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3437Y1 - 에어 비닐하우스 - Google Patents

에어 비닐하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3437Y1
KR200353437Y1 KR20-2004-0006423U KR20040006423U KR200353437Y1 KR 200353437 Y1 KR200353437 Y1 KR 200353437Y1 KR 20040006423 U KR20040006423 U KR 20040006423U KR 200353437 Y1 KR200353437 Y1 KR 2003534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inyl
air tube
tube
h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64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길태
Original Assignee
임길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길태 filed Critical 임길태
Priority to KR20-2004-00064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34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34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34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07Greenhouses of flexible synthetic material
    • A01G9/1415Greenhouses of flexible synthetic material with double or multiple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6Dismountable or portable greenhouses ; Greenhouses with sliding roof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 H05B3/56Heating cab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별도의 철재프레임 등을 사용할 필요없이 에어튜브만으로 구성되어, 에어튜브에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형성되는 비닐하우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에어 비닐하우스는, 서로 대응하는 두 비닐을 하나는 외측비닐로 하고 다른 하나는 내측비닐로 하여 두 비닐의 테두리를 융착시켜 제조한 에어튜브가 둘 이상 서로 결합하여 형성된 에어 비닐하우스로서, 상기 각각의 에어튜브는 에어를 주입하기 위해 에어튜브의 표면에 형성시킨 에어주입구; 다른 에어튜브와의 결합을 위한 지퍼 등의 결합수단; 에어주입시 에어튜브가 다수개의 구획으로 분리되도록 에어튜브의 외측비닐과 내측비닐을 일정간격으로 융착하여 접합시킨 일직선 융착부가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에어 비닐하우스는, 상기 에어튜브에서 외측비닐과 내측비닐을 일정간격으로 융착시킨 융착부를 생성시키는 것 대신에 에어튜브의 지지력을 더욱 견고하게 하기 위해, 에어튜브를 구성하는 외측비닐과 내측비닐의 사이에 위아래가 트이고 직사각형 형태의 2겹 비닐을 일정간격으로 삽입하여 배치한 후, 상기 2겹 비닐에서 에어튜브의 외측비닐과 접하는 면은 외측비닐에 융착시키고 내측비닐에 접하는 면은 내측비닐에 융착시킴으로써, 에어튜브에 에어주입시 상기 2겹 비닐이 기둥모양으로 부풀어 만곡되는 형태의 에어기둥부를 형성하는 에어튜브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에어 비닐하우스는, 상기 일직선 융착부가 생성된 에어튜브 또는 에어기둥부가 생성된 에어튜브 각각을 지퍼등의 결합수단으로 결합한 후 에어를 주입하는 것 만으로 비닐하우스가 형성되므로 누구나 용이하게, 빠른 시간내에 비닐하우스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에어 비닐하우스 {AIR VINYL HOUSE}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별도의 철재프레임 등을 사용하지 않고 에어튜브만으로 구성되고, 상기 에어튜브에 공기를 주입하는 것만으로 형성되는 에어 비닐하우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는 기밀성이 높아서 우수한 보온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농업분야 특히 일정한 온도를 필요로 하는 농작물의 재배나, 숙성, 건조 등을 제공하는 공간으로서 많이 사용되며, 그 외에도 사람의 임시 거주용 막사나 창고 등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비닐하우스는 시설, 유지, 철거 등에 있어 일반 석조 건축물이나 합판등을 사용한 가건물 등에 비해 간편하고 적은 비용으로도 설치 및 철거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통상적으로 비닐하우스는 철재 프레임이나 철재 파이프 등으로 골격을 형성시킨 후, 염화비닐이나 폴리에틸렌 필름 등과 같은 합성수지재의 비닐을 철재골격 위에 덮어씌움으로써 제작한다. 또 비닐하우스의 표면이나 그 내부에 필요에 따라 환기창, 온냉방 장치, 급수장치 등을 다양하게 설치한다.
그런데 이러한 비닐하우스는, 비록 그 제작이 다른 건축물에 비해 용이하다고는 하지만, 비닐 하우스의 골격을 형성하는 철재 프레임의 규칙적인 배열설치나 연결작업 또는 비닐을 철재 프레임에 단단하고 팽팽하게 피복시키는 작업 등은 설치경험이 없는 사람이 숙련가의 도움없이 혼자서 작업한다는 것은 결코 용이하지 않다.
