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6955Y1 - 비닐하우스덮개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6955Y1
KR200236955Y1 KR2020010004006U KR20010004006U KR200236955Y1 KR 200236955 Y1 KR200236955 Y1 KR 200236955Y1 KR 2020010004006 U KR2020010004006 U KR 2020010004006U KR 20010004006 U KR20010004006 U KR 20010004006U KR 200236955 Y1 KR200236955 Y1 KR 2002369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nyl
water
cover
vinyl house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40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헌
박창복
Original Assignee
김창헌
박창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헌, 박창복 filed Critical 김창헌
Priority to KR20200100040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69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69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6955Y1/ko

Links

Landscapes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특히 비닐하우스 등에 사용되는 보온 또는 통풍용 덮개의 일측 또는 양측면에 하나 이상의 물주머니를 부착하므로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덮개에 관한 것으로서, 비닐로 형성되어 비닐하우스를 덮는 비닐부재와, 상기 비닐부재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물을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물주머니와, 상기 물주머니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흙 등이 덮여지므로서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를 지지하는 보조비닐부재와, 이들을 서로 접착하는 접착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덮개이다.

Description

비닐하우스덮개{COVER FOR VINYL HOUSE}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덮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비닐하우스 등에 사용되는 보온 또는 통풍용 덮개의 일측 또는 양측면에 하나 이상의 물주머니를 부착하므로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덮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비닐하우스덮개는 비닐하우스의 외측면을 덮은 후 바람 등에 의해서 비닐하우스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바닥에 흙 등으로 덮어주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장마와 같이 많은 비가 오거나 이상적인 상태에서는 이와 같이 비닐하우스덮개의 양측면에 눌러 놓은 흙 등이 쓸려 내려가 비닐하우스덮개가 파손되는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비닐하우스덮개는 양측면이 흙으로 눌러 있기 때문에 농사를 끝낸 후 비닐하우스덮개를 회수시 다시 흙을 걷어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로우며, 많은 비닐부재가 회수되지 않고 땅 속에 묻혀버리게 되어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비닐부재의 양측면 또는 일측면에 물주머니를 형성하고 물주머니에 물을 채우므로서 설치 작업이 용이한 비닐하우스덮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비닐하우스덮개는 비닐하우스의 농사작업을 완료 한 후, 회수시에도 양측면에 채워져 있는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므로 간편하게 회수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덮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비닐하우스덮개는 물주머니의 외측면에 복수개의 밀봉밴드를 형성하여 물주머니가 파손시에도 물주머니에 있던 물이 모두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여 비상시에도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대응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덮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비닐하우스덮개는, 비닐로 형성되어 비닐하우스를 덮는 비닐부재와, 상기 비닐부재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물을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물주머니와, 상기 물주머니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흙 등이 덮여지므로서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를 지지하는 보조비닐부재와, 이들을 서로접착하는 접착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상기 보조비닐부재에는 복수개의 관통구멍이 추가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비닐부재에는 복수개의 관통구멍이 추가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 비닐부재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비닐하우스의 측면에 결착되는 결착부재를 추가적으로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물주머니는 상기 비닐부재의 양측면에 각각 서로 대응되도록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비닐부재의 양측면에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일단부가 접착수단에 의해 상기 비닐부재에 결착되어 있는 보조덮개와, 상기 보조덮개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지지부재가 삽입되는 보조지지부재가 추가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비닐하우스덮개에 대한 일 실시예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밀봉밴드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비닐하우스덮개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이며,
도 8은 도 7의 실시예에 대한 사용상태도이며,
도 9는 도 5의 실시예에 대한 사용상태도이며,
