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9801Y1 - 리프터 - Google Patents

리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9801Y1
KR200239801Y1 KR2019990006382U KR19990006382U KR200239801Y1 KR 200239801 Y1 KR200239801 Y1 KR 200239801Y1 KR 2019990006382 U KR2019990006382 U KR 2019990006382U KR 19990006382 U KR19990006382 U KR 19990006382U KR 200239801 Y1 KR200239801 Y1 KR 2002398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case
motor
ceiling wall
main
ce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63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9686U (ko
Inventor
노주석
Original Assignee
노주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주석 filed Critical 노주석
Priority to KR20199900063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9801Y1/ko
Publication of KR200000196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96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98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9801Y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리프터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건물 내부의 천장 벽면으로 물품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수납 및 취출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내측에 물품이 안착된채 천장 벽면으로 수납 및 취출되는 메인 케이스와,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 상기 메인 케이스의 중심면에 결합된 로프를 권회 및 권회 해제를 통해 메인 케이스를 상,하로 이송시키는 이송 스크류를 포함하는 리프터에 있어서, 메인 케이스의 하면에 상기 메인 케이스가 천장 벽면에 수납되는 수납 위치를 한정시킬 수 있는 위치 한정수단을 마련하여 된 것으로서, 물품 예컨대 프로젝터가 안착된 메인 케이스의 상,하강을 유동없이 안정되게 행할 수 있으며, 특히 작은 용량의 모터를 사용하여도 스프링의 비틀림에 따른 탄성력을 통해 메인 케이스를 상,하강 시킬 수 있는 충분한 힘을 얻을 수 있게된다.
이외에도 위치 한정수단을 통해 메인 케이스의 정지 위치 시점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천장 벽면과 플레이트간의 평탄한 상태 유지를 통해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게된다.
또한 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함으로써 모터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리프터{Lifter}
본 고안은 리프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가의 물품 예컨대 프로젝터등을 천장 벽면상에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수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리프터(lifter)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프터는 매우 무거운 물품등을 이동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서, 매우 다양한 방면에서 사용되고 있다.
즉, 일반 공장에서는 중량이 무거운 기계장치의 이동을 위하여 사용하고 있고, 특히 근래에는 학교나 교회등의 집회장소(集會場所)에서 다수의 인원(人員)이 대형화면으로 시청할 수 있도록 스크린상에 확대된 영상을 디스플레이(display)시키는 프로젝터를 승,하강을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리프트에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요소는 작은 용량의 모터로써 물품을 원활하게 승,하강 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통상의 리프트는 물품의 중량 및 이 물품이 안착되는 브라켓류의 총 중량을 감안한 모터를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대용량의 모터를 사용하였고, 이에따라 생산단가의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다.
한편, 프로젝터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리프터는 통상적으로 학교나 교회등의 집회장소의 천장 벽면에 내장 설치되어 프로젝터를 벽면상에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수납하고 있다.
이는, 프로젝터가 매우 고가의 물품이기 때문에 도난의 우려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고, 또한 프로젝터가 외부로 노출될 경우에는 미관을 해칠뿐만 아니라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같이 프로젝터를 천장 벽면으로 승,하강 시키기 위한 리프터에 있어서는, 단지 프로젝터 및 이 프로젝터가 수납되는 케이스를 승,하강 시키는 역할만을 수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승,하강 과정에서 유동이 발생되어 천장 벽면과의 접촉에 의한 프로젝터의 추락(墜落) 우려가 있으며, 프로젝터 및 케이스의 무게를 감안한 모터를 사용함으로써 생산 단가의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특허 출원 99-11202호를 통하여 개선된 리프터를 제안하였다.
즉,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메인 케이스(100)는, 복수의 패널(panel;110,120)로 형성된 것으로서, 즉, 도시된 바와 상,하 방향으로 소정간격 유지하도록 마련된 상부 패널(upper panel;110)와 하부 패널(lower panel;120)로 이루어지며, 상부 패널(110)와 하부 패널(120) 사이의 공간부로 즉, 하부 패널(120)의 바닥면으로 승,하강시키고자 하는 물품 즉, 프로젝터(300)가 안착된다.
