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6091A - 비닐하우스덮개와 이를 제작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덮개와 이를 제작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6091A
KR20020096091A KR1020010034134A KR20010034134A KR20020096091A KR 20020096091 A KR20020096091 A KR 20020096091A KR 1020010034134 A KR1020010034134 A KR 1020010034134A KR 20010034134 A KR20010034134 A KR 20010034134A KR 20020096091 A KR20020096091 A KR 200200960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vinyl house
house cover
vinyl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4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헌
박창복
Original Assignee
김창헌
박창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헌, 박창복 filed Critical 김창헌
Priority to KR1020010034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96091A/ko
Publication of KR20020096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609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8Covering materials therefor; Materials for protective coverings used for soil and plants, e.g. films, canopies, tunnels or clo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07Greenhouses of flexible synthetic material
    • A01G9/1415Greenhouses of flexible synthetic material with double or multiple wa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4Measures for saving energy, e.g. in green hou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비닐하우스덮개를 2중으로 형성하고, 그 일측 또는 양측면에 하나 이상의 물주머니를 부착하고, 상기 비닐 등의 중앙부 또는 양측면에 복수개의 결착밴드를 형성하고, 그리고 비닐하우스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통풍을 유지하는 끈달린 비닐하우스 등과 이들을 제작하기 위한 기계장치와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물주머니(152)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비닐하우스덮개(100)의 외측면에 흐르는 물을 안내하여 밖으로 손쉽게 배출하도록 통로역할을 하는 복수개의 보조비닐부재(160)와, 상기 보조비닐부재(160)의 일측면 또는 비닐하우스덮개부재(150)의 타단부에는 외부의 막대기 등을 묶는 연결끈(112)이 삽입되도록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는 끈지지부(110,162)와, 상기 물주머니(152)의 측면부에 결착되어 비닐하우스세로지지부재(54) 등에 결착되어 견고하게 상기 비닐하우스덮개(100)를 지지하는 측면비닐부재(151)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덮개와 이를 제작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닐하우스덮개와 이를 제작하는 장치 및 방법{VINYL HOUSE COVER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부재와 이를 제작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2중으로 형성하여 강도와 보온효과를 유지하면서 비닐하우스덮개의 일측 또는 양측면에 하나 이상의 물주머니를 부착하고, 상기 비닐 등의 중앙부 또는 양측면에 복수개의 결착지지부재를 형성하고, 그리고 비닐하우스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통풍을 유지하는 끈달린 비닐하우스 등과 이들을 제작하기 위한 기계장치에 관련된 공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비닐하우스덮개부재은 비닐하우스의 외측면을 덮은 후 바람 등에 의해서 비닐하우스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바닥에 흙 등으로 덮어주거나 또는 비닐하우스를 고정하기 위해서 로프 또는 끈으로 비닐하우스 외측면을 결착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장마와 같이 많은 비가 오거나 이상적인 상태에서는 이와 같이 비닐하우스덮개부재의 양측면에 눌러 놓은 흙 등이 쓸려 내려가 비닐하우스덮개부재가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비닐하우스덮개부재는 양측면이 흙으로 눌러 있기 때문에 농사를 끝낸 후 비닐하우스덮개부재를 회수시 다시 흙을 걷어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로우며, 많은 비닐부재가 회수되지 않고 땅 속에 묻혀버리게 되어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종래의 비닐하우스의 경우에는 비닐하우스 철재에 덮여 있는 비닐 등이 바람등에 의해 움직이지 않도록 비닐하우스의 비닐 또는 차광막의 중앙부분을 하측으로 잡아당겨서 집게 등을 이용하여 비닐하우스 철재에 고정시키곤 하였으나, 이러한 경우 일시적으로는 바람 등에 의한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는 설치하는데 비닐하우스의 중앙부분을 하측으로 잡아당긴후 결착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어느 정도 사용하다 보면 하측으로 당겨져 있는 비닐 등이 집게 등에 의해서 비닐하우스의 비닐 자체가 찢어지게 되어 오히려 비닐하우스를 덮고 있는 비닐 전체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비닐하우스를 덮고 있는 비닐부재의 양측면 또는 일측면 또는 중간에 복수개의 물주머니를 형성하고 물주머니에 물을 채우므로서 비닐하우스를 설치 및 관리하는데 편리한 비닐하우스부재와 이를 제작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부재와 이를 제작하는 장치 및 방법은 비닐하우스를 덮고 있는 비닐부재, 부직포, 차광막 및 보온덮개 등이 바람 등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중앙부 또는 양측면에 비닐하우스 철재에 결착할 수 있도록 중앙 또는 양측면에 복수개의 결착밴드를 형성한 비닐하우스를 제작하기 위한 비닐하우스부재와 이를 제작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부재와 이를 제작하는 장치 및 방법은 비닐하우스를 덮고 있는 비닐부재 등의 중앙부 또는 측면부에 물공급을 위한 호스를 일체로 형성하므로서 별도로 호스를 형성시보다 관리 및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를 제작하기 위한 비닐하우스부재와 이를 제작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부재와 이를 제작하는 장치 및 방법은 비닐하우스의 농사작업을 완료 한 후, 파손된 비닐하우스를 회수시에도 양측면에 채워져 있는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므로 간편하게 회수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를 제작하기 위한 비닐하우스부재와 이를 제작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부재와 이를 제작하는 장치 및 방법은 물주머니의 외측면에 복수개의 밀봉밴드를 형성하여 물주머니가 파손시에도 물주머니에 있던 물이 모두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여 비상시에도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대응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를 제작하기 위한 비닐하우스부재와 이를 제작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물주머니 또는 호스 등과 같이 파손되기 쉬운 부분에 대해서는 별도의 재질 또는 비닐하우스를 별도로 제작하여 충분한 강도에 견딜 수 있도록 제작한 후 비닐하우스 몸체에 별도의 공정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부재와 이를 제작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2중으로 형성하므로서 강도와 보온효과를 향상시켜 악조건에서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덮개와 이를 제작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덮개와 이를 제작하는 방법 및 장치는, 비닐하우스덮개(100)를 형성하는 비닐하우스덮개부재(150)와,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15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물을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물주머니(152)와, 상기 물주머니(152)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비닐하우스덮개(100)의 외측면에 흐르는 물을 안내하여 밖으로 손쉽게 배출하도록 통로역할을 하는 복수개의 보조비닐부재(160)와, 상기 물주머니(152)와 비닐하우스덮개부재(150)의 중간을 히터 등을 이용하여 접착하는 접착부(122)와, 상기 보조비닐부재(160)의 일측면 또는 비닐하우스덮개부재(150)의 타단부에는 외부의 막대기 등을 묶는 연결끈(112)이 삽입되도록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는 끈지지부(110,162)와, 상기 물주머니(152)의 측면부에 결착되어 비닐하우스세로지지부재(54) 등에 결착되어 견고하게 상기 비닐하우스덮개(100)를 지지하는 측면비닐부재(151)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5는 상기의 실시예에 대한 사용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상기에 기술한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11은 상기에 기술한 실시예의 다른 상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16은 상기에 기술한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17은 상기에 기술한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20은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덮개를 제작하는 공정에 대한 흐름도이며,
도 21은 도 20의 제품이 사용되는 상태도이며,
도 22은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덮개를 제작하는 공정에 대한 다른 흐름도이며,
도 23은 본 발명의 밀기상태를 다른 방법으로 작업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4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25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26은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덮개를 제작하는 공정에 대한 흐름도이며,
도 27은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덮개를 제작하는 공정에 대한 흐름도이며,
도 28은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덮개를 제작하는 공정에 대한 흐름도이며,
도 29는 도 28의 사시도이며,
도 30은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덮개를 제작하는 공정에 대한 흐름도이며,
