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1773Y1 - 비닐하우스 덮개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1773Y1
KR200241773Y1 KR2020010011459U KR20010011459U KR200241773Y1 KR 200241773 Y1 KR200241773 Y1 KR 200241773Y1 KR 2020010011459 U KR2020010011459 U KR 2020010011459U KR 20010011459 U KR20010011459 U KR 20010011459U KR 200241773 Y1 KR200241773 Y1 KR 2002417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nyl house
house cover
vinyl
cover memb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14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헌
박창복
Original Assignee
김창헌
박창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헌, 박창복 filed Critical 김창헌
Priority to KR20200100114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17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17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1773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 등에 사용되는 비닐, 부직포 또는 차광막 또는 보온덮개의 일측 또는 양측면에 하나 이상의 물주머니를 부착하고, 상기 비닐 등의 중앙부 또는 양측면에 결착밴드를 형성하고, 그리고 비닐, 부직포 또는 차광막을 서로 일측면을 결착시켰으며, 그리고 상측면과 하측면의 색상을 달리하여 차광효과와 보온효과를 유지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 덮개에 관한 것으로서, 제1비닐하우스덮개부재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물을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물주머니와,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비닐하우스세로지지부재에 결착되도록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결착지지부재와, 상기 제1비닐하우스덮개부재와 중앙부 부근에서 체결접착부재에 의해서 접착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제2비닐하우스덮개부재와, 상기 제2비닐덮개부재의 양측면에는 리프터에 의해서 상하로 이동되도록 상하이동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안이다.

Description

비닐하우스 덮개{COVER FOR VINYL PLASTIC HOUSE}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 덮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비닐하우스 등에 사용되는 비닐, 부직포 또는 차광막 또는 보온덮개의 일측 또는 양측면에 하나 이상의 물주머니를 부착하고, 상기 비닐 등의 중앙부 또는 양측면에 결착밴드를 형성하고, 그리고 비닐, 부직포 또는 차광막을 서로 일측면을 결착시켰으며, 그리고 상측면과 하측면의 색상을 달리하여 차광효과와 보온효과를 유지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 덮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비닐하우스 덮개는 비닐하우스의 외측면을 덮은 후 바람 등에 의해서 비닐하우스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바닥에 흙 등으로 덮어주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장마와 같이 많은 비가 오거나 이상적인 상태에서는 이와 같이 비닐하우스 덮개의 양측면에 눌러 놓은 흙 등이 쓸려 내려가 비닐하우스 덮개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비닐하우스 덮개는 양측면이 흙으로 눌러 있기 때문에 농사를 끝낸 후 비닐하우스 덮개를 회수시 다시 흙을 걷어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로우며, 많은 비닐부재가 회수되지 않고 땅 속에 묻혀버리게 되어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종래의 비닐하우스의 경우에는 비닐하우스 철재에 덮여 있는 비닐 등이 바람등에 의해 움직이지 않도록 비닐하우스의 비닐 또는 차광막의 중앙부분을 하측으로 잡아당겨서 집게 등을 이용하여 비닐하우스 철재에 고정시키곤 하였으나, 이러한 경우 일시적으로는 바람 등에 의한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는 설치하는데 비닐하우스의 중앙부분을 하측으로 잡아당긴후 결착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어느 정도 사용하다 보면 하측으로 당겨져 있는 비닐 등이 집게 등에 의해서 비닐하우스의 비닐 자체가 찢어지게 되어 오히려 비닐하우스를 덮고 있는 비닐 전체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비닐하우스를 덮고 있는 비닐부재의 양측면 또는 일측면에 물주머니를 형성하고 물주머니에 물을 채우므로서 비닐하우스를 설치하는 설치 작업이 용이한 비닐하우스 덮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비닐하우스 덮개는 비닐하우스를 덮고 있는 비닐부재, 부직포, 차광막 및 보온덮개 등이 바람 등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중앙부 또는 양측면에 비닐하우스 철재에 결착할 수 있도록 중앙 또는 측면에 복수개의 결착밴드를 형성한 비닐하우스 덮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비닐하우스 