도 10은 도 2의 실시예에 대한 사용상태도이며,
도 11은 도 3의 실시예에 대한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비닐하우스
100, 400, 500, 600 : 비닐하우스덮개
110, 210, 310, 410, 510, 610 : 비닐부재
120, 220, 320, 420, 520, 620 : 제1물주머니
122, 222, 322, 422, 522, 622 : 연결부재
130, 230, 330,430 : 제2물주머니
132, 232, 332, 432, 522, 622 : 보조비닐부재
134, 224 : 관통구멍
150, 250, 350, 450, 550, 650 : 접착수단
340, 626 : 연결부재 342 : 결착부재
424, 524 : 밀봉밴드
624 : 보조덮개 626 : 보조지지부재
628 : 지지부재 644 : 밀봉수단
본 고안의 비닐하우스덮개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은 첨부도면을 통하여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며, 100은 비닐하우스를 덮는 비닐하우스덮개이고, 비닐로 형성되어 있는 비닐부재(110)와, 상기 비닐부재(110)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물을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제1물주머니(120)와, 상기 제1물주머니(120)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물을 담을 수 있는 복수개의 제2물주머니(130)와, 상기 제1물주머니(120)와 상기 제2물주머니(130)의 사이에 형성되어 이들을 연결하도록 비닐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연결부재(122)와, 상기 제2물주머니(130)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흙(638)이나 막대 등으로 지지하여 상기 비닐하우스덮개(100)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하여 바람 등에 의해 날리지 않도록 하는 복수개의 보조비닐부재(132)와, 이들을 서로 접착하는 접착수단(150)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비닐부재(110)는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비닐 또는 방수용 비닐을 사용하며, 필요에 따라서 비닐의 두께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게다가 담요를 이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제1물주머니(120)는 도시되지 않은 수도관을 통해서 물이 공급되도록 양쪽이 관통되어 있는 주머니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공급된 물이 상기 제1물주머니(120)에 채워진 후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노끈이나 다른 밀봉수단(644)을 이용하여 밀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밀봉수단(644)은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내측에 마개를 대고 외부에서 철재 등으로 구성된 클램프 등을 사용하여 조이거나, 또는 강력한 힘을 가지는 집게 등을 이용하여 밀봉할 수 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122)는 상기 제1물주머니(120)와 상기 제2물주머니(130)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재질은 상기 비닐부재(110)와 같이 비닐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그리고 상기 제2물주머니(130)도 상기 제1물주머니(120)와 같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물이 채워진 후에는 상기에 기술한 바와같이 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밀봉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조비닐부재(132)에는 복수개의 관통구멍(13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비닐부재(132)는 상기 비닐하우스덮개(100)가 비닐하우스(50)에 덮인 후 일측면이 바닥면과 더욱 큰 힘으로 접촉되도록 흙(638)이나 벽돌 등으로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보조비닐부재(132)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구멍(134)은 사용자에 따라서 상기 비닐하우스덮개(100)를 더욱 확실하게 지지하고 고정하고자 하는 경우 말뚝 등을 이용하여 바닥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조비닐부재(132)에는 필요에 따라 상기 관통구멍(134) 없이 형성하는 것도 본 고안에 포함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도 1의 실시예와 차이점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하우스 내부의 모종 등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며, 중간에 복수개의 관통구멍(224)이 형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즉, 비닐하우스내부덮개(200)는 비닐하우스 내부에 사용되는 것이며, 비닐로 형성되어 있는 비닐부재(210)와, 상기 비닐부재(21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물을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1물주머니(220)와, 상기 제1물주머니(220)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물을 담을 수 있는 제2물주머니(230)와, 상기 제1물주머니(220)와 상기 제2물주머니(230)의 사이에 형성되어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부재(222)와, 상기 제2물주머니(230)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흙(638)이나 막대 등으로 지지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보조비닐부재(232)와, 상기 비닐부재(210)에 모종 등을 심을 경우 용이하게 사용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관통구멍(224)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보조비닐부재(232)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보조비닐부재(132)에서와 같이 복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될 수 있는 것도 본 고안에 포함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물주머니는 설명의 편의상 2개로 형성되어 있는 것만을 기술하였으나 본 고안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1개로 형성할 수도 있고, 필요한 경우에는 3개 또는 4개로도 형성할 수도 있으며, 한쪽은 1개 다른 쪽은 복수개로 형성할 수 