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5444Y1 - 오락기의 물품 인출장치 - Google Patents

오락기의 물품 인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5444Y1
KR200245444Y1 KR2020010018474U KR20010018474U KR200245444Y1 KR 200245444 Y1 KR200245444 Y1 KR 200245444Y1 KR 2020010018474 U KR2020010018474 U KR 2020010018474U KR 20010018474 U KR20010018474 U KR 20010018474U KR 200245444 Y1 KR200245444 Y1 KR 2002454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guide rod
longitudinal
game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84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규
Original Assignee
이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민규 filed Critical 이민규
Priority to KR20200100184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54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54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5444Y1/ko

Link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락기내 회전하는 회전판에 위치한 물품을 전,후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인출하기 위해 이동체의 하측으로 인출바아를 설치하여 게임의 즐거움을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
코인감지부와 조작레버부의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산재된 물품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판과, 이 회전판의 회전과 더블어 연동하게 오락기내 양측 상부에 종방향으로 배치된 종가이드로드와, 이 종가이드로드에 조립되어 종방향으로 이동하게 설치된 종방향 이동체와, 이 종방향 이동체간을 연결 설치하여 횡방향으로 배치된 횡가이드로드와, 이 횡가이드로드 상을 좌,우 이동하게 설치된 횡방향 이동체로 이루어지는 물품 인출 오락기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이동체의 하측에 오락기내 물품을 인출하게 일정 길이로 하향 설치되는 인출바아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오락기의 물품 인출장치를 제공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오락기의 물품 인출장치{APPARATUS FOR WITHDRAWING A ARTICLE IN GAME MACHINE}
본 고안은 오락기의 물품 인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락기내 회전하는 회전판에 위치한 물품을 전,후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인출하기 위해 횡이동체의 하측으로 인출바아를 설치하여 게임의 즐거움을 도모한 오락기의 물품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물품 인출형 오락기중,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회전판형 오락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2는 종래기술에 따른 크레인형 오락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회전판형 오락기(2)는 구동부(4)와 회전아암(6), 회전판(8), 조작부(10)로 구성되어 이루어지고 있으며, 조작부(10)의 조작으로 전원이 구동부(4)에 인가되면 구동부(4)의 작동을 제어하여 회전아암(6)의 회전 조작을 제어하게 된다.
이에 회전아암(6)의 조작으로 회전판(8)상의 물품을 인출구(12)로 밀어 인출시킴으로서 게임을 즐기게 된다.
또 다른 종류로 클레인형 오락기(14)가 알려지고 있는데, 이는 인형등의 포획대상 물품이 담기는 본체의 내부 상측에 전,후 좌,우 방향으로 이송이 가능한 포획체가 설치되고 있다.
크레인형 오락기(14)는 본체의 상부면 전방에 마련되는 작동레버(16)를 통해 포획체를 포획하고자 하는 물품의 상부로 이동시킨 후 작동스위치 버튼을 눌러 상하방향으로 승강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포획체의 포획집게(18)를 하강시켜 물체를포확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크레인형 오락기(14)에 있어서, 포획체에는 케이스(20)의 내부에 구동모터 및 권취릴이 설치되고, 권취릴에 감긴 견인와이어(22)의 선단에 포획집게(18)가 매달려 설치되고 있다.
즉, 출발위치에 있는 포획체를 오락기 본체 상부면의 작동레버(16)를 통해 포획하고자 하는 물체의 상부로 이동시킨 후 본체 상부면의 작동스위치 버튼을 조작하여 포획체의 구동모터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포획집게(18)가 하강하게 된다.
이에 따라 포획집게(18)가 본체에 내장된 물품 위에 착지하면 그의 각 집게발이 오므려지면서 물품을 포획할 수 있게 되며, 물품을 포획한 후에는 구동모터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포획집게(8) 및 그에 의해 포획된 물품이 상승하게 되고, 포획집게 및 포획물품의 상승이 완료된 후에는 포획체가 원래의 출발위치로 이동하여 포획집게(18)로 포획한 물품을 인출구로 낙하시키게 된다.
물품이 인출구로 낙하하면 사용자가 이를 꺼내 게임의 즐거움과 만족감을 느기게 한다.
