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1389B1 - 에어돔 하우스 - Google Patents

에어돔 하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1389B1
KR101951389B1 KR1020180027494A KR20180027494A KR101951389B1 KR 101951389 B1 KR101951389 B1 KR 101951389B1 KR 1020180027494 A KR1020180027494 A KR 1020180027494A KR 20180027494 A KR20180027494 A KR 20180027494A KR 101951389 B1 KR101951389 B1 KR 101951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tube
wall
roof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7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2172A (ko
Inventor
배한식
김상욱
Original Assignee
배한식
김상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한식, 김상욱 filed Critical 배한식
Priority to KR1020180027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1389B1/ko
Publication of KR20180042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2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1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1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2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inflatable, e.g. shaped, strengthened or supported by fluid press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10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 E04H15/12He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4Covers of tents or canop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2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inflatable, e.g. shaped, strengthened or supported by fluid pressure
    • E04H2015/201Tents or canopies, in general inflatable, e.g. shaped, strengthened or supported by fluid pressure with inflatable tubular framework, with or without tent cov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2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inflatable, e.g. shaped, strengthened or supported by fluid pressure
    • E04H2015/202Tents or canopies, in general inflatable, e.g. shaped, strengthened or supported by fluid pressure with inflatable panels, without inflatable tubular frame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2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inflatable, e.g. shaped, strengthened or supported by fluid pressure
    • E04H2015/206Details of inflation devices, e.g. valves, connections to fluid pressure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가 채워지는 튜브를 이용하여 지붕을 형성하고 지붕의 하부에 외벽을 형성하여, 지붕의 무게가 가벼우면서 구조가 견고하며, 지중에도 공기를 공급하여 가축의 사육이나 작물재배시 실내에 공급되는 공기의 공기압에 의해 토양이 단단해짐을 방지하여, 가축사육이나 작물재배에 대한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에어돔 하우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공기에 의해 상부로 볼록한 터널형태의 에어지붕(100)과, 에어지붕(100)의 하부가 지지되면서 연결된 상태로 지면에 기립되어 에어지붕(100)의 하부에 내부공간을 형성시키는 외벽(300)과, 외벽(300)에 형성되어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도어(400)를 포함하며, 에어지붕(100)은 내부에 공기가 채워져서 중앙부분이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다수의 튜브부재(110)와, 튜브부재(110)들의 이격된 간격을 유지시키는 상태로 연결시키는 연결부재(120)와, 튜브부재(110)들을 감싸는 상태로 고정되어 튜브부재(110)들의 상부를 폐쇄하는 지붕막(13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에어돔 하우스{AIR DOME HOUSE}
본 발명은 에어가 채워지는 튜브를 이용하여 지붕을 형성하고 지붕의 하부에 외벽을 형성하여, 지붕의 무게가 가벼우면서 구조가 견고하며, 지중에도 공기를 공급하여 가축의 사육이나 작물재배시 실내에 공급되는 공기의 공기압에 의해 토양이 단단해짐을 방지하여, 가축사육이나 작물재배에 대한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에어돔 하우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정구조물을 건축함에 있어서는 기초구조물 위에 건축물을 지지해 줄 수 있는 기둥을 세우고 들보를 연결하여 하나의 건물을 건축하게 된다.
이러한, 건축물을 건축하여 체육시설, 물류창고, 전시장, 유리온실, 가축사육시설로 사용하거나, 빛이 투과되는 창을 설치하거나 내부에 조명을 설치하여 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재배시설로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건축시설물은 장기간 사용되어야 하는 관계로 내구성을 위해 철골과 콘크리트가 사용됨에 따라, 공사기간이 장기간 소요도고, 건축비 증가, 냉난방비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빛이 투과되는 비닐을 이용하여 무게가 가벼우면서 구조가 견고하여, 체육시설, 물류창고, 전시장, 유리온실, 가축사육시설 및 농작물재배시설로 사용될 수 있는 하우스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청에 등록된 등록실용신안:20-0359088호(2004.08.05)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에어가 채워지는 튜브를 이용하여 지붕을 형성하고 지붕의 하부에 외벽을 형성하여, 지붕의 무게가 가벼우면서 구조가 견고하며, 지중에도 공기를 공급하여 가축의 사육이나 작물재배시 실내에 공급되는 공기의 공기압에 의해 토양이 단단해짐을 방지하여, 가축사육이나 작물재배에 대한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에어돔 하우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돔 하우스는, 공기에 의해 상부로 볼록한 터널형태의 에어지붕(100)과, 에어지붕(100)의 하부가 지지되면서 연결된 상태로 지면에 기립되어 에어지붕(100)의 하부에 내부공간을 형성시키는 외벽(300)과, 외벽(300)에 형성되어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도어(400)를 포함하며, 에어지붕(100)은 내부에 공기가 채워져서 중앙부분이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다수의 튜브부재(110)와, 튜브부재(110)들의 이격된 간격을 유지시키는 상태로 연결시키는 연결부재(120)와, 튜브부재(110)들을 감싸는 상태로 고정되어 튜브부재(110)들의 상부를 폐쇄하는 지붕막(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돔 하우스는, 에어가 채워지는 튜브를 이용하여 에어지붕을 형성하므로 무게가 가벼우면서 구조가 견고하여, 풍압이나 설압에 용이하게 견딜 수 있다.
또한, 지중에도 공기를 공급하여 가축의 사육이나 작물재배시 실내에 공급되는 공기의 공기압에 의해 토양이 단단해짐을 방지하여, 가축사육이나 작물재배에 대한 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에어지붕의 하부에 외벽을 형성하므로, 구조가 견고하면서 전체적인 높이가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에어지붕의 형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로프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로프가 교차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면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반사지로 구성되는 단열부재에 의해 실내공기의 유실 및 외무공기의 유입이 차단될 수 있어서, 에어지붕이 단열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에어지붕에 구비되는 통풍차단막이 팽창되는 통풍튜브에 의해 에어지붕에 형성되는 통풍구를 개방하거나 수축되는 통풍튜브에 의해 에어지붕의 통풍구를 폐쇄할 수 있어서, 통풍튜브에 공기를 채우거나 배출시켜서 통풍차단막을 작동시키는 사용상의 편리함이 있다.
또한, 외벽에 구비되는 통풍튜브의 팽창에 의해 외벽이 폐쇄되고 통풍튜브의 수축에 의해 외벽이 폐쇄되므로, 실내공간이 전체적으로 한꺼번에 신속하게 통풍될 수 있다.
또한, 통풍튜브의 상부에 웨이트가 구비되어 수축되는 통풍튜브를 신속하게 수축시킬 수 있다.
또한, 웨이트가 장방형으로 형성되므로 통풍튜브의 상부가 전체적으로 고르게 가압될 수 있어서, 통풍튜브의 상부가 수평상태로 하강될 수 있다.
또한, 튜브가 금속망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로 팽창되어서 상승되고, 수축되어서 하강되므로, 튜브가 금속망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다.
또한, 외벽의 통풍튜브가 수축되어 개방되면서 지붕의 통풍수단이 개방되면 외벽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에어지붕을 통해 전체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냉난방제공부재에 의해 실내의 지면에 냉기나 온기를 제공할 수 있어서, 여름에는 시원하게 겨울에는 따뜻하게 실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냉난방제공부재가 메인부 및 메인부에 분산되게 형성되는 분산부에 의해 냉기나 온기가 실내에 전체적으로 고르게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냉난방제공부재에 적용되는 냉난방블록이 시멘트블록으로 구성되므로 토압이 가중되어도 구조의 견고함이 보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돔 하우스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내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튜브부재의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4(a)(b)(c)는 도 3의 제작과정을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단열부재 및 차광부재가 에어지붕에 적용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보온부재 및 차광부재가 에어지붕에 적용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형태유지수단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형태유지수단에 적용되는 로프고정부재의 일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로프고정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0(a)(b)는 본 발명의 형태유지수단에 적용되는 로프고정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11(a)(b)(c)(d)는 본 발명의 형태유지수단에 적용되는 로프고정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12(a)(b)는 본 발명의 형태유지수단의 로프고정부재에 적용되는 고정부가 돌기로 형성됨을 보인 도면.
