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9958Y1 - 공조용케이스의도어결합장치 - Google Patents

공조용케이스의도어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9958Y1
KR200239958Y1 KR2019950055227U KR19950055227U KR200239958Y1 KR 200239958 Y1 KR200239958 Y1 KR 200239958Y1 KR 2019950055227 U KR2019950055227 U KR 2019950055227U KR 19950055227 U KR19950055227 U KR 19950055227U KR 200239958 Y1 KR200239958 Y1 KR 2002399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coupling
door
shaft
air condit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552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8864U (ko
Inventor
조중원
Original Assignee
신영주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주,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영주
Priority to KR20199500552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9958Y1/ko
Publication of KR9700288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88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99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9958Y1/ko

Links

Abstract

자동차의 공조용 케이스 내에 송풍통로를 개폐하기 위해 설치된 도어를 케이스 본체에 결합시키는 도어 결합 장치에 있어서, 특히 그 구성요소의 조립을 용이하게 한 공조용 케이스의 도어 결합 장치에 대해 개시한다. 본 고안의 도어 결합 장치는, 도어의 회동축을 이루며 일단에 제1결합홀과 타단에 제2결합홀을 구비한 샤프트와, 공조용 케이스에 형성되어 제1결합홀에 삽입/결합되는 제1돌기부와, 공조용 케이스에 제1돌기부와 대향되게 형성되어 제2결합홀에 삽입/결합되며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제2돌기부와, 제2돌기부의 중공부를 통해 제2결합홀에 삽입/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여 된 아암과, 아암의 결합부에 마련되어 아암의 축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 및 아암의 결합부 및 샤프트의 제2결합홀에 각각 형성되어 아암과 샤프트와의 상대회전을 방지하는 상대회전방지수단을 구비한다. 이에 의해 그 조립공정이 매우 간편해지며 또한 케이스 벽체에 홀이 형성되지 않음으로써 공기 누출의 우려가 배제된다.

