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2056Y1 - 헤어클립 - Google Patents

헤어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2056Y1
KR200242056Y1 KR2020010007806U KR20010007806U KR200242056Y1 KR 200242056 Y1 KR200242056 Y1 KR 200242056Y1 KR 2020010007806 U KR2020010007806 U KR 2020010007806U KR 20010007806 U KR20010007806 U KR 20010007806U KR 200242056 Y1 KR200242056 Y1 KR 2002420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clip
hair
decorative body
fastening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78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윤정
Original Assignee
양윤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윤정 filed Critical 양윤정
Priority to KR20200100078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20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20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2056Y1/ko

Links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정량의 머리카락을 모아 가지런히 정리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머리를 아름답게 장식할 수 있도록 하는 헤어클립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헤어클립은 체결클립의 탄성삽입홈이나 삽입홈을 장식본체의 체결돌기나 탄성체결돌기에 정확하게 맞추어 일정 압력으로 눌러주어야 하기 때문에 체결작업이 번거롭게 될 뿐 아니라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일정한 탄성력이 작용하는 체결클립을 들어올려 벗겨내는 분리작업도 어렵게 되고, 일정한 작용력을 가하여 체결클립을 누르거나 들어올리는 체결, 분리과정에서 손가락 등에 부상을 입게 될 우려가 많게 되는 문제가 있었던 바, 체결클립(14)의 일측에 장식본체(11)의 체결돌기(1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삽입구멍(15)을 형성하는 한편, 장식본체(11)의 회동지지돌기(13)의 선단면에 일측 후면이 접촉되는 판스프링(16)을 체결클립(14)의 내측면에 설치하여 체결클립(14)이 장식본체(11)의 내외측으로 탄성적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에 의하면 체결클립(14)의 삽입구멍(15)을 장식본체(11)의 체결돌기(12)에 정확하게 일치시킨 후 힘껏 누를 필요 없이 약간의 작용력만으로 체결클립(14)을 내측으로 밀어주면 판스프링(16)의 탄성력으로 손쉽게 헤어클립(10)을 머리에 착용할 수 있게 되고, 착용상태에서는 약간의 작용력을 가하여 체결클립(14)을 외측으로 당겨내면 판스프링(16)의 탄성력으로 머리에서 헤어클립(10)을 손쉽게 분리할 수 있게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체결클립(14)의 체결, 분리과정에서 손가락 등이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있게 되어 헤어클립(10)의 상품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헤어클립 { a hair clip }
본 고안은 일정량의 머리카락을 모아 가지런히 정리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머리를 아름답게 장식할 수 있도록 하는 헤어클립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외부로 노출되는 장식본체의 후방에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체결클립을 장식본체에 용이하게 체결, 분리할 수 있도록 개선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정량의 머리카락을 모아 가지런히 정리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장식본체를 통해 머리를 아름답게 장식할 수 있도록 하는 헤어클립은 장식본체의 후방에 핀형이나 막대형, 또는 집게형의 체결클립 등이 설치된 형태를 갖는 바, 본 고안은 특히 장식본체의 후방에 막대형의 체결클립이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형태의 헤어클립에 관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막대형의 체결클립을 갖는 헤어클립에 있어서는 체결클립을 장식본체의 외측으로 회동시킨 후에 일정량으로 모은 머리카락의 앞쪽에 장식본체를 밀착시키고 체결클립을 머리카락 뒤쪽에서 회동시켜 장식본체에 결합하는 형태로 머리에 착용하게 되는 바, 종래의 헤어클립은 대부분 철사형 체결클립에 탄성삽입홈을 마련하여 장식본체의 후면 일측에 돌출 형성한 체결돌기에 끼워 결합하거나 장식본체에 한 쌍의 탄성체결돌기를 마련하여 체결클립의 삽입홈을 결합하는 형태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체결클립의 체결과 분리가 번거롭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상기 종래의 헤어클립에 있어서는 체결클립의 탄성삽입홈이나 삽입홈을 장식본체의 체결돌기나 탄성체결돌기에 정확하게 맞추어 일정 압력으로 눌러주어야 하기 때문에 체결작업이 번거롭게 될 뿐 아니라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일정한 탄성력이 작용하는 체결클립을 들어올려 벗겨내는 분리작업도 어렵게 되고, 일정한 작용력을 가하여 체결클립을 누르거나 들어올리는 체결, 분리과정에서 손가락 등에 부상을 입게 될 우려가 많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이 장식본체의 후방에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체결클립을 장식본체에 보다 용이하게 체결,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헤어클립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헤어클립을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의 배면 사시도
도 2a는 동 실시예의 체결클립의 선단부가 장식본체의 체결돌기에 체결된 상태의 평면도
도 2b는 동 실시예의 체결클립이 탄성기준점에 위치된 상태의 평면도
도 2c는 동 실시예의 결합클립의 선단부가 장식본체의 바깥쪽으로 회동된 상태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헤어클립 11 : 장식본체