덮개는 비닐하우스를 덮고 있는 비닐부재 등의 중앙부 또는 측면부에 물공급을 위한 호스를 일체로 형성하므로서 별도로 호스를 형성시보다 관리 및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 덮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비닐하우스 덮개는 비닐하우스의 농사작업을 완료 한 후, 회수시에도 양측면에 채워져 있는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므로 간편하게 회수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 덮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비닐하우스 덮개는 물주머니의 외측면에 복수개의 밀봉밴드를 형성하여 물주머니가 파손시에도 물주머니에 있던 물이 모두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여 비상시에도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대응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 덮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게다가 본 고안의 비닐하우스 덮개는 차광막 또는 부직포 및 비닐을 2층 또는 3층 또는 다층으로 결착시켜 각각의 부재를 별도로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한번에 설치 및 관리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 덮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비닐하우스 덮개는, 비닐하우스가로지지부재와 비닐하우스세로지지부재에 덮여 있는 제1비닐하우스덮개부재와, 상기 제1비닐하우스덮개부재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물을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물주머니와, 상기 물주머니의 일단부를 접착하는 제1접착부재와,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비닐하우스세로지지부재에 결착되도록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결착지지부재와, 상기 제1비닐하우스덮개부재의 상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비닐하우스덮개부재와 중앙부 부근에서 체결접착부재에 의해서 접착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제2비닐하우스덮개부재와, 상기 제2비닐덮개부재의 양측면에는 리프터에 의해서 상하로 이동되도록 상하이동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상기 제2비닐하우스덮개부재는 비닐, 차광막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2비닐하우스덮개부재의 사이에는 제3비닐하우스덮개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제3비닐하우스덮개부재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는 상기 리프트에 의해서 상하로 이동되도록 상하이동부재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제2비닐하우스덮개부재에는 바탕색이 검은색으로 형성되고 복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제2비닐하우스덮개부재는 검은색 또는 파랑색 또는 이와 다른 다양한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상기 제1비닐하우스덮개부재에는 그 중앙부 또는 일측면에비닐하우스 내부에 물을 공급하도록 제2접착부재에 의해서 결착되어 있는 복수개의 물공급호스와, 상기 제1비닐하우스덮개부재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1,2물주머니에 형성되어 물의 배출을 지연시키는 복수개의 밀봉밴드와, 그리고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의 양측면에 복수개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비닐하우스가로지지부재 및 비닐하우스세로지지부재에 대응되도록 결착시 지지력을 갖는 결착밴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비닐하우스 덮개에 대한 일 실시예에 대한 사용상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비닐하우스 덮개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비닐하우스 덮개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비닐하우스 덮개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A-A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비닐하우스가로지지부재
52 : 비닐하우스세로지지부재
72 : 체결부재
100, 200, 300, 500, 600 : 비닐하우스 덮개
100, 210, 310, 510, 610 : 제1비닐하우스덮개부재
160, 290, 360, 370 : 제2비닐하우스덮개부재
120, 220, 320, 520, 620 : 제1물주머니
122, 222, 322, 522, 622 : 연결부재
130, 230, 330, 530, 630 : 제2물주머니
132, 232, 332, 532, 632 : 보조비닐부재
140 : 체결부재 150, 250, 350, 550, 650 : 제1접착부재
112, 212, 314 : 결착지지부재
114, 214, 316, 416 : 제2접착부재
170 : 리프터 180, 292, 312 : 체결접착부재
260 : 제3비닐하우스덮개부재
317 : 물공급호스 319 : 결착밴드
324, 334 : 밀봉밴드