모터(200)는 천장 바닥면(400)에 내장 설치되는 것으로서, 프로젝터(300)가 안착된 메인 케이스(100)를 승,하강 시키는 구동원이다.
이송수단(500)은 모터(200)를 구동원으로 하여 메인 케이스(100)를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그 상세한 구조를 보면, 크게 메인 샤프트(main shaft;510)와, 로프(rope;520)로 대별된다.
메인 샤프트(510)는, 모터(200)의 축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것으로서, 내면은관통되어 중공(中空)상태의 공간부를 이루며, 관통된 양측면으로는 캡(cap;530)이 선택적으로 결합되어진다.
로프(520)는, 메인 샤프트(510)의 중심 외주면에 소정횟수 권선되는 것으로서, 일단은 도 4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메인 샤프트(510)의 중심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하방으로 연장되어 메인 케이스(100)의 중심 상면에 결합된다.
따라서 메인 샤프트(510)가 정,역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에 의해 메인 케이스(10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때 로프(520)의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와이어 타입(wire type)이 아니라 밴드(bend)형이다.
즉, 도 2 및 도 4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매우 얇은 두께와 폭을 갖는 금속밴드가 사용된다.
이와같이 금속밴드를 로프(520)로 사용하는 것은, 와이어 타입의 로프를 사용할 경우, 메인 샤프트(510)의 중심 외주면에 권선되지 못하고, 길이 방향을 따라 권선되는 것이기 때문에 상,하강 동작과정에서 중심축이 어긋남으로써 메인 케이스(100)의 좌,우 유동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금속밴드형의 로프(520)를 사용할 경우에는 중심축이 어긋나지 않게되어 유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된다.
하중 지지수단(600)은 메인 케이스(100) 및 이에 안착된 프로젝터(300)의 하중을 충분히 지탱함으로써 모터(200)의 용량을 최대한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하중 지지수단(600)의 구조를 보면, 모터(200)와 대향되는 타측 천장벽면(400)으로부터는 메인 샤프트(510)의 중심 내면을 향하여 즉, 공간부 내측을 향하여 서브 샤프트(sub shaft;610)가 소정길이 연장 형성된다.
이 샤프트(610)의 외주면에는 스프링(620)이 위치되는 바, 스프링(620)의 일단은 서브 샤프트(610)의 자유단측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메인 샤프트(510)의 타측 내면에 고정된다.
따라서 스프링(620)은 메인 샤프트(510)의 회전시 고정된 일부분을 기준으로하여 비틀림 받게되고, 이 비틀림에 대한 반발력을 통해 메인 샤프트(51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힘을 발휘함으로써 이를 통해 메인 케이스(100)와 프로젝터(300) 전체의 하중을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유동 방지수단(700)은 메인 케이스(100)가 상,하강 하는 과정에서 그 이송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메인 케이스(100)와 천장 바닥면(400)간의 충돌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유동 방지수단(700)의 구조를 보면, 메인 케이스(100)의 네 모서리부에는 즉, 가이드 바아(guide bar;710)가 각각 고정 설치된다.
이때, 가이드 바아(710)는, 메인 케이스(100)를 구성하고 있는 상,하부 패널(110,120)을 소정간격 유지하도록 위치 고정시키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그리고 이 가이드 바아(710)와 대응되는 천장 바닥면(400)에는 가이드 바아(710)를 감싸는 형태로 가이드 레일(720)이 연장 형성된다.
즉, 메인 케이스(100)는 가이드 바아(710)가 가이드 레일(720)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송되는 것에 의해 그 유동이 방지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가이드 바아(710)는 설치 장소에 따라 그 길이를 달리하여야 하면, 항상 가이드 레일(720)과 접촉되어야 한다.
미설명부호(800)은, 천장 바닥면(400)에 설치되는 브라켓류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리프터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모터(200)가 어느 일방향으로 작동하게 되면, 메인 샤프트(510)가 회전된다.
메인 샤프트(510)의 회전에 의해서는 이 메인 샤프트(510)의 중심 외주면에 권선된 띠형 즉, 밴드 타입의 로프(520)가 풀리는 방향으로 되어 메인 케이스(100)가 하강하게 된다.
