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2655Y1 - 에어 주입형 텐트용 공기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에어 주입형 텐트용 공기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2655Y1
KR200242655Y1 KR2020010015046U KR20010015046U KR200242655Y1 KR 200242655 Y1 KR200242655 Y1 KR 200242655Y1 KR 2020010015046 U KR2020010015046 U KR 2020010015046U KR 20010015046 U KR20010015046 U KR 20010015046U KR 200242655 Y1 KR200242655 Y1 KR 2002426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tent
zipper
present
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50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수
Original Assignee
박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수 filed Critical 박병수
Priority to KR20200100150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26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26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2655Y1/ko

Links

Landscapes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 주입형 텐트용 공기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설치 후 철거가 극히 신속, 용이하게 이루어 질 수 있으면서도 염가 제작이 가능한 에어 주입형 텐트용 공기배출장치를 제공코자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상호 연통되는 수개의 공기주머니(6)를 각각 갖는 바닥부(2)와 지붕부(3)로 구성되며, 내부에 상기 공기주머니(6)상에서 에어를 주입하는 공기주입구(2b)를 갖는 통상의 에어주입형 텐트(1)에 있어서, 상기 지붕부(3) 일측에는 시트지(4)를 절개하여 지퍼(9)로 결합되고, 지퍼(9) 내측으로는 시트지(4)에 일단이 열접착 고정된 공기차단판(10)을 위치시킨 공기배출구(8)를 마련하여 에어 주입형 텐트(1)를 철거 시에 신속, 간편 및 용이하게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에어 주입형 텐트용 공기배출장치{Air depleting device for of mold for the use of footwear sole}
본 고안은 에어 주입형 텐트용 공기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설치후 철거가 용이하게 이루어 질 수 있으면서도 염가 제작이 가능한 에어 주입형 텐트용 공기배출장치를 제공코자 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야영 등을 할 시에 사용되는 텐트는 수개의 지지골조를 사용하여 방수 가능한 섬유로 구성되는 바닥과 지붕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와 같은 종래의 텐트는 초보자 등이 사용하기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고, 또 지지골조 등의 손상이나 분실시 텐트를 못쓰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텐트를 설치코자 할 경우는 지면이 평탄한 곳을 선택하여 설치해야 하는 등의 불편이 있었던 것이다.특히, 종래의 텐트의 경우 공기를 주입하는 것은 차치하고라도 주입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번거로움과 공기배출에 시간을 소모함으로서 텐트의 철거에 상당한 어려움을 안고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텐트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지지골조 없이 에어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설치되는 텐트에 있어서 공기를 배출시에 신속,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에어주입형 텐트용 공기배출장치를 제공함에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가 적용된 에어주입형 텐트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텐트를 펼친 상태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인 공기배출부를 발췌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단면도
※도면에 사용된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텐트 2:바닥부
2a:상측면 2b:공기주입구
3:지붕부 3a:외측면
4:시트지 5:접착부
6:공기주머니 8:공기배출부
9,11,14:지퍼 10:공기차단판
13:측벽 15:브라켓
15a:결합구멍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가 적용된 텐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텐트를 전개한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공기배출장치의 발췌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 등으로서, 이하에서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텐트(1)를 구성하는 바닥부(2)와 지붕부(3)를 일체로 구성하여 공기를 주입시 텐트(1) 형상에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을 보장하면서도 필요에 따라서는 물놀이기구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에어주입형 텐트(1)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2장의 시트지(4)를 포개어 가장자리를 열접착 등의 방법으로 접착하여 밀봉하고, 시트지(4)의 길이방향으로 1:1.6의 비율로 바닥부(2)와 지붕부(3)를 구분되도록 하고, 바닥부(2)에 해당하는 시트지(4)의 길이방향으로 수개소의 접착부(5)를 형성하여 상측면(2a)이 평탄하게 구성되도록 수개의 공기주머니(6)를 형성하며, 지붕부(3)에 해당하는 시트지(4)에는 상기 바닥부(2)에 형성된 접착부(5)와 직교방향으로 수개의 접착부(5)를 형성하여 외측면(3a)이 평탄하게 구성되도록 공기주머니(6)를 형성하며, 바닥부(2)와 지붕부(3)의 각 공기주머니(6)는 상호 연통되도록 한다.그리고 바닥부(2) 일측에는 공기주입구(2b)를 마련하여 다양한 공기주입기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하고 지붕부(3)의 일측에는 공기주머니(6)에 주입된 공기를 단속하였다가 철거 시에 공기를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공기배출부(8)를 형성한다.