본 고안의 비닐하우스 덮개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은 첨부도면을 통하여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한 사용상태도이며, 100은 비닐하우스를 덮는 비닐하우스 덮개이고, 상기 비닐하우스 덮개(100)를 형성하는 비닐하우스덮개부재(110)와,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110)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물을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제1물주머니(120)와, 상기 제1물주머니(120)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물을 담을 수 있는 복수개의 제2물주머니(130)와, 상기 제1물주머니(120)와 상기 제2물주머니(130)의 사이에 형성되어 이들을 연결하도록 비닐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재(122)와, 상기 제2물주머니(130)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흙(138)가나 막대 등으로 지지하여 상기 비닐하우스 덮개(100)가 비닐하우스가로지지부재(50)에 더욱 견고하게 지지하여 바람 등에 의해 날리지 않도록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보조비닐부재(132)와, 상기 제1,2물주머니(120,130)를 서로 접착하는 제1접착부재(150)와, 상기차광막부재(110)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차광막부재(110)를 설치시 중앙부를 맞추면서 설치하도록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는 결착지지부재(112)와, 상기 결착지지부재(112)를 상기 차광막부재(110)의 일측면에 결착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2접착부재(114)와,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110)의 상측면에 체결접착부재(180)에 의해 결착되어 일체로 결착되어 있는 상하이동부재(162)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제1물주머니(120)는 도시되지 않은 수도관을 통해서 물이 공급되도록 양쪽이 관통되어 있는 주머니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외부에서 공급된 물이 상기 제1물주머니(120)에 채워진 후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노끈이나 집게 또는 클립 등을 이용하여 밀봉하는 체결부재(140)를 이용하여 물이 외부로 새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결착지지부재(112)는 상기 비닐하우스가로지지부재(50)에 연결되는 비닐하우스세로지지부재(52)에 결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비닐하우스세로지지부재(52)를 상기 결착지지부재(112)가 감싸면서 그 외측면에 집게와 같은 기능을 하는 체결부재(72)에 의해서 결착되므로서 상기 차광막부재(110)가 바람 등에 의해서 벗겨지거나 한쪽으로 밀리지 않도록 중앙부분에서 상기 비닐하우스세로지지부재(52)와 결착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비닐하우스덮개부재(160)는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비닐을 이용하나, 필요한 경우에는 부직포, 차광막 또는 보온덮개를 이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제2비닐하우스덮개부재(160)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하이동부재(162)에는 내측면에 봉과 같은 이동가이드부재(164)가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가이드부재(164)에는 상기 이동가이드부재(164)를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리프터(170)가 결착되어 있다.
상기 리프터(170)는 통상적으로 비닐하우스 등에 사용되는 리프트로서, 비닐하우스 덮개를 상하로 이동시 사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체결접착부재(180)는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110)와 상기 제2비닐하우스덮개부재(160)가 결착되도록 중앙부 근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체결접착부재(180)는 통상적으로 열접착에 의한 접착이거나, 또는 봉제에 의한 접착이거나 또는 본드 등에 의해 접착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110)와 제2비닐하우스덮개부재(160)가 중앙부에서 서로 상기 체결접착부재(180)에 의해서 결착되어 일체로 작업이 이루어 지므로서 종래와 같이 각각 작업하는 것보다 휠씬 작업성 및 관리 효율성이 우수한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에 기술한 실시예와 차이점은 비닐하우스 덮개(200)가 3중으로 형성되어 있다는 것이며, 상기 비닐하우스가로지지부재(50)에 결착되는 제1비닐하우스덮개부재(210)와, 상기 제1비닐하우스덮개부재(210)의 상단부에 결착되어 양측면이 상하로 이동되는 제3비닐하우스덮개부재(260)와, 상기 제1비닐하우스덮개부재(210)의 외측에 상기 체결접착부재(292)에 의해 일체로 결착되어 양 외측면이 상하로 이동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2비닐하우스덮개부재(29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제2,3비닐하우스덮개부재(260,290)의 양측면에는 상기 제2,3비닐하우스덮개부재(260,290)가 상하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리프터(17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비닐하우스덮개부재(210)의 양측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제1,2물주머니(220,2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물주머니(220) 