결하여 고정시키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조립작업이 완료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종전 일체형의 스텐션 서포트 브라켓을 수직용 스텐션 파이프을 끼울 수 있는 2개의 수직용 스텐션 서포트 브라켓과 수평용 스텐션 파이프를 끼울 수 있는 2개의 수평용 스텐션 서포트 브라켓으로 분리 구성한 스텐션 서포트 브라켓을 제공함으로써, 수평용 스텐션 서포트 브라켓의 회전 가능한 구조로 인해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수평용 스텐션 파이프를 직선으로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거주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위아래로 수직용 스텐션 파이프(2)를 끼워 고정시킬 수 있으며 길이 중간에 둘레를 따라가면서 연속되는 단차부(5)를 갖는 2개의 수직용 스텐션 서포트 브라켓(6)과, 양쪽으로 수평용 스텐션 파이프(3)를 끼워 고정시킬 수 있으며 선단부가 상기 단차부(5) 내에 안착가능한 원호형의 슬라이더(7)로 되어 있는 2개의 수평용 스텐션 서포트 브라켓(8)으로 이루어진 것으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텐션 서포트 브라켓.
KR2019960050613U 1996-12-17 1996-12-17 자동차의스텐션서포트브라켓 KR2002477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0613U KR200247710Y1 (ko) 1996-12-17 1996-12-17 자동차의스텐션서포트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0613U KR200247710Y1 (ko) 1996-12-17 1996-12-17 자동차의스텐션서포트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7588U KR19980037588U (ko) 1998-09-15
KR200247710Y1 true KR200247710Y1 (ko) 2002-08-24

Family

ID=53991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0613U KR200247710Y1 (ko) 1996-12-17 1996-12-17 자동차의스텐션서포트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771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7588U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44371Y2 (ja) ジヤンクシヨンボックスの取付け構造
KR200247710Y1 (ko) 자동차의스텐션서포트브라켓
JPH0138390Y2 (ko)
JPH0435659Y2 (ko)
JPS58595Y2 (ja) 自動車のヘッドランプ取付部構造
JPS6225407Y2 (ko)
JPS6127834Y2 (ko)
KR0159859B1 (ko) 차량용 사이드아웃터어세이와 루프어세이의 얼라인먼트구조
JP3230705B2 (ja) フロントピラートリムの取付構造
KR19980020423A (ko) 스티어링 샤프트 컬럼 고정 브라켓
JP2000249128A (ja) 部品取付用クリップ
JP2591401Y2 (ja) 防護柵
JPH0117907Y2 (ko)
JPS6334329Y2 (ko)
KR200152870Y1 (ko) 와이어링 고정용 클립
KR0114065Y1 (ko) 자동차용 abs 릴레이 박스의 브라켓
KR0117738Y1 (ko) 수지부품 취부용 클립과 리브의 구조
JPH0428255Y2 (ko)
JP3029023U (ja) 中入花立
JPS6030115Y2 (ja) 自動車のピラ−部材へのトウムパネル取付装置
JPS641526Y2 (ko)
JPS61285184A (ja) 樹脂製分割型ハンドルカバ−の取付構造
JPS6346277Y2 (ko)
JPH042835Y2 (ko)
JP3147283B2 (ja) 柵の手摺受け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