도 13(a)(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통풍수단의 일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14(a)(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통풍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15(a)(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통풍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16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외벽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평면도.
도 19은 본 발명의 외벽의 작동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0는 본 발명의 외벽에 적용되는 밀폐부재의 설치상태를 보인 도면.
도 21(a)(b)는 도 20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
도 22은 본 발명의 외벽에 적용되는 상부외벽을 보인 측면도.
도 23는 도 22의 정면도.
도 24은 본 발명의 냉난방제공부재가 실내의 지중에 설치상태를 보인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냉난방제공부재에 적용되는 냉난방블록을 보인 사시도.
도 26는 본 발명의 냉난방제공부재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냉난방제공부재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
도 2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차광부재를 보인 사시도.
도 29(a)(b)는 도 28의 차광부재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봉독 화분 제조 방법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공기에 의해 상부로 볼록한 터널형태의 에어지붕(100)과, 에어지붕(100)의 하부가 지지되면서 연결된 상태로 지면에 기립되어 에어지붕(100)의 하부에 내부공간을 형성시키는 외벽(300)과, 외벽(300)에 형성되어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도어(400)를 포함한다.
에어지붕(100)은 내부에 공기가 채워져서 중앙부분이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다수의 튜브부재(110)와, 튜브부재(110)들의 이격된 간격을 유지시키는 상태로 연결시키는 연결부재(120)와, 튜브부재(110)를 감싸는 상태로 고정되는 지붕막(130)을 포함한다.
튜브부재(110)는 빛이 투과되도록 투명한 합성수지로 구성되고, 장방형이면서 아크형태로 휘어지거나 반원형태이거나 삼각형태로 형성되며, 콤프레셔와 같은 공기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주입되도록 주입구(미도시)가 형성된다. 여기서, 주입구는 마개(미도시)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이러한, 튜브부재(110)들이 밀착되어서 연속으로 연이어지거나,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면 터널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튜브부재(110)는 과도한 팽창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고 외형을 유지시키기 위해 외주면에 그물망(111)이 감싸질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부재(110)는 합성수지로 구성되어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는 플렉시블한 튜브(110a)와, 튜브(110a)를 감싸면서 원호형태로 고정되어 튜브(110a)가 원호형태로 휘어진 상태를 유지시키는 튜브형상유지부재(110b)와, 튜브형상유지부재(110b)가 튜브(110a)를 감싸는 상태로 고정되도록 튜브형상유지부재(110b)를 결속하는 결속부재(110c)를 포함한다.
튜브(110a)는 비닐과 같은 플렉시블한 합성수지로 구성되어 내부에 공기가 채워질 수 있다. 이때, 튜브(110a)는 원호형태로 휘어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지만 직선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튜브(110a)는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면서 자유자재로 휘어지도록 비닐로 구성됨이 발람직하다.
튜브형상유지부재(110b)는 튜브(110a)의 외주면을 감싸는 천이나 망으로 구성되면서 양측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는 다수의 사이홈(110d)이 형성되는 그물망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사이홈(110d)은 'V'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사이홈(110d)들의 서로 마주되는 내측단들이 서로 연결되면 원호형태로 휘어지게 형성되거나 반원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튜브형상유지부재(110b)의 중간부분에만 사이홈(110d)들의 이격된 간격을 좁게 형성하면서 튜브형상유지부재(110b)가 삼각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결속부재(110c)는 로프나 클립으로 구성되어, 사이홈(110d)의 서로 마주되는 양단을 결속시켜서 일체화시키고, 사이홈(110d)이 형성되는 튜브형상유지부재(110b)의 양측단을 서로 결속시켜서 일체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비닐로 구성되는 일직선형태의 튜브(110a)에 공기를 적당하게 채운상태에서 튜브형상유지부재(110b)인 그물망을 감싼다. 그리고, 튜브형상유지부재(110b)에 형성된 사이홈(110d)의 서로 마주되는 양단을 결속부재(110c)인 로프로 묶어서 고정시킨다. 이때, 결속부재(110c)에 의해 사이홈(110d)들이 모두 결속되면서, 튜브형상유지부재(110b)의 양측이 서로 접촉된 상태로 결속부재(110c)에 의해 결속되면 튜브형상유지부재(110b)가 전체적으로 원호형태로 휘어진 형상을 이루게 된다. 마지막으로, 튜브(110a)에 공기를 가득 채우면 튜브(110a)의 외주면이 튜브형상유지부재(110b)에 밀착되면서 튜브(110a)도 원호형태로 휘어진 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이, 결속부재(110c)에 의해 결속되어서 원호형태를 이루는 튜브형상유지부재(110b)에 일직선형태의 튜브(110a)가 감싸지면, 튜브(110a)가 원호형태로 휘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부재(110)는 하부에 위치된 상태로 하부를 지지하는 튜브지지부재(160)를 포함한다.
튜브지지부재(160)는 튜브부재(110)의 하부에서 양측에 배치되어서 연결부재(120)의 상부에 지지된 상태로 외벽(300)에 고정되는 복수의 지지파이프(161)와, 지지파이프(161)들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지지파이프(162)를 포함한다.
지지파이프(161)는 금속이나 합성수지로 구성되되, 장방형이면서 튜브부재(110)와 같이 원호형태로 휘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지지파이프(162)는 복수로 구성되어 등간격으로 이격되면서 지지파이프(161)들에 양단이 연결된다. 이에 의해 지지파이프(161)들의 이격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파이프(161)들의 상부에 튜브부재(110)가 안착되므로 풍압이나 설압에 의해 튜브부재(110)가 가압되어도 튜브부재(110)의 형태가 유지될 수 있고, 지지파이프(161)들의 하부에 연결부재(120)나 후술되는 고정로프(231)가 접촉되어 마찰되어도 연결부재(120)나 고정로프(231)에 의해 튜브부재(110)의 마모 및 마모에 의한 파손됨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파이프(161)의 외측에 추가로 연결부재(120)가 연결되고 추가로 연결되는 연결부재(120)에 다른 지지파이프(161)가 연결되면, 지지파이프(161)들에 의해 튜브부재(110)의 지지되는 부분이 증대되어, 튜브부재(110)의 형태가 더욱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부재(120)의 접촉이 더욱 용이하게 방지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120)는 로프, 와이어, 강선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어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는 튜브부재(110)들에 차례로 연결된 상태로 외벽(300)에 고정되어 튜브부재(110)들의 이격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재(120)는 튜브부재(110)들의 상부 및 하부를 각각 지지하는 상태로 외벽(300)의 상부외벽(36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튜브부재(110)들이 상부의 연결부재(120)에 의해 실내에 형성되는 공기압에 의해 상부로 돌출되지 않고, 하부의 연결부재(120)에 의해 에어지붕(100)에 풍압이 가해지거나 쌓이는 눈의 하중이 가중되어서 하부로 내려않지 않게 될 수 있다. 이때, 튜브부재(110)들의 상부에 위치되는 지붕막(130)도 연결부재(120)에 지지되어서 고정될 수 있으면서 튜브부재(110) 및 연결부재(120)의 사이에서 약간씩 이동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지붕막(130)을 팽팽하게 당겨서 펼쳐진 상태로 고정시키거나, 약간 느슨하게 하여 튜브부재(110)들의 사이에서 약간 쳐지게 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지붕막(130)은 튜브부재(110)를 감싸는 상태로 형태유지수단에 의해 외벽(300)에 고정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비닐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붕막(130)은 여러 장의 비닐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비닐들은 앞뒤로 나란히 배열되면서 각각의 일단과 타단이 약간씩 겹쳐진 상태로 후술되는 그물망(220)이나 고정부재(230)에 의해 눌려져서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물론, 비닐들의 일단이나 타단이 약간씩 들려져서 비닐들의 사이에 틈이 형성되는 경우 통풍될 수 있다.
