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0622B1 - 영상기 리프터 - Google Patents

영상기 리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0622B1
KR100760622B1 KR1020070034713A KR20070034713A KR100760622B1 KR 100760622 B1 KR100760622 B1 KR 100760622B1 KR 1020070034713 A KR1020070034713 A KR 1020070034713A KR 20070034713 A KR20070034713 A KR 20070034713A KR 100760622 B1 KR100760622 B1 KR 100760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imager
coupled
coupl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4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옥
Original Assignee
김영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옥 filed Critical 김영옥
Priority to KR1020070034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06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0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0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5Housing details, e.g. position adjustment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8Heads with mechanism for moving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16M13/027Ceiling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에 결합하여 영상기를 천장과 텍스 사이에 보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영상기 리프터에 관한 것으로, 하측으로 천장과 맞닿도록 걸림턱을 형성하고, 내측으로는 삽입부를 형성하며, 상측 모서리부분에는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되 일측으로 프레임의 상측과 결합하는 프레임 결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 결합부 보다 상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부를 형성하며, 상기 절곡된 일측으로는 천장과 결합하는 천장 결합부를 형성한 고정부로 이루어진 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 상측으로 결합되되 가장자리로 소음저감부를 형성하고, 일측으로 조절홀을 구비한 커버로 이루어진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측의 삽입부에 결합되며, 권취부와 일측의 구동모터로 구성된 구동부와 상기 하우징의 삽입부 내의 모서리에 설치되는 슬라이드부와 상기 하우징의 삽입부 내의 모서리에 설치된 슬라이드부와 결합하는 레일바를 형성하고, 상측으로는 영상기를 거취할 수 있는 거취대를 결합할 수 있는 거취대홈을 형성한 베이스와, 하측의 덮개부를 형성한 작동부와 상기 작동부의 베이스에 결합되며, 상측으로 홈을 형성하고 하측으로 결합부를 형성한 높이조절 볼트와 일측은 상기 구동부의 권취부에 결합되고, 타측은 작동부에 결합하는 높이조절볼트에 결합되되, 외측으로 코팅부를 형성한 와이어로 이루어진 영상기 리프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조립 및 설치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으면서, 소음저감의 효과 및 와이어로 인한 파손 방지효과를 얻을 수 있으면서, 안정적인 리프팅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리프터, 높이조절

Description

영상기 리프터{Projector lifter}
도 1은 종래의 영상기 리프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 리프터의 설치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 리프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 리프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에 자리홈을 형성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에 자리홈을 형성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도 2의 A부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 볼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를 단면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C : 천장 T : 텍스
P : 영상기 10 : 하우징
11 : 걸림턱 12 : 삽입부
13 : 고정부 13a : 하우징 결합부
13b : 절곡부 13c : 천장 결합부
14 : 프레임 15 : 소음저감부
16 : 조절홀 17 : 커버
20 : 구동부 21 : 권취부
21a, 21b : 자리홈 22 : 구동모터
30 : 슬라이드부 31 : 하우징 결합부
32 : 작동부 결합부 33 : 슬라이딩 베어링부
40 : 작동부 41 : 레일바
42 : 거취대홈 43 : 베이스
44 : 덮개부 50 : 높이조절 볼트
51 : 홈 52 : 결합부
60 : 와이어 61 : 코팅부
100 : 영상기 리프터
본 발명은 천장에 결합하여 영상기를 천장과 텍스 사이에 보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영상기 리프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립 및 설치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여 생산성의 향상 및 효율적인 작업을 할 수 있으며, 소음저감 효과 및 리프팅 시 작업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는 영상기 리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나 관공서, 회사에서는 발표를 하기 위해 영상기를 이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영상기는 책상에 설치를 하거나, 천장에 매달아 사용을 하고 있다.
이 중, 천장에 매달아 영상기를 사용하게 될 경우, 외부에 노출되어 휀손율이 높았으며, 특히, 학교와 같은 경우에는 분실의 위험도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천장과 텍스 사이에 영상기를 삽탈할 수 있는 영상기 리프터를 이용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영상기 리프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그 구성을 살펴보면, 천장(C)과 텍스(T) 사이에 삽입되어 천장(C)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측으로는 모터(110)와 연결되어 있는 샤프트(120)를 형성하고, 모서리부분에는 가이드레일(145)을 구비하고 있는 하우징(150)과, 상기 하우징(150)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레일(145)과 결합하여 슬라이딩을 할 수 있도록 구비된 가이드바(140)를 상측에 형성하고, 하측으로는 영상기(P)를 거취할 수 있는 수납부를 형성한 작동부(100)와 상기 작동부(100)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샤프트(120)와 작동부(100)에 결합되어 있는 와이어(13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종래의 영상기 리프터(200)는 모터(110)의 구동에 의해 샤프트(120)가 회전하고, 상기 샤프트(120)와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130)가 샤프트(100)에 감기면서, 와이어(130)에 연결되어 있는 작동부(100)가 상, 하로 움직이면서 영상기(P)를 상하로 리프팅하게 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작동부(100) 상측에 가이드바(140)를 설치할 경우, 작동부(100)를 천장(C)과 텍스(T) 사이에 수납하기 위해서는 천장(C)과 텍스(T) 사이의 이격공간이 커야만 했다.