상기한 회전판형 오락기(2)나 크레인형 오락기(14)는 사용자의 잦은 시도로 요령을 터득하게 되어 물품의 인출 퍼센트가 증대되게 되어 운영자 입장으로는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크레인형 오락기는 숙달된 소비자외에는 물품 인출에 따른 즐거움과 만족감을 느끼기 어려운 게임구조로 관심을 촉발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장기간 오락기를 진열함에 따라 소비자로 하여금 호기심 유발을 도모하지 못하여 게임을 시행하지 않아 운영 비용을 맞추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오락기의 간단한 구조 개선으로 소비자로 하여금 물품 인출의 성공예감을 증대하면서 호기심 유발을 위해 새로운 게임 구조의 제안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고안의 목적은 오락기내 회전하는 회전판에 위치한 물품을 전,후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인출하기 위해 이동체의 하측으로 인출바아를 설치하여 게임의 즐거움을 도모한 오락기의 물품인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코인투입부와 조작레버부의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산재된 물품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판과, 이 회전판의 회전과 더블어 연동하게 오락기내 양측 상부에 종방향으로 배치된 종가이드로드와, 이 종가이드로드에 조립되어 종방향으로 이동하게 설치된 종방향 이동체와, 이 종방향 이동체간을 연결 설치하여 횡방향으로 배치된 횡가이드로드와, 이 횡가이드로드 상을 좌,우 이동하게 설치된 횡방향 이동체로 이루어지는 물품 인출 오락기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이동체의 하측에 길이조절브라켓트로 조립되면서 물품을 인출하게 일정 길이로 하향 설치되는 인출바아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오락기의 물품 인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인출바아는 하단에 물품과의 마찰을 접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베어링을 설치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오락기의 물품 인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물품 인출 오락기의 조작레버부에 의해 횡방향 이동체와 종방향 이동체가 종가이드로드와 횡가이드로드를 전,후 좌,우로 이동하게 될때 횡방향 이동체의 하측에 회전판과 일정 갭을 두고 하향으로 일정 길이로 설치된 인출바아는 물품과 접촉하게 된다.
이때 회전판 상의 물품은 회전판에 의해 회전하게 되고, 소비자는 조작레버부를 조작하여 인출바아의 위치를 선택하므로서 물품의 진행 방향을 간섭하면서 인출구로 물품을 밀어 내보내게 된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회전판형 오락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2는 종래기술에 따른 크레인형 오락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오락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오락기를 도시한 평면도.
도5는 도3의 A를 확대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물품 인출형 오락기 32:코인투입부
34:조작레버부 36:회전판
38:종가이드로드 40:종방향 이동체
42:횡가이드로드 44:횡방향 이동체
46:물품인출장치 48:인출바아
50:길이조절 브라켓 52:조임나사
54:베어링 56:엘이디램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3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오락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4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오락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5는 도3의 A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물품 인출형 오락기(30)는 코인투입부(32)와 조작레버부(34)의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산재된 물품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판(36)과, 이 회전판(36)의 회전과 더블어 연동하게 오락기(30)내 양측 상부에 종방향으로 배치된 종가이드로드(38)와, 이 종가이드로드(38)에 조립되어 종방향으로 이동하게 설치된 종방향 이동체(40)와, 이 종방향 이동체(40)간을 연결 설치하여 횡방향으로 배치된 횡가이드로드(42)와, 이 횡가이드로드 (42)상을 좌,우 이동하게 설치된 횡방향 이동체(44)로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오락기(30)에 적용되는 물품인출장치(46)는 상기 횡방향 이동체(44)의 하측에 오락기(30)내 물품을 인출하게 일정 길이로 하향 설치되는 인출바아(3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인출바아(48)는 횡방향 이동체(44)의 하측에 설치된 길이조절 브라켓(50)에 조립 설치되고 있다.
상기 길이 조절브라켓(50)은 조립된 인출바아(48)를 회전판(36) 상면과의 갭을 가변적으로 조정한 후 조임나사(52)를 이용 고정하고 있다.
상기한 인출바아(48)는 하단에 물품과의 마찰 접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베어링(54)을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횡방향이동체(44)에는 상부면에 다수개의 엘이디(L.E.D)를 배열 배치한 엘이디램프(56)를 구비하여 게임중 시각적 효과를 도모하고 있다.
또, 상기 횡방향이동체(44)나, 종방향이동체(40)의 구동부분과 종,횡가이드로드(38)(42)의 기계적 메카니즘은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물품 인출 오락기(30)의 조작레버부(34)에 의해 횡방향 이동체(44)와 종방향 이동체(40)가 종가이드로드(38)와 횡가이드로드(42)를 전,후 좌,우로 이동하여 회전판(36)에 의해 회전하는 물품의 진로를 방해하여 외곽으로 벗어나게 한다.
이때 회전판(36)상의 물품은 회전판(36)의 일측에 설치된 가이드판(58)에 의해 중심으로 안내되고, 소비자는 계속적으로 조작레버부(34)를 조작하여 인출바아(48)의 위치를 조정하여 물품의 진행 방향을 저지하면서 물품을 인출구(60)측으로 밀어 내보내게 되므로서 게임을 즐기게 된다.
