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1636Y1 - 장의용 스트레쳐 - Google Patents

장의용 스트레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1636Y1
KR200241636Y1 KR2019990008518U KR19990008518U KR200241636Y1 KR 200241636 Y1 KR200241636 Y1 KR 200241636Y1 KR 2019990008518 U KR2019990008518 U KR 2019990008518U KR 19990008518 U KR19990008518 U KR 19990008518U KR 200241636 Y1 KR200241636 Y1 KR 2002416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tcher
seating portion
tube
spring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85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4923U (ko
Inventor
오근제
Original Assignee
오근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근제 filed Critical 오근제
Priority to KR20199900085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1636Y1/ko
Publication of KR199900349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49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16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1636Y1/ko

Links

Landscapes

  • Handcar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의용 스트레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관을 수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트레쳐(STRETCHER)의 전방에 잠금장치가 있는 이탈방지구를 설치하여 관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안착부에 롤라를 마련하여 스트레쳐에서 관을 상하차시 적은힘으로 편리하게 상하차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안착부(2)의 대략 중앙 위치에는 손잡이부(3)가 설치되며, 상기 안착부(2) 전방 양측에는 제1다리부(4)가 설치되어 있고 안착부(2) 하단에는 제2다리부(5)가 접철 구성으로 설치되는 통상의 장의용 스트레쳐(1)에 있어서, 안착부(2) 전후방으로 안착부(2)를 구성하는 관체(2')의 외부에 손잡이봉(12)이 결합된 끼움관(13)을 결합하되 끼움관(13)의 결합구멍(14) 상단으로 스프링 내입공(15)을 마련하여 탄지스프링(16)을 내입하고 축핀(17')이 형성되는 작동구(17)을 마련하여 축핀(17')을 스프링(16) 내부에 내입하고 끼움관(13) 외부에는 고정수단(20)으로 고정되고 걸림구멍(19)이 형성되는 커버(18)를 위치시켜 상기 작동구(17)가 걸림구멍(19)으로 내입되어 안착부(2)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이탈방지구(10)와,상기 안착부(2)를 구성하는 지지봉체(2')에 롤라(30)를 수개 마련하는 것에 요지가 있다.