Description

공조용 케이스의 도어 결합 장치
제1도는 자동차의 공기조화기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제2도는 종래의 공조용 케이스의 도어 및 도어 결합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공조용 케이스의 도어 및 도어 결합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본 고안의 도어 결합 장치에 있어서 샤프트와 케이스가 결합된 단면을 도시한 발췌단면도.
제5도는 제3도에 도시된 본 고안의 도어 결합 장치에 있어서 샤프트와 케이스 및 아암이 결합된 단면을 도시한 발췌단면도.
제6도는 제5도에 도시된 아암의 결합부를 도시한 발췌사시도.
제7도는 제5도에 도시된 샤프트의 결합홀 구조를 도시한 발췌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공조용 케이스 10a : 제1돌기부
10b : 제2돌기부 20 : 아암
21 : 아암 결합부 21a : 탄성바이어스부재
21b : 커팅부 21c : 커팅부 접촉면
30 : 도어 31 : 샤프트
50 : 리브
본 고안은 자동차의 공조용 케이스 내에 송풍통로를 개폐하기 위해 설치된 도어를 케이스 본체에 결합시키는 도어 결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 구성요소의 조립을 용이하게 한 공조용 케이스의 도어 결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송풍기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케이스에 설치된 증발기 또는 히이터를 선택적으로 통과하여 자동차의 내부로 공급되게 된다.
제1도에는 이러한 종래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케이스의 일예를 나타내 보였다.
이것은 열교환기인 히이터코어(100)가 내장된 케이스(1)의 몸체(1a)에 증발기(200)를 통과한 공기를 선택적으로 히이터 코어(100)에 공급함과 아울러 통과되는 공기의 양을 제어하는 탬프도어(2)가 설치된다. 그리고 케이스(1)의 출구측에는 각 덕트, 예컨데 자동차의 플로어, 디프로스터 및 벤트측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덕트(도시되지 않음)가 연결되고 이 입구측에는 선택적으로 각 덕트에 공기를 공급하는 복수개의 도어(5)가 설치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는 그 입구측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열교환기(예컨데, 히이터 코어 ;100)를 선택적으로 통과한 각 출구측에 설치된 각 도어(5)를 선택적으로 통과하여 각 덕트로 유입되게 된다.
이와같이 자동차 공조용 케이스에는 다수의 도어들이 설치되어 회동됨으로써 공기 흐름의 경로를 변화시켜 각 덕트로 공급되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상기 도어를 케이스에 결합/고정시키는 도어 결합 장치로서, 케이스에 홀을 마련하고 그 홀에 도어의 회전축 샤프트를 삽입하여 결합시키는 구조를 채용하였다.
제2도에 종래의 공조용 케이스 도어 및 도어 결합 장치를 도시하였다. 상기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도어 결합 장치는, 케이스 본체(11)에 홀(14)을 마련하여 그 홀(14)에 도어(13)의 회동축 샤프트(15)의 양단부를 삽입하여 결합/고정시키고, 상기 샤프트(15)의 일단에 아암(12)을 결합하여 그 아암(12)의 회전에 따라 도어(13)가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아암(12)에 구동력이 전달되면, 상기 아암(12)이 일정 각도로 회전하게 되며, 그 아암(12)과 일단부가 결합되어 있는 샤프트(15)가 케이스(11)에 형성된 홀(14)에 지지되면서 회전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도어(13)가 회동하게 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도어 결합 장치에 있어서는 샤프트의 양단부를 홀에 삽입시키는 작업이 난해하며, 그 홀과 샤프트 사이의 유격을 통해 공기의 누출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케이스와 샤프트 및 아암의 결합구조를 변경하여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하며, 송풍되는 공기가 바람직하지 않은 방향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구성된 공조용 케이스의 도어 결합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공조용 케이스의 도어 결합 장치는, 공조용 케이스에 송풍통로를 개폐하는 도어를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공조용 케이스의 도어 결합 장치에 있어서, 도어의 회동축을 이루며 일단에 제1결합홀과 타단에 제2결합홀을 구비한 샤프트와, 상기 공조용 케이스에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홀에 삽입/결합되는 제1돌기부와, 상기 공조용 케이스에 상기 제1돌기부와 대향되게 형성되 상기 제2결합홀에 삽입/결합되며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제2돌기부와, 상기 제2돌기부의 중공부를 통해 상기 제2결합홀에 삽입/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여 된 아암과, 상기 아암의 결합부에 마련되어 상기 아암의 축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 및 상기 아암의 결합부 및 상기 샤프트의 제2결합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아암과 상기 샤프트와의 상대회전을 방지하는 상대회전방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아암의 결합부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돌기부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탄성돌기부를 구비하며, 상기 상대회전방지수단은, 상기 아암의 결합부 일단을 축방향으로 절단하여 형성된 커팅부와 상기 제2결합홀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커팅부와 면접촉되는 커팅부 접촉면을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3도 내지 제7도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결합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3도는 공조용 케이스의 도어 및 도어 결합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제4도는 상기 제1결합홀과 케이스의 제1돌기부가 결합된 단면을 도시한 발췌단면도, 제5도는 상기 제2결합홀과 케이스의 제2돌기부 및 아암이 결합된 단면을 도시한 발췌단면도, 제6도는 아암의 결합부를 도시한 발췌사시도, 제7도는 샤프트의 결합홀 구조를 도시한 발췌사시도이다. 먼저 상기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공조용 케이스 도어 결합 장치에는, 도어(30)의 회동축을 이루며 일단에 제1결합홀(31a)과 타단에 제2결합홀(31b)을 구비한 샤프트(31)와, 상기 공조용 케이스(10)에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홀(31a)에 삽입/결합되는 제1돌기부(10a)와 (제4도 참조), 상기 공조용 케이스(10)에 상기 제1돌기부(10a)와 대향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2결합홀(31b)에 삽입/결합되며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제2돌기부(10b)와, 상기 제2돌기부(10b)의 중공부를 통해 상기 제2결합홀에 삽입/결합되는 결합부(21)를 구비하여 된 아암(20)과 (제5도 참조), 상기 아암(20)의 결합부(21)에 마련되어 상기 아암의 축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 및 상기 아암(20)의 결합부(21) 및 상기 샤프트(31)의 제2결합홀(31b)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아암(20)과 상기 샤프트(31)와의 상대회전을 방지하는 상대회전방지수단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이탈방지수단에는,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암(20)의 결합부(21)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돌기부(10b)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복수개의 탄성돌기부(21a)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돌기부(21a)가 탄성적으로 압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돌기부(10b)를 미끄러져 삽입된 후 다시 탄성복원됨으로써 그 제2돌기부(10b)내에 결합되게 된다.
또한 상기 상대회전방지수단에는,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암(20)의 결합부(21) 일단을 축방향으로 절단하여 형성된 커팅부(21b)와, 상기 제2결합홀(31b)의 내주면에 마련되어 상기 커팅부(21b)와 면접촉되는 커팅부 접촉면(31c)이 포함된다. 즉, 이 상호 면접촉에 의해 상기 아암(20)의 회전력이 상기 샤프트(31) 및 도어(30)의 회동력으로 전달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공조용 케이스(10)의 측면에는 복수개의 리브(50)가 설치되어 상기 샤프트(31)의 회동을 지지하게 된다 (제3도 참조).
이와 같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아암(20)에 구동력이 전달되어 아암(20)이 일정 각도로 회전하면, 그 아암(20)의 결합부(21)에 형성된 커팅부(21b)와 밀착하여 접촉하고 있는 샤프트(31)의 커팅부 접촉면(31c)에 회전토크가 전달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샤프트(31) 및 도어(30)가 회동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샤프트(31)는 케이스(10)에 돌출되어 있는 제1돌출부(10a) 및 제2돌출부(10b)를 회동축으로하여 회동하며 상기 케이스(10)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리브(50)가 샤프트(31)를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결합 장치는, 그 결합 방식이 샤프트, 케이스 및 아암의 상호 조화된 형상으로 결합되게 되어 있어 그 조립공정이 매우 간편하며, 또한 케이스 벽체에 홀이 형성되지 않음으로써 공기 누출의 우려가 배제된다. 따라서 조립성 향상에 따른 생산성 향상 및 공기 누출 방지에 의한 신뢰성 향상 등의 효과가 생기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