도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비닐하우스(50)의 양측면에 각각 배설되는 비닐하우스측면덮개(300)는 비닐 등으로 형성되어 있는 비닐부재(310)와, 상기 비닐부재(31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물을 보관할 수 있는 제1물주머니(320)와, 상기 제1물주머니(320)의 하측에 형성되어 물을 담을 수 있는 제2물주머니(330)와, 상기 제1물주머니(320) 및 제2물주머니(330)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재(322)와, 상기 비닐부재(310)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재(340)와, 상기 연결부재(34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비닐하우스(50)의 일측면에 결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결착부재(34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결착부재(342)는 노끈이나 실 등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340)의 내부를 통해서 사용시 상기 비닐하우스(50)의 측면에 결착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물주머니(320) 및 제2물주머니(330)는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상기 제2물주머니(330)의 하단부에 형성된 보조비닐부재(332)에는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도 1 및 도 2에 기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상기 보조비닐부재(332)에 복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4는 본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에 기술한 실시예와 차이점은 상기 제1물주머니(420) 및 제2물주머니(430)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물주머니(420) 및 제2물주머니(430)가 파손되어 내부에 있는 물이 외부로 배출시 모든 물이 배출되지 않고 일정구간에 있는 물만 배출되도록 하므로서, 사용자가 신속하게 대책을 강구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밀봉밴드(424,43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밀봉밴드(424)에 대한 내부의 형상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물주머니(420)의 일측면을 접착한 것이며, 이와 같이 접착된 내부의 형상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봉밴드(424)가 중앙부 쪽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제1, 2물주머니(420,430)가 파손시에도 상기 물주머니(420,430)의 내부에 있는 물중에서 상기 밀봉밴드(424)의 높이에 해당하는 부분에 있던 물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채워지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비닐하우스덮개는, 사용상태에 따라서 상기 밀봉밴드(424)의 길이를 길게 하거나 또는 간격을 좁게 하게 되면, 상기 제1,2물주머니(420,430)가 파손되어 구멍이 형성되더라도 구멍이 형성된 부분의 물만 외부로 배출되므로 갑작스런 사고로 인한 피해를 막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도 4의 실시예와 유사하며 다만 차이점은 물주머니를 양측면에 대응되도록 하나씩 형성하였다는 점이며, 이에대한 구성을 설명하면, 비닐하우스덮개(500)의 구성은 비닐로 구성되어 있는 비닐부재(510)와, 상기 비닐부재(510)의 양측면에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물을 담을 수 있는 복수개의 제1물주머니(520)와, 상기 복수개의 제1물주머니(520)의 외측면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상기 제1물주머니(520)의 하중에 의해 지지하던 하중에 추가적으로 하중을 지지하도록 예를들어, 흙 등으로 덮을 수 있도록 뻗어 있는 보조비닐부재(522)와, 상기 복수개의 제1물주머니(520)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1물주머니(420) 및 제2물주머니(430)의 외측면에서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제1물주머니(520)의 일부분에 구멍이 생겨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경우 전체적으로 물의 배출을 방지하도록 밀봉밴드(524)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에 기술한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별도로 보조 덮개가 추가적으로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며, 이들의 구성을 설명하면, 비닐하우스덮개(600)는 비닐로 형성되어 있는 비닐부재(610)와, 상기 비닐부재(610)의 양측면에 물을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제1물주머니(620)와, 상기 제1물주머니(620)의 외측면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흙 등으로 추가적인 하중을 부여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보조비닐부재(622)와, 상기 복수개의 제1물주머니(620)의 사이에 형성되어 자유롭게 일단부가 상기 비닐부재(610)에 결착되어 있는 복수개의 보조덮개(624)와, 이들을 결착하기 위한 접착수단(650)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1물주머니(620) 외측면에는 상기의 다른 실시예에 기술한 바와 같이, 밀봉밴드(424,434,524)를 부가한 것도 본 고안에 포함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보조비닐부재(622)에도 도 1의 관통구멍(134)과 같은 기능을 하도록 복수개 관통구멍을 형성하는 것도 본 고안에 포함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조덮개(624)의 일단부는 상기 비닐부재(610)에 상기 접착수단(650)에 의해서 결착되어 있으며, 타단부는 상기 보조덮개(624)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628)와, 상기 지지부재(628)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접착수단(650)에 의해 접착되어 있는 보조지지부재(626)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도 7의 비닐하우스덮개(6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상기 비닐하우스(50)의 외측면에 상기 비닐부재(610)를 덮어 씌운후, 상기 비닐부재(610)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제1물주머니(620)에 물을 주입한다.