이때 메인 케이스(100)의 하강 동작시에는 메인 케이스(100)의 네 모서리부에 마련된 가이드 바아(710)와 천장 바닥면(400)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720)간의 접촉에 의해 하강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게된다.
한편, 이때 서브 샤프트(610)의 외주면에 마련된 스프링(620)은 메인 샤프트(510)의 회전에 의해 비틀림을 받은 상태이기 때문에 역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받게된다. 따라서 이 비틀림힘을 통해 메인 케이스(100) 및 이에 안착된 프로젝터(300)의 하중을 지탱하게 된다.
이와같이 메인 케이스(100)를 하강시킨 상태에서 다시 상승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모터(200)의 역구동에 의해 메인 샤프트(510)가 역구동하게 되면, 메인 샤프트(510)가 전술한 동작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로프((520)를 권선하기 때문에 메인 케이스(100) 및 이에 안착된 프로젝터(300)가 상승하여 천장 바닥면(400)에 완전 수납된다.
이때 메인 케이스(100)의 상승 과정에서도 가이드 바아(710)와 가이드 레일(720)의 접촉에 의해 유동이 발생되지 않게된다.
또한 모터(200)의 용량을 작은 것을 사용하여도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진다.
즉, 모터(200)의 주된 힘은 메인 샤프트(510)를 회전시키는 힘과, 스프링(620)이 비틀림을 받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힘 정도만의 용량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와같이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리프터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메인 케이스(100)가 사각 박스 형태를 갖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천장 벽면에 수납되는 과정에서 정지 위치가 약간만 틀려져도 일부분이 천장 벽면의 하면과 수평을 이루지 못함으로써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에 의해서는 메인 케이스(100)의 어느 일측 모서리가 접촉된 상태에서 수평상태를 맞추기 위하여 모터(200)가 계속해서 동작하게 되면, 모터(200)에 과부하가 걸림으로써 모터(200)의 손상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이러한 문제점 외에도 실질적으로 메인 케이스(100)의 정지 위치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모터(200)의 회전수에 의해 설정되어야 하는 바, 이러한 모터(200)의 회전수 조정에 의한 메인 케이스(100)의 정지 위치 설정은 매우 까다로운 것이기 때문에 정밀한 위치 설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리프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메인 케이스를 천장 벽면에 완전 수납시키고 동시에 천장벽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모터의 과부하 방지와 메인 케이스의 정지 위치 설정이 용이한 리프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내지 도 4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리프터의 사시도들 및 단면도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리프터의 정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메인 케이스 110 : 상부 패널
120 : 하부 패널 200 : 모터
300 : 프로젝터 400 : (천장)바닥면
500 : 이송수단 510 : 메인 샤프트
520 : 로프 530 : 캡
600 : 하중 지지수단 610 : 서브 샤프트
620 : 스프링 700 : 유동 방지수단
710 : 가이드 바아 720 : 가이드 레일
800 : 브라켓류 900 : 위치 한정수단
910 : 플레이트 920 : 지지봉
921 : 걸림턱 930 : 스프링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리프터는, 건물 내부의 천장 벽면으로 물품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수납 및 취출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내측에 물품이 안착된채 천장 벽면으로 수납 및 취출되는 메인 케이스와,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 상기 메인 케이스의 중심면에 결합된 로프를 권회 및 권회 해제를 통해 메인 케이스를 상,하로 이송시키는 이송 스크류를 포함하는 리프터에 있어서, 상기 메인 케이스의 하면에 상기 메인 케이스가 상기 천장 벽면에 수납되는 수납 위치를 한정시킬 수 있는 위치 한정수단을 마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은, 상기 위치 한정수단은, 상기 메인 케이스의 하면에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위치되며, 메인 케이스가 상기 천장 내면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천장 하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마련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케이스의 네 모서리부와 인접된 플레이트의 네 모서리부로부터 메인 케이스의 내측공간부를 향해 소정길이 노출되도록 관통 고정되며, 단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걸림턱과 상기 메인 케이스의 바닥면 사이에 각각 개재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된 것에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리프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터의 정 단면도이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리프터 즉,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리프터는, 크게 메인 케이스(main case;100)와, 모터(motor;200) 그리고 이송수단(500)과 하중 지지수단(600) 및 유동 방지수단(700) 및 위치 한정수단(900)으로 대별된다.