및 제2물주머니(230)의 사이에는 연결부재(22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비닐부재(232)에는 보조비닐부재(232)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비닐하우스세로지지부재(52)를 둘러싸면서 상기 체결부재(72)에 의해서 결착되는 결착지지부재(212)가 제2접착부재(214)에 의해서 상기 2비닐하우스덮개부재(10)에 결착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비닐하우스덮개부재(210)의 외측에 연결되어 있는 제3비닐하우스덮개부재(260)에는 상기 리프터(170)의 동작에 의해서 상기 제3비닐하우스덮개부재(260)의 양단부가 상하로 이동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비닐하우스덮개부재(290)는 비닐로 형성하거나 또는 부직포 또는 차광막 등으로 형성하므로서 햇빛을 차단하면서 필요한 경우 환기를 통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에 기술한 실시예와 차이점은 비닐하우스 덮개(300)를 구성하는 비닐하우스덮개부재(310)의 중앙부에 비닐하우스 내부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호스(317)가 일체로 상기 제2접착부재(316)에 의해서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310)에 결착되어 있다는 것이며, 그리고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310)의 외측면에 체결접착부재(312)에 의해서 일체로 결착되어 있는 제2비닐하우스덮개부재(360)에 복수개의 관통구멍(366)이 형성되어 있어서 통풍 및 차광효과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310)의 양측면에 형성된 제1물주머니(320) 및 제2물주머니(330)에 복수개의 밀봉밴드(324,334)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제1물주머니(320) 및 제2물주머니(330)의 외측면이 파손되어 상기 제1,2물주머니(320,330)에 있는 물이 외부로 배출시, 상기 밀봉밴드(324,334)에 의해서 내부에 있는 물이 쉽게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물의 흐름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막 작용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비닐하우스덮개부재(360)는 검은색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한 경우 다른 색상, 노랑, 파랑, 흰색으로 할 수 있으며, 구멍의 크기 및 모양도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관통구멍(366)의 모양을 원형 뿐만 아니라, 타원, 사각 또는 삼각형 또는 기타 다른 다각형으로 절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비닐하우스덮개부재(360)의 양측면에 형성된 상하이동부재(362)에 삽입되어 있는 이동가이드부재(364)에는 상기 리프터(170)가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에 기술한 실시예와 차이점은,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310)의 상측면에 체결접착부재(312)에 의해서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제2비닐하우스덮개부재(370)에 상기 도 3에서와 같이 복수개의 관통구멍(36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차광효과를 유지하기 위해서 교대로 상이한 색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즉 흰색의 힌색비닐하우스덮개부재(372)와 검정색의 검정색비닐하우스덮개부재(374)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310)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비닐하우스가로지지부재(50) 및 비닐하우스세로지지부재(52)에 결착시 지지력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결착밴드(319)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결착밴드(319)는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310)를 제작시 금형작업에서 일체로 제작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결착밴드(319)의 형상 및 두께 또는 폭 등을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비닐하우스가로지지부재(50) 및 비닐하우스세로지지부재(52)의 설치에 따라서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310)의 형상에서 결착밴드(319)의 개수와 위치를 다양하게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힌색비닐하우스덮개부재(372)와 검정색비닐하우스덮개부재(374)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교대로 흰색과 검정색으로 도색되어 있는 것만이 아니라, 경사각을 다양하게 하거나 다양한 형상의 무늬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2비닐하우스덮개부재(370)의 바탕색에 검정색인 검정색비닐하우스덮개부재(374)를 전체적으로 칠하고, 중간 중간에 원형 또는 사각, 또는 기타 다양한 형상으로 흰색으로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에 기술한 실시예와 차이점은 비닐하우스덮개부재(510)의 측면에 형성되어 물이 주입되어 있는 복수개의제1,2물주머니(520,530)의 상측면과 하측면의 색상이 차이가 있다는 점이다.