물론 대규모 농사용 비닐하우스의 제작은 당연히 숙련가의 감독하에 작업함이 바람직하겠으나, 소형 비닐하우스 예컨대 사람의 임시막사 용도나 농작물의 건조용도, 모종재배용도로 사용되는 소형 비닐하우스의 설치에까지 숙련가의 작업을 필요로 한다면, 이는 비닐하우스의 사용자 입장에서 번거롭고 비용상의 부담도 감수할 수 밖에 없다.
또한, 농촌의 경우 농작물의 건조나 모종재배를 위해 소형 비닐하우스의 수요가 많은 반면에, 노령인구의 비율이 점차 증가하는 우리나라 농촌사회의 현실에 비추어 볼 때, 소형의 비닐하우스를 설치하는 것 역시 노약자에게는 쉽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비숙련가 또는 노약자 등도 다른 사람의 도움없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의 개발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철재 프레임 등을 사용할 필요없이 비닐하우스 형태로 구성된 에어튜브에 에어를 주입하는 것만으로 설치가능한 에어 비닐하우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에어튜브 내에 에어기둥부를 생성시킴으로써 외부압력에도 쉽게 변형하거나 접히지 않는 견고한 에어 비닐하우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비닐하우스를 구성하는 다수의 에어튜브의 테두리에 다른 에어튜브와 결합하기 위한 지퍼 등의 결합수단을 형성시킴으로써 그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에어 비닐하우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외측비닐과 내측비닐로 구성된 에어튜브에 주입된 공기층에 의해 비닐하우스의 내부와 외부의 열교환을 차단하는 효과, 즉 단열효과가 있는 에어 비닐하우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열선이 내장된 방수처리된 바닥판과 결합함으로써 농작물의 건조용도, 모종재배용도 기타 난방을 필요로 하는 공간역할을 할 수 있는 에어 비닐하우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이하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도면에 의하여 보다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에어 비닐하우스의 분리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에어 비닐하우스의 결합도이다.
도 3은 에어주입 전의 본 고안의 덮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도 3의 덮개부에 에어를 주입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에어 비닐하우스의 정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는 본 고안에 의한 에어 비닐하우스의 측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에어 비닐하우스에 형성된 에어기둥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8은 상기 도 7의 에어기둥이 형성된 에어튜브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에어 비닐하우스에 형성된 소통부와 연결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덮개부 200: 정면부
200': 배면부 300: 좌측면부
300': 우측면부 400:지지대용 에어튜브
500: 바닥부 20: 에어튜브간의 결합수단
110: 덮개부의 중앙융착부 120: 덮개부의 일직선융착부
150: 끈 160: 덮개부의 에어주입구
210: 에어주입구 220: 환기구
230: 정면부의 수직 에어기둥 240: 정면부의 대각선 에어기둥
250: 출입구 260: 정면부의 결합수단
90: 에어소통부 1000: 에어 비닐하우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에어 비닐하우스는, 서로 대응하는 두 비닐을 하나는 외측비닐로 하고 다른 하나는 내측비닐로 하여 두 비닐의 테두리를 융착시켜 제조한 에어튜브가 둘 이상 서로 결합하여 형성된 에어 비닐하우스로서, 상기 각각의 에어튜브는 에어를 주입하기 위해 에어튜브의 표면에 형성시킨 에어주입구; 다른 에어튜브와 결합하기 위해 에어튜브의 테두리에 형성시킨 지퍼 등의 결합수단; 에어주입시 에어튜브가 다수개의 구획으로 분리되도록 에어튜브의 외측비닐과 내측비닐을 일정간격으로 융착하여 접합시킨 일직선 융착부가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에어 비닐하우스는, 상기 에어튜브에서 외측비닐과 내측비닐을 일정간격으로 융착시킨 융착부를 생성시키는 것 대신에 에어튜브의 지지력을 더욱 견고하게 하기 위해, 에어튜브를 구성하는 외측비닐과 내측비닐의 사이에 위아래가 트이고 직사각형 형태의 2겹 비닐을 일정간격으로 삽입하여 배치한 후, 상기 2겹 비닐에서 외측비닐과 접하는 면은 외측비닐에 융착시키고 내측비닐에 접하는 면은 내측비닐에 융착시킴으로써, 에어튜브에 에어주입시 상기 2겹 비닐이 기둥모양으로 부풀어 만곡되는 에어기둥부를 생성시킨 에어튜브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에어 비닐하우스는, 상기 일직선 융착부를 생성시킨 에어튜브와 에어기둥부를 생성시킨 에어튜브의 조합으로 비닐하우스를 구성할 수 있고, 또는 하나의 에어튜브에 일직선 융착부와 에어기둥부를 모두 생성시킨 에어튜브의 결합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에어 비닐하우스에는 비닐하우스에 난방을 공급하기 위해 열선이 내장되고 표면이 방수처리된 바닥부를 더 포함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난방이 공급되는 에어 비닐하우스는 농작물의 건조공간 또는 모종 