즉,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상기 공기배출부(8)는 시트지(4)를 일정 길이 절개하여 지퍼(9)로 밀봉되도록 하고, 지퍼(9) 내측으로는 시트지(4)에 일단이 열접착 등으로 고정된 공기차단판(10)을 마련하여 공기를 주입시에는 공기배출부(8)를 차단토록하고, 공기를 배출코자 할 시에는 지퍼(9)를 개방하고 공기차단판(10)을 내측으로 밀어서 공기의 배출이 신속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바닥부(2)와 지붕부(3)의 양측단으로는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지퍼(11)를 마련하여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하고, 바닥부(2)의 좌우측에는 호형의 측벽(12)을 마련하되, 측벽(12)의 가장자리와 지붕부(3)의 좌우측에도 지퍼(13)를 마련하여 상호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각 지퍼(11)(13)외측으로는 커버(미도시)를 형성하여 지퍼(11)(13)를 보호토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바닥부(2)의 각 모서리에는 본 고안의 텐트(1)를 고정쐐기(14) 등으로 지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결합구멍(15a)이 형성된 브라켓(15)을 형성한 것이다.
본 고안의 공기배출부(8)를 가진 텐트(1)는 도시한 터널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6은 측벽(13)에 출입구를 형성하기 위한 지퍼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고안은 주로 야외에서 야영시 사용케 되는 것으로서, 바닥부(2) 상측으로 지붕부(3)를 포개고 바닥부(2)와 지붕부(3) 양측에 마련되는 지퍼(11)를 상호 결합한 후 공기주입구(2b)로 공기를 공급하면 바닥부(2)와 지붕부(3)를 구성하는 각 공기주머니(6)에 공기가 내입되면서 부풀어오르게 한 다음 바닥부(2) 각 모서리에 형성되는 브라켓(15)에 고정쐐기(14)를 위치시키고 고정쐐기(14)를 지면에 타압하여 텐트(1)를 고정하고 양 측벽(12)과 지붕부(3)를 지퍼(13)로 결합하기만 하면 텐트(1)의 설치가 완성되는 것이다.
이때 본 고안의 텐트(1)는 바닥부(2)와 지붕부(3)를 구성하는 공기주머니(6)가 상호 직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바닥부(2)와 지붕부(3)가 말리지 않고 텐트(1) 형상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간편하게 설치 사용할 수 있는 본 고안의 텐트(1)는 공기를 주입하기만 하면 간단하게 설치가 완료되는 것으로서 지지대를 이용하는 종래의 텐트에 비하여 설치상의 간편성이 보장되는 것은 물론이고, 텐트(1)를 설치코자 하는 장소의 지면이 평탄치 않아도 바닥부(2)를 구성하는 공기주머니(6)가 이를 보완하여 바닥부(2)를 평탄하게 보상하게 되므로 장소에 구애 없이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한 후 텐트(1)를 철거코자 할 시에는 상기한 역순으로 지퍼(11)(13)를 해리한 후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부(3) 일단에 마련되는 공기배출부(8)의 지퍼(9)를 열고 손을 내입하여 공기차단판(9)을 내측으로 밀게되면 바닥부(2)와 지붕부(3)를 구성하는 공기주머니(6)에 내입되어 있는 공기가 공기배출부(8)를 통하여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되므로 텐트(1)의 철거가 극히 간편하고 신속하게 행해지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과 같은 텐트(1)는 바닥부(2)와 지붕부(3)가 공기주머니(6)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바닥부(2)와 지붕부(3)를 펼친 상태에서 공기를 주입할 경우 통상의 보트 등과 같이 물놀이 기구로도 사용할 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공기 주입만으로 텐트(1)의 바닥부(2)와 지붕부(3)가 형성되면서 텐트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에어주입형 텐트(1)에 공기를 신속, 간편하게 배출할 수 있는 공기배출부(8)를 형성함으로서 에어를 주입하여 텐트 설치 후 철거를 극히 간편하게 행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상호 연통되는 수개의 공기주머니(6)를 각각 갖는 바닥부(2)와 지붕부(3)로 구성되며, 내부에 상기 공기주머니(6)상으로 에어를 주입하는 공기주입구(2b)를 갖는 통상의 에어주입형 텐트(1)에 있어서;
    상기 지붕부(3) 일측에는 시트지(4)를 절개하여 지퍼(9)로 결합되고, 지퍼(9) 내측으로는 시트지(4)에 일단이 열접착 고정된 공기차단판(10)을 위치시킨 공기배출부(8)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주입형 텐트용 공기배출장치.