그런다음 상기 복수개의 제1물주머니(620)에 저장되어 있는 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양측면을 노끈이나 별도의 밀봉수단(644)에 의해서 밀봉하고, 상기 제1물주머니(620)의 양측면에 연결되어 있는 보조비닐부재(622)에 사용자에 따라서 흙이나 돌 등을 얹어 놓으므로서 더욱 효과적으로 상기 비닐하우스(50)를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상기 비닐부재(610)의 양측면에 결착되어 있는 보조덮개(624)의 보조지지부재(626)가 하방향으로 처지게 되고, 이어서 상기 보조지지부재(626)의 내측에 삽입되어 있는 지지부재(628)에 통상의 상하 이송장치를 통해서 상기 지지부재(628)를 상하로 이동시키게 되므로서, 상기 보조덮개(624)도 상하로 이동되는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628)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비닐하우스(50)의 내부에 햇빛이 더욱 효율적으로 공급되고, 통풍도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야간이나 날씨가 추운 경우, 사용자가 상기 지지부재(628)를 내리게 되면, 상기 비닐하우스(50) 내부의 온도를 더욱 더 양호하게 보온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고안의 도 5에 대한 실시예의 사용상태도로서, 상기 비닐하우스(50)의 외부에 비닐부재(510)를 덮은 후, 상기 비닐부재(510)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제1물주머니(520) 내부에 물을 유입한다.
그런다음 상기 밀봉수단(644)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개의 제1물주머니(520)의 양측면을 밀봉시키게 되면 상기 제1물주머니(520)가 밀봉되면서 상기에서와 같이 하중에 의해서 상기 비닐하우스(50)의 외측에서 상기 비닐부재(510)가 바람 등에 의해 날라가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제1물주머니(520)의 외측면에 연결되어 있는 보조비닐부재(522)에 흙 등으로 덮여 주면 더욱더 바람 등에 의해 상기 비닐부재(510)가 날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접착수단(150, 250, 350, 450, 550, 650)은 열융착에 의한 접착을 이용하거나 또는 봉제를 이용하여 접착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설명의 편의상 상기 비닐부재와 같은 물주머니를 일체로 하여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접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만을 기술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물주머니가 사용되는 용도가 공사현장과 같은 곳에서 사용하는 것도 본 고안에 포함되는 것이며, 물주머니의 두께가 두꺼운 비닐부재를 이용하거나 다른 재질, 예를 들어 플렉시블 하면서도 물을 담을 수 있는 플라스틱 재질을 이용하여 접착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도 본 고안에 포함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이, 사용용도가 대부분 비닐하우스나 비닐터널 등에 사용되나, 사용자에 따라서 공사현장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축대나 경사진 암반 등에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경우에는 별도로 상기 비닐하우스덮개 등이 축대나 암반 등으로부터 흘러내리지 않도록 상측에 말뚝이나 지지대를 형성하여 본 고안의 일측면에 걸수 있도록 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비닐하우스덮개는, 비닐부재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물을 저장할 수 있는 물주머니를 형성하고, 상기 물주머니에는 복수개의 밀봉밴드를 형성하여 비록 물주머니가 파손되거나 구멍이 생기더라도 상기 물주머니 전체에 있던 물이 새는 것이 아니라 일부구간에 있는 물만 새도록 하였으며, 비닐부재의 양측면 또는 일측면에 물주머니를 형성하므로서 간편하게 물을 채운 후 사용하도록 한 것이고, 게다가 비닐하우스의 사용을 완료 한 회수시에도 양측면에 채워져 있는 물을 배출시키게 되면 간편하게 회수하므로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고안이다.