즉, 상기 제1물주머니(520), 연결부재(522),제2물주머니(530) 및 보조비닐부재(532)는 흰색으로 형성하고, 상기의 하측면인 제1물주머니(524),연결부재(523), 제2물주머니(534) 및 보조비닐부재(533)는 검은색으로 형성하므로서, 햇빛을 받을 경우 상기 제1물주머니(520) 및 제2물주머니(530)의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물의 온도를 상승시켜 보온효과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게다가 본 고안은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물주머니(524),연결부재(523),제2물주머니(534) 및 보조비닐부재(533)뿐만 아니라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510)의 하측면에도 모두 검은색으로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인데, 즉 흰색의 상측면과 검은색의 하측면을 2중으로 형성하여 접합시킨 것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에 기술한 것은 상기 흰색으로 형성된 비닐하우스덮개부재(510)의 하측면에 접착되는 검은색의 비닐하우스덮개부재(515)에 복수개의 관통구멍(517)이 형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관통구멍(517)은 상태에 따라서 크기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게다가 모양도 원형 뿐만 아니라 사각, 삼각 기타 다른 다각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며,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515)의 색상도 반드시 검은색 뿐만 아니라 파란색, 노란색 등으로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와 반대로, 하측은 흰색으로 형성하고, 상측은 검은색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게다가 복수개의 관통구멍도 상측 또는 하측에 형성할 수 있는 것도 본 고안에 포함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에 기술한 실시예와 차이점은 단지 비닐하우스 덮개(600)을 구성하는 비닐하우스덮개부재(610)의 양측면을 복수개의 층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지지층(617)에 의해서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복수지지층(617)의 폭은 사용 상태에 따라 가변적으로 조정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반드시 2중의 층이 아니라 3중 또는 그이상의 층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게다가 상기 복수지지층(617)을 양측면 뿐만 아니라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610)의 중앙부위에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은 도 7의 A-A선에 대한 단면도로서 상기 복수지지층(617)의 양측면이 상하 양측으로 접혀지면서 접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를 덮고 있는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가 바람에 의한 이동이나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를 필요에 따라서 접었다 펼쳤다 하는 동작으로 인해서 좌우로 이동되지 않으면서 비닐하우스세로지지부재(52)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클립과 같은 체결부재(72)를 이용하여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의 중앙부 또는 양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결착지지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비닐하우스세로지지부재(52)에 결착하기 때문에, 바람에 의한 영향이나 비닐하우스덮개부재를 접었다 폈다하는 동작으로 인해서, 종래와 같이 비닐하우스덮개부재의 중앙부의 일정길이를 하측으로 잡아당겨서 체결부재가 결착되는 것이 아니라, 즉 비닐하우스덮개부재의 중앙부에 형성된 별도의 체결지지부재를 이용하여 결착하는 것이기 때문에 비록 장시간 사용중에 파손되더라도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의 중앙부가 직접적으로 찢어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 도시된 물주머니는 설명의 편의상 2개로 형성되어 있는 것만을 기술하였으나 본 고안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경우에는 1개 또는 3개 이상으로도 형성할 수도 있으며, 그리고 양쪽이 대칭되도록 형성하는 것 뿐만 아니라 일측은 1개 다른 측면은 2개 또는 3개와 같이 서로 상이한 갯수의 물주머니를 형성할 수 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 물주머니의 외관에 대해서 몇가지 예를 들어 기술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물주머니의 외관에 아무런 돌기부 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는 것은 물론이고, 물주머니의 외관에 직사각형, 정사각형, 마름로꼴, 원형, 