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6922Y1 - 빈타입프린터카세트의미스피딩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빈타입프린터카세트의미스피딩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6922Y1
KR200246922Y1 KR2019980027482U KR19980027482U KR200246922Y1 KR 200246922 Y1 KR200246922 Y1 KR 200246922Y1 KR 2019980027482 U KR2019980027482 U KR 2019980027482U KR 19980027482 U KR19980027482 U KR 19980027482U KR 200246922 Y1 KR200246922 Y1 KR 2002469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cassette
feeder
pickup roller
guid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74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4184U (ko
Inventor
조시용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274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6922Y1/ko
Publication of KR200000141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41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69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6922Y1/ko

Links

Landscapes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프린터에 적용되는 빈 타입 카세트(Bin-type Cassette)의 미스피딩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급지부와 매뉴얼 급지부를 구비한 빈 타입 카세트와, 상기 매뉴얼 급지부 프레임에서 하방향으로 설치되어 급지된 용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필름과, 상기 빈 타입 카세트의 하측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유동하는 녹업 플레이트 및, 상기 녹업 플레이트의 하측에 설치되어 픽업롤러와의 마찰력을 제공해주는 마찰패드를 구비한 픽업브라켓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필름은 상기 픽업롤러가 마찰패드와 접촉 회전하는 위치까지 연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빈 타입 프린터 카세트의 미스피딩 방지장치
본 고안은 프린터에 적용되는 빈 타입 카세트(Bin-type Cassette)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매뉴얼 급지부에 적재된 용지를 원활히 본체쪽으로 급지시키기 위한 빈 타입 프린터 카세트의 미스피딩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빈 타입 프린터 카세트는 자동급지부와 수동급지부가 하나의 카세트에 동시에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자동급지부와 매뉴얼급지부에 급지되는 용지의 각도는 약간 상이하게 되는데, 이로인하여 픽업롤러와 마찰패드간의 마찰저항에 따른 용지 급지력이 차이가 나게된다. 상기 급지력의 차이는 급지되는 용지가 미스피딩되거나 잼(Jamming)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이를 극복하고자 하는 많은 사안들이 경주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급지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종래의 프린터 급지부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지가 적재되는 빈 타입 카세트(10)와, 상기 빈 타입 카세트(10)의 하측상에 설치되어 상기 카세트에 적재된 용지를 지지하는 녹업 플레이트(21) 및 상기 녹업 플레이트(21)에 적재된 용지를 낱장씩 본체쪽으로 급지시키는 픽업롤러(25)로 구성된다.
상기 빈 타입 카세트(10)에는 다수매의 용지가 적재되는 자동급지부(11)와 특수용지등이 적재되는 매뉴얼 급지부(12)로 구성된다. 상기 매뉴얼 급지부(12)의 프레임상에는 하측방향으로 가이드 필름(13)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자동급지부(11)에서 급지되던 용지와 상기 매뉴얼 급지부(12)에서 급지하기 위한 용지를 구분시켜 주는 역할을 하게된다.
상기 녹업 플레이트(21)는 일측이 힌지 결합되어 그 상측에 설치된 픽업롤러(25)의 방향으로 항상 가압받을 수 있도록 일정 탄성체에 의해 지지받도록 설치된다. 본 도면에서는 상기 녹업 플레이트(21)를 픽업롤러(25)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탄성체로 압축 코일 스프링(22)을 사용하였다. 또한, 본 도면상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녹업 플레이트(21)가 대기 상태에 있을 때 즉,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22)의 가압을 받으며 하측으로 하강되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캠, 솔레노이드등이 그 주변상에 설치된다.
그후, 상기 녹업 플레이트(21)의 적재되는 용지의 상측면상에는 상기 녹업 플레이트에 적재된 용지를 낱장씩 본체쪽으로 급지시키기 위한 픽업롤러(25)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픽업롤러(25)의 하측상에는 마찰 패드(Friction Pad)(24)를 구비한 픽업 브라켓(23)을 상기 회전하는 픽업롤러(25)와 맞물리도록 설치하여 상기 본체쪽으로 이송되는 용지에 일정 급지력을 제공하게 된다.