또한, 통상 샤프트(120)와 와이어(130)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리프팅시 금속간의 마찰로 인한 소음 및 샤프트(120) 훼손으로 인해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와이어(130)가 샤프트(120)의 불규칙적인 면을 타고 리프팅 되면서, 리프팅되는 양이 일정치 않아 한쪽으로 기울어지게 되면서, 제품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제품의 조립시 2개로 이루어진 와이어(130)를 일정하게 조정을 하여야만 하는데, 와이어(130)를 조정할 수 있을 만한 수단이 없어 작업자가 일일이 일정한 크기로 재단을 하여 조립함으로써, 조립시간이 길어졌으며 이로 인해 생산성의 저하를 초래하였다.
아울러, 조립이 완료된 영상기 리프터(200)를 천장(C)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홈으로 이루어진 결합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구성하여 결합하게 되는데, 항상 일정한 위치에 있는 결합부를 이용하여 천장에 결합하여 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실수로 인해 천장에 홀을 잘못 뚫었을 때에는 다시 홀가공을 함으로써, 설치작업시 발생하는 설치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우징에 결합하는 고정부가 하우징으로 부터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있어, 천장에 설치시 작업자의 편 의를 도모할 수 있으며, 특히, 커버의 조절홀이 구동모터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 설치전 구동모터의 셋팅시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영상기 리프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부의 절곡부에 의해 하우징이 천장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하우징 상측에 결합하는 커버의 소음 저감부로 하우징 삽입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천장과 텍스 사이로 빠져나가 하우징 삽입부의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영상기 리프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동부의 권취부에 형성된 자리홈에 의해 권취부에서 와이어가 잘못 감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영상기 리프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측에 베어링을 삽입한 슬라이드부에 의해 소음저감 및 안정적인 리프터가 가능한 영상기 리프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우징의 삽입홈에 작동부가 삽입되었을 때에, 작동부의 덮개부가 하우징의 걸림턱과 동일선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영상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영상기 리프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동부와 작동부를 연결하는 와이어의 결합시 높이조절 볼트에 의해 용이하게 와이어의 길이를 맞출 수 있어 조립이 간편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상기 리프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표면이 거친 코팅제를 입힌 와이어에 의해 와이어로 인한 구동부의 파손 및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영상기 리프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하측으로 천장과 맞닿도록 걸림턱을 형성하고, 내측으로는 삽입부를 형성하며, 상측 모서리부분에는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어진 고정부로 이루어진 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 상측으로 결합되되 가장자리로 소음저감부를 형성하고, 일측으로 조절홀을 구비한 커버로 이루어진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측의 삽입부에 결합되며, 권취부와 일측의 구동모터로 구성된 구동부와 상기 하우징의 삽입부 내의 모서리에 설치되는 슬라이드부와 상기 하우징의 삽입부 내의 모서리에 설치된 슬라이드부와 결합하는 레일바를 형성하고, 상측으로는 영상기를 거취할 수 있는 거취대를 결합할 수 있는 거취대홈을 형성한 베이스와, 하측의 덮개부를 형성한 작동부와 상기 작동부의 베이스에 결합되며, 상측으로 홈을 형성하고 하측으로 결합부를 형성한 높이조절 볼트와 일측은 상기 구동부의 권취부에 결합되고, 타측은 작동부에 결합하는 높이조절볼트에 결합되되, 외측으로 코팅부를 형성한 와이어로 이루어진 영상기 리프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프레임에 결합한 고정부는 일측으로 프레임의 상측과 결합하는 프레임 결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 결합부보다 상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부를 형성하며, 상기 절곡된 일측으로는 천장과 결합하는 천장 결합부를 형성하고 있는 영상기 리프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천장(C)과 텍스(T) 사이에 형성되는 하우징(10)은, 도 2 내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텍스(T)와 맞닿도록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11)을 하측에 형성하고 있으며, 내측으로는 삽입부(12)를 형성하고, 상측의 네모서리 부분에는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고정부(13)로 이루어진 프레임(14)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14)의 상측으로는 가장자리로 소음저감부(15)가 네모서리 공간부분에 형성되도록 삽자형태로 되어 있으며, 일측으로는 조절홀(16)을 구성한 커버(17)가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조절홀(16)은 후술할 구동부(20)의 구동모터(22)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하여 구동모터(22)의 제어를 설치한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13)는 도 4 