여기서, 콤프레셔나 송풍기와 같은 공기공급기에 의해 에어지붕(100)의 하부에 형성되는 실내공간에 신선한 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 물론, 지붕막(130)에 의해 실내의 공기가 배출되지 못하므로 실내공기압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지붕(100)은 외측을 덮어서 단열하는 단열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단열부재(150)는 그물망(151)의 양측에 반사면이 외측을 향하도록 반사지(152)를 위치시키고, 반사지(152)들에 방수피복재(153)을 각각 위치시켜서 재봉으로 누벼서 일체화시킬 수 있다.
그물망(151)은 단열부재(150)의 프레임역할을 하여 반사지(152) 및 방수피복재(153)의 형태를 유지시켜서 겹쳐지거나 찢어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사지(152)들의 사이를 이격시켜서 공기가 채워지는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그물망(151)은 방수피복재(153)나 별도의 비닐들에 의해 포위된 상태로 일체화됨에 따라 형성되는 공기층에 의해 단열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반사지(152)는 은박지로 구성된다. 그리고, 지붕막(130)의 외측을 향하는 반사지(152)는 외부의 빛을 반사하여 외부의 열기가 에어지붕(100)의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게 하고, 지붕막(130)의 내측을 향하는 반사지(152)는 내부의 빛을 반사하여 내부의 열기가 에어지붕(100)의 외부로 유실되지 못하게 한다.
방수피복재(153)는 방수를 위한 것으로 비닐로 구성되어 그물망(151) 및 반사지(152)들의 사이사이에 구비될 수 있어서, 반사지(152)의 찢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단열부재(150)는 그물망(151) 및 방수피복재(153)로 구성되므로 전체적인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사용상의 편리함이 있고, 가벼워서 에어지붕(100)에 최소한의 하중이 가해지며, 그물망(151)에 의해 전체적인 구조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어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단열부재(150)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에어지붕(100)을 덮어서 단열할 수 있고, 로프와 모터로 이루어지는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에어지붕(100)을 덮어서 단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열부재(150)가 더운 여름날의 주간에 에어지붕(100)을 커버하면 단열부재(150)에 의해 외부의 빛이 에어지붕(100)을 통과하지 못하고, 내부에서의 빛도 외부로 통과하지 못하므로, 실내공기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단열부재(150)가 추운 겨울날의 야간에 에어지붕(100)을 커버하면 단열부재(150)에 의해 내부의 온기가 에어지붕(100)의 외부로 유실되지 못하고, 외부의 냉기가 에어지붕(100)을 통과하지 못하므로, 실내공기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에어지붕(100)은 실내공간을 커버하여서 실내온도를 보온하는 보온부재(15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온부재(154)는 에어지붕(100)의 외측을 덮어서 커버하거나, 튜브부재(110) 및 지붕막(130)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보온부재(154)는 에어지붕(100)의 일측에 위치되어 빛이 투과되는 보온막(155)과, 보온막(155)에 연이어지게 형성되면서 에어지붕(100)의 타측에 위치되어 에어지붕(100)의 내측으로 외부의 빛을 반사하는 반사지(156)를 포함한다.
보온막(155)은 투명이나 반투명한 비닐로 구성되어 에어지붕(100)의 남쪽에 위치되고, 반사지(156)는 은박지로 구성되어 반사면이 에어지붕(100)의 하부를 향하는 상태로 에어지붕(100)의 북쪽에 위치된다.
따라서, 남쪽에서 보온막(155)을 통해 빛이 투입되어 에어지붕(100)의 하부에 형성되는 실내공간에 제공되고, 에어지붕(100)을 통과하여 유입된 빛이 반사지(156)에 의해 반사되어 다시 에어지붕(100)의 하부로 집중되어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에어지붕(100)의 하부에 형성되는 실내공간의 실내온도가 상승되면서 보온될 수 있다.
더욱이, 보온부재(154)가 튜브부재(110)에 지지되지 않는 부분이 지붕막(130)에서 하방으로 이격될 수 있어서 지붕막(130)에서 발생되는 결로가 실내로 바로 낙하되지 않으면서 보온부재(154)를 따라 흘러내릴 수 있다.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에어지붕(100)의 외측을 감싸는 상태로 에어지붕(100)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형태유지수단을 포함한다.
형태유지수단은 지붕막(130)을 감싸는 상태로 외벽(300)에 고정되는 고정부재(230)를 포함하거나, 에어지붕(100)의 지붕막(130)을 감싸는 상태로 지붕막(130)의 외형을 유지시키는 그물망(220)과, 그물망(220)을 감싸는 상태로 외벽(300)에 고정되는 고정부재(230)를 포함한다.
그물망(220)은 탄성을 갖도록 합성수지나 나일론으로 제조되는 경우, 바람에 의해 유동되어도 지붕막(130)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뜨거운 태양열에 의해 팽창되는 지붕막(130)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금속망보다 가벼워서 에어지붕(100)에 가벼운 하중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그물망(220)은 복수로 구성되어 지붕막(13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고정부재(230)는 지붕막(130)이나 그물망(220)을 감싸면서 외벽(300)에 고정되는 고정로프(231)와, 고정로프(231)의 교차되는 상태를 고정시키는 로프고정부재(232)를 포함한다.
고정로프(231)는 바둑판형태나 지그재그형태로 지붕막(130)이나 그물망(220)을 감싸면서 외벽(300)에 형성되는 홀이나 후술되는 상부외벽(360)의 걸이부(364)에 걸린 상태로 묶여져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로프(231)는 복수로 구성되어 지붕막(130)이나 그물망(220)를 지지하고, 튜브부재(110)들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로프(231)는 로프, 와이어, 강선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고정부재(232)는 고정로프(231)가 교차된 상태로 삽입되는 교차홈(233)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고정부재(234)와, 제1고정부재(234)의 수나사산에 나사결합되도록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고정부재(235)를 포함한다.
제1고정부재(234)는 원통형태로 형성되면서 일단의 단부에 교차홈(233)이 형성되고, 타단의 외주면이 렌치에 삽입되도록 육각형태로 형성된다. 즉, 제1고정부재(234)는 렌치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교차홈(233)은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제2고정부재(235)는 파이프형태로 형성되면서 내부공간이 일단으로 개방되고, 타단의 외주면이 렌치에 삽입되도록 육각형태로 형성된다. 즉, 제2고정부재(235)는 렌치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고정부재(234)의 교차홈(233)에 고정로프(231)를 교차시키는 상태로 삽입시킨 후에, 제1고정부재(234)에 제2고정부재(235)를 나사결합 시키면 제1고정부재(234) 및 제2고정부재(235)의 사이에 고정로프(231)가 교차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즉, 로프고정부재(232)를 이용하면 풍압이 발생되어 고정로프(231)가 흔들려도 고정로프(231)의 교차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로프고정부재(232)는 로프나 핀으로 구성되어 고정로프(231)의 교차된 상태를 고정시키거나, 고정로프(231)를 외벽(3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고정부재(232)는 고정로프(231)들이 상하로 적층되어서 교차되는 상태로 지지되는 지지부(236)와, 상부에 위치되는 고정로프(231)의 양측을 지지부(236)에 고정시키는 고정부(237)를 포함한다.
지지부(236)는 판재로 구성되고, 고정로프(231)들이 상하로 적층되어서 교차되는 상태로 지지되며, 교차된 상태에서 하부에 위치되는 고정로프(231)가 수용되는 수용홀(239)이 형성될 수 있으며, 양측에 고정부(237)가 삽입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로프(231)가 수용되는 수용홀(239)에 수용되면 외부로 약간만 돌출될 수 있다.