그후, 상기 픽업롤러(25)의 일측에는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급지된 용지를 본체쪽으로 이송하기 위한 한쌍의 피드롤러(26)가 맞물려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마찰패드를 구비한 픽업브라켓은 상기 카세트의 자동급지부에 적재된 용지를 급지시키기 위한 마찰저항만을 고려하여 설치하였기 때문에 상기 매뉴얼 급지부에 적재된 특수용지등의 급지시에는 급지각도가 다름으로 인하여 마찰저항이 커져서 미스피딩이나 용지의 잼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매뉴얼 급지부에 적재된 특수용지등을 원활히 급지시킬 수 있는 빈 타입 프린터 카세트의 미스피딩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매뉴얼 급지시 마찰패드와의 마찰저항을 줄일 수 있는 빈 타입 프린터 카세트의 미스피딩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매뉴얼 급지시, 용지의 잼현상등의 미스피딩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자동급지부와 매뉴얼 급지부를 구비한 빈 타입 카세트와, 상기 매뉴얼 급지부 프레임에서 하방향으로 설치되어 급지된 용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필름과, 상기 빈 타입 카세트의 하측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유동하는 녹업 플레이트 및, 상기 녹업 플레이트의 하측에 설치되어 픽업롤러와의 마찰력을 제공해주는 마찰패드를 구비한 픽업브라켓으로 구성되는 프린터의 급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필름은 상기 픽업롤러가 마찰패드와 접촉 회전하는 위치까지 연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급지부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급지부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빈 타입 카세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프린터 카세트 11: 자동급지부
12: 매뉴얼 급지부 130: 가이드 필름
131: 판스프링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급지부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빈 타입 카세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프린터의 급지부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지가 적재되는 빈 타입 카세트(10)와, 상기 빈 타입 카세트의 하측상에 설치되어 상기 카세트에 적재된 용지를 지지하는 녹업 플레이트(21) 및 상기 녹업 플레이트에 적재된 용지를 낱장씩 본체쪽으로 급지시키는 픽업롤러(25)로 구성된다.
상기 빈 타입 카세트(10)에는 다수매의 용지가 적재되는 자동급지부(11)와 특수용지등이 적재되는 매뉴얼 급지부(12)로 구성된다. 상기 매뉴얼 급지부(12)의 프레임(12a)상에는 하측방향으로 가이드 필름(130)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자동급지부(11)에서 급지되던 용지와 상기 매뉴얼 급지부(12)에서 급지하기 위한 용지를 구분시켜 주는 역할을 하게된다.
상기 녹업 플레이트(21)는 일측이 힌지 결합되어 그 상측에 설치된 픽업롤러(25)의 방향으로 항상 가압받을 수 있도록 일정 탄성체에 의해 지지받도록 설치된다. 본 도면에서는 상기 녹업 플레이트(21)를 픽업롤러(25)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탄성체로 압축 코일 스프링(22)을 사용하였다. 또한, 본 도면상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녹업 플레이트(21)가 대기 상태에 있을 때 즉,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22)의 가압을 받으며 하측으로 하강되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캠, 솔레노이드등이 그 주변상에 설치된다.
그후, 상기 녹업 플레이트(21)의 적재되는 용지의 상측면상에는 상기 녹업 플레이트에 적재된 용지를 낱장씩 본체쪽으로 급지시키기 위한 픽업롤러(25)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픽업롤러(25)의 하측상에는 마찰 패드(Friction Pad)(24)를 구비한 픽업 브라켓(23)을 상기 회전하는 픽업롤러(25)와 맞물리도록 설치하여 상기 본체쪽으로 이송되는 용지에 일정 급지력을 제공하게 된다.
그후, 상기 픽업롤러(25)의 일측에는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급지된 용지를 본체쪽으로 이송하기 위한 한쌍의 피드롤러(26)가 맞물려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매뉴얼 급지부(12)의 프레임(12a)상에서 하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필름(130)은 상기 픽업롤러(25)가 마찰패드(24)와 접촉 회전하는 위치까지 연장 형성된다. 또한, 상기 매뉴얼 급지부 프레임(12a)의 후면상에는 상기 가이드 필름(130)을 픽업롤러(25)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다수의 판스프링(131)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필름(130)을 경계로하여 그 후면상의 자동급지부(11)에 급지된 용지는 픽업롤러(25)와 마찰패드(24) 사이를 통과하여 일정한 마찰저항을 받게된다.