도 31은 도 30의 사시도이며,
도 32은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덮개를 제작하는 공정에 대한 흐름도이며,
도 33은 도 32의 사시도이며,
도 34은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덮개를 제작하는 공정에 대한 흐름도이며,
도 35는 도 34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36은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덮개를 제작하는 공정에 대한 흐름도이며,
도 37은 도 36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38은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덮개를 제작하는 공정에 대한 흐름도이며,
도 39는 도 38의 일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40은 도 38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41은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덮개를 제작하는 공정에 대한 흐름도이며,
도 42는 도 41의 일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43은 도 41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44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히터에 대한 일실시예이며,
도 45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히터에 대한 다른 실시예이며,
도 46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히터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이며,
도 47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히터에 대한 또 다른 일실시예이며,
도 49는 히터에 의해 생산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며,
도 50은 본 발명의 관통구멍을 형성하는 히터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51은 도 50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2 : 비닐하우스세로지지부재 100, 200, 300 : 비닐하우스덮개
120, 150, 220, 240 : 비닐하우스덮개부재
124, 152 : 물주머니 160 : 보조비닐부재
127, 148 :물누출방지부 124, 284: 결착지지부재
254, 572, 574 : 물공급호스 573, 575 : 관통구멍
122, 216, 534, 566 : 접착부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부재와 이를 제작하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은 첨부도면을 통하여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기술하기 전에 정의를 하면, 본 발명의 비닐은 압출기에서 생산시에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생산되고, 필요에 따라 양측면 또는 일측면을 가이드하므로서 내측으로 가이드부재를 이용하여 밀기 동작을 하여 접히도록 할 수 있으며, 그리고 압출기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서 생산되는 비닐의 원통형의 직경의 크기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며, 게다가 압출기에서 생산되는 반대쪽 부분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롤러에 의해서 일정한 이송속도와 힘으로 비닐을 잡아당겨 비닐이 팽팽하도록 유지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며, 즉 100은 치마비닐부재(여기서는 편의상 비닐하우스덮개라고 함.)이며 2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 1중으로 형성될 수도 있은 당연하며, 상기 비닐하우스덮개(100)를 형성하는 비닐하우스덮개부재(150)와,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15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물을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물주머니(152)와, 상기 물주머니(152)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하우스덮개(100)의 일측면에 흐르는 물을 안내하여 밖으로 손쉽게 배출하도록 통로역할을 하는 복수개의 보조비닐부재(160)와, 상기 물주머니(152)와 비닐하우스덮개부재(150)의 중간 중간을 히터 등을 이용하여 접착하는 접착부(122)와, 상기 보조비닐부재(160)의 일측면 또는 비닐하우스덮개부재(150)의 타단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막대기 등을 묶는 연결끈(112)이 삽입되도록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는 끈지지부(110,162)와, 상기 물주머니(152)의 측면부에 결착되어 비닐하우스세로지지부재(54) 등에 결착되어 견고하게 상기 비닐하우스덮개(100)를 지지하는 측면비닐부재(151)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150)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150)를 설치시 중앙부 또는 양측면을 맞추면서 설치하도록 중앙부 또는 양측면 또는 일측면에 결착지지부재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며, 상기 실시예와 차이점은 일측면에만 끈지지부를 형성한 것이고, 물주머니의 형상이 상하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며, 비닐하우스덮개(100)를 형성하는 비닐하우스덮개부재(120)와,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12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물을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복수개의 물누출방지부(127)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물주머니(124,126)와, 상기 물주머니(124,126)와 비닐하우스덮개부재(120)의 중간 중간을 히터 등을 이용하여 접착하는 접착부(122)와,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120)의 타단부에는 비닐하우스덮개부재(120)에 형성된 비닐하우스세로지지부재(54)등에 결착할 수 있는 연결끈(112)이 삽입되도록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는 끈지지부(110)로 구성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며, 상기 실시예와 차이점은 일측면에만 끈지지부를 형성한 것이고, 물주머니의 형상이 비닐하우스덮개부재의 상하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일단부에도 복수개의 물주머니가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며, 비닐하우스덮개(100)를 형성하는 비닐하우스덮개부재(120)와,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12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물을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복수개의 물누출방지부(127)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물주머니(124,126)와, 상기 물주머니(124,126)와 비닐하우스덮개부재(120)의 중간중간을 히터 등을 이용하여 접착하는 접착부(122)와,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120)의 타단부에는 비닐하우스덮개부재(120)에 형성된 비닐하우스세로지지부재(54)등에 결착할 수 있는 연결끈(112)이 삽입되도록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는 끈지지부(110)와, 상기 물주머니(124,126)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형상의 물누출방지부(132)가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다른 물주머니(130)과, 상기 물주머니(130)의 측면부에 결착되어 비닐하우스세로지지부재(54) 등에 결착되어 견고하게 상기 비닐하우스덮개(100)를 지지하는 측면비닐부재(151)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3의 실시예와 차이점은 비닐하우스덮개부재에 복수개의 접착부를 형성하지 않은 경우이며, 물주머니의 접착부의 형상을 다양하게 형성한 것을 나타내고 있는데 차이가 있으며, 비닐하우스덮개(100)를 형성하는 비닐하우스덮개부재(120)와,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12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물을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복수개의 물누출방지부(146,148)가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물주머니(144)와,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120)의 상하 양측면에 복수개 형성되어 물주머니 또는 물공급호스(141,143)으로 구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 물공급호스(141,143)로 형성될 경우에는 외측면에 복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것이다.
도 5는 상기에 기술한 비닐하우스덮개(100)에 대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2중으로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며,200은 비닐하우스를 덮는 비닐하우스덮개이고, 상기 비닐하우스덮개(200)를 형성하는 비닐하우스덮개부재(220)와,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220)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물을 담을 수 있도록 양쪽이 비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물주머니(210,212,230,232)와, 상기 물주머니(210,212,230, 232)와 비닐하우스덮개부재(240)의 중간 중간을 히터 등을 이용하여 접착하는 접착부(242)로 구성되어 있다.
즉, 도 7의 실시예는 광폭비닐용으로서, 물주머니(210,212,213,230, 232,233)와 물누출방지부(214, 236)를 동시에 또는 별개로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며, 그리고 접착부(242)도 다양한 모양으로 나타낼 수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며, 실질적으로 작업에 있어서도 후술하는 도 44 내지 4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를 곡선모양의 히터를 이용하거나 또는 사다리모양의 히터를 이용하여 접착하면 어떠한 모양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2중으로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며, 200은 비닐하우스를 덮는 비닐하우스덮개이고, 상기 비닐하우스덮개(200)를 형성하는 비닐하우스덮개부재(240)와,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240)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물을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물주머니(210,212,213,230, 232,233)와, 상기 물주머니(210,212,213,230, 232,233)와 비닐하우스덮개부재(240)의 중간 중간을 히터 등을 이용하여 접착하는 접착부(242)로 구성되어 있다.