고정부(237)는 고정로프(231)의 양측을 감싸는 상태로 지지부(236)를 관통하여서 결합되는 끈이나 핀 또는 클립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237)가 고정로프(231)를 감싸는 상태로 지지부(236)의 관통홀을 관통하는 상태로 결합되어서 고정되면 고정로프(231)가 지지부(236)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236)의 상부에 상하로 적층되어서 교차되는 고정로프(231)들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고정부(237)가 상부에 위치되는 고정로프(231)를 가압하는 상태로 지지부(236)의 관통홀을 통과하여서 결합되면, 고정로프(231)들이 교차된 상태로 지지부(236)에 고정될 있다. 이때, 교차된 상태에서 상부에 위치되는 고정로프(231)가 고정부(237)에 의해 지지부(236)에 고정됨에 따라, 하부에 위치되는 고정로프(231)는 상부에 위치되는 고정로프(231)에 가압되면서 지지부(236)에 지지된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237)는 지지부(236)를 관통하여서 그물망(220)을 함께 감싸는 상태로 결합될 수도 있다. 따라서, 고정로프(231)들을 교차되는 상태로 그물망(22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1 및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36)에는 교차된 고정로프(231)들 중 하부에 위치되는 고정로프(231)의 양측이 수용되는 수용홈(238)이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고정로프(231)가 수용되는 수용홀(239)이 수용홈(238)들의 사이에 형성된다. 여기서, 금속판으로 구성되는 지지부(236)의 중간부분을 아래로 볼록하게 절곡하여 수용홈(238)을 형성시킬 수 있고, 지지부(236)의 양단을 아래로 절곡하고 절곡된 중간부분을 절개하여 홈을 형성하면 고정부(237)인 돌기들이 완성될 수 있다. 또한, 합성수지로 구성되는 지지부(236)가 사출성형 됨에 따라 수용홈(238) 및 고정부(237)인 돌기가 함께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로프(231)를 수용홈(238)에 수용시킨 상태에서 수용홀(239)을 통해 고정로프(231)의 중간부분이 아래로 돌출되게 하여 'U'형태를 이루게 한다. 그리고, 아래로 돌출되어 'U'형태를 이루는 고정로프(231)에 다른 고정로프(231)를 삽입시키면, 고정로프(231)들이 상하로 적층되어서 '+'형태로 교차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수용홈(238)에 삽입된 수용고정로프(231)를 양쪽으로 팽팽하게 당기면 상부에 위치되는 고정로프(231)가 수용홀(239)을 통해 상부로 약간 돌출되면서 지지부(236)에 지지된다. 마지막으로 고정부(237)를 이용하여 상부의 고정로프(231)를 지지부(236)에 고정시킨다.
*여기서, 고정부(237)가 지지부(236)에 복수로 형성되어 고정로프(231)가 강제로 삽입되어서 구속되는 돌기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237)가 4개의 돌기들로 구성되어 지지부(236)의 일측에 2개가 형성되고 타측에 2개가 형성됨에 따라, 고정로프(231)의 양측이 돌기들에 각각 강제로 삽입되어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로프(231)들이 상하로 적층되어서 교차되는 상태에서 하부에 위치되는 고정로프(231)가 수용홈(238)에 수용되어서 고정되고, 상부에 위치되는 고정로프(231)가 고정부(237)에 의해 지지부(236)에 고정된다. 즉, 고정로프(231)들은 '+'형태를 이루면서 지지부(236)에 고정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태유지수단이 에어지붕(100)을 감싸는 상태로 외벽(300)에 고정되므로, 풍압이나 설압이 가해져도 에어지붕(100)이 파손되지 않고, 외부의 습기나 공기가 에어지붕(100)의 하부로 침투되지 못하게 된다. 즉, 에어지붕(100)의 하부에 형성되는 공간은 외부와 차단될 뿐만 아니라, 외부의 날씨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지붕(100)은 실내에 채워지는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통풍수단(260)을 포함한다.
통풍수단(260)은 에어지붕(100)에 구비되는 상부통풍구(261)와, 에어지붕(100)에 양단이 고정되게 설치되고, 에어지붕(100)에 밀착되어서 지붕막(130)의 상부통풍구(261)를 폐쇄하여 통풍을 차단하는 통풍차단막(262)과, 지붕막(130)의 상부통풍구(261)에 어긋나는 상태로 통풍차단막(262)에 구비되는 하부통풍구(263)와, 에어지붕(100)에 상부가 고정되고 통풍차단막(262)에 하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내부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면 팽창되어 지붕막(130)에서 통풍차단막(262)이 이격되게 하여 상부통풍구(261) 및 하부통풍구(263)가 연통되게 하고, 내부공간에서 공기가 배출되면 수축되어 지붕막(130)에 통풍차단막(262)이 밀착되게 하여 상부통풍구(261) 및 하부통풍구(263)가 폐쇄되게 하는 통풍튜브(264)를 포함한다.
상부통풍구(261)는 에어지붕(100)에 형성되는 홀로 구성될 수 있어서, 공기가 유통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통풍구(261)인 홀들은 통풍튜브(264)에 접촉되지 않도록 통풍튜브(264)에서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야 한다.
통풍차단막(262)은 상부통풍구(261)들을 커버하는 넓이로 구성되어, 양측이 에어지붕(100)에 접착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하부통풍구(263)는 통풍차단막(262)에 형성되는 홀로 구성될 수 있어서, 공기가 유통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통풍구(263)인 홀들은 통풍튜브(264)에 접촉되지 않으면서 상부통풍구(261)에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야 한다.
통풍튜브(264)는 장방형으로 형성되면서 내부공간에 공기가 주입되도록 끝단에 주입구가 형성되고, 주입구는 컴프레셔와 같은 공기공급수단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주입구를 통해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되어 지붕막(130)에서 통풍차단막(262)이 이격되게 하고, 내부공간에서 공기가 배출되면 수축되어 지붕막(130)에 통풍차단막(262)이 밀착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통풍튜브(264)가 수축되면서 통풍차단막(262)을 상부로 들어 올리게 된다. 이에 의해, 수축되는 통풍튜브(264)나 통풍차단막(262)이 상부통풍구(261)에 밀착되고, 하부통풍구(263)가 지붕막(130)에 밀착되므로, 상부통풍구(261) 및 하부통풍구(263)가 폐쇄된다.
더욱이, 외벽(300)에 의해 재배지나 운동장과 같은 실내공간으로 산소를 공급하기 위해 공기가 공급되고 있어서, 통풍튜브(264)가 수축되면 실내공간의 공기압에 의해 통풍차단막(262)이 더욱 용이하게 상부로 상승될 수 있다. 물론, 통풍튜브(264)에 공기가 주입되면 통풍튜브(264)가 팽창되면서 통풍차단막(262)을 하부로 하강시킨다. 따라서, 통풍수단(260)을 이용하여 실내공간을 환기시킬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지붕막(130)은 복수로 구성되어, 서로 이격된 상태로 양측에 배치되고, 전술한 고정부재(230)는 복수로 구성되어 지붕막(130)들의 상부 및 하부에 구비된 상태로 지붕막(130)들을 각각 지지한다. 물론, 지붕막(130)들이 그물망(220)들의 사이에 위치되어서 고정되는 경우에는 그물망(220)들이 고정부재(230)에 지지된다.
여기서, 지붕막(130)들은 그물망(220)들의 사이에 지지되어서 고정되지만 공기압에 의해 각각의 끝단이 들려져서 그물망(220)에서 약간씩 이격될 수 있다.
또한, 통풍수단(260)은 그물망(220)들의 사이에서 지붕막(130)들의 사이에 위치되어, 지붕막(130)의 하부에 형성되는 공기압에 의해 상승되어서 지붕막(130)들의 사이를 폐쇄하는 개폐막(265)과, 개폐막(265)의 일측이나 양측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어서 내부공간에 채워지는 액체의 무게에 의해 개폐막(265)을 하강시키는 웨이트튜브(266)와, 외부의 눈이나 빗물의 침투를 방지하도록 개폐막(265)의 상부에 위치되는 고정부재(230)에 고정된 상태로 개폐막(265)들의 사이를 커버하는 커버막(267)을 포함한다.
개폐막(265)은 비닐로 구성되면서 지붕막(130)들의 이격된 간격보다 넓은 폭으로 이루어진다.
웨이트튜브(266)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튜브로 구성되어, 개폐막(265)에 접착제로 접착되어 연결되거나 로프에 의해 묶여져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웨이트튜브(266)는 외부에서 펌프와 같은 물공급기에 의해 공급되는 물이 내부공간에 채워지면 무게가 증가되므로 개폐막(265)을 하강시킨다. 이때, 개폐막(265)은 그물망(220)에 지지된 상태이므로 끝단만 하부로 내려지게 된다. 이에 의해, 개폐막(265) 및 지붕막(130)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므로 실내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물론, 웨이트튜브(266)에 채워진 물이 외부로 배출되어 웨이트튜브(266)의 무게가 가벼워지면 개폐막(265)과 함께 상승되므로, 개폐막(265)이 지붕막(130)들의 이격된 사이를 폐쇄하게 된다.