메인 케이스(100)는, 복수의 패널(panel;110,120)로 형성된 것으로서, 즉, 도시된 바와 상,하 방향으로 소정간격 유지하도록 마련된 상부 패널(upper panel;110)와 하부 패널(lower panel;120)로 이루어지며, 상부 패널(110)와 하부 패널(120) 사이의 공간부로 즉, 하부 패널(120)의 바닥면으로 승,하강시키고자 하는 물품 즉, 프로젝터(300)가 안착된다.
모터(200)는 천장 바닥면(400)에 내장 설치되는 것으로서, 프로젝터(300)가 안착된 메인 케이스(100)를 승,하강 시키는 구동원이다.
이송수단(500)은 모터(200)를 구동원으로 하여 메인 케이스(100)를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그 상세한 구조를 보면, 크게 메인샤프트(main shaft;510)와, 로프(rope;520)로 대별된다.
메인 샤프트(510)는, 모터(200)의 축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것으로서, 내면은 관통되어 중공(中空)상태의 공간부를 이루며, 관통된 양측면으로는 캡(cap;530)이 선택적으로 결합되어진다.
로프(520)는, 메인 샤프트(510)의 중심 외주면에 소정횟수 권선되는 것으로서, 일단은 도 4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메인 샤프트(510)의 중심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하방으로 연장되어 메인 케이스(100)의 중심 상면에 결합된다.
따라서 메인 샤프트(510)가 정,역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에 의해 메인 케이스(10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때 로프(520)의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와이어 타입(wire type)이 아니라 밴드(bend)형이다.
즉, 도 2 및 도 4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매우 얇은 두께와 폭을 갖는 금속밴드가 사용된다.
이와같이 금속밴드를 로프(520)로 사용하는 것은, 와이어 타입의 로프를 사용할 경우, 메인 샤프트(510)의 중심 외주면에 권선되지 못하고, 길이 방향을 따라 권선되는 것이기 때문에 상,하강 동작과정에서 중심축이 어긋남으로써 메인 케이스(100)의 좌,우 유동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금속밴드형의 로프(520)를 사용할 경우에는 중심축이 어긋나지 않게되어 유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된다.
하중 지지수단(600)은 메인 케이스(100) 및 이에 안착된 프로젝터(300)의 하중을 충분히 지탱함으로써 모터(200)의 용량을 최대한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하중 지지수단(600)의 구조를 보면, 모터(200)와 대향되는 타측 천장벽면(400)으로부터는 메인 샤프트(510)의 중심 내면을 향하여 즉, 공간부 내측을 향하여 서브 샤프트(sub shaft;610)가 소정길이 연장 형성된다.
이 샤프트(610)의 외주면에는 스프링(620)이 위치되는 바, 스프링(620)의 일단은 서브 샤프트(610)의 자유단측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메인 샤프트(510)의 타측 내면에 고정된다.
따라서 스프링(620)은 메인 샤프트(510)의 회전시 고정된 일부분을 기준으로하여 비틀림 받게되고, 이 비틀림에 대한 반발력을 통해 메인 샤프트(51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힘을 발휘함으로써 이를 통해 메인 케이스(100)와 프로젝터(300) 전체의 하중을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유동 방지수단(700)은 메인 케이스(100)가 상,하강 하는 과정에서 그 이송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메인 케이스(100)와 천장 바닥면(400)간의 충돌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유동 방지수단(700)의 구조를 보면, 메인 케이스(100)의 네 모서리부에는 즉, 가이드 바아(guide bar;710)가 각각 고정 설치된다.
이때, 가이드 바아(710)는, 메인 케이스(100)를 구성하고 있는 상,하부 패널(110,120)을 소정간격 유지하도록 위치 고정시키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그리고 이 가이드 바아(710)와 대응되는 천장 바닥면(400)에는 가이드바아(710)를 감싸는 형태로 가이드 레일(720)이 연장 형성된다.
즉, 메인 케이스(100)는 가이드 바아(710)가 가이드 레일(720)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송되는 것에 의해 그 유동이 방지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가이드 바아(710)는 설치 장소에 따라 그 길이를 달리하여야 하면, 항상 가이드 레일(720)과 접촉되어야 한다.