재배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에어튜브에 에어의 주입 또는 배출시 비닐의 점착력에 의해 에어통로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일직선 융착부가 형성된 에어튜브의 에어통로를 따라 일정두께의 끈을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 비닐하우스는 그 내부에서 덮개부 에어튜브와 벽면부 에어튜브의 튜브골에 끼워넣어 결합함으로써 비닐하우스의 수직하중과 벽면을 지지하는 지지대용 에어튜브를 더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에어 비닐하우스를 구성하는 각 에어튜브에는, 다른 에어튜브와 연결호스를 통해 에어 소통을 할 수 있도록 에어 소통부를 형성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에어 비닐하우스의 구성을 살펴본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에어 비닐하우스(1000)의 분리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에어 비닐하우스는 크게 덮개부(100)와 벽면부(200, 200', 300, 300')로 나눌 수 있고, 벽면부는 다시 정면부(200), 배면부(200'), 좌측면부(300), 우측면부(300')로 나눌 수 있다. 본 고안의 에어 비닐하우스는 본 실시예에서처럼 여러 개로 나누어진 에어튜브를 결합하여 제작할 수도 있고, 전체를 하나의 에어튜브로 제작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1에서처럼 덮개부(100), 정면부(200), 배면부(200'),좌측면부(300), 우측면부(300')를 각각 별도의 에어튜브로 구성할 수 있고, 좌측면부(300)와 정면부(200)를 하나의 에어튜브로써 구성하거나, 벽면부(200, 200', 300, 300') 전체를 하나의 에어튜브로써 구성하는 등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
다만 전체 비닐하우스(1000)를 하나의 에어튜브로써 구성하는 것 보다는 다수의 에어튜브로써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비닐하우스를 다수의 에어튜브로 구성할 경우 비닐의 일부가 손상되어도 다른 에어튜브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해당 에어튜브만을 분리하여 수리, 교체 등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한편, 다수의 에어튜브를 사용할 경우에, 각 에어튜브들 사이의 결합은 각 에어튜브의 외측테두리에 형성된 결합수단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에어 비닐하우스는 지지대용 에어튜브(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용 에어튜브(400)는 비닐하우스의 내부의 중앙에서 덮개부(100)를 지지하는 역할(떠받치는 역할)을 하는 에어튜브이다. 이는 비닐하우스(1000)의 길이가 긴 경우에 덮개부(100)의 수직하중을 지지함으로써 덮개부(100)가 늘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비닐하우스의 길이를 길게 제작한 경우라도 지지대용 에어튜브(400)에 의해 견고한 지지가 가능하다. 지지대용 에어튜브(400)는 덮개부와 벽면부의 에어튜브에 형성된 튜브골에 끼워 넣음으로써 간단히 설치 가능하다. 지지대용 에어튜브(400)에는 다수의 높이방향의 에어기둥부(410)와 대각선방향의 에어기둥부(420)를 형성시킴으로써 덮개부 에어튜브(100)와 측면부 에어튜브(300, 300')를 견고히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바닥부(50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에어 매트리스를 사용하거나 일반바닥판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농작물 건조용도나 모종재배용도 등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열선이 내장되고 방수처리가 된 바닥판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벽면부(200, 200', 300, 300')와 바닥부(500)와의 결합은 지퍼 또는 벨크로(Velcro; 일명 ‘찍찍이’) 등 다양한 결합수단에 의해 가능하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에어 비닐하우스의 결합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위에서 설명한 각 구성요소들이 결합되어 비닐하우스를 형성하고 있다. 본 고안의 에어튜브는 일직선 융착부가 형성된 에어튜브와 에어기둥부가 형성된 에어튜브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일직선 융착부가 형성된 에어튜브만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고 에어기둥부가 형성된 에어튜브만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두 에어튜브의 결합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일직선 융착부가 형성된 에어튜브를 덮개부(100)로 하였고, 에어기둥부가 형성된 에어튜브를 벽면부(200, 200', 300, 300')로 하였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에어튜브간의 결합은 지퍼 등의 결합수단(20)에 의해 결합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 비닐하우스의 각 구성부분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살펴본다.