12 : 체결돌기 13 : 회동지지돌기
14 : 체결클립 15 : 삽입구멍
16 : 판스프링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장식본체에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체결클립의 일측에 장식본체의 체결돌기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삽입구멍을 형성하는 한편, 장식본체의 회동지지돌기의 선단면에 일측 후면이 접촉되는 판스프링을 체결클립의 내측면에 설치하여 체결클립이 장식본체의 내외측으로 탄성적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 그 구체적인 기술내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에서 도 2c까지에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 바, 본 고안은 장식본체(11)의 후면 일측에 체결돌기(12)가 형성되고, 장식본체(11)의 후면 타측에 형성된 회동지지돌기(13)에 체결클립(14)이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헤어클립(10)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체결클립(14)의 일측에 장식본체(11)의 체결돌기(1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삽입구멍(15)을 형성하는 한편, 장식본체(11)의 회동지지돌기(13)의 선단면에 일측 후면이 접촉되는 판스프링(16)을 체결클립(14)의 내측면에 설치하여 체결클립(14)이 장식본체(11)의 내외측으로 탄성적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하여서 되는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는 선단부가 수평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회동지지돌기(13)의 선단부 양측에 체결클립(14)의 일측 부위가 결합되어 체결클립(14)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형태를 갖으며, 아울러 체결클립(14)의 일측에 절곡 형성한 고정편(17)을 통해 판스프링(16)의 일측 부위가 고정된 형태를 갖는다,
도면부호중 미설명부호 18은 머리카락 고정돌기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있어서는 도 2a와 같이 체결클립(14)의 삽입구멍(15)이 장식본체(11)의 체결돌기(12)에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클립(14)을 후방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도 2b와 같이 장식본체(11)의 회동지지돌기(13) 선단부가 판스프링(16)과 직각을 이루는 탄성기준점을 지나 도 2c와 같이 장식본체(11)의 외측으로 젖혀지게 되는 바, 도 2c와 같이 체결클립(14)을 장식본체(11)의 외측으로 젖힌 상태에서 일정량으로 모은 머리카락의 앞쪽에 장식본체(11)를 밀착시키고 체결클립(14)을 머리카락 뒤쪽에서 회동시켜 장식본체(11)에 결합하면 헤어클립(10)을 머리에 착용하여 머리카락을 가지런히 정리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장식본체(11)를 통해 머리를 아름답게 장식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있어서는 도 2b와 같이 장식본체(11)의 회동지지돌기(13) 선단부가 판스프링(16)과 직각을 이루는 탄성기준점을 기준으로 외측 방향으로 약간의 힘만 가해지더라도 판스프링(16)의 탄성력이 체결클립(14)을 외측으로 회동시키는 쪽으로 작용하게 되고, 탄성기준점을 기준으로 내측 방향으로 약간의 힘만 가해지더라도 판스프링(16)의 탄성력이 체결클립(14)을 내측으로 회동시키는 쪽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체결클립(14)을 장식본체(11)에 체결하거나 분리할 때에 약간의 작용력만 가하더라도 손쉽게 체결클립(14)을 체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되고, 도 2a와 같이 체결클립(14)의 삽입구멍(15)이 장식본체(11)의 체결돌기(12)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판스프링(16)의 탄성력으로 견고한 체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체결클립(14)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판스프링(16)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체결클립(14)을 장식본체(11)에 체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체결클립(14)의 삽입구멍(15)을 장식본체(11)의 체결돌기(12)에 정확하게 일치시킨 후 힘껏 누를 필요 없이 약간의 작용력만으로 체결클립(14)을 내측으로 밀어주면 판스프링(16)의 탄성력으로 손쉽게 헤어클립(10)을 머리에 착용할 수 있게 되고, 착용상태에서는 약간의 작용력을 가하여 체결클립(14)을 외측으로 당겨내면 판스프링(16)의 탄성력으로 머리에서 헤어클립(10)을 손쉽게 분리할 수 있게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체결클립(14)의 체결, 분리과정에서 손가락 등이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헤어클립(10)의 상품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장식본체(11)의 후면 일측에 체결돌기(12)가 형성되고, 장식본체(11)의 후면 타측에 형성된 회동지지돌기(13)에 체결클립(14)이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체결클립(14)의 일측에 장식본체(11)의 체결돌기(1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삽입구멍(15)을 형성하는 한편, 장식본체(11)의 회동지지돌기(13)의 선단면에 일측 후면이 접촉되는 판스프링(16)을 체결클립(14)의 내측면에 설치하여 체결클립(14)이 장식본체(11)의 내외측으로 탄성적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클립.
KR2020010007806U 2001-03-21 2001-03-21 헤어클립 KR2002420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7806U KR200242056Y1 (ko) 2001-03-21 2001-03-21 헤어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7806U KR200242056Y1 (ko) 2001-03-21 2001-03-21 헤어클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2056Y1 true KR200242056Y1 (ko) 2001-10-08