커버막(267)은 비닐로 구성되면서 지붕막(130)들의 이격된 간격보다 넓은 폭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클립이나 로프를 이용하여 커버막(267)을 고정부재(23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재(230)에 고정된 커버막(267)은 개폐막(265) 및 지붕막(130)의 사이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일측이나 양측이 들려지게 된다. 이에 의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에어지붕(100)의 실내에 채워지는 실내공기는 통풍수단(260)의 웨이트튜브(266)에 물을 공급하거나 배출시키는 동작으로 실내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어서, 실내공기가 순환될 수 있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막(130)이 다수로 구성되어, 각각의 일단이 각각의 타단에 겹쳐지면서 나란히 배열되고, 고정부재(230)는 복수로 구성되어 지붕막(130)들의 상부 및 하부에 구비된 상태로 지붕막(130)들을 각각 지지한다. 물론, 지붕막(130)들이 그물망(220)들의 사이에 위치되어서 고정되는 경우에는 그물망(220)들이 고정부재(230)에 지지된다.
그리고, 통풍수단(260)은 지붕막(130)들 각각의 일단을 상부에 위치하는 그물망(220)에 연결시키는 상부연결부(268)와, 지붕막(130)들 각각의 타단을 하부에 위치하는 그물망(220)에 연결시키는 하부연결부(269)와, 하부연결부(269)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어서 내부공간에 채워지는 액체의 무게에 의해 하부연결부(269)를 하강시키는 웨이트튜브(266)를 포함한다.
상부연결부(268) 및 하부연결부(269)는 로프로 구성되어 지붕막(130)을 관통하여서 그물망(220)에 묶여져서 연결될 수 있다.
웨이트튜브(266)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웨이트튜브(266)에 물이 채워지면 웨이트튜브(266)가 하부연결부(269)를 하강시키므로, 하부연결부(269)가 연결된 지붕막(130)의 타단이 하강되어서, 지붕막(130)들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실내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300)은 지면에 기립되면서 이격되는 다수의 지주(310)와, 지주(310)들의 사이에 구비되어 내부공간에 공기가 채워지면 팽창되어서 지주(310)들의 사이를 폐쇄하고, 내부공간에서 공기가 배출되면 수축되어서 지주(310)들의 사이를 개방하는 벽체튜브(320)와, 벽체튜브(320)의 상부에 구비되어 벽체튜브(320)의 내부공간에서 공기가 배출되면 벽체튜브(320)를 수축시키는 웨이트(330)와, 지주(310)들의 사이에서 벽체튜브(320)의 양측에 위치된 상태로 구비되어 팽창되거나 수축되는 벽체튜브(320)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벽체튜브형태유지부재(340)를 포함한다.
지주(310)는 양측면에 상하로 길게 가이드홈(311)이 형성되는 것으로, H빔으로 구성될 수 있다.
벽체튜브(320)는 사격의 6면체로 형성되고, 일측에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주입되거나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주입구가 형성된다.
웨이트(330)는 장방형의 판재로 구성되어 지주(310)의 가이드홈(311)들에 양단이 각각 삽입되어서 안내된다.
따라서, 콤프레셔와 같은 공기공급부재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주입구를 통해 공급되면 벽체튜브(320)가 팽창되면서 사각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웨이트(330)가 지주(310)의 가이드홈(311)을 따라 상승하게 되므로 벽체튜브(320)가 지주(310)의 사이를 폐쇄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주입구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면 웨이트(330)의 무게에 의해 벽체튜브(320)가 하방으로 수축되므로, 지주(310)의 사이에서 상부가 개방된다.
벽체튜브형태유지부재(340)는 지면에 기립되는 망체나 타공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망체는 기립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금속망으로 구성되되, 외주면에 합성수지가 코팅됨이 바람직하다. 즉, 벽체튜브(320)가 팽창되거나 수축됨에 따라 벽체튜브형태유지부재(340)인 망체에 지지된 상태로 부드럽게 승강될 수 있어서, 망체에 의한 벽체튜브(320)의 손상됨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벽체튜브형태유지부재(340)의 외측에는 공기의 유통은 허용하면서 해충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방충망(341)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300)은 벽체튜브(320) 및 벽체튜브형태유지부재(340)의 사이에 출현되어 벽체튜브(320)의 팽창에 따라 지주(310)의 사이를 밀폐하는 밀폐부재(350)를 포함한다.
밀폐부재(350)는 벽체튜브(320) 및 벽체튜브형태유지부재(340)의 사이를 밀폐하는 밀폐막(351)과, 밀폐막(351)의 상단이 연결된 상태로 감겨지고, 지주(310)의 상부에 구비되는 밀폐릴(352)과, 밀폐막(351)의 펼쳐진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밀폐막(351)의 하단에 구비되는 밀폐막웨이트(353)와, 밀폐막(351)이 풀어져서 벽체튜브(320) 및 벽체튜브형태유지부재(340)의 사이를 밀폐하도록 밀폐릴(352)을 회전시키고, 밀폐막(351)이 감겨져서 벽체튜브(320) 및 벽체튜브형태유지부재(340)의 사이를 개방시키도록 밀폐릴(352)을 역회전시키는 회전부재(354)를 포함한다.
밀폐막(351)은 비닐로 구성되어, 양측이 지주(310)의 가이드홈(311)에 삽입된 상태로 승강될 수 있다. 이때, 밀폐막(351)이 하강된 상태에서 벽체튜브(320)가 팽창되어 밀폐막(351)을 벽체튜브형태유지부재(340)로 밀착시키면 벽체튜브(320) 및 벽체튜브형태유지부재(340)의 사이가 밀폐될 수 있다. 이때, 에어지붕(100)의 하부에 형성되는 실내공간에 산소공급을 위한 공기가 채워져도 유실되지 않게 된다.
밀폐릴(352)은 밀폐막(351)이 감겨지는 장방형의 봉과, 봉의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지주(310)의 상부에 고정되는 브래킷을 포함한다.
여기서, 지주(310)들의 상부에는 H빔과 같은 수평프레임(312)이 연결되어 지주(310)들의 기립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밀폐릴(352)은 수평프레임(312)에 고정될 수 있다.
회전부재(354)는 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모터는 밀폐릴(352)의 봉에 축결합된 상태로 밀폐릴(352)의 봉을 정회전시키거나 역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밀폐막(351)이 지주(310)들의 사이를 밀폐하므로 실내공간에 채워지는 공기가 유실되지 않는다. 물론, 필요한 경우에는 밀폐막(351)이 지주(310)들의 사이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300)은 지주(310)들의 상부에서 양측에 구비되어, 에어지붕(100)의 양측이 지지되면서 형태유지수단이 고정되는 상부외벽(360)을 포함한다.
상부외벽(360)은 중앙부분이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되면서 양단이 지주(310)들의 상부에 고정되는 외측프레임(361)과, 외측프레임(361)에서 이격되고, 중앙부분이 상부로 볼록하면서 외측프레임(361)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내측프레임(362)과, 내측프레임(362)이 외측프레임(361)에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외측프레임(361) 및 내측프레임(362)에 양단이 연결되는 다수의 연결프레임(363)과, 외측프레임(361) 및 내측프레임(362) 각각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형태유지수단의 고정부재(230)가 걸려서 고정되는 다수의 걸이부(364)를 포함한다.
외측프레임(361) 및 내측프레임(362)은 상부가 볼록하도록 원호형태 및 반원형태로 휘어지게 형성되거나 삼각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내측프레임(362)은 외측프레임(361)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므로 전술한 보온부재(154)나 그물망(220)과 함께 지붕막(130)이 내측프레임(362)을 넘어서 내측프레임(362) 및 외측프레임(361)의 사이에 연결프레임(363)에 안착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
또한, 외측프레임(361) 및 내측프레임(362)이 원호형태나 반원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내측프레임(362)이 외측프레임(361)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면, 내측프레임(362)이 외측프레임(361)보다 작은 높이로 형성된다.