위치 한정수단(900)은 실질적으로 본 고안의 특징적인 요소를 갖고 있는 것으로서, 그 상세한 구조를 보면, 크게 플레이트(plate;910)와 지지봉(920) 및 스프링(930)으로 대별된다.
플레이트(910)는, 메인 케이스(100)의 하면에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것으로서, 편평한 판상의 형태이며, 특히 메인 케이스(100)가 천장 내면에 수납된 상태에서 천장의 하면과 동일 평면을 이룬다.
지지봉(920)은, 메인 케이스(100)의 네 모서리부와 인접된 플레이트(910)의 네 모서리부로부터 메인 케이스(100)의 내측으로 소정길이 노출되도록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특히 상단부에는 즉, 메인 케이스(100)의 내측으로 노출된 단부에는 걸림턱(921)이 연장 형성된다.
즉, 지지봉(920)은, 하단부가 플레이트(910)에 고정되고, 이로부터 메인 케이스(100)의 내부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것이다.
스프링(930)은, 지지봉(920)의 걸림턱(921)과 메인 케이스(100)의 바닥면 사이에 개재되는 것으로서, 이를 통해 메인 케이스(100)는 플레이트(910)를 중심으로 탄력적으로 지지되게 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리프터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모터(200)가 어느 일방향으로 작동하게 되면, 메인 샤프트(510)가 회전된다.
메인 샤프트(510)의 회전에 의해서는 이 메인 샤프트(510)의 중심 외주면에 권선된 띠형 즉, 밴드 타입의 로프(520)가 풀리는 방향으로 되어 메인 케이스(100)가 하강하게 된다.
이때 메인 케이스(100)의 하강 동작시에는 메인 케이스(100)의 네 모서리부에 마련된 가이드 바아(710)와 천장 바닥면(400)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720)간의 접촉에 의해 하강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게된다.
한편, 이때 서브 샤프트(610)의 외주면에 마련된 스프링(620)은 메인 샤프트(510)의 회전에 의해 비틀림을 받은 상태이기 때문에 역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받게된다. 따라서 이 비틀림힘을 통해 메인 케이스(100) 및 이에 안착된 프로젝터(300)의 하중을 지탱하게 된다.
이와같이 메인 케이스(100)를 하강시킨 상태에서 다시 상승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모터(200)의 역구동에 의해 메인 샤프트(510)가 역구동하게 되면, 메인 샤프트(510)가 전술한 동작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로프((520)를 권선하기 때문에 메인 케이스(100) 및 이에 안착된 프로젝터(300)가 상승하여 천장 바닥면(400)에 완전 수납된다.
이때 메인 케이스(100)의 상승 과정에서도 가이드 바아(710)와 가이드 레일(720)의 접촉에 의해 유동이 발생되지 않게된다.
또한 모터(200)의 용량을 작은 것을 사용하여도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진다.
즉, 모터(200)의 주된 힘은 메인 샤프트(510)를 회전시키는 힘과, 스프링(620)이 비틀림을 받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힘 정도만의 용량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와같이 메인 케이스(100)가 천장 내면에 수납되는 과정에서 플레이트(910)가 천장 벽면에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안착되게 되어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방지되며, 동시에 메인 케이스(100)가 안정된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메인 케이스(100)가 천장 벽면에 수납되는 것과 동시에 플레이트(910)가 천장 벽면에 안착된다.
이때 플레이트(910)의 어느 일측 모서리부분이 천장벽면에 먼저 접촉되게 되어도, 이 플레이트(910)를 중심으로 탄력적으로 설치된 메인 케이스(100)가 모터(200)에 의해 소정거리 좀더 이송하게 되고, 따라서 접촉되지 않은 플레이트(910)의 모서리부분을 함께 상승시킴으로서 결과적으로 천장 벽면과 플레이트(910)간의 완전 평면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때 메인 케이스(100)와 플레이트(910) 상호간이 스프링(930)을 통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것이기 때문에 모터(200)가 좀더 구동되어도 과부하가 걸리지 않게되어 모터(200)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된다.