도 3은 에어를 주입하기 전의 덮개부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외측비닐과 내측비닐이 완전히 포개어진 모습이다. 본 고안의 덮개부(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의 좌우측을 구분하기 위한 중앙 융착부(110), 에어주입시 에어튜브를다수의 구획으로 분리하는 튜브골을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일직선 융착부(120), 외측비닐과 내측비닐을 밀봉하기 위한 외곽 융착부(13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일직선 융착부의 양단에는, 내외측 비닐의 점착력으로 인해 에어통로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두께의 끈(150)이 삽입되어 있고, 에어튜브의 적당한 위치에 에어주입구(160)가 형성되어 있다. 에어튜브의 가장 바깥부분(140)은 지퍼등의 결합수단을 형성시키기 위한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덮개부 전체, 즉 좌측덮개부와 우측덮개부를 하나의 에어튜브로 구성하였다. 여기서 좌측덮개부와 우측덮개부의 경계는, 서로 맞닿는 외측비닐과 내측비닐의 중간지점을 일직선으로 융착시킴으로써 구분한다. 이 때 에어통로가 확보되도록 중앙융착부(110) 양단의 일정 길이를 융착하지 않고 남겨둔다.
에어주입시 튜브골을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일직선 융착부(120)를 형성시키는 경우에도 에어통로가 확보되도록 양 끝단의 일정길이는 남겨두고 융착시켜야 하며, 상기한 바와 같이 일직선 융착부의 양단의 비융착부분, 즉 에어통로에 적당한 두께의 끈(150)을 가로질러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끈을 삽입하는 이유는, 에어의 주입 또는 배출시에 비닐이 오그라져 있는 상태에서 비닐의 점착력으로 인해 에어통로가 막힘으로써 에어의 흐름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끈의 양단은 내외측비닐 간의 융착부분(130)에 함께 융착되어 양단이 고정된다. 이와 같이 끈이 삽입된 에어튜브에 에어를 주입하였을 경우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 도 4이다. 한편 도 3에서 중앙선 융착부(110)와 다수의 일직선 융착부(120)는 서로 직교되어 있지만 서로 평행하도록 일직선 융착부(120)를 가로방향(평행방향)으로 융착시킬 수도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에어 비닐하우스의 정면부(20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는 본 고안에 의한 에어 비닐하우스의 측면부(3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벽면부는 덮개부와 달리 수직하중을 받게 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일직선 융착부가 형성된 에어튜브 대신, 에어기둥부가 형성된 에어튜브로써 벽면부를 구성하였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부 에어튜브는, 에어를 주입하기 위한 에어주입구(210), 환풍기 등을 설치하기 위한 환기구(220), 다수의 수직 에어기둥(230)과 각각 다른 길이를 갖는 대각선 에어기둥(24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출입을 위한 출입구(250)와 다른 에어튜브와의 결합을 위한 지퍼 등의 결합수단(260)이 형성되어 있다. 출입구(250) 역시 지퍼를 통해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수직 에어기둥(230)은 일정간격마다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의 대각선 에어기둥(240)은 일정간격마다 길이를 달리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6의 측면부 에어튜브(300)는 에어를 주입하기 위한 에어주입구(310), 비닐하우스의 환기를 위한 환기창(320)과 다수의 수직 에어기둥(330)과 환기창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에어기둥(340)이 형성되어 있고, 에어튜브의 테두리에 다른 에어튜브와의 결합을 위한 지퍼 등의 결합수단(360)이 형성되어 있다. 