연결프레임(363)은 중앙부분이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판재로 구성되거나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샤프트들로 구성될 수 있어서, 작업자가 오르내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작업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프레임(363)에는 타공판이나 그물망이 설치될 수 있어서, 보온부재(154)가 안정되게 보관될 수 있다.
걸이부(364)는 걸고리로 구성될 수 있어서, 고정부재(230)의 고정로프(231)가 걸린 상태로 묶여서 고정되거나 고정로프(231)에 구비된 클립이 걸려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외벽(360)이 외벽(300)의 상부에 원호형태나 삼각형태로 형성될 수 있어서 에어지붕(100)의 형태가 원호형태나 삼각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보온부재(154)나 지붕막(130)의 끝부분이 안착되어서 보관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400)는 외벽(300)에 미닫이나 여닫이 형태로 구비되므로 사용자나 작물이 실내로 드나들 수 있다. 더욱이, 공기의 유실을 방지하도록 도어(400)의 테두리에 밀폐부재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4 내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외벽(300)에 의해 형성되는 실내를 냉난방 하도록, 에어지붕(100)의 하부에 형성되는 지면에 매설된 상태로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냉기나 온기를 제공하는 냉난방제공부재(500)를 포함한다.
냉난방제공부재(500)는 에어지붕(100)의 하부에 위치되는 지중에 매설되어 내측으로 유입되는 냉기나 온기가 관류되는 메인부(510)와, 메인부(510)의 양측에서 분산되게 연결되어서 메인부(510)에서 관류되는 냉기나 온기가 관류되는 분산부(520)를 포함한다.
메인부(510)는 냉기나 온기가 유통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고,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는 다수의 냉난방블록(511)과, 냉난방블록(511)들을 감싸는 상태로 고정되어 냉난방블록(511)들의 배열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블록상태유지부재(512)와, 블록상태유지부재(512)를 감싸는 상태로 냉난방블록(511)에서 관류되는 냉기가 온기의 배출은 허용하면서 외부로부터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는 이물질침투방지부재(513)와, 이물질침투방지부재(513)의 외측을 가압하는 상태로 마련되어 이물질침투방지부재(513)에서 배출되는 냉기나 온기의 배출은 허용하는 가압부재(514)를 포함한다.
냉난방블록(511)은 관통홀이 다수개가 형성되는 시멘트블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시멘트블록은 구조가 견고하여 지중에 매설되는 경우 토압에 의해 파손되지 않으면서 구조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냉난방블록(511)들이 이격되면서 관통홀이 마주 되도록 배열될 수 있어서, 관통홀들을 통해 냉기나 온기가 관류될 수 있고, 냉난방블록(511)들의 사이를 통해 냉기나 온기가 배출되면서 지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블록상태유지부재(512)는 금속망으로 구성될 수 있어서, 냉난방블록(511)들을 감싸는 상태로 지중에 고정되면, 냉난방블록(511)들의 이격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기나 온기가 유통되어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금속망은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합성수지로 코팅됨이 바람직하다.
이물질침투방지부재(513)는 공기가 유통되는 부직포나 천으로 구성될 수 있어서, 냉기나 온기가 유통되어서 배출될 수 있으면서 흙이나 모래와 같은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고, 블록상태유지부재(512)를 감싸는 상태로 가압부재(514)에 의해 가압되어서 고정될 수 있다.
가압부재(514)는 자갈이나 모래로 구성되거나 자갈과 모래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어서, 이물질침투방지부재(513)의 상부 및 외측에 채워져서 가압한다. 그리고, 이물질침투방지부재(513)인 모래나 자갈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극을 통해 냉기나 온기가 배출될 수 있다.
분산부(520)는 메인부(510)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메인부(510)의 양측에 연통되게 설치됨에 따라, 외벽(300)의 내측에 위치되는 지면에 전체적으로 고르게 냉기나 온기가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가압부재(514)의 상부에 흙을 채워서 작물을 재배하거나 사람들의 체육활동 하는 운동장으로 사용하는 상태에서, 외부의 냉난방장치로부터 메인부(510)를 통해 냉기나 온기가 제공되면, 분산부(520)를 통해 지면에 전체적으로 분산되면서 공급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여름에는 시원하게 겨울에는 따뜻하게 시설을 이용할 수 있다.
도 28 및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외벽(300)에 의해 형성되는 실내를 차광하는 차광부재(600)를 포함한다.
차광부재(600)는 지면에서 상부로 이격되어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가이드부(610)와, 가이드부(610)의 양 끝단에 각각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블록(620)과, 고정블록(620)들의 사이에 위치되면서 가이드부(610)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이드블록(630)과, 가이드부(610)의 일단에 고정된 고정블록(620)에 일단이 고정되고, 가이드블록(630)에 타단이 고정되어, 가이드블록(630)이 가이드부(610)의 타단으로 이동하면 펼쳐져서 빛을 차단하고, 가이드블록(630)이 가이드부(610)의 일단으로 이동하면 접혀져서 빛을 차단하지 않는 차광막(640)과, 가이드블록(620)의 일측에 끝단이 고정되고, 가이드부(610)의 일단에 고정된 고정블록(620)에 고정된 상태에서, 내부에 충전되는 유체에 의해 신장되면 가이드블록(620)을 일측으로 이동시켜서 차광막(640)이 펼쳐지게 하는 제1유체튜브(650)와, 제1유체튜브(650)가 신장되도록 유체를 주입하고, 제1유체튜브(650)가 수축되도록 주입된 유체를 배출시키는 제1공기공급부(660)와, 가이드블록(630)의 타측에 끝단이 고정되고, 가이드부(610)의 타단에 고정된 고정블록(620)에 고정된 상태에서, 내부에 충전되는 유체에 의해 신장되면 가이드블록(630)을 타측으로 이동시켜서 차광막(640)이 접혀지게 하는 제2유체튜브(670)와, 제2유체튜브(670)가 신장되도록 유체를 주입하고, 제2유체튜브(670)가 수축되도록 주입된 유체를 배출시키는 제2공기공급부(680)를 포함한다.
먼저, 유체는 물과 같은 액체이거나 공기와 같은 기체일 수 있다.
가이드부(610)는 서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복수의 가이드레일로 구성된다. 이러한, 가이드레일은 지면에서 이격되도록 각각의 하부에 다리가 형성되거나, 각각의 양단이 외벽(300)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블록(620)들은 4개로 구성되어 가이드부(610)인 가이드레일에 각각 2개씩 양간에 볼팅이나 용접으로 고정된다.
가이드블록(630)은 'C'형태 또는 'O'형태로 형성되어 가이드부(610)인 가이드레일에 끼워져서 가이드부(610)인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블록(630)은 복수로 구성되어 가이드부(610)인 가이드레일들에 각각 구비되므로 양단이 고정되는 샤프트에 의해 함께 이동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블록(630)이 다수로 구성되어 고정블록(620)의 사이에 배치되되, 가이드블록(630)들 중 중앙에 위치되는 가이드블록(630)의 양측에는 후술되는 제1유체튜브(650) 및 제2유체튜브(670)의 끝단이 고정되고, 중앙의 가이드블록(630)에서 양측에 배치되는 가이드블록(630)들이 등간격으로 이격되어서 제1유체튜브(650) 및 제2유체튜브(670)의 외측에 각각 고정된다.
따라서, 제1유체튜브(650)가 신장됨에 따라 중앙의 가이드블록(630)이 이동하면 제1유체튜브(650)가 고정된 가이드블록(630)들이 이동되면서 서로의 간격이 벌려지므로 제1유체튜브(650)가 직선으로 펼쳐져서 신장된다. 이때, 제2유체튜브(670)가 수축됨에 따라 중앙의 가이드블록(630)이 이동하면서 제2유체튜브(670)가 고정된 가이드블록(630)들이 이동되면서 서로의 간격으로 좁혀지므로 제2유체튜브(670)가 구불구불하게 좁혀지면서 수축된다.