즉, 도 7의 실시예는 광폭비닐용으로서, 물주머니(210,212,213,230, 232,233)와 물누출방지부(214, 236)를 동시에 또는 별개로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며, 그리고 접착부(242)도 다양한 모양으로 나타낼 수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며, 실질적으로 작업에 있어서도 후술하는 도 44 내지 4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를 곡선모양의 히터를 이용하거나 또는 사다리모양의 히터를 이용하여 접착하면 어떠한 모양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제품의 사시도로서, 2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물주머니의 형성이 양측면에 교대로 또는 일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며, 양측면에 비닐하우스덮개(200)의 양측면으로 흐르는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용이하도록 물통로를 형성한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200은 비닐하우스를 덮는 비닐하우스덮개이고, 상기 비닐하우스덮개(200)를 형성하는 비닐하우스덮개부재(280)와,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280)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물을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면에 복수개의 물누출방지부(271)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물주머니(270,272,274)와, 상기 물주머니(270,272,274)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하우스덮개(200)의 양측면에 흐르는 물을 안내하여 밖으로 손쉽게 배출하도록 통로역할을 하는 복수개의 보조비닐부재(286)와, 상기 물주머니(270,272,274)와 비닐하우스덮개부재(280)의 중간 중간을 히터 등을 이용하여 접착하는 접착부(282)와,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280)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비닐하우스덮개(200)를 설치시 중앙부 또는 양측면을 맞추면서 설치하도록 중앙부 또는 양측면 또는 일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결착지지부재(284)와, 상기 보조비닐부재(286)의 양측면에는 도 10 및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막대기 등을 묶는 연결끈(272,288)이 삽입되도록 감싸고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끈지지부(270,28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물누출방지부(271)은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이 히터의 종류를 다양하게 선택하므로서 다양한 형상을 복수개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제품의 사시도로서, 200은 비닐하우스를 덮는 비닐하우스덮개이고, 상기 비닐하우스덮개(200)를 형성하는 비닐하우스덮개부재(250)와,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250)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물을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물주머니(210,212,260,262)와, 상기 물주머니(210,262)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하우스덮개(200)의 양측면에 흐르는 물을 안내하여 밖으로 손쉽게 배출하도록 통로역할을 하는 복수개의 보조비닐부재(274)와, 상기 물주머니(210,212,260,262)와 비닐하우스덮개부재(250)의 중간 중간을 히터 등을 이용하여 접착하는 접착부(216)와,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250)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250)를 설치시 중앙부 또는 양측면을 맞추면서 설치하도록 중앙부 또는 양측면 또는 일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결착지지부재(254)와, 상기 보조비닐부재(274)의 양측면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막대기 등을 묶는 연결끈(272)이 삽입되도록 감싸고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끈지지부(270)와, 상기 물주머니(212,260)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비닐하우스세로지지부재(54)등에 결착되어 견고하게 지지하는 측면비닐부재(256)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250)에는 한 겹의 비닐부재가 아니라 2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게다가 중간 중간에 히터등으로 접착되어 있는 접착부(252)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어서 강도면에서도 큰 힘을 받을 수 있으며, 게다가 2중이면서도 중간 중간 히터로 접착하여 보온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상기 도 9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에 기술한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250)의 중앙부 또는 양측면 또는 일측면에 형성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인가받아 비닐하우스 내부로 물을 공급하도록 물공급호스를 형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10에서는 도 9에 대한 사용상태도이며, 다만 차이점은 상기 결착지지부재(284)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물공급호스(254)로 사용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이와 같이 대체로 할 수 있는 것은 상기 물공급호스(254)의 외측면에 복수개의 관통구멍을 형성하게 되면 간단히 호스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물주머니(210,212,260,262)는 양측면에 대칭 또는 비대칭의 숫자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되지 않은 통상의 수도관을 통해서 물이 공급되도록 양쪽이 관통되어 있는 주머니로 형성되어 있으며 물을 주입한 후에는 노끈이나 집게 등으로 묶어서 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양쪽을 묶어서 사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물주머니는 설명의 편의상 양쪽으로 대칭으로 2개씩 형성하였으나 비닐하우스덮개(200)가 큰 경우나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는 더 많은 물주머니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와는 반대로 필요한 경우에는 물주머니(220) 하나만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물주머니(220,222,224)의 외측면에는 그 일부가 파손되어 물이 외부로 유출시 일시에 유출되지 않고 일정한 시간 지연되거나 일부분만 유출되도록 칸막이 역할을 하는 복수개의 물누출방지부(264,266)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물누출방지부는 히터의 형상 등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순하게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거나, 또는 상방향 및 하방향으로 동시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그리고 일정한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할 수도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곡선으로 형성하거나 기타 다른 다각형 형상 또는 타원으로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결착지지부재(254)는 상기 비닐하우스세로지지부재(52)에 연결되는 비닐하우스세로지지부재(52)에 결착되도록 중앙부 또는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비닐하우스세로지지부재(52)를 상기 결착지지부재(254)가 감싸면서 그 외측면에 집게와 같은 기능을 하는 도시되지 않은 통상적인 체결부재에 의해서 결착되므로서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250)가 바람 등에 의해서 벗겨지거나 한쪽으로 밀리지 않도록 중앙부분에서 상기 비닐하우스세로지지부재(52)와 결착되는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제품의 사시도로서, 500은 터널용비닐하우스(여기서는 편의상 비닐하우스덮개라고 함.)이고, 상기비닐하우스덮개(500)를 형성하는 비닐하우스덮개부재(510)와,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51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물을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물누출방지부(532)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물주머니(530)와, 상기 물주머니(530)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보조하는 보조비닐부재(540)과,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510)의 타단부를 접은 후 히터로 접착하여 강도를 증가시킨 보강접착부(520)와, 상기 물주머니(530)를 형성하도록 히터로 접착되어 있는 접착부(53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보강접착부(520)는 사용상태에 따라 수시로 덮었다 걷었다 할 수 있도록 일단부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서, 필요한 경우 보강접착부(520)을 더 두껍게 형성하거나 또는 형성하지 않고도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3은 도 12에 기술한 실시예와 대체로 동일하나 차이점은 2중으로 형성되어 있다는 점과, 접착부의 형상이 다양하게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상기 비닐하우스덮개(500)를 형성하는 비닐하우스덮개부재(550)와,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55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물을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물누출방지부(567)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물주머니(560)와, 상기 물주머니(560)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보조하는 보조비닐부재(568)과,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550)의 타단부를 접은 후 히터로 접착하여 강도를 증가시킨 보강접착부(552)와, 상기 물주머니(560)를 형성하도록 히터로 접착되어 있는 접착부(56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보강접착부(552)는 사용상태에 따라 수시로 덮었다 걷었다 할 수 있도록 일단부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서, 히터로 접착시 단순한 접착면이 아니라 곡선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는 점을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상기에 기술한 도 12 및 도 13과 대체로 동일하나 차이점은 2중으로 형성되어 있고, 게다가 중간에 복수개의 몰공급호스 또는 물주머니가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며, 비닐하우스덮개(500)를 형성하는 비닐하우스덮개부재(550)와,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55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물을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물누출방지부(567)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물주머니(560)와,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550)의 타단부를 접은 후 히터로 접착하여 강도를 증가시킨 보강접착부(552)와, 상기 물주머니(560)를 형성하도록 히터로 접착되어 있는 접착부(566)와,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550)의 중간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물을 공급시 별도의 호스를 이용하지 않고도 자체적으로 형성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복수개의 물공급호스(570,572)와,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550)의 상측에 형성되어 물을 공급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물공급호스(574)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물공급호스(570,572,574)에는 복수개의 관통구멍(571,57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실시예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되는 것이다.
도 15는 상기에 기술한 실시예와 대체로 동일하나 차이점은 2중으로 형성되어 있고, 게다가 중간에 복수개의 물공급호스 또는 물주머니가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며, 비닐하우스덮개(500)를 형성하는 비닐하우스덮개부재(550)와,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55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물을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물누출방지부(585)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물주머니(580,582,584)와, 상기비닐하우스덮개부재(550)의 타단부를 접은 후 히터로 접착하여 강도를 증가시킨 보강접착부(552)와, 상기 물주머니(580,582,584)를 형성하도록 히터로 접착되어 있는 접착부(566)와,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550)의 중간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물을 공급시 별도의 호스를 이용하지 않고도 자체적으로 형성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복수개의 물공급호스(57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물주머니(580,582,584)는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550)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차이가 있는 것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다른 실시예와 차이점은 전체적으로 재질이 종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다만 물주머니 또는 물공급호스 등과 같이 물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부분만을 비닐 등으로 코팅하여 형성된 것이며,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사용하기 편리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다른 실시예와 대체로 동일하나 다만 차이점은 비닐하우스덮개부재(810)에 복수개의 결착지지부재(812)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서, 상기 결착지지부재(812)는 비닐하우스가로지지부재(50)에 결착되어 바람등에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20은 상기에 기술한 구성에 대한 제작 공정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서, 먼저 비닐하우스의 원재료인 비닐이 도시되지 않은 통상의 압출기계에 의해서 원통형으로 생산되면, 비닐의 일측면을 칼날을 이용하여 절단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을 수행한 후 절단한 부분의 측면에서 끈부재(332)를 삽입하는 공정과, 끈부재(332)를삽입한 후에는 끈부재(332)의 양측면을 히터를 이용하여 열접착하여 끈지지부재(330)를 형성하는 공정과, 타단부의 끝단을 칼날을 이용하여 절단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을 수행한 후 절단된 양측면을 상방향으로 접어서 물주머니(320)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후 상방향으로 접기한 부분을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수만큼의 물공급호스를 형성하기 위해서 히터로 접합하는 공정과, 그 후 중간부분에 돌출부재를 삽입하여 상하 양측면에서 삽입을 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을 수행시 돌출되어 나오는 비닐의 하단부를 히터를 이용하여 접착부(342)를 형성하므로서 결착지지부재(340)를 형성하는 공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만, 상기 공정중 필요한 경우에는 돌출부재 삽입공정시 상하 양측면에서 동시에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경우에는 상측 또는 하측에서만 수행할 수도 있으며, 게다가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삽입공정을 수행한 후 다음 공정에서도 상기 삽입공정과 같은 공정으로 바로 양측면 또는 일측면에서 상방향 또는 하방향 또는 상하양방에서 수행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끈부재(332)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하우스덮개부재(310)의 양측면을 당겨서 편형하게 유지한 후 비닐하우스세로지지부재(52)의 양측면 즉, 앞쪽과 뒤쪽에 끈부재(332)를 당겨서 결착하게 되므로서 바람 등에 의해서도 파손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히터에 의해 열접착 한 후에는 냉각부재에 의해 가열된 접착부위를 냉각할 수 있으며, 이곳에서는 이러한 방식은 기존에 널리 사용되는 방식이라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물주머니(320)를 형성하는 히터공정은 상기 도9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물주머니의 일측면 양측면에 물누출방지부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21은 도 20에 의해 생산된 제품에 대한 사용상태도이다.