환기창(320) 역시 지퍼를 통해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기둥은 에어튜브의 지지력을 견고히 하기 위해, 에어튜브의 테두리선에 따라 또는 환기구 등과 같이 에어튜브에 형성시킨 구조물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길이와 방향을 갖도록 형성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에어 비닐하우스(1000)에 형성된 에어기둥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기둥은, 위아래가 관통된 기둥형태의 2겹비닐을 에어튜브의 외측비닐(71)과 내측비닐(71')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평행하게 다수 배치한 후(도 7에서는 편의상 하나의 에어기둥만을 도시하였음) 고주파 융착방식에 의해 접합시킴으로써 형성시킨다. 이 때 에어튜브의 외측비닐(71)과 접하는 면은 외측비닐과 융착시키고, 에어튜브의 내측비닐(71')과 접하는 면은 내측비닐과 각각 융착시킨다. 융착형태는 일직선 형태가 아니고, 기다란 타원형 또는 기다란 직사각형의 형태로 융착시킨다. 도 7에서 빗금친 부분은 외측비닐(71)과 내측비닐(71')에 각각 융착되는 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에어기둥을 형성하는 비닐(72)은 에어가 주입되어 부풀어 오른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서, 에어주입 전에는 납작하게 눌려져 있는 기다란 직사각형 모양의 2겹비닐의 형태를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내부에 2겹으로 된 비닐(72)을 융착시킨 에어튜브에 에어를 주입하면 상기 비닐 내에 에어가 주입됨에 따라 기둥모양으로 부풀게 되고, 부풀어 오른 에어기둥은 벽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에어기둥부(72)가 형성된 에어튜브에 에어를 주입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 도 8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에어기둥부(72) 사이에는 공기층이 부풀어 오른 상태이고 외측비닐(71)과 내측비닐(71')에 각각 융착된 에어기둥부는 그 너비만큼만 부풀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벽면부를 형성하는 에어튜브는, 앞서 설명한 덮개부(100) 에어튜브와 같이 별도의 기둥역할을 하는 비닐의 삽입없이 단지 에어튜브의 외측비닐과 내측비닐을 일정간격마다 일직선 형태로 융착시키는 방식의 에어튜브를 사용할 수도 있겠으나, 상기한 바와 같이 에어기둥을 형성하는 2겹비닐이 융착된 에어튜브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한 에어 비닐하우스는, 에어튜브에 에어소통부를 형성시킴으로써, 에어튜브에 에어를 주입하는 경우 한 번의 주입으로 비닐하우스 전체에 에어를 충진시킬수 있다. 도 9는 에어소통부(90)가 형성된 정면부 에어튜브(200)와 좌측면부 에어튜브(300)의 개략도이다. 각 에어소통부는 연결용호스(91)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즉, 정면부 에어튜브(200)에 형성된 에어 소통부와 좌측면부 에어튜브(300)에 형성된 에어 소통부를 연결호스(91)로 연결하면, 두 에어튜브는 하나의 에어통로가 형성되고 이런 방식으로 에어튜브 전체를 연결하면 한 번의 에어주입으로 전체 비닐하우스(1000)에 에어를 충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에어주입을 완료하면 연결호스(91)를 분리시킨 후 별도의 마개(도시하지 않음)로 각각의 에어 소통부(90)를 막는다. 이렇게 마개로 막으면 어느 하나의 에어튜브가 손상되어 에어가 배출되어도 다른 에어튜브에는 영향이 없다.
한편 본 고안의 에어 비닐하우스의 합성수지 재질로는, 일반적인 비닐하우스에서 사용되는 염화비닐, 또는 폴리프로필렌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PU우레탄 비닐을 사용할 수 있다. PU우레탄 비닐은 상기 염화비닐이나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비해 인장강도가 더욱 높기 때문에 쉽게 찢어지지 않으면서 견고한 비닐하우스의 구축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에어튜브는 외측비닐과 내측비닐, 즉 2겹의 비닐로서 에어튜브를 구성하였으므로 에어튜브에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형성된 공기층은, 비닐하우스 내부와 외부와의 열교환을 차단하는 단열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일반 비닐하우스에 비해 더욱 효율적인 난방 및 냉방 기능이 가능하다.