또한 플레이트(910)가 천장 벽면에 완전 안착된 상태에서 모터(200)를 정지시킴으로서 결과적으로 메인 케이스(100)의 정지 위치 시점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범위는 이와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한 것이다. 예를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리프터에 의하면, 물품 예컨대 프로젝터가 안착된 메인 케이스의 상,하강을 유동없이 안정되게 행할 수 있으며, 특히 작은 용량의 모터를 사용하여도 스프링의 비틀림에 따른 탄성력을 통해 메인 케이스를 상,하강 시킬 수 있는 충분한 힘을 얻을 수 있게된다.
이외에도 위치 한정수단을 통해 메인 케이스의 정지 위치 시점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천장 벽면과 플레이트간의 평탄한 상태 유지를 통해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게된다.
또한 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함으로써 모터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건물 내부의 천장 벽면으로 물품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수납 및 취출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내측에 물품이 안착된채 천장 벽면으로 수납 및 취출되는 메인 케이스와,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 상기 메인 케이스의 중심면에 결합된 로프를 권회 및 권회 해제를 통해 메인 케이스를 상,하로 이송시키는 이송 스크류를 포함하는 리프터에 있어서,
    상기 메인 케이스의 하면에 상기 메인 케이스가 상기 천장 벽면에 수납되는 수납 위치를 한정시킬 수 있는 위치 한정수단을 마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한정수단은, 상기 메인 케이스의 하면에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위치되며, 메인 케이스가 상기 천장 내면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천장 하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마련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케이스의 네 모서리부와 인접된 플레이트의 네 모서리부로부터 메인 케이스의 내측 공간부를 향해 소정길이 노출되도록 관통 고정되며, 단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걸림턱과 상기 메인 케이스의 바닥면 사이에 각각 개재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터.
KR2019990006382U 1999-04-19 1999-04-19 리프터 KR2002398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6382U KR200239801Y1 (ko) 1999-04-19 1999-04-19 리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6382U KR200239801Y1 (ko) 1999-04-19 1999-04-19 리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686U KR20000019686U (ko) 2000-11-25
KR200239801Y1 true KR200239801Y1 (ko) 2001-09-25

Family

ID=54761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6382U KR200239801Y1 (ko) 1999-04-19 1999-04-19 리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980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549B1 (ko) * 2005-08-22 2008-01-17 조창현 프로젝션 스크린 렌즈 리프트
KR100760622B1 (ko) * 2007-04-09 2007-09-20 김영옥 영상기 리프터
CN115164072A (zh) * 2022-07-14 2022-10-11 深圳市华竣展览有限公司 一种数字博物馆展示用立体投影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686U (ko) 200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8436B1 (ko) 전동 모빌랙
US20100172728A1 (en) Storage and retrieval machine
KR200239801Y1 (ko) 리프터
US4583706A (en) Mounting and stowing arrangements for rolling doors
KR100919613B1 (ko) 직립적층식 수납형 오버헤드 도어
KR100284094B1 (ko) 리프터
KR101206931B1 (ko) 거푸집 판넬 리프트
KR20220022503A (ko) 지그 훅킹 장치
CN215711429U (zh) 一种物流对象存取装置
JP2005289636A (ja) 昇降装置
JP3502666B2 (ja) 棚板昇降装置
JPH06158891A (ja) 多段式駐車装置
CN218949962U (zh) 一种光伏型材金属卷料周转机构
JP3179057B2 (ja) ベルト式昇降装置
KR200208432Y1 (ko) 컴퓨터 수납용 리프터
JP2768395B2 (ja) 立体駐車場
JPH0327702Y2 (ko)
US20050077112A1 (en) Lifting device
TWI834111B (zh) 物流升降裝置及倉儲系統
JP2662837B2 (ja) 棚部材昇降装置
JP2006002509A (ja) 立体駐車設備
WO2021171904A1 (ja) パレット式のリフト装置
KR100704239B1 (ko) 조립식 컨테이너
JP2001158506A (ja) 荷保管設備
JPH0722475Y2 (ja) ブラインドのスラット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50705

Effective date: 20060426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50829

Effective date: 20060426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70817

Effective date: 20080222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0530

Effective date: 2008022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