한편 게임중 인출바아(48)의 전,후 좌,우 방향으로 조작 이동시 횡방향이동체(44)상의 엘이디램프(56)는 다양한 형상으로 발광하게 되어 시각적 효과를 유발하므로서 어린이등의 호기심을 유발하게 된다.
그리고 인출바아(48)의 하단에 베어링(54)을 설치하므로서 회전판(36)과 같이 회전하는 물품용기와의 마찰 접촉을 저감시켜 물품의 인출을 방해하므로서 아쉬움을 고조시켜 게임의 흥미를 유지시키게 된다.
상기한 횡방향 이동체(44)에 인출바아(48)를 채용하므로서 물품 인출에 따른 게임 난이도를 시각적으로 낮추어 누구나 게임에 참여하고픈 심리를 유도하게 한다.
또, 인출바아(48)의 높낮이를 가변적으로 하여 오락기(30)에 투입되는 물품크기나 종류를 다양하게 구비할 수 있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고안은 물품 인출 오락기에 구조가 복잡한 클레인 삭제하고 간단한 구조의 인출바아를 채용하므로서 제작 원가를 저감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인출바아의 적용으로 게임의 난이도를 시각적으로 낮춤으로서 누구나참여할 수 있는 참여푹을 넓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인출바아가 회전하는 물품과 자주 접촉하게 되어 있어 소비자의 게임 의욕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계속 게임을 진행하게 하므로서 운영자와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횡방향이동체의 상부면에 엘이디램프를 설치하므로서 소아나 어린이등의 호기심을 유발하게 되어 게임을 즐기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인출바아의 높낮이를 가변적으로 할 수 있어 오락기내에 다양한 물품을 구비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여 오락기 산업분야의 발전에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코인투입부(32)와 조작레버부(34)의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산재된 물품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판(36)과, 이 회전판(36)의 회전과 더블어 연동하게 오락기(30)내 양측 상부에 종방향으로 배치된 종가이드로드(38)와, 이 종가이드로드(38)에 조립되어 종방향으로 이동하게 설치된 종방향 이동체(40)와, 이 종방향 이동체(40)간을 연결 설치하여 횡방향으로 배치된 횡가이드로드(42)와, 이 횡가이드로드(42) 상을 좌,우 이동하게 설치된 횡방향 이동체(44)로 이루어지는 물품인출 오락기(30)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이동체(44)의 하측에 길이조절브라켓(50)로 조립되면서 물품을 인출하게 일정 길이로 하향 설치되는 인출바아(48)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오락기의 물품 인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인출바아(48)는 하단에 물품과의 마찰을 접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베어링(54)을 설치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오락기의 물품 인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횡방향이동체(44)에는 상부면에 다양한 형상으로 발광하게 엘이디램프(56)를 설치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오락기의 물품 인출장치.
KR2020010018474U 2001-06-20 2001-06-20 오락기의 물품 인출장치 KR2002454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474U KR200245444Y1 (ko) 2001-06-20 2001-06-20 오락기의 물품 인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474U KR200245444Y1 (ko) 2001-06-20 2001-06-20 오락기의 물품 인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5444Y1 true KR200245444Y1 (ko) 2001-10-31

Family

ID=73103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8474U KR200245444Y1 (ko) 2001-06-20 2001-06-20 오락기의 물품 인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544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78176A (en) Amusement apparatus
US6598881B1 (en) Crane game with prize redistribution mechanism
KR101624417B1 (ko) 구조 개선된 상품 뽑기 게임장치
US5108163A (en) Apparatus for storing articles
KR200245444Y1 (ko) 오락기의 물품 인출장치
CN106861177A (zh) 家庭用娃娃机
KR101278607B1 (ko) 물품 뽑기 게임기
JP6244692B2 (ja) ゲーム機
KR100496514B1 (ko) 경품 뽑기용 게임기
KR101542550B1 (ko) 낚시 게임 장치
CN212491498U (zh) 一种障碍机构及其游戏装置
KR101976825B1 (ko) 개별적으로 제어가 가능한 다지형 그리퍼 기계
CN212491496U (zh) 一种抓物机
CN108903514B (zh) 一种艺术作品多方位展示装置
CN212662669U (zh) 一种带有商品推落机制的新型娃娃机
CN209173358U (zh) 一种游戏机
JP2008228965A (ja) クレーンゲーム機
KR200377535Y1 (ko) 개선된 구조의 그래버 머신
KR20050115833A (ko) 로봇을 이용한 상품인출용 오락기
KR0123399Y1 (ko) 오락용 상품인출장치
KR200390954Y1 (ko) 물품 뽑기 오락기
KR200228403Y1 (ko) 인형뽑기 오락기의 집게 이동장치
KR20110080273A (ko) 물품 뽑기 게임기
KR200189017Y1 (ko) 상품인출용 오락기의 구동장치
CN209734938U (zh) 一种滚珠通关游戏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