이상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예컨대 본 고안의 비닐하우스에 바닥부를 결합할 것인지 여부, 어떤 소재의 비닐을 사용할 것인지의 선택문제, 비닐을 투명하게 할 것인지 여부를 비롯하여 비닐하우스의 덮개부 모양의 형태(예컨대, 삼각형모양, 아치형모양 등), 비닐하우스에 냉난방시설이나 환기시설의 설치여부 등과 같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에어 비닐하우스는 철재 프레임 등을 사용할 필요없이 에어튜브에 에어를 주입하는 것만으로 설치가능하므로, 비닐하우스의 설치경험이 없는 사람이나 노약자 등도 설치 및 해체를 빠른 시간내에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에어 비닐하우스는 외측비닐과 내측비닐로 구성된 에어튜브에 주입된 공기층에 의해 비닐하우스의 내부와 외부의 열교환이 차단되므로 효율적인 냉난방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에어 비닐하우스는 농업용, 사람이나 동물의 임시주거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고, 나아가 열선이 내장된 방수처리된 바닥판과 결합함으로써 농작물의 건조용도, 모종재배용도 등으로 사용 가능하다.
본 고안의 에어 비닐하우스는 그 내부에 적당한 위치마다 지지대용 에어튜브를 간단히 설치함으로써 비닐하우스의 길이를 길게 제작한 경우라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Claims (7)

  1. 서로 대응하는 두 비닐을 하나는 외측비닐로 하고 다른 하나는 내측비닐로 하여 두 비닐의 테두리를 융착시켜 제조한 에어튜브가 둘 이상 서로 결합하여 형성되는 에어 비닐하우스로서
    에어를 주입하기 위해 상기 각 에어튜브의 표면에 형성되는 에어주입구;
    다른 에어튜브와 결합하기 위해 상기 각 에어튜브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결합부; 및
    에어주입시 상기 각 에어튜브가 다수개의 구획으로 분리되도록 상기 각 에어튜브의 외측비닐과 내측비닐을 일정간격으로 융착하여 접합시킨 일직선 융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각 에어튜브의 에어주입구에 에어를 주입함으로써 비닐하우스 모양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비닐하우스.
  2. 서로 대응하는 두 비닐을 하나는 외측비닐로 하고 다른 하나는 내측비닐로 하여 두 비닐의 테두리를 융착시켜 제조한 에어튜브가 둘 이상 서로 결합하여 형성되는 에어 비닐하우스로서,
    에어를 주입하기 위해 상기 각 에어튜브의 표면에 형성되는 에어주입구;
    다른 에어튜브와 결합하기 위해 상기 각 에어튜브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결합부; 및
    상기 각 에어튜브를 구성하는 외측비닐과 내측비닐의 사이에 위아래가 트이고 직사각형 형태의 2겹 비닐을 일정간격으로 삽입하여 배치한 후, 상기 2겹 비닐에서 외측비닐과 접하는 면은 외측비닐에 융착시키고 내측비닐에 접하는 면은 내측비닐에 융착시킴으로써, 에어튜브에 에어주입시 상기 2겹 비닐이 기둥모양으로 부풀어 만곡되는 에어기둥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각 에어튜브의 에어주입구에 에어를 주입함으로써 비닐하우스 모양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비닐하우스.