그리고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압출기에서 생산되는 원통형의 비닐을 상하로 분리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에 의해 접혀진 끝단 및 중간부분이 히터에 의해 접착되어 접착부(432)를 형성하므로서 물공급호스(430)를 형성하는 공정과, 그 후 타단부를 칼날로 절단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후 절개된 양측면을 상방향으로 접기를 수행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후 히터를 이용하여 접착하므로서 복수개의 물주머닐(442)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을 수행한 후 상기 물공급호스(430)의 외측면에 복수개의 관통구멍(434)를 형성하는 공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22에 의해 생산된 제품의 사용상태도가 도 24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 25는 도 24와 비슷하나, 다만 차이점은 후술하는 도 27에서의 제조 방식을 이용하므로서 측면비닐부재(624)와 보조비닐부재(421)을 매개로 연결끈(422)이 내재되어 있는 끈지지부(443)가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도면을 나타내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는 것이다.
도 23은 상기에 기술한 밀기공정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서, 복수개의 층을 형성하기 위해서 복수개의 돌기부가 형성된 밀기부재(457,459)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전체적으로 2중으로 형성하여 물주머니는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며, 압출기에서 생산되는 비닐의 양측면을 밀기하여 일정한 깊이로 오목하게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후 접혀진 부분을 히터로 접착하여 양측면에 복수개의 물주머니(612)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후 돌출부재를 이용하여 상방향으로 비닐을 돌출되도록 삽입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후 히터를 이용하여 양측면을 접착하여 결착지지부재(620)를 형성하는 공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결착지지부재(620)를 형성하는 공정 후 하단부 양측면을 칼날을 이용하여 절개하여 상측덮개부재(630)을 형성하는 공정을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착지지부재(620)를 형성한 후 상측덮개부재(630)를 형성하는 대신에 비닐하우스덮개부재(610)을 이중으로 형성하고, 게다가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이, 중간(사용자에 따라 거리는 상이하게 할 수 있음.)에 히터를 이용하여 접착하므로서 보온효과 및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전체적으로 2중으로 형성하여 물주머니는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압출기에서 생산되는 비닐의 양측면을 밀기하여 일정한 깊이로 오목하게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후 접혀진 부분의 일단부를 히터로 접착하여 양측면에 복수개의 물주머니(612)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후 돌출부재를 이용하여 상방향으로 비닐을 돌출되도록 삽입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후 히터를 이용하여 양측면을 접착하여 결착지지부재(620)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물주머니(612)의 양단부를 접기하면서 연결끈(615)를 공급하는 공정과, 상기 접기공정 후 연결끈을 내부에 둔후 히터를 이용하여 끈지지부(617)를 형성하는 공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결착지지부재(620)를 형성하는 공정 후 하단부 양측면을 칼날을 이용하여 절개하여 상측덮개부재(630)을 형성하는 공정을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착지지부재(620)를 형성한 후 상측덮개부재(630)를 형성하지 않는 경우에는 비닐하우스덮개부재(610)를 이중으로 형성하고, 게다가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이, 중간(사용자에 따라 거리는 상이하게 할 수 있음.)에 히터를 이용하여 접착하므로서 보온효과 및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이, 끈지지부(617)가 형성된 하측에는 자연스럽게 측면비닐부재가 형성되어 54등에 결착되도록 하므로서 바람등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상기 돌출부재를 상방향으로 삽입하는 공정을 한번만 하였으나 상기 비닐하우스세로지지부재(54)의 양측면에도 형성하기 위해서는 중앙부 이외에도 양측면에서도 상기에 기술한 공정의 삽입공정을 반복하여 수행하므로서 복수개의 결착지지부재를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전체적으로 2중으로 형성하여 물주머니는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압출기에서 생산되는 비닐의 양측면을 밀기하여 일정한 깊이로 오목하게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후 접혀진 부분의 일단부를 히터로 접착하여 양측면에 물누출방지부(236)이 형성된 복수개의 물주머니(230)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 후 일정부위에 복수개의 관통구멍(245)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후 돌출부재를 이용하여 상방향으로비닐을 돌출되도록 삽입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후 히터를 이용하여 양측면을 접착하여 물공급호스(243)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240)의 중간에 복수개의 접착부(242)를 형성하는 공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접착부(242)는 히터의 종류에 따라서 다양한 형상의 접착부의 형상이 될 수 있으며, 상기의 공정에 의해 생산된 제품인 비닐하우스덮개(200)는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교대로 접촉되도록 하거나 또는 한방향으로만 하여 접착할 수도 있으며, 그외에도 물결모양, 곡선모양 등과 같이 접착부의 형상은 다양하게 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는 결착지지부재를 형성하지 않았으나,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에 기술한 삽입공정을 수회 반복하므로서 복수개의 결착지지부재를 형성할 수도 있는 것도 당연히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압출기에서 생산되는 비닐의 일측면을 밀기하여 일정한 깊이로 오목하게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후 접혀진 부분의 일단부를 히터로 접착하여 일측면에 물누출방지부(129)가 형성된 복수개의 물주머니(128)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을 수행한 후 상측 또는 하측의 일단부를 절단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을 수행한 후 연결끈(112)을 공급하고 절단된 선단부를 접기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을 수행한 후 히터를 이용하여 접착하므로서 끈지지부(110)를 형성하는 공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3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전체적으로 2중으로 형성하여 물주머니는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압출기에서 생산되는 비닐의 일측면을 밀기하여 일정한 깊이로 오목하게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후 접혀진 부분의 일단부를 히터로 접착하여 일측면에 물누출방지부(129)가 형성된 복수개의 물주머니(128)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을 수행한 후 연결끈(112)을 공급하고 선단부를 접기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을 수행한 후 히터를 이용하여 접착하므로서 끈지지부(110)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을 수행한 후 비닐하우스덮개부재(120)의 중간에 히터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접착부를 형성하는 공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33은 도 32의 공정에 의해 생산된 제품인 비닐하우스덮개부재(120)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전체적으로 2중으로 형성하여 물주머니는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압출기에서 생산되는 비닐의 일측면을 밀기하여 일정한 깊이로 오목하게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후 접혀진 부분의 일단부를 히터로 접착하여 일측면에 물누출방지부(567)가 형성된 복수개의 물주머니(560)를 형성하는 공정과, 비닐하우스덮개부재(550)의 중간에 히터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접착부(566)를 형성하는 공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34에 의해 형성된 제품은 도 26에서와 같이 터널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필요한 경우 농작물을 덮었다가 손쉽게 걷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도 3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전체적으로 2중으로 형성하여 물주머니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압출기에서 생산되는 비닐의 일측면을 밀기하여 일정한 깊이로 오목하게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후 접혀진 부분의 일단부를 히터로 접착하여 일측면에 물누출방지부(582)가 형성된 복수개의 물주머니(560)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후 돌출부재를 이용하여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공정과, 상기 공정후 양측면에서 히터를 이용하여 접착하므로서 물공급호스 또는 결착지지부재를 형성하는 공정과, 그리고 물공급호스를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와 다른 방식으로 즉, 돌출부재를 이용하여 하방향으로 이동시켜 비닐을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후 양측면을 히터로 접착하여 다른 물주머니(581)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물주머니를 형성한 후 상방향으로 돌출부재를 이동시켜서 돌출시키는 공정과, 상기 공정 후 양측면에서 히터를 이용하여 접착하는 공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36에 기술한 실시예는 일측면은 기존의 방식과 같이 밀기공정을 수행한 후 물주머니를 형성하고, 다른 측면은 돌출부재를 이용하여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복수회 수행하므로서 복수개의 물주머니를 형성한 것으로서 차이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필요한 경우에는 비닐하우스덮개부재(550)의 양측면을 돌출부재를 이용한 물주머니로 전부형성할 수도 있으며, 개수도 상기의 동작을 수차례 반복하므로서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며, 양쪽을 대칭 또는 비대칭으로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은 당연하다.