차광막(640)은 빛을 차단하도록 천이나 불투명한 비닐로 구성되어 클립이나 로프에 의해 가이드블록(630) 및 고정블록(620)에 양단이 고정될 수 있다.
제1유체튜브(650) 및 제2유체튜브(670)는 장방형으로 형성되면서 비닐이나 고무로 제조될 수 있어서, 내부에 물이나 공기와 같은 유체가 채워지면 팽창되어서 직선형태로 신장되고, 내부에서 유체가 배출되면 수축되어서 접혀질 수 있다.
그리고, 제1유체튜브(650) 및 제2유체튜브(670)는 복수로 구성되거나 끝단이 양쪽으로 분할되어 'Y'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되어, 가이드부(610)인 가이드레일들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제1공기공급부(660) 및 제2공기공급부(680)는 물을 공급 및 배출시키는 펌프로 구성되거나 공기를 공급하거나 배출시키는 콤프레셔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공기공급부(660)는 2개로 구성되어 제1유체튜브(650)들에 각각 연결되고, 제2공기공급부(680)는 2개로 구성되어 제2유체튜브(670)들에 각각 연결된다. 또는, 제1공기공급부(660)는 1개로 구성되어 'Y'형태의 제1유체튜브(650)에 연결되고, 제2공기공급부(680)는 1개로 구성되어 'Y'형태의 제2유체튜브(670)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차광부재(600)는 구조가 간단한 제1공기공급부(660) 및 제2공기공급부(680)에 공기를 채우거나 배출시킴에 따라, 차광막(640)이 펼쳐지거나 접혀지게 할 수 있다.
도 30 내지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에어지붕(100)을 덮어서 커버하는 커버수단(700)을 포함한다.
커버수단(700)은 에어지붕(100)에서 일측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에어지붕(100)을 커버하는 커버막(710)과, 커버막(710)의 일측면에 고정된 상태로 내부에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충전되면 에어지붕(100)에서 커버막(710)의 타단을 들어 올리는 제1커버튜브(720)와, 커버막(710)의 타측면에 고정된 상태로 내부에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충전되면 에어지붕(100)으로 커버막(710)의 타단을 끌어 내리는 제2커버튜브(730)와, 제1커버튜브(720) 및 제2커버튜브(730)에 선택적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740)와, 커버막(710)의 타단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에어지붕(100)의 일측에 타단이 위치되는 제1당김줄(750)과, 제1당김줄(750)의 타단이 연결된 상태로 에어지붕(100)의 일측방향에 위치되어 제1당김줄(750)을 감거나 풀어주는 제1릴(760)과, 커버막(710)의 타단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에어지붕(100)의 타측에 타단이 위치되는 제2당김줄(770)과, 제2당김줄(770)의 타단이 연결된 상태로 에어지붕(100)의 타측방향에 위치되어 제2당김줄(770)을 감거나 풀어주는 제2릴(780)을 포함한다.
커버막(710)은 천이나 비닐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막(710)을 대신하여 전술한 단열부재(150)나 보온부재(154)가 사용될 수도 있다.
제1커버튜브(720) 및 제2커버튜브(730)는 각각에 외부의 공기가 충전되면 팽창되어서 원호형태로 휘어지도록 구성되어, 각각의 팽창되었을 때 볼록하게 휘어진 부분이 커버막(710)의 양측면에 고정된다. 여기서, 제1커버튜브(720) 및 제2커버튜브(730)가 커버막(710)의 양측면에 접착제나 열융착으로 고정되거나, 제1커버튜브(720) 및 제2커버튜브(730)가 각각의 그물망에 감싸진 후에 그물망들이 재봉이나 끈으로 묶여져서 커버막(710)의 양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커버튜브(720)에 공기가 채워져서 원호형태로 휘어지면 커버막(710)과 함께 공기가 채워지지 않은 제2커버튜브(730)도 휘어진다. 이와 달리, 제1커버튜브(720)에서 공기가 배출되면서 제2커버튜브(730)에 공기가 채워져서 제1커버튜브(720)가 휘어진 반대방향으로 휘어져서 원호형태를 이루면, 커버막(710)과 함께 공기가 배출된 제2커버튜브(730)도 반대방향으로 휘어진다.
이러한, 제1커버튜브(720) 및 제2커버튜브(730)는 복수로 구성되어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커버막(710)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즉, 복수의 제1커버튜브(720)들이 동시에 작동되는 경우 커버막(710)의 끝단이 에어지붕(100)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고, 복수의 제2커버튜브(730)들이 동시에 작동되는 경우 커버막(710)의 끝단이 에어지붕(100)에 용이하게 밀착될 수 있다.
공기공급부(740)는 콤프레서로 구성되되, 제1커버튜브(720)에 공기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제2커버튜브(730)에서 공기를 배출시키고, 반대로 제2커버튜브(730)에 공기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제1커버튜브(720)에서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기공급부(740)는 제1커버튜브(720) 및 제2커버튜브(730)에 각각 공기를 공급하도록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제1당김줄(750) 및 제2당김줄(770)은 로프, 와이어, 강선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제1릴(760) 및 제2릴(780)은 수동으로 회전되도록 중심축에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고, 자동으로 회전되도록 중심축에 모터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릴(760) 및 제2릴(780)은 각각 회전되어서 제1당김줄(750) 및 제2당김줄(770)을 각각 감아서 회수하거나 풀어서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막(710)이 에어지붕(100)을 커버한 상태에서 공기공급부(740)에 의해 주입되는 공기에 의해 제1커버튜브(720)가 팽창되어서 원호형태를 이루면 끝단이 상부를 향해 휘어지면서 에어지붕(100)에서 이격된다. 이때, 커버막(710)과 함께 제2커버튜브(730)도 상부를 향해 휘어지게 된다. 그리고, 제1릴(760)은 제1당김줄(750)을 감아서 회수하는 상태이고, 제2릴(780)은 제2당김줄(770)을 풀어서 공급하는 상태이다. 이에 의해, 제1커버튜브(720)와 함께 커버막(710)의 끝단이 들려져서 에어지붕(100)의 일부분이 개방될 수 있다.
계속해서, 제1커버튜브(720)가 원호형태를 이루면서 끝단이 에어지붕(100)의 중간부분에 위치되면, 제1릴(760)이 제1당김줄(750)을 감아서 회수하면서 제1커버튜브(720)에서 채워진 공기를 배출시킨다. 즉, 제1커버튜브(720)에 의해 커버막(710)이 에어지붕(100)을 개방하므로, 외부의 빛이 에어지붕(100)을 투과하여 실내에 제공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1커버튜브(720)에서 공기가 배출된 상태에서 공기공급부(740)에 주입되는 공기에 의해 제2커버튜브(730)가 팽창되어서 원호형태를 이루면서 끝단이 에어지붕(100)의 상부를 향하게 된다. 이때, 제2릴(780)은 제2당김줄(770)을 감아서 회수하고, 제1릴(760)은 제1당김줄(750)을 풀어서 공급하는 상태이다. 즉, 제2릴(780)에 감겨지는 제2당김줄(770)에 의해 제2커버튜브(730)가 당겨져서 에어지붕(100)을 덮게 된다. 그러면서, 제2커버튜브(730)에서 채워진 공기를 배출시키면, 제2커버튜브(730)와 함께 커버막(710)이 에어지붕(100)을 커버하여서 폐쇄하므로 외부의 빛이 에어지붕(100)을 투과하지 못하고 차단된다.