  3. 서로 대응하는 두 비닐을 하나는 외측비닐로 하고 다른 하나는 내측비닐로 하여 두 비닐의 테두리를 융착시켜 제조한 에어튜브가 둘 이상 서로 결합하여 형성되는 에어 비닐하우스로서,
    에어를 주입하기 위해 상기 각 에어튜브의 표면에 형성되는 에어주입구;
    다른 에어튜브와 결합하기 위해 상기 각 에어튜브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결합부;
    에어주입시 상기 각 에어튜브가 다수개의 구획으로 분리되도록 상기 각 에어튜브의 외측비닐과 내측비닐을 일정간격으로 융착하여 접합시킨 일직선 융착부;
    상기 각 에어튜브를 구성하는 외측비닐과 내측비닐의 사이에 위아래가 트이고 직사각형 형태의 2겹 비닐을 일정간격으로 삽입하여 배치한 후, 상기 2겹 비닐에서 외측비닐과 접하는 면은 외측비닐에 융착시키고 내측비닐에 접하는 면은 내측비닐에 융착시킴으로써, 에어튜브에 에어주입시 상기 2겹 비닐이 기둥모양으로 부풀어 만곡되는 에어기둥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비닐하우스.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직선 융착부가 형성된 에어튜브는, 에어튜브에 에어의 주입 또는 배출시 비닐의 점착력에 의해 에어통로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일직선 융착부가 형성된 에어튜브의 에어통로를 따라 일정두께의 끈을 삽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비닐하우스.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비닐하우스는 그 내부에 덮개부 에어튜브와 벽면부 에어튜브의 튜브골에 끼워넣어 결합함으로써 비닐하우스의 수직하중과 벽면을 지지하는 지지대용 에어튜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비닐하우스.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비닐하우스를 구성하는 각 에어튜브에는, 다른 에어튜브와 연결호스를 통해 에어 소통을 할 수 있는 에어 소통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비닐하우스.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닐하우스에 난방을 공급하기 위해 열선이 내장되고 표면이 방수처리된 바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비닐하우스.
KR20-2004-0006423U 2004-03-10 2004-03-10 에어 비닐하우스 KR2003534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6423U KR200353437Y1 (ko) 2004-03-10 2004-03-10 에어 비닐하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6423U KR200353437Y1 (ko) 2004-03-10 2004-03-10 에어 비닐하우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6001A Division KR20050090764A (ko) 2004-03-10 2004-03-10 에어 비닐하우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3437Y1 true KR200353437Y1 (ko) 2004-06-26

Family

ID=49347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6423U KR200353437Y1 (ko) 2004-03-10 2004-03-10 에어 비닐하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343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8928B1 (ko) 2012-01-10 2013-05-29 이용노 비닐하우스의 치마부용 보온 및 단열매트
KR101734404B1 (ko) * 2016-09-23 2017-05-12 (주)영진티앤디 에어하우스
KR102565560B1 (ko) 2023-04-11 2023-08-11 주식회사 미드바르 스마트팜용 에어하우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8928B1 (ko) 2012-01-10 2013-05-29 이용노 비닐하우스의 치마부용 보온 및 단열매트
KR101734404B1 (ko) * 2016-09-23 2017-05-12 (주)영진티앤디 에어하우스
KR102565560B1 (ko) 2023-04-11 2023-08-11 주식회사 미드바르 스마트팜용 에어하우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21434B2 (en) Inflatable spa
US949997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uilding a structure
EP3077606B1 (en) Inflatable pool
NL2013918A (en) Inflatable pool.
KR200353437Y1 (ko) 에어 비닐하우스
US20190003200A1 (en) Heat-insulating air dome
KR20050090764A (ko) 에어 비닐하우스
KR102193203B1 (ko) 골조와 판넬의 개별적 조립구조를 갖는 카보네이트 온실
SK500252015U1 (sk) Nafukovací stan
KR101951389B1 (ko) 에어돔 하우스
KR101947522B1 (ko) 에어돔 하우스
KR200402728Y1 (ko) 공기 주입식 텐트
KR101787567B1 (ko) 건축물 옥상 패널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206487221U (zh) 一种充气帐篷
JP2009207410A (ja) 農業用ハウス用暖房内壁
KR101951388B1 (ko) 에어돔 하우스
KR101460897B1 (ko) 공기주머니 비닐 띠를 스페이서로 활용한 다중겹 구조 비닐하우스 장치
KR20070017680A (ko) 에어 텐트
JP3513808B2 (ja) エアテントハウス
JP2002058355A (ja) ビニールハウスの保温方法及び保温装置
KR101951390B1 (ko) 에어돔 하우스
JP3174670U (ja) エアシート
CN210768089U (zh) 一种无骨架式充气帐篷
US20220325546A1 (en) Inflatable spa
CA2945336A1 (en) Insulated tarpaul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