타원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의 돌기부를 형성하는 것도 본 고안에 포함되는 것이며, 게다가 돌기부가 아닌 오목부로 형성하는 것도 본 고안에 포함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 기술한 제1접착부재와 제2접착부재는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와 동일한 재질을 이용하여 접어서 상기에 기술한 열이나 봉제등을 이용하여 접착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예를 들어, 물공급호스와 같이 파손의 우려가 있어서 두께가 두꺼워야 하는 경우 또는 차광막 및 부직포와 비닐을 접착하는 경우와 같이 재질이 상이한 것을 연결하는 경우,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와 상이한 재질을 구비한 후 별도로 열접착이나 봉제 등의 방식으로 접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접착방식은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으로 접착하는 것이며, 예를 들어 열에 의해서 접착하거나, 차광막이나 부직포 등에 접착하는 경우에는 봉제나 본드 등을 이용한 접착으로 할 수 있으며, 그외에도 고주파등을 이용하여 접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결착지지부재는 1줄로 형성되어 상기 비닐하우스세로지지부재의 외측을 감싸면서 별도의 체결부재(72)를 이용하여 결착하도록 되어 있으나,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1줄이외에도 2줄 3줄로 형성하여 체결지지력을 증대하도록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결착지지부재가 2줄로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각각의 선단부에 오목부와 돌기부로 형성되어 서로 결착되므로서 착탈되는 폴리팩의 방식이나, 매직테이프(일명, 찍찍이) 또는 똑딱이 단추 등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별도의 체결부재(72)없이 사용할 수도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이, 더욱더 지지강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체결부재(72)를 이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 기술한 실시예의 결착지지부재, 물주머니 및 물공급호스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예를 들어 파손의 예상되는 경우로서 강도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비닐하우스덮개부재의 재질과 상이하면서 큰 힘에 견딜 수 있는 별도 재질의 비닐을 사용하거나 또는 비닐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또는 비닐하우스덮개부재가 차광막이나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물공급호스 및 물주머니 및 결착지지부재를 비닐의 재질로 형성하여 열접착 또는 봉제 등의 통상적인 방식으로 결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흰색으로 구성된 상측면과 검은색으로 구성된 하측면의 전체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검은색의 하측면에는 다양한 형상의 모양으로 절개부를 형성할 수 도 있는 것이며, 필요한 경우 하측에 2중으로 결착되어 있는 검은색을 파랑, 노랑, 기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다른 색상으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도 본 고안에 포함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에 기술한 다른 실시예의 비닐하우스덮개부재의 양측면 또는 중앙부 등에도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중으로 층을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도 본 고안에 포함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이, 사용용도가 대부분 비닐하우스나 비닐터널 등에 사용되나, 사용자에 따라서 필요한 경우에는 공사현장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축대나 경사진 암반 등에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경우에는 별도로 축대나 암반 등으로부터 흘러내리지 않도록 상측에 말뚝이나 지지대를 형성하여 본 고안의 일측면에 걸수 있도록 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비닐하우스 덮개는, 비닐부재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물을 저장할 수 있는 물주머니를 형성하고, 상기 물주머니에는 복수개의 밀봉밴드를 형성하여 비록 물주머니가 파손되거나 구멍이 생기더라도 상기 물주머니 전체에 있던 물이 새는 것이 아니라 일부구간에 있는 물만 새도록 하였으며, 게다가 비닐하우스덮개부재의 중앙 또는 양측면 또는 상단부에 물공급호스를 일체로 형성하므로서 별도로 설치되던 호스를 제거하여 비용 절감을 가져왔으며, 비닐하우드덮개부재를 구성하는 비닐 및 차광막 또는 부직포 등을 일체로 형성하거나 일단부에 구멍을 형성하므로서 복수개를 별개로 설치 및 관리하는 것보다 효율적으로 설리 및 관리할 수 있는 고안이다.