도 37은 상기의 과정에 의해 생산된 제품에 대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8은 멀칭필름용으로서, 2중으로 형성되어 강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보온효과를 향상시킨 것으로서, 즉 압출기에서 생산되는 비닐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히터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물주머니(560)을 형성하도록 접착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을 수행한 후 복수개의 관통구멍(567)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구멍(567)은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로 접착된 부위에 형성되게 할 수도 있으며, 도 40에서와 같이 물주머니(560) 부위에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물주머니(560)에 관통구멍(567)을 형성시에는 연속적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필요한 경우 한칸 건너 형성하거나 또는 두칸 건너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4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한번에 2개씩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서, 압출기에서 생산되는 비닐의 양측면을 밀기하여 일정한 깊이로 오목하게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후 접혀진 부분의 양단부를 히터로 접착하여 양측면에 물누출방지부(532)가 형성된 복수개의 물주머니(530)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을 수행한 후 상하양단부에서 칼날을 이용하여 절단하는 공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양단에서 칼날을 이용하여 절단시에는 도 42에서와 같이, 비닐하우스덮개(500)가 2개씩 생산되는 것이며, 만약 절단하지 않고 상기에 기술한 다른 실시예와 같이 히터를 이용하여 접착시키는 경우에는 도 43에서와 같이, 비닐하우스덮개부재(220)에 접착부(222)를 형성한 것이 되는 것이다.
도 44는 상기에 기술한 히터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이며, 상기에서는 접착시 단순히 히터를 이용하여 접착한다고만 언급하였으나, 사실은 다음의 실시예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즉, 히터(1000)의 몸체를 형성하는 히터몸체(1010)와, 상기 히터몸체(1010)의 외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비닐을 접착하는 물주머니접착부(1030)과, 상기 물주머니접착부(1030)의 외측 일측면에 접착되어 있으며 테프론 등과 같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비닐과 접촉되는 접착외측부(1032)와, 상기 물주머니접착부(1030)의 외측 타단부에는 상기에 기술한 물주머니의 물누출방지부를 형성하기 위해 복수개 돌출되어 있는 물누출방지접착부(1040)과, 상기 물누출방지접착부(1040)의 외측면에 접착되어 있으며 테프론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접착외측부(1042)와, 상기 히터몸체(1010)의 측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지지축(1050)이 삽입되는 축체결구멍(1020)과, 상기 축체결구멍(1020)의 외측면에 복수개 형성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인가받아 열을 전달하는 도시되지 않은 가열부재가 삽입되는 가열부설치구멍(1022)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도 45는 상기에 기술한 히터와 다른 실시예이며, 히터의 몸체를 형성하는 히터몸체(1110)과, 상기 히터몸체(1110)의 외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물주머니의 비닐을 접착하는 물주머니접착부(1130)과, 상기 물주머니접착부(1130)의 외측 일측면에 접착되어 있으며 테프론 등과 같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비닐과 접촉되는 접착외측부(1132)와,
상기 히터몸체(1110)의 타단부 외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물주머니의 비닐을 접착하는 물주머니접착부(1140)과, 상기 물주머니접착부(1140)의 외측타단부에는 상기에 기술한 물주머니의 물누출방지부를 형성하기 위해 복수개 돌출되어 있는 물누출방지접착부(1144)과, 상기 물누출방지접착부(1144)의 측면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테프론 등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접착외측부(1144)와, 상기 물주머니접착부(1140)의 외측면에 접착되어 있으며 테프론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접착외측부(1142)로 구성되어 있다.
도 46은 상기의 실시예와 유사하며, 차이점은 복수개를 한번에 접착시키기 위한 것이며, 게다가 물누출방지부의 형상이 단순히 직선이 아니라 일정각도로 절개되어 있다는 점이다.
즉, 히터의 몸체를 형성하는 히터몸체(1210)과, 상기 히터몸체(1210)의 외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물주머니의 비닐을 접착하는 물주머니접착부(1230)과, 상기 물주머니접착부(1230)의 외측 일측면에 접착되어 있으며 테프론 등과 같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비닐과 접촉되는 접착외측부(1232)와, 상기 물주머니접착부(1230)의 외측 타단부에는 상기에 기술한 물주머니의 물누출방지부를 형성하기 위해 복수개 돌출되어 있는 물누출방지접착부(1244)과, 상기 물누출방지접착부(1244)와 연결되어 있는 물주머니접착부(1240)와, 상기 물주머니접착부(1240)의 측면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물누출방지부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접착외측부(1244)와, 상기 물누출방지접착부(1240)의 외측면에 접착되어 있으며 테프론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접착외측부(1242)로 구성되어 있다.
도 47은 히터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이며, 차이점은 물누출방지부와 함께 동시에 접착을 한다는 점이며, 즉, 히터(1300)의 몸체를 형성하는 히터몸체(1310)과, 상기 히터몸체(1310)의 외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물주머니의 비닐과 물누출방지부를 동시에 접착하는 물주머니접착부(1330)과, 상기 물주머니접착부(1330)의 외측 일측면에 접착되어 있으며 테프론 등과 같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비닐과 접촉되는 접착외측부(133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를 이용하여 작업을 하였을 경우는 도 4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주머니와 물누출방지부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8은 히터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히터(1400)이며, 차이점은 물누출방지부와 함께 동시에 접착을 한다는 점이며, 즉, 몸체를 형성하는 히터몸체(1410)과, 상기 히터몸체(1410)의 외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물주머니의 비닐과 물누출방지부를 동시에 접착하는 물주머니접착부(1430)과, 상기 물주머니접착부(1430)의 외측 일측면에 접착되어 있으며 테프론 등과 같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비닐과 접촉되는 접착외측부(1432)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결착지지부재를 물공급호스용도로 사용할 경우에는 그 외측면에 복수개의 관통구멍을 형성하여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결착지지부재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비닐하우스 내부를 지지하도록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비닐하우스세로지지부재(52)인 파이프와 간섭을 없애면서 결착이 용이하도록 일측면에 절개되어 있는 절개부를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관통구멍은 히터에 열을 인가하여 히터의 외측에 형성된 복수개의 돌기부가 비닐에 접촉되므로서 열에 의해 녹임으로서 다수의 구멍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며, 필요한 경우에는 회전하는 원통형의 외측면에 칼날이 형성된 돌기부를 형성하여 구멍을 커팅(cutting)하므로서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상기 돌출부재를 상방향으로 삽입하는 공정을 한번만 하였으나 상기 비닐하우스세로지지부재(54)의 양측면에도 형성하기 위해서는 중앙부 이외에도 양측면에서도 상기에 기술한 공정의 삽입공정을 반복하여 수행하므로서 복수개의 결착지지부재를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 기술한 실시예는 사용조건이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경우로서, 물주머니나 호스 등을 2중으로 하거나 비닐의 두께를 다소 증가시킬 경우 사용가능하나, 즉, 상기에 기술한 실시예는 압출기에서 생산되는 원통형의 비닐을 이용하여 양측을 일정한 폭으로 대칭 또는 비대칭으로 접은 후, 물주머니 또는 호스를 형성하였으나, 이러한 것은 사용조건이 악조건인 경우, 예를 들어 바람이 강하다거나 등으로 물주머니 및 호스의 기능을 충분히 수행하기 어려운 악조건에서는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특수한 경우를 대비하기 위해서, 본체와 물주머니를 별도로 제작한 후 열접착 또는 봉제 또는 본드 등으로 결착하여 상기에 기술한 실시예와 같은 비닐하우스덮개를 형성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에 기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중 일부분만을 설명하기 위해서 언급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물주머니, 호스, 비닐하우스덮개부재중 어느 한부분 또는 모든 부분을 1중 또는 2중 또는 필요한 경우에는 4중의 비닐로 제작하여 강도및 보온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물주머니의 개수는 통상 2개 이상이 적합하나, 사용자에 따라서 다수개로 하거나 또는 1개로 하거나 또는 물주머니를 사용하지 않은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물주머니는 비닐하우스덮개의 양측면에 복수개 형성하거나 또는 중앙부 또는 일측면에 복수개 형성할 수 있으며, 좌우 대칭 또는 비닐하우스덮개의 중간부분에 동일한 숫자로 형성하거나 또는 일측에 비대칭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물주머니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물누출방지부에 대해서 몇가지의 실시예를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물누출방지부가 예를 들어, 하나의 물주머니에 대해서 상하로 대칭 또는 교대로 형성하거나, 원주면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다른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그외의 다른 유사한 형상으로 접착하여 형성하여 물누출을 지연시키거나 방지하는 것은 모두 본 발명에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결착지지부재 또는 물공급호스는 상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어느 