Description

장의용 스트레쳐{stretcher for funeral}
본 고안은 장의용 스트레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관을 수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트레쳐(STRETCHER)의 전방에 잠금장치가 있는 이탈방지구를 설치하여 관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안착부에 롤라를 마련하여 스트레쳐에서 관을 상하차시 적은힘으로 편리하게 상하차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의차나 화장터에서 주로 사용하는 스트레쳐는 화장터의 화구 높이에 맞도록 제작되어 관을 수송하고 이를 화구에 간편하게 밀어 넣을 수 있게 한 것으로서, 도 1은 종래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스트레쳐를 나타낸 측면 구성도로서, 스트레쳐100는 관이 올려질 수 있는 안착부가 구비되고 , 이 안착부101의 대략 중앙 위치에는 관을 편리하게 이동시킴과 동시에 이동도중 관이 옆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10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101 전방 양측에는 제1다리부103가 설치되어 있고 이 제1다리부103 하단에는 바퀴104가 장착된다.
그리고 안착부101 하측에는 제1다리부103 보다 길이가 긴 두 개소의 제2다리부105가 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2다리부105에는 힌지에 의해 접철이 가능하도록 한쌍의 링크106가 연결되며 하단에는 바퀴107가 결합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스트레쳐100를 이용하여 장의차로 관을 수송시양측의 손잡이102를 잡고 스트레쳐100를 차체 방향으로 밀게 되는 바, 이때 스트레쳐100의 제1다리부103의 바퀴104가 차체에 부드럽게 진입하며 이어서 제2다리부105의 구성요소가 차체에 받치면서 힌지등에 의해 제2다리부105가 접철되면서 스트레쳐100가 차량 내부로 수평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트레쳐100를 이용하여 화장터의 화구에 관을 넣을 때는 상기 스트레쳐100를 화구 입구에 위치시키고 관을 화구에 밀어 넣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스트레쳐100는 이동시 충격이나 차량에서 싯고 내릴 때 관이 전후방으로 미끄러져 스트레쳐100에서 관이 이탈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관을 화구에 밀어 넣을 때 많은 힘이 들여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코자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스트레쳐의 안착부 전후방에 잠금장치가 있는 이탈방지구를 설치하고 안착부에 수개의 롤라를 마련하여 관을 수송시 관이 스트레쳐에서 이탈됨이 없이 보다 안전하게 수송하면서도 사용이 편리하게 하는 구조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스트레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2은 본 고안에 따른 스트레쳐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3는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5은 도 4의 조립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에 대한 설명 ☜
1 : 스트레쳐 2 : 안착부 2' : 관체
2' : 지지봉체 3 : 손잡이부 4 : 제1다리부
5 : 제2다리부 6,7 : 바퀴 10 : 이탈방지구
12 : 손잡이봉 13 : 끼움관 14 : 결합구멍
15 : 스프링내입공 16 : 탄지스프링 17 : 작동구
17' : 축핀 18 : 커버 19 : 걸림구멍
20 : 고정수단 30 : 롤라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관을 올려놓을 수 있는 안착부2가 구비되고 , 이 안착부2의 대략 중앙 위치에는 관를 편리하게 이동시킴과 동시에 이동도중 관이 옆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3가 설치되며, 상기 안착부2 전방 양측에는 제1다리부4가 설치되어 있고 안착부2 하단에는 제1다리부4 보다 길이가 긴 제2다리부5가 접철 구성으로 설치되며 제1다리부4와 제2다리부5 하측에는 각각 바퀴6,7가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통상의 장의용 스트레쳐1와 같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스트레쳐1의 안착부2 전부방에는 잠금장치11가 부설되는 이탈방지구10를 설치하여 관이 스트레쳐1의 전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코자 한다.
상기 이탈방지구10의 잠금장치11는 안착부2를 구성하는 관체2'의 외부에 손잡이봉12이 결합된 끼움관13을 결합하되 끼움관13의 결합구멍14 상단으로 스프링 내입공15을 마련하여 탄지스프링16을 내입하고 축핀17'이 형성되는 작동구17을 마련하여 축핀17'을 스프링16 내부에 내입하고 끼움관13 외부에는 피스등의 고정수단20으로 고정되고 걸림구멍19이 형성되는 커버18를 위치시켜 상기 작동구17가 걸림구멍19으로 내입되어 이탈방지구10가 안착부2에 수직으로 고정되도록 한 구성으로 안착부2의 관 이탈을 방지토록 하고 관을 상기 스트레쳐1에서 싯거나 내릴 때는 작동구17를 눌러 걸림구멍19에서 이탈시키고 이탈방지구10를 전방으로 눕혀서 사용토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2를 구성하는 지지봉체2'에는 고무나 우레탄 또는 금속 등으로 되는 롤라30를 수개 마련하여 안착부2에서 관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사용방법과 이로 인한 작용을 상세히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본 고안은 안착부2에 관을 싯고 이동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먼저 안착부2에 관을 싯고자 할 때에는 이탈방지구10의 작동구17를 눌러 커버18의 걸림구멍19에서 작동구17를 해지시킨 다음 이탈방지구10를 전방으로 눕혀서 안착부2의 전후방에 돌출되는 이탈방지구10를 하측으로 회동시킨다.
이어서 상기 안착부2에는 이동코자 하는 관의 일측을 올려놓고 반대측에서 관을 안착부2 방향으로 밀게되면 간단하게 관을 스트레쳐1의 안착부2에 실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관의 하면은 안착부2에 마련되는 롤라30와 접촉하게 됨으로 관과 안착부2의 마찰면을 최소화함으로서 적은 힘으로도 안착부2에 위치하는 관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방법으로 안착부2에 관을 실은 다음 손잡이봉12을 잡고 이탈방지구10를 관의 전후방에 위치되게 세우면 스프링16에 탄지된 상태로 있는 작동구17가 커버18의 걸림구멍19에 위치되면 자연스럽게 걸림구멍19으로 내입되어 이탈방지구10가 세워진다.
이렇게 스트레쳐1상에 관을 싯고 차량 등을 사용하여 관을 화장터나 장례지로 이동시 하단에 위치되는 제1,2다리부4,5의 바퀴6,7로 이동되고 제2다리부5가 접철됨으로 차량에 간편하게 실을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 방법 등으로 이동시 차량의 흔들림이나 기타 외부영향이 스트레쳐1에 전달되더라도 안착부2의 전후방에 위치하는 이탈방지구10와 안착부2의대략 중간 위치에 있는 손잡이봉12에 의해 관이 스트레쳐1상에서 이탈되는 일없이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 스트레쳐1는 안착부2에 롤라30가 마련되어 있고 그 높이가 대략 화장터의 화구 높이와 같게 되어 있으므로 화구로 관을 밀어 넣코자 할 때에는 전방의 이탈방지구10를 상기한 방법으로 해지하고 관을 화구와 일치되게 위치시키고 후방에서 관을 밀기만 하면 간편하게 관을 화구속으로 밀어 넣을 수 있게되는 편리성도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관을 수송하는 스트레쳐1의 안착부2 전후방에 잠금장치11가 있는 이탈방지구10를 설치하고 안착부2에 수개의 롤라30를 마련하여 관을 수송시 관이 스트레쳐1에서 이탈됨이 없이 보다 안전하게 수송하면서도 사용이 편리하게 한 것이다.