Claims (10)

  1. 비닐하우스가로지지부재와 비닐하우스세로지지부재에 덮여 있는 제1비닐하우스덮개부재와, 상기 제1비닐하우스덮개부재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물을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물주머니와, 상기 물주머니의 일단부를 접착하는 제1접착부재와,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비닐하우스세로지지부재에 결착되도록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결착지지부재와, 상기 제1비닐하우스덮개부재의 상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비닐하우스덮개부재와 중앙부 부근에서 체결접착부재에 의해서 접착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제2비닐하우스덮개부재와, 상기 제2비닐덮개부재의 양측면에는 리프터에 의해서 상하로 이동되도록 상하이동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덮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비닐하우스덮개부재는 비닐, 차광막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덮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비닐하우스덮개부재의 사이에는 제3비닐하우스덮개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덮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3비닐하우스덮개부재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는 상기 리프트에 의해서 상하로 이동되도록 상하이동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덮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비닐하우스덮개부재에는 바탕색이 검은색으로 형성되고 복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덮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비닐하우스덮개부재는 검은색 또는 파랑색 또는 이와 다른 다양한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덮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비닐하우스덮개부재에는 그 중앙부 또는 일측면에 비닐하우스 내부에 물을 공급하도록 제2접착부재에 의해서 결착되어 있는 복수개의 물공급호스와, 상기 제1비닐하우스덮개부재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1,2물주머니에 형성되어 물의 배출을 지연시키는 복수개의 밀봉밴드와, 그리고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의 양측면에 복수개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비닐하우스가로지지부재 및 비닐하우스세로지지부재에 대응되도록 결착시 지지력을 갖는 결착밴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덮개.
  8. 제 1항 또는 제 3항 또는 제 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비닐하우스덮개부재의 각각은 복수개의 층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상측면과 하측면은 색상을 달리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덮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비닐하우스덮개부재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 형성된 검은색부분에 복수개의 다양한 형상의 관통구멍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덮개.
  10. 제 1항 또는 제 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비닐하우스덮개부재의 양측면 또는 중앙부에 복수개의 층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지지층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덮개.
KR2020010011459U 2001-04-20 2001-04-20 비닐하우스 덮개 KR2002417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1459U KR200241773Y1 (ko) 2001-04-20 2001-04-20 비닐하우스 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1459U KR200241773Y1 (ko) 2001-04-20 2001-04-20 비닐하우스 덮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1773Y1 true KR200241773Y1 (ko) 2001-10-12

Family

ID=73099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1459U KR200241773Y1 (ko) 2001-04-20 2001-04-20 비닐하우스 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177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428B1 (ko) 2009-07-28 2014-09-26 안기환 온실차광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428B1 (ko) 2009-07-28 2014-09-26 안기환 온실차광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8642B1 (ko) 팽창식 텐트
US10253474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fiber rolls
KR200241773Y1 (ko) 비닐하우스 덮개
CA2436074A1 (en) Fresh masonry wall protection device and method for rapidly protecting a newly laid masonry wall
JP2003184350A (ja) 布内にコーナーを構成する方法およびこのコーナーを有する布構造物
KR200241772Y1 (ko) 비닐하우스 덮개
JP6998614B2 (ja) 洪水に対する建物の保護方法
JP4758553B2 (ja) 植栽屋根構造
JP2004183451A (ja) ウォーターフェンス
US10883243B2 (en) Resilient erosion control apparatus and installation method
JP2002294746A (ja) 油圧ホース・ミルクホース等の保護カバーと、保護カバーの装着方法
KR200238799Y1 (ko) 비닐하우스 덮개
KR200236955Y1 (ko) 비닐하우스덮개
KR20100128873A (ko) 천막 연결장치
KR20020096091A (ko) 비닐하우스덮개와 이를 제작하는 장치 및 방법
JP4338303B2 (ja) 屋根構造及び植栽屋根形成方法
JP2001064931A (ja) 舗装界面の防草構造
KR20230167574A (ko) 비닐하우스의 눈 녹인 탄소난방필름
CN207444769U (zh) 窗帘装置及窗帘主滑件
JP4814915B2 (ja) 屋根構造及び植栽屋根形成方法
JP3240089U (ja) 水嚢シート
KR102263652B1 (ko) Suv 차량용 원터치 도킹 텐트
JP3779546B2 (ja) 建物用水切り材
JP6777425B2 (ja) 構造物の雨水排出用屋根材及び雨水排出用組立屋根
KR200263488Y1 (ko) 연동비닐하우스의 천장부직포 예인장치에 있어서부직포의 이탈방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2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