Claims (10)

  1. 비닐로 형성되어 비닐하우스를 덮는 비닐부재와, 상기 비닐부재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물을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물주머니와, 상기 물주머니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흙 등이 덮여지므로서 상기 비닐하우스덮개를 지지하는 보조비닐부재와, 이들을 서로 접착하는 접착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덮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비닐부재에는 복수개의 관통구멍이 추가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덮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부재에는 복수개의 관통구멍이 추가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덮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부재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비닐하우스의 측면에 결착되는 결착부재를 추가적으로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덮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주머니는 상기 비닐부재의 양측면에 각각 서로 대응되도록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덮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부재의 양측면에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일단부가 접착수단에 의해 상기 비닐부재에 결착되어 있는 보조덮개와, 상기 보조덮개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지지부재가 삽입되는 보조지지부재가 추가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덮개.
  7.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물주머니 각각에는 복수개의 밀봉밴드가 추가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덮개.
  8.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물주머니는 별도의 재질로 제작된 후 재봉 또는 열융착 등에 의한 접착수단에 의해서 상기 비닐부재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덮개.
  9. 제 1항, 제 3항, 제 4항, 제 5항 또는 제6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부재는 담요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덮개.
  10. 제 1항, 제 3항, 제 4항 또는 제6항중 어느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부재는 복수개의 층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덮개.
KR2020010004006U 2001-02-16 2001-02-16 비닐하우스덮개 KR2002369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4006U KR200236955Y1 (ko) 2001-02-16 2001-02-16 비닐하우스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4006U KR200236955Y1 (ko) 2001-02-16 2001-02-16 비닐하우스덮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6955Y1 true KR200236955Y1 (ko) 2001-10-25

Family

ID=73096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4006U KR200236955Y1 (ko) 2001-02-16 2001-02-16 비닐하우스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695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74022B1 (en) Multi-purpose tarpaulin system
JP4084437B2 (ja) 雨水等の貯留浸透施設
US6282846B1 (en) Roof drain de-icer apparatus
CA2097945C (en) Festival decoration lamp seat of double layer structure
CA3041447C (en) Underground heat exchanger
CN103883080A (zh) 一体化屋面防水保温结构及其施工方法
US20070095269A1 (en) Device for protecting dock anchor posts from ice damage
KR200236955Y1 (ko) 비닐하우스덮개
KR100888757B1 (ko) 돗자리겸용 물놀이튜브
ES2744600T3 (es) Membrana impermeable autorreparadora y autosellante para aislar estructuras construidas sometidas a presión hidrostática
JP2002227354A (ja) 植栽屋根構造
US3911631A (en) Inflatable building structure
CN215167045U (zh) 一种仿古建筑坡屋面结构
KR200241772Y1 (ko) 비닐하우스 덮개
CN210800266U (zh) 一种出屋面管道防水结构
KR200241773Y1 (ko) 비닐하우스 덮개
JP3793491B2 (ja) 緑化構造及び緑化方法
KR930004414Y1 (ko) 수로겸용 비탈면 보호블록
JPH0242800Y2 (ko)
KR200238799Y1 (ko) 비닐하우스 덮개
CN220953925U (zh) 一种耐根穿刺防水卷材
JP2590968B2 (ja) トンネルの断熱防水施工方法
JP6777425B2 (ja) 構造物の雨水排出用屋根材及び雨水排出用組立屋根
JPS63816Y2 (ko)
JP3037726U (ja) ゴミ処理場における排水・ガス抜きを兼ねた保護マット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