  1. 공조용 케이스에 송풍통로를 개폐하는 도어를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공조용 케이스의 도어 결합 장치에 있어서, 도어의 회동축을 이루며 일단에 제1결합홀과 타단에 제2결합홀을 구비한 샤프트와, 상기 공조용 케이스에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홀에 삽입결합되는 제1돌기부와, 상기 공조용 케이스에 상기 제1돌기부와 대향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2결합홀에 삽입 결합되며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제2돌기부와, 상기 제2돌기부의 중공부를 통해 상기 제2결합홀에 삽입/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여 된 아암과, 상기 아암의 결합부에 마련되어 상기 아암의 축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 및 상기 아암의 결합부 및 상기 샤프트의 제2결합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아암과 상기 샤프트와의 상대회전을 방지하는 상대회전방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아암의 결합부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돌기부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탄성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대회전방지수단은 상기 아암의 결합부 일단을 축방향으로 절단하여 형성된 커팅부와, 상기 제2결합홀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커팅부와 면접촉되는 커팅부 접촉면을 구비하며, 상기 공조용 케이스에는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과 접촉되어 상기 샤프트의 회동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리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용 케이스의 도어 결합 장치.
KR2019950055227U 1995-12-30 1995-12-30 공조용케이스의도어결합장치 KR2002399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5227U KR200239958Y1 (ko) 1995-12-30 1995-12-30 공조용케이스의도어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5227U KR200239958Y1 (ko) 1995-12-30 1995-12-30 공조용케이스의도어결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8864U KR970028864U (ko) 1997-07-24
KR200239958Y1 true KR200239958Y1 (ko) 2001-11-30

Family

ID=60909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55227U KR200239958Y1 (ko) 1995-12-30 1995-12-30 공조용케이스의도어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995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9233A1 (ko) * 2020-12-04 2022-06-0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향 발생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9233A1 (ko) * 2020-12-04 2022-06-0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향 발생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8864U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73121B1 (en) Air passage switching device and air condition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5836813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H11180129A (ja) 通風路切替装置
US6669548B2 (en) Inside/outside air switching device with rotary door, and vehicle air conditioner using the same
KR100429482B1 (ko) 차량 공조장치
KR200239958Y1 (ko) 공조용케이스의도어결합장치
JP2006035971A (ja) 空気通路開閉装置および車両用空調装置
JPH09226348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23847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4618193B2 (ja) 空気通路開閉装置
JP4084972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4770615B2 (ja) 空調装置、および空調装置の製造方法
JP3671540B2 (ja) 空気通路切替装置および車両用空調装置
JPH11148493A (ja) 送風機
KR20080040492A (ko) 차량용 공조장치
WO2019188367A1 (ja) 車両空調用送風装置
KR10154486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4123628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5314460B2 (ja) 車両用空調装置のリンク構造
JP4029372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014113B1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케이스
US5992506A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vehicle
CN111629917B (zh) 车辆空调用送风装置
JP3584525B2 (ja) 空気通路切換装置
JP4305134B2 (ja) 内外気切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