이와 같은, 커버수단(700)에 의하면 공압을 이용하여 커버막(710)을 들어 올리게 되므로, 커버막(710)이 에어지붕(100)에 접촉되어서 마찰됨을 최소화 시킬 수 있어서, 커버막(710)이 에어지붕(100)을 커버하는 과정에서 에어지붕(100)에 마찰되어서 손상됨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에어가 채워지는 튜브를 이용하여 지붕을 형성하고 지붕의 하부에 외벽을 형성하여, 지붕의 무게가 가벼우면서 구조가 견고하며, 전체적인 높이가 증대될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리함이 있으므로 널리 공급되어서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익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의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에어지붕 110 : 튜브부재
110a : 튜브 110b : 튜브형상유지부재
110c : 결속부재 110d : 사이홈
120 : 연결부재 130 : 지붕막
150 : 단열부재 151 : 그물망
152 : 반사지 153 : 방수피복재
154 : 보온부재 155 : 보온막
156 : 반사지 220 : 그물망
230 : 고정부재 231 : 고정로프
232 : 로프고정부재 233 : 교차홈
234 : 제1고정부재 235 : 제2고정부재
236 : 지지부 237 : 고정부
260 : 통풍수단 261 : 상부통풍구
262 : 통풍차단막 263 : 하부통풍구
264 : 통풍튜브 265 : 개폐막
266 : 웨이트튜브 267 : 커버막
268 : 상부연결부 269 : 하부연결부
300 : 외벽
310 : 지주 311 : 가이드홈
320 : 벽체튜브 330 : 웨이트
340 : 벽체튜브형태유지부재 350 : 밀폐부재
351 : 밀폐막 352 : 밀폐릴
353 : 밀폐막웨이트 354 : 회전부재
360 : 상부외벽 361 : 외측프레임
362 : 내측프레임 363 : 연결프레임
364 : 걸이부 400 : 도어
500 : 냉난방제공부재 510 : 메인부
511 : 냉난방블록 512 : 블록상태유지부재
513 : 이물질침투방지부재 514 : 가압부재
520 : 분산부 600 : 차광부재
610 : 가이드부 620 : 고정블록
630 : 가이드블록 640 : 차광막
650 : 제1유체튜브 660 : 제1공기공급부
670 : 제2유체튜브 680 : 제2공기공급부

Claims (4)

  1. 공기에 의해 상부로 볼록한 터널형태의 에어지붕(100)과,
    에어지붕(100)의 하부가 지지되면서 연결된 상태로 지면에 기립되어 에어지붕(100)의 하부에 내부공간을 형성시키는 외벽(300)과,
    외벽(300)에 형성되어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도어(400)를 포함하며,
    에어지붕(100)은
    내부에 공기가 채워져서 중앙부분이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다수의 튜브부재(110)와,
    튜브부재(110)들의 이격된 간격을 유지시키는 상태로 연결시키는 연결부재(120)와,
    튜브부재(110)들을 감싸는 상태로 고정되어 튜브부재(110)들의 상부를 폐쇄하는 지붕막(130)을 포함하고,
    외벽(300)은
    지면에 기립되면서 이격되는 다수의 지주(310)와,
    지주(310)들의 사이에 구비되어 내부공간에 공기가 채워지면 팽창되어서 지주(310)들의 사이를 폐쇄하고, 내부공간에서 공기가 배출되면 수축되어서 지주(310)들의 사이를 개방하는 벽체튜브(320)와,
    벽체튜브(320)의 상부에 구비되어 벽체튜브(320)의 내부공간에서 공기가 배출되면 벽체튜브(320)를 수축시키는 웨이트(330)와,
    지주(310)들의 사이에서 벽체튜브(320)의 양측에 위치된 상태로 구비되어 팽창되거나 수축되는 벽체튜브(320)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벽체튜브형태유지부재(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돔 하우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지주(310)는 양측면에 상하로 길게 가이드홈(311)이 형성되고,
    웨이트(330)는 장방형의 판재로 구성되어 지주(310)의 가이드홈(311)들에 양단이 각각 삽입되어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돔 하우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외벽(300)은 지주(310)들의 상부에서 양측에 구비되어, 에어지붕(100)의 양측이 지지되면서 형태유지수단이 고정되는 상부외벽(360)을 포함하며,
    상부외벽(360)은
    중앙부분이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되면서 양단이 지주(310)들의 상부에 고정되는 외측프레임(361)과,
    외측프레임(361)에서 이격되고, 중앙부분이 상부로 볼록하면서 외측프레임(361)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내측프레임(362)과,
    내측프레임(362)이 외측프레임(361)에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외측프레임(361) 및 내측프레임(362)에 양단이 연결되는 다수의 연결프레임(363)과,
    외측프레임(361) 및 내측프레임(362) 각각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형태유지수단의 고정부재(230)가 걸려서 고정되는 다수의 걸이부(36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돔 하우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외벽(300)은 벽체튜브(320) 및 벽체튜브형태유지부재(340)의 사이에 출현되어 벽체튜브(320)의 팽창에 따라 지주(310)의 사이를 밀폐하는 밀폐부재(350)를 포함하며,
    밀폐부재(350)는
    벽체튜브(320) 및 벽체튜브형태유지부재(340)의 사이를 밀폐하는 밀폐막(351)과,
    밀폐막(351)의 상단이 연결된 상태로 감겨지고, 지주(310)의 상부에 구비되는 밀폐릴(352)과,
    밀폐막(351)의 펼쳐진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밀폐막(351)의 하단에 구비되는 밀폐막웨이트(353)와,
    밀폐막(351)이 풀어져서 벽체튜브(320) 및 벽체튜브형태유지부재(340)의 사이를 밀폐하도록 밀폐릴(352)을 회전시키고, 밀폐막(351)이 감겨져서 벽체튜브(320) 및 벽체튜브형태유지부재(340)의 사이를 개방시키도록 밀폐릴(352)을 역회전시키는 회전부재(3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돔 하우스.
KR1020180027494A 2018-03-08 2018-03-08 에어돔 하우스 KR101951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494A KR101951389B1 (ko) 2018-03-08 2018-03-08 에어돔 하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494A KR101951389B1 (ko) 2018-03-08 2018-03-08 에어돔 하우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4139A Division KR101947522B1 (ko) 2016-10-17 2016-10-17 에어돔 하우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172A KR20180042172A (ko) 2018-04-25
KR101951389B1 true KR101951389B1 (ko) 2019-02-22

Family

ID=62088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7494A KR101951389B1 (ko) 2018-03-08 2018-03-08 에어돔 하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13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067Y1 (ko) 2019-12-24 2020-07-30 이춘주 이동형 생존수영 체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3628B1 (ko) * 2021-08-05 2022-07-22 주식회사 틸레아코리아 에어돔 시공 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96206A (ja) 2007-02-13 2008-08-28 Taiyo Kogyo Corp エアビーム構造物
KR101473936B1 (ko) 2013-11-20 2014-12-17 (주)영진티앤디 에어하우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96206A (ja) 2007-02-13 2008-08-28 Taiyo Kogyo Corp エアビーム構造物
KR101473936B1 (ko) 2013-11-20 2014-12-17 (주)영진티앤디 에어하우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067Y1 (ko) 2019-12-24 2020-07-30 이춘주 이동형 생존수영 체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172A (ko) 2018-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67347A (en) Solar heated shelter with moveable secondary roof
US438753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taining heat in greenhouse and similar structures
US4878322A (en) Insulating plastic film structures and method
US4004380A (en) Double walled inflatable structures
US20140305036A1 (en) Functional polytunnels, in particular self-erecting structures and programming methods therefor
US5813169A (en) Portable greenhouse construction
KR101951389B1 (ko) 에어돔 하우스
EP1766162A2 (en) A prefabricated shelter
EP0306717A1 (en) Insulating plastic film structures and method
WO2005080709A2 (en) Gutter and downspout system for a tent or shelter
US20160053508A1 (en) Tent structure or sun protection structure
US9523213B2 (en) Hemispherical, breathable, double-wall, all-season, portable building
KR101947522B1 (ko) 에어돔 하우스
US6070366A (en) Air supported enclosure and method of assembly
KR101951388B1 (ko) 에어돔 하우스
CA2969085A1 (en) Device for deploying a planar sheet over a structure
US9126093B1 (en) System for retractable tennis court shade device
KR101951390B1 (ko) 에어돔 하우스
CN100419195C (zh) 伞式保温棚
KR101473936B1 (ko) 에어하우스
US3123085A (en) demarteau
KR101734405B1 (ko) 에어하우스
WO2007060485A1 (en) Inflatable structures and support stands therefor
CN210987334U (zh) 一种轻简化装配式主动蓄放热日光温室
JP2010268734A (ja) 温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