한편, 매뉴얼 급지부(12)에서 특수용지를 급지시킬 때에는 상기 특수용지는 상기 자동급지부(11)에 적재된 일반용지의 상부면에 적재된다. 이때, 상기 특수용지와 일반용지 사이에는 가이드 필름(130)이 개제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픽업롤러(25)와 마찰패드(24) 사이에는 가이드 필름(130)과 특수용지가 개제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픽업롤러(25)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특수용지는 가이드 필름면을 타고 급지된다. 즉, 상기 자동급지부(11)에 적재된 용지가 받는 마찰저항보다 상기 매뉴얼 급지부(12)에서 적재된 특수용지가 받는 마찰저항이 적게되어 원활한 급지가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빈 타입 카세트의 미스피딩 방지장치는 매뉴얼 급지부와 자동급지부간의 급지각의 차이로 인한 마찰저항의 차이를 상기 매뉴얼 급지시, 픽업롤러까지 연장시킨 가이드필름으로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때문에 항상 원활한 급지동작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자동급지부와 매뉴얼 급지부를 구비한 빈 타입 카세트와, 상기 매뉴얼 급지부 프레임에서 하방향으로 설치되어 급지된 용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필름과, 상기 빈 타입 카세트의 하측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유동하는 녹업 플레이트 및, 상기 녹업 플레이트의 하측에 설치되어 픽업롤러와의 마찰력을 제공해주는 마찰패드를 구비한 픽업브라켓으로 구성되는 프린터의 급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필름은 상기 픽업롤러가 마찰패드와 접촉 회전하는 위치까지 연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빈 타입 프린터 카세트의 미스피딩 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뉴얼 급지부 프레임의 후면상에는 상기 가이드필름을 픽업롤러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다수의 판스프링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빈 타입 프린터 카세트의 미스피딩 방지장치.
KR2019980027482U 1998-12-30 1998-12-30 빈타입프린터카세트의미스피딩방지장치 KR2002469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7482U KR200246922Y1 (ko) 1998-12-30 1998-12-30 빈타입프린터카세트의미스피딩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7482U KR200246922Y1 (ko) 1998-12-30 1998-12-30 빈타입프린터카세트의미스피딩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184U KR20000014184U (ko) 2000-07-25
KR200246922Y1 true KR200246922Y1 (ko) 2001-12-28

Family

ID=69710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7482U KR200246922Y1 (ko) 1998-12-30 1998-12-30 빈타입프린터카세트의미스피딩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692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184U (ko) 2000-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1002B1 (en) Sheet feeding apparatus
US4458890A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feeding sheets
US4852868A (en) Automatic paper feeding apparatus
EP1842810B1 (en) Paper transportation device
EP0138442A1 (en) Envelope feeder
US7922166B2 (en) Image reader
KR200246922Y1 (ko) 빈타입프린터카세트의미스피딩방지장치
CA1105508A (en) Sheet separating and feeding apparatus
US20060033257A1 (en) Device for separating sheets of a recording medium
KR940002751Y1 (ko) 수동 급지 장치
JP3238996B2 (ja) 給紙装置
JPS63225044A (ja) 自動給紙装置
JP3102911B2 (ja) 給紙装置
JP3436621B2 (ja) 給紙装置
JPH05229682A (ja) 用紙給送装置
JP3298190B2 (ja) 給紙装置
JP3554256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920000560Y1 (ko) 복사기의 용지 중첩급지 방지장치
JPH0435308Y2 (ko)
JPH06127722A (ja) 原稿分離給紙装置
JP4011493B2 (ja) 給紙装置
JP2000085989A (ja) 給紙装置
JP2638551B2 (ja) 給紙装置
JP3591175B2 (ja) 給紙装置
JPH02449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