하나만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사용상태에 따라서 각각을 복수개로 형성하거나 또는 결착지지부재와 물공급호스를 동시에 형성(이 경우에는 양간 옆쪽에 2개가 형성되는 것임)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며, 게다가 결착지지부재의 외측면에 절개부를 형성하지 않는 경우에는 외측면에 복수개의 관통구멍을 형성하게 되면, 물주머니의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결착지지부재에 관통구멍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물주머니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게다가 물공급호스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이 비닐하우스내부로 공급되도록 복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나, 사용상태에 따라서 물공급호스부분에 관통구멍을 형성하지 않는 경우에는 물주머니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며, 그리고 절개부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물공급호스가 아니라 결착지지부재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즉, 물공급호스와 결착지재부재는 사용자의 사용상태에 따라서 물공급호스로도 사용될 수 있고, 결착지지부재로도 사용될 수 있고,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이 양자를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 기술한 접착부는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와 동일한 재질을 이용하여 접어서 상기에 기술한 열이나 봉제 등을 이용하여 접착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예를 들어, 물공급호스와 같이 파손의 우려가 있어서 두께가 두꺼워야 하는 경우 또는 차광막 및 부직포와 비닐을 접착하는 경우와 같이 재질이 상이한 것을 연결하는 경우,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와 상이한 재질을 구비한 후 별도로 열접착이나 봉제 등의 방식으로 접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접착방식은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으로 접착하는 것이며, 예를 들어 히터에 의한 열에 의해서 접착하게 되나, 차광막이나 부직포 등에 접착하는 경우에는 봉제나 본드 등을 이용한 접착으로 할 수 있으며, 그외에도 고주파등을 이용하여 접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 기술한 실시예에서의 제작 방법은 일부의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한 것으로서, 사용자에 따라서 필요한 경우에는 일부의 공정을 생략하여 작업할 수 있고 이와는 반대로, 유사한 공정을 추가하거나 반복하여 복수개를 형성하므로서 다양한 제품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접착부는 히터의 종류에 따라서 다양한 형상의 접착부의 형상이 될 수 있으며, 상기의 공정에 의해 생산된 제품인 비닐하우스덮개는 서로 교대로 접촉되도록 하거나 또는 한방향으로만 하여 접착할 수도 있으며, 그외에도 물결모양, 곡선모양 등과 같이 접착부의 형상은 다양하게 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관통구멍은 히터에 열을 인가하여 히터의 외측에 형성된 복수개의 돌기부로 다수의 구멍을 형성하거나 또는 회전하는 원통형의 외측면에 형성된 칼날부(1084)를 이용하여 커팅(cutting)하므로서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이, 사용용도가 대부분 비닐하우스나 비닐터널 등에 사용되나, 사용자에 따라서 필요한 경우에는 공사현장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축대나 경사진 암반 등에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경우에는 별도로 축대나 암반 등으로부터 흘러내리지 않도록 상측에 말뚝이나 지지대를 형성하여 본 발명의 일측면에 걸수 있도록 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부재와 이를 제작하는 장치 및 방법은, 비닐부재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물을 저장할 수 있는 물주머니를 형성하고, 상기 물주머니에는 복수개의 물누출방지부를 형성하여 비록 물주머니가 파손되거나 구멍이 생기더라도 상기 물주머니 전체에 있던 물이 새는 것이 아니라 일부구간에 있는 물만 새도록 하였으며, 게다가 비닐하우스덮개부재의 중앙 또는 양측면 또는 상단부에 물공급호스를 일체로 형성하므로서 별도로 설치되던 호스를 제거하여 비용 절감을 가져왔으며, 게다가 상기의 구성을 1중은 물론, 2중으로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강도뿐만 아니라 보온효과를 극대화하였으며, 비닐하우드덮개부재를 구성하는 비닐 대신에 차광막 또는 부직포 등을 이용할 경우 별도의 결착수단을 이용하여 결착하므로서 다양한 제품에도 적용할 수 있는 발명이다.

Claims (40)

  1. 비닐하우스덮개(100)를 형성하는 비닐하우스덮개부재(150)와,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15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물을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물주머니(152)와, 상기 물주머니(152)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비닐하우스덮개(100)의 외측면에 흐르는 물을 안내하여 밖으로 손쉽게 배출하도록 통로역할을 하는 복수개의 보조비닐부재(160)와, 상기 물주머니(152)와 비닐하우스덮개부재(150)의 중간을 히터 등을 이용하여 접착하는 접착부(122)와, 상기 보조비닐부재(160)의 일측면 또는 비닐하우스덮개부재(150)의 타단부에는 외부의 막대기 등을 묶는 연결끈(112)이 삽입되도록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는 끈지지부(110,162)와, 상기 물주머니(152)의 측면부에 결착되어 비닐하우스세로지지부재(54) 등에 결착되어 견고하게 상기 비닐하우스덮개(100)를 지지하는 측면비닐부재(151)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덮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150)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150)를 설치시 중앙부 또는 양측면을 맞추면서 설치하도록 중앙부 또는 양측면 또는 일측면에 결착지지부재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덮개.
  3. 비닐하우스덮개(100)를 형성하는 비닐하우스덮개부재(120)와,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12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물을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복수개의 물누출방지부(127)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물주머니(124,126)와, 상기 물주머니(124,126)와 비닐하우스덮개부재(120)의 중간 중간을 히터 등을 이용하여 접착하는 접착부(122)와,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120)의 타단부에는 비닐하우스덮개부재(120)에 형성된 비닐하우스세로지지부재(54)등에 결착할 수 있는 연결끈(112)이 삽입되도록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는 끈지지부(11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덮개.
  4. 비닐하우스덮개(100)를 형성하는 비닐하우스덮개부재(120)와,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12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물을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복수개의 물누출방지부(127)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물주머니(124,126)와, 상기 물주머니(124,126)와 비닐하우스덮개부재(120)의 중간 중간을 히터 등을 이용하여 접착하는 접착부(122)와,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120)의 타단부에는 비닐하우스덮개부재(120)에 형성된 비닐하우스세로지지부재(54)등에 결착할 수 있는 연결끈(112)이 삽입되도록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는 끈지지부(110)와, 상기 물주머니(124,126)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형상의 물누출방지부(132)가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다른 물주머니(130)과, 상기 물주머니(130)의 측면부에 결착되어 비닐하우스세로지지부재(54) 등에 결착되어 견고하게 상기 비닐하우스덮개(100)를 지지하는 측면비닐부재(151)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덮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물주머니(130)에 형성된 물누출방지부(132)는 직선 또는 다각형 또는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덮개.
  6. 비닐하우스덮개(200)를 형성하는 비닐하우스덮개부재(220)와,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250)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물을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물주머니(210,212,260,262)와, 상기 물주머니(210,262)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비닐하우스덮개(200)의 양측면에 흐르는 물을 안내하여 밖으로 손쉽게 배출하도록 통로역할을 하는 복수개의 보조비닐부재(274)와, 상기 물주머니(210,212,260,262)와 비닐하우스덮개부재(250)의 중간 중간을 히터 등을 이용하여 접착하는 접착부(216)와,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250)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250)를 설치시 중앙부 또는 양측면을 맞추면서 설치하도록 중앙부 또는 양측면 또는 일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결착지지부재(254)와, 상기 보조비닐부재(274)의 양측면에는 외부의 막대기 등을 묶는 연결끈(272)이 삽입되도록 감싸고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끈지지부(270)와, 상기 물주머니(212,260)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비닐하우스세로지지부재(54)등에 결착되어 견고하게 지지하는 측면비닐부재(256)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덮개.
  7. 비닐하우스덮개(200)를 형성하는 비닐하우스덮개부재(240)와,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240)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물을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물주머니(210,212,213,230,232,233)와, 상기 물주머니(210,212,213,230, 232,233)와 비닐하우스덮개부재(240)의 중간 중간을 히터 등을 이용하여 접착하는 접착부(242)와, 상기 물주머니(210,212,213,230,232,233) 사이에 형성되어 물의 누출은 방지하도록 원형 또는 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물누출방지부(214,236)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덮개.