Claims (1)

  1. 안착부2의 대략 중앙 위치에는 손잡이부3가 설치되며, 상기 안착부2 전방 양측에는 제1다리부4가 설치되어 있고 안착부2 하단에는 제1다리부4 보다 길이가 긴 제2다리부5가 접철 구성으로 설치되며 제1다리부4와 제2다리부5 하측에는 각각 바퀴6,7가 장착되는 통상의 장의용 스트레쳐1에 있어서,
    안착부2 전후방으로 안착부2를 구성하는 관체2'의 외부에 손잡이봉12이 결합된 끼움관13을 결합하되 끼움관13의 결합구멍14 상단으로 스프링 내입공15을 마련하여 탄지스프링16을 내입하고 축핀17'이 형성되는 작동구17을 마련하여 축핀17'을 스프링16 내부에 내입하고 끼움관13 외부에는 피스등의 고정수단20으로 고정되고 걸림구멍19이 형성되는 커버18를 위치시켜 상기 작동구17가 걸림구멍19으로 내입되어 안착부2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이탈방지구10와,
    상기 안착부2를 구성하는 지지봉체2'에 고무나 우레탄 또는 금속 등으로 되는 롤라30를 수개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의용 스트레쳐.
KR2019990008518U 1999-05-18 1999-05-18 장의용 스트레쳐 KR2002416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8518U KR200241636Y1 (ko) 1999-05-18 1999-05-18 장의용 스트레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8518U KR200241636Y1 (ko) 1999-05-18 1999-05-18 장의용 스트레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923U KR19990034923U (ko) 1999-09-06
KR200241636Y1 true KR200241636Y1 (ko) 2001-09-25

Family

ID=54756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8518U KR200241636Y1 (ko) 1999-05-18 1999-05-18 장의용 스트레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163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376Y1 (ko) 2011-10-26 2013-04-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카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376Y1 (ko) 2011-10-26 2013-04-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923U (ko) 199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9556B2 (en) Roll-in push cot
US6508605B1 (en) Direction changing device for a stroller handle
KR200241636Y1 (ko) 장의용 스트레쳐
JP4677627B2 (ja) 車載用ストレッチャー
EP1245212B1 (fr) Chariot-portoir pour brancard
KR100694815B1 (ko) 응급환자용 주들것의 록킹장치
JPH0620504Y2 (ja) ベッド装置
JPH11104187A (ja) 折り畳み式側柵における立位保持機構
JP2005119521A (ja) 搬送台車
JP2018069013A (ja) 折り畳みベッド体及び組み立て式ストレッチャー
JP2000145134A (ja) フック装置
JP3067079B2 (ja) 移動装置付き椅子
JP4215474B2 (ja) 携行用カート
JP2005329790A (ja) 手押車
KR200260717Y1 (ko) 관 또는 환자 탑재용 승차장치
EP0803212B1 (fr) Lit escamotable
JPH0710603Y2 (ja) ベッド
JP4298086B2 (ja) リクライニング式チャイルドシート
JP4664487B2 (ja) 倒れ防止機構を備えた台車
JP2006055413A (ja) 車椅子
JPH0626219Y2 (ja) 可動式差し込み側柵
JP2005087417A (ja) 車椅子用固定装置
JPH1111321A (ja) 荷物運搬車
JP2003135157A (ja) テーブルにおけるテーブル板高さ調節装置
JPH08295166A (ja) 車両用テーブ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