KR2020010015046U 2001-05-22 2001-05-22 에어 주입형 텐트용 공기배출장치 KR2002426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046U KR200242655Y1 (ko) 2001-05-22 2001-05-22 에어 주입형 텐트용 공기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046U KR200242655Y1 (ko) 2001-05-22 2001-05-22 에어 주입형 텐트용 공기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2655Y1 true KR200242655Y1 (ko) 2001-10-29

Family

ID=73054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5046U KR200242655Y1 (ko) 2001-05-22 2001-05-22 에어 주입형 텐트용 공기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265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830B1 (ko) * 2014-09-25 2015-07-15 차어진 에어돔 텐트
KR101891055B1 (ko) * 2018-03-19 2018-08-23 주식회사 제이디 엔지니어링 모듈식 슬리핑 튜브
KR200488079Y1 (ko) * 2017-11-15 2018-12-12 주식회사 글램핑코리아 기능성 글램핑 텐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830B1 (ko) * 2014-09-25 2015-07-15 차어진 에어돔 텐트
KR200488079Y1 (ko) * 2017-11-15 2018-12-12 주식회사 글램핑코리아 기능성 글램핑 텐트
KR101891055B1 (ko) * 2018-03-19 2018-08-23 주식회사 제이디 엔지니어링 모듈식 슬리핑 튜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5464B2 (en) Flexible dual skin wall and device for tensioning a dual skin flexible wall
US20030221716A1 (en) Temporary outdoor shelter
KR200242655Y1 (ko) 에어 주입형 텐트용 공기배출장치
JP3129192U (ja) 水嚢
JP4060704B2 (ja) ウォーターフェンス
KR101218846B1 (ko) 측면 체결형 방수시트
US5070669A (en) Heat-insulation and water-proofing brick bond
KR900008546Y1 (ko) 공기 매트
JP7117736B2 (ja) トンネル防排水構造
JP4191429B2 (ja) 外装材の縦目地構造
KR100817011B1 (ko) 일체형 터널용 방수부재, 이를 이용한 터널용 방수구조물및 터널용 방수공법
JP2783715B2 (ja) ユニット式カーテンウォールにおける接合部の水密構造
JP3649094B2 (ja) 外壁目地のシール構造
JP4021297B2 (ja) 止水構造
JP3842023B2 (ja) 外壁サイディングの固定構造
KR200272654Y1 (ko) 텐트
JP2545338B2 (ja) トンネルの防水施工法
KR200204817Y1 (ko) 선풍기 보관용 커버
KR200238520Y1 (ko) 에어텐트
KR20090078376A (ko) 복수 텐트의 연결확장 수단
JP3557546B2 (ja) 外壁材の取付構造
JP4244091B2 (ja) テント
US20040217030A1 (en) Tent-and-box assembly
JP2593600Y2 (ja) プラスチックフェンスの目地構造
JP2543266Y2 (ja) 外壁角隅部の防水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