  8. 비닐하우스덮개(200)를 형성하는 비닐하우스덮개부재(280)와,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280)의 양측면에 상하로 형성되어 물을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면에 복수개의 물누출방지부(271)가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물주머니(270,272,274)와, 상기 물주머니(270,272,274)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하우스덮개(200)의 양측면에 흐르는 물을 안내하여 밖으로 손쉽게 배출하도록 통로역할을 하는 복수개의 보조비닐부재(286)와, 상기 물주머니(270,272,274)와 비닐하우스덮개부재(280)의 중간 중간을 히터 등을 이용하여 접착하는 접착부(282)와,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280)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비닐하우스덮개(200)를 설치시 중앙부 또는 양측면을 맞추면서 설치하도록 중앙부 또는 양측면 또는 일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결착지지부재(284)와, 상기 보조비닐부재(286)의 양측면에는 외부의 막대기 등을 묶는 연결끈(272,288)이 삽입되도록 감싸고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끈지지부(270,287)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덮개.
  9. 비닐하우스덮개(500)를 형성하는 비닐하우스덮개부재(510)와,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51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물을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물누출방지부(532)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물주머니(530)와, 상기 물주머니(530)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보조하는 보조비닐부재(540)과,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510)의 타단부를 접은 후 히터로 접착하여 강도를 증가시킨 보강접착부(520)와, 상기 물주머니(530)를 형성하도록 히터로 접착되어 있는 접착부(534)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덮개.
  10. 비닐하우스덮개(500)를 형성하는 비닐하우스덮개부재(550)와,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55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물을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물누출방지부(567)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물주머니(560)와,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550)의 타단부를 접은 후 히터로 접착하여 강도를 증가시킨 보강접착부(552)와, 상기 물주머니(560)를 형성하도록 히터로 접착되어 있는 접착부(566)와,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550)의 중간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복수개의 물공급호스(570,572)와,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550)의 상측에 형성되어 물을 공급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물공급호스(574)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덮개.
  11. 비닐하우스덮개(500)를 형성하는 비닐하우스덮개부재(550)와,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550)의 일측면에 상하부에 형성되어 물을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물누출방지부(585)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물주머니(580,582,584)와,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550)의 타단부를 접은 후 히터로 접착하여 강도를 증가시킨 보강접착부(552)와, 상기 물주머니(580,582,584)를 형성하도록 히터로 접착되어 있는 접착부(566)와,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550)의 중간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복수개의 물공급호스(57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덮개.
  12. 통상의 압출기계에 의해서 원통형으로 비닐하우스덮개부재가 나오게 되면, 비닐의 일측면을 칼날을 이용하여 절단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을 수행한 후 절단한 부분의 측면에서 끈부재(332)를 삽입하는 공정과, 끈부재(332)를 삽입한 후에는 끈부재(332)의 양측면을 히터를 이용하여 열접착하여 끈지지부재(330)를 형성하는 공정과, 타단부의 끝단을 칼날을 이용하여 절단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을 수행한 후 절단된 양측면을 상방향으로 접어서 물주머니(320)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후 상방향으로 접기한 부분을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수만큼의 물공급호스를 형성하기 위해서 히터로 접합하는 공정과, 그 후 중간부분에 돌출부재를 삽입하여 상하 양측면에서 삽입을 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을 수행시 돌출되어 나오는 비닐의 하단부를 히터를 이용하여 접착부(342)를 형성하므로서 결착지지부재(340)를 형성하는 공정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덮개를 제작하는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 삽입공정시 상하 양측면에서 동시에 수행되거나 또는 상측 또는 하측에서만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삽입공정을 수행한 후 다음 공정에서도 상기 삽입공정과 같은 공정으로 양측면 또는 일측면에서 상방향 또는 하방향 또는 상하양방향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덮개를 제작하는 방법.
  14. 압출기에서 생산되는 원통형의 비닐을 상하로 분리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에 의해 접혀진 끝단 및 중간부분이 히터에 의해 접착되어 접착부(432)를 형성하므로서 물공급호스(430)를 형성하는 공정과, 그 후 타단부를 칼날로 절단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후 절개된 양측면을 상방향으로 접기를 수행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후 히터를 이용하여 접착하므로서 복수개의 물주머닐(442)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을 수행한 후 상기 물공급호스(430)의 외측면에 복수개의 관통구멍(434)를 형성하는 공정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덮개를 제작하는 방법.
  15. 압출기에서 생산되는 비닐의 양측면을 밀기하여 일정한 깊이로 오목하게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후 접혀진 부분을 히터로 접착하여 양측면에 복수개의 물주머니(612)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후 돌출부재를 이용하여 상방향으로 비닐을 돌출되도록 삽입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후 히터를 이용하여 양측면을 접착하여 결착지지부재(620)를 형성하는 공정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덮개를 제작하는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지지부재(620)를 형성하는 공정 후 하단부 양측면을 칼날을 이용하여 절개하여 상측덮개부재(630)를 형성하는 공정을 추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덮개를 제작하는 방법.
  17. 압출기에서 생산되는 비닐의 양측면을 밀기하여 일정한 깊이로 오목하게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후 접혀진 부분의 일단부를 히터로 접착하여 양측면에 복수개의 물주머니(612)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후 돌출부재를 이용하여 상방향으로 비닐을 돌출되도록 삽입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후 히터를 이용하여 양측면을 접착하여 결착지지부재(620)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물주머니(612)의 양단부를 접기하면서 연결끈(615)를 공급하는 공정과, 상기 접기공정 후 연결끈을 내부에 둔후 히터를 이용하여 끈지지부(617)를 형성하는 공정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덮개를 제작하는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지지부재(620)를 형성하는 공정 후 하단부 양측면을 칼날을 이용하여 절개하여 상측덮개부재(630)을 형성하는 공정을 추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덮개를 제작하는 방법.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지지부재(620)를 형성한 후 비닐하우스덮개부재(610)의 중간부분에 히터를 이용하여 복수개 접착되어 있는 접착부를 추가로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덮개를 제작하는 방법.
  20. 압출기에서 생산되는 비닐의 양측면을 밀기하여 일정한 깊이로 오목하게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후 접혀진 부분의 일단부를 히터로 접착하여 양측면에 물누출방지부(236)이 형성된 복수개의 물주머니(230)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 후 일정부위에 복수개의 관통구멍(245)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후 돌출부재를 이용하여 상방향으로 비닐을 돌출되도록 삽입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후 히터를 이용하여 양측면을 접착하여 물공급호스(243)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240)의 중간에 복수개의 접착부(242)를 형성하는 공정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덮개를 제작하는 방법.
  21. 제 1,3,4,6,7,8,9,10,1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는 서로 교대로 접촉되도록 하거나 또는 한방향으로만 접착하거나 모양에 있어서도 물결모양, 곡선모양 등과 같이 접착부의 형상은 다양하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덮개.
  22. 압출기에서 생산되는 비닐의 일측면을 밀기하여 일정한 깊이로 오목하게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후 접혀진 부분의 일단부를 히터로 접착하여 일측면에 물누출방지부(129)가 형성된 복수개의 물주머니(128)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을 수행한 후 상측 또는 하측의 일단부를 절단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을 수행한 후 연결끈(112)을 공급하고 절단된 선단부를 접기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을 수행한 후 히터를 이용하여 접착하므로서 끈지지부(110)를 형성하는 공정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덮개를 제작하는 방법.
  23. 압출기에서 생산되는 비닐의 일측면을 밀기하여 일정한 깊이로 오목하게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후 접혀진 부분의 일단부를 히터로 접착하여 일측면에 물누출방지부(129)가 형성된 복수개의 물주머니(128)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을 수행한 후 연결끈(112)을 공급하고 선단부를 접기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을 수행한 후 히터를 이용하여 접착하므로서 끈지지부(110)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을 수행한 후 비닐하우스덮개부재(120)의 중간에 히터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접착부를 형성하는 공정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덮개를 제작하는 방법.
  24. 압출기에서 생산되는 비닐의 일측면을 밀기하여 일정한 깊이로 오목하게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후 접혀진 부분의 일단부를 히터로 접착하여 일측면에 물누출방지부(567)가 형성된 복수개의 물주머니(560)를 형성하는 공정과, 비닐하우스덮개부재(550)의 중간에 히터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접착부(566)를 형성하는 공정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덮개를 제작하는 방법.