Family

ID=73064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7806U KR200242056Y1 (ko) 2001-03-21 2001-03-21 헤어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205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048B1 (ko) 2013-07-29 2014-08-05 임희숙 집게 머리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048B1 (ko) 2013-07-29 2014-08-05 임희숙 집게 머리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8770B2 (en) Article support device
KR100538118B1 (ko) 띠형 장신구의 중간 버클
KR200242056Y1 (ko) 헤어클립
EP0476133B1 (en) Fastening and ornament provided with the same
JP4099724B2 (ja) ブレスレット
US20140116087A1 (en) Earring for pierced ears
JP3057709U (ja) 眼鏡および眼鏡用鼻パッド
JP3108504U (ja) バンドの留め構造およびそれを備えたバンド
KR900001521Y1 (ko) 절첩식 사다리용 경첩
EP1029466A1 (en) Fastenings
KR200246254Y1 (ko) 헤어밴드의 장식 고정장치
KR200202760Y1 (ko) 머리핀용 클립 고정구
KR200224624Y1 (ko) 머리핀
KR200216832Y1 (ko) 칼라 악세사리
KR200243393Y1 (ko) 행거 분리형 캐리어
JP2001017211A (ja) イヤリング用止金具
KR200198683Y1 (ko) 슬라이드 클리퍼
KR20070000939U (ko) 안경테 부품 및 렌즈를 부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838796B2 (ja) 樋支持具の固定用レバー構造
JP2745120B1 (ja) 樋支持具
JP2781971B1 (ja) 樋支持具
KR101476803B1 (ko) 자동 조임 기능을 갖는 집게 머리핀
JP3022587U (ja) ピアス装着具
KR200267597Y1 (ko) 악세사리용 브러치 홀더
KR200205271Y1 (ko) 악세사리 체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21104

Effective date: 20031230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22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ree format text: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40206

Effective date: 20040730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40820

Effective date: 20050930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1012

Effective date: 20051202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