  25. 압출기에서 생산되는 비닐의 일측면을 밀기하여 일정한 깊이로 오목하게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후 접혀진 부분의 일단부를 히터로 접착하여 일측면에 물누출방지부(582)가 형성된 복수개의 물주머니(560)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후 돌출부재를 이용하여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공정과, 상기 공정후 양측면에서 히터를 이용하여 접착하므로서 물공급호스 또는 결착지지부재를 형성하는 공정과, 그리고 물공급호스를 형성하기 위해서 돌출부재를 이용하여 하방향으로 이동시켜 비닐을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후 양측면을 히터로 접착하여 다른 물주머니(581)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물주머니를 형성한 후 상방향으로 돌출부재를 이동시켜서 돌출시키는 공정과, 상기 공정 후 양측면에서 히터를 이용하여 접착하는 공정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덮개를 제작하는 방법.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하우스덮개(50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물주머니(560)를 형성하는 공정을 삭제하고 대신 돌출부재를 이용하여 양측면에 형성된 물주머니를 형성하는 공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덮개를 제작하는 방법.
  27. 압출기에서 생산되는 비닐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히터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물주머니(560)을 형성하도록 접착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을 수행한 후 복수개의 관통구멍(567)을 히터 접착부에 형성하는 공정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덮개를 제작하는 방법.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567)은 히터접착부가 아니라 물주머니(560)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덮개를 제작하는 방법.
  29. 압출기에서 생산되는 비닐의 양측면을 밀기하여 일정한 깊이로 오목하게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후 접혀진 부분의 양단부를 히터로 접착하여 양측면에 물누출방지부(532)가 형성된 복수개의 물주머니(530)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을 수행한 후 상하양단부에서 칼날을 이용하여 절단하는 공정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덮개를 제작하는 방법.
  30. 히터(1000)의 몸체를 형성하는 히터몸체(1010)와, 상기 히터몸체(1010)의 외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비닐을 접착하는 물주머니접착부(1030)과, 상기 물주머니접착부(1030)의 외측 일측면에 접착되어 있으며 테프론 등과 같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비닐과 접촉되는 접착외측부(1032)와, 상기 물주머니접착부(1030)의 외측 타단부에는 상기에 기술한 물주머니의 물누출방지부를 형성하기 위해 복수개 돌출되어 있는 물누출방지접착부(1040)과, 상기 물누출방지접착부(1040)의 외측면에 접착되어 있으며 테프론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접착외측부(1042)와, 상기 히터몸체(1010)의 측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지지축(1050)이 삽입되는 축체결구멍(1020)과, 상기 축체결구멍(1020)의 외측면에 복수개 형성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인가받아 열을 전달하는 도시되지 않은 가열부재가 삽입되는 가열부설치구멍(1022)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덮개를 제작하는 히터장치.
  31. 히터의 몸체를 형성하는 히터몸체(1110)과, 상기 히터몸체(1110)의 외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물주머니의 비닐을 접착하는 물주머니접착부(1130)과, 상기 물주머니접착부(1130)의 외측 일측면에 접착되어 있으며 테프론 등과 같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비닐과 접촉되는 접착외측부(1132)와, 상기 히터몸체(1110)의 타단부 외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물주머니의 비닐을 접착하는 물주머니접착부(1140)과, 상기 물주머니접착부(1140)의 외측 타단부에는 상기에 기술한 물주머니의 물누출방지부를 형성하기 위해 복수개 돌출되어 있는 물누출방지접착부(1144)과, 상기 물누출방지접착부(1144)의 측면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테프론 등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접착외측부(1144)와, 상기 물주머니접착부(1140)의 외측면에 접착되어 있으며 테프론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접착외측부(1142)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덮개를 제작하는 히터장치.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물누출방지접착부의 형상을 직선 또는 곡선 또는 일정한 각도를 가진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덮개를 제작하는 히터장치.
  33. 히터(1300)의 몸체를 형성하는 히터몸체(1310)과, 상기 히터몸체(1310)의 외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물주머니의 비닐과 물누출방지부를 동시에 접착하는 물주머니접착부(1330)과, 상기 물주머니접착부(1330)의 외측 일측면에 접착되어 있으며 테프론 등과 같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비닐과 접촉되는 접착외측부(1332)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덮개를 제작하는 히터장치.
  34. 제 2,6,8,1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지지부재를 물공급호스 용도로 사용할 경우에는 그 외측면에 복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덮개.
  35. 제 2,6,8,1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지지부재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비닐하우스 내부를 지지하도록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비닐하우스세로지지부재(52)인 파이프와 간섭을 없애면서 결착이 용이하도록 일측면에 절개되어 있는 절개부를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덮개.
  36. 제 14,20,27,2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은 히터에 열을 인가하여 히터의 외측에 형성된 복수개의 돌기부로 다수의 구멍을 형성하거나 또는 회전하는 원통형의 외측면에 형성된 칼날부(1084)를 이용하여 커팅(cutting)하므로서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덮개를 제작하는 방법.
  37. 제 12,13,15,17,20,25,2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를 삽입하는 공정은 제품의 사양에 따라서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삽입되거나 또는 동시에 진행될 수도 있으며 이들의 공정을 수회반복하여 복수개의 물공급호스 또는 결착지지부재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덮개를 제작하는 방법.
  38. 제 1,2,3,4,5,6,7,8,9,10,11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는 1중 또는 2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덮개.
  39. 제 12,13,14,15,16,17,18,19,20,22,23,24,25,26,27,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부재의 두께는 1중 또는 2중으로 형성되도록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덮개를 제작하는 방법.
  40. 제 10,11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은 히터에 열을 인가하여 히터의 외측에 형성된 복수개의 돌기부로 다수의 구멍을 형성하거나 또는 회전하는 원통형의 외측면에 형성된 칼날부(1084)를 이용하여 커팅(cutt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덮개를 제작하는 히터장치.
KR1020010034134A 2001-06-16 2001-06-16 비닐하우스덮개와 이를 제작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200960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4134A KR20020096091A (ko) 2001-06-16 2001-06-16 비닐하우스덮개와 이를 제작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4134A KR20020096091A (ko) 2001-06-16 2001-06-16 비닐하우스덮개와 이를 제작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6091A true KR20020096091A (ko) 2002-12-31

Family

ID=27709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4134A KR20020096091A (ko) 2001-06-16 2001-06-16 비닐하우스덮개와 이를 제작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9609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31033A1 (en) * 2004-09-13 2006-03-23 Gi-Young Jun Vinyl resin for vinyl house to formative layering waterproof
CN110140563A (zh) * 2019-06-28 2019-08-20 刘国兴 一种温室联排蓄热水箱
CN110140563B (zh) * 2019-06-28 2024-06-07 吉林省耐尔兴温室工程有限公司 一种温室联排蓄热水箱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31033A1 (en) * 2004-09-13 2006-03-23 Gi-Young Jun Vinyl resin for vinyl house to formative layering waterproof
CN110140563A (zh) * 2019-06-28 2019-08-20 刘国兴 一种温室联排蓄热水箱
CN110140563B (zh) * 2019-06-28 2024-06-07 吉林省耐尔兴温室工程有限公司 一种温室联排蓄热水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9418B1 (ko) 녹화시공용 지오셀
EP3534102B1 (en) Underground heat exchanger
US20100226720A1 (en) Landscaping channel liner
US6755596B2 (en) Plastic lined canal
JPH0368964B2 (ko)
JP2015086688A (ja) トンネル止水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20096091A (ko) 비닐하우스덮개와 이를 제작하는 장치 및 방법
JPH0650442U (ja) 栽培用シート
CN214460516U (zh) 一种高陡边坡除险复绿系统
KR101234763B1 (ko) 파형 채널부가 형성된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터널의 방수구조
EP136717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a temporary automotive vehicle parking lot
EP0370889A1 (fr) Procédé pour la construction d&#39;un perré de protection d&#39;un ouvrage tel qu&#39;une berge, une jetée ou autre, et perré ainsi obtenu
KR200241773Y1 (ko) 비닐하우스 덮개
KR101276184B1 (ko) 다기능성 사면보강기구
KR101336449B1 (ko) 터널의 콘크리트 라이닝과 일체화되는 방수시트를 제조하는 방법과 터널 시공공법
KR200238799Y1 (ko) 비닐하우스 덮개
KR20020086164A (ko) 비닐하우스부재와 이를 제작하는 장치 및 방법
JP3617037B2 (ja) 法面の緑化方法
KR20020082037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를 위한 방수층 보호재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4461126B2 (ja) 法面植栽用土留め資材
JP2003154328A (ja) 壁面への遮水シート施工方法
KR200269854Y1 (ko) 비닐하우스용 비닐 하단 고정구
JPH01295909A (ja) 暗渠用排水路材
WO2010109171A2 (en) Planters for green coverage systems
NZ752827B2 (en) Underground heat exchan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