내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으로는 상기 프레임(14)으로부터 회전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하는 프레임 결합부(13a)를 형성하고 있으며, 중간부분에는 상기 프레임 결합부(13a)보다 상측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13b)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절곡된 일측으로는 천장(C)과 결합하는 천장결합부(13c)로 이루어져 있어, 천장(C)과 하우징(10) 사이에 일정한 이격이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는, 하우징(10)에 결합된 커버(17)에 형성된 소음저감부(15)로 소음이 하우징(10)의 삽입부(12)에 머물지 않고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하여, 소음 저감의 효과를 얻기 위해 일정한 이격을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하우징(10)의 삽입부(12) 내측에 결합하는 구동부(20)는 권취부(21)와 일측의 구동모터(21)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권취부(21)에는 와이어(60)가 감기거나 풀릴 때에, 와이어(60)가 서로 얽히지 않도록 감김을 유도하기 위해, 도 6에서 도시된 것처럼 권취부(21)에 가공을 하여 일체로 자리홈(21a)을 형성하거나,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로 자리홈(21b)을 형성한 권취부재(23)를 권취부(21)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통상의 위치센서(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장착하여 상승 및 하강시 일정한 높이까지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 8 내지 도 9에서 도시된 것처럼 슬라이드부(30)는 하우징(10)의 프레임(14)에 결합하는 하우징 결합부(31)와 작동부(40)의 레일바(41)에 결합하는 작동부 결합부(32)를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 결합부(31)와 작동부 결합부(32)의 결합 및 원활한 슬라이딩 작동을 위해 하우징 결합부(31)와 작동부 결합부(32) 사이에는 슬라이딩 베어링부(33)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 결합부(31)와 작동부 결합부(32)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하되,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부(33)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너비를 축소시켜서 제작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에 형성된 프레임(14)의 삽입부(12)에 삽입 및 인출되는 작동부(40)는 하우징(10)의 프레임(14)에 형성된 슬라이드부(30)와 결합하는 레일바(41)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레일바(41) 상측으로 영상기(P)를 거취할 수 있는 거취대를 결합하는 거취대홈(42)으로 이루어진 베이스(43)를 형성하고, 상기 레일바(41)의 하측으로는 덮개부(44)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덮개부(44)는 본 발명이 초기화된 상태, 즉, 하우징(10)의 삽입부(12)에 작동부(40)가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덮개부(44)와 하우징의 걸림턱(11)이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셋팅되어 있어, 영상기(P)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외관이 미려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높이조절 볼트(50)는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부(40)의 베이스(43)에 결합되는 결합부(52)를 하측에 형성하고, 상측은 와이어(60)와 결합하는 홈(51)을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높이조절 볼트(50)의 결합부(52)의 길이(l)를 4 ∼ 6cm로 형성하여 와이어(60)를 작동부(40)와 구동부(20)의 권취부(21)에 결합하는 조립과정에서 와이어(60)의 길이를 정확히 맞추어, 작동부(40)가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와이어(60)는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으로 코팅부(61)를 형성하되, 표면이 거친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슬립현상 방지 및 구동부(20)에 감길 때에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영상기 리프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조립과정에 있어서, 통상의 조립방법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다만, 구동부(20)의 권취부(21)와 작동부(40)의 베이스(43)에 결합되어 있는 높이조절 볼트(50)의 홈(51)에 결합되는 2개의 와이어(60)를 결합하여 높이를 맞춤에 있어서, 높이조절 볼트(50)의 결합부(52)를 이용하여 작동부(40)가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수평을 맞춤으로써, 작업시간의 단축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영상기 리프트(100)는, 구동부(20)의 구동모터(22)를 제어함에 있어, 구동부(20)를 하우징(10)에 설치한 상태에서도 구동모터(22)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우징(10)에 형성된 조절홀(16)을 구비하여, 추후, 발생할 수 있는 작동상의 문제를 원활히 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영상기 리프트(100)를 천장(C)에 매입할 때에는 천장(C)에 자리홈(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미리 천공한 후, 상기 자리홈에 영상기 리프트(100)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이때에 사용자가 설치할 위치를 잘못 선정하여 자리홈을 뚫었을 경우, 다시 천장(C)에 천공을 하여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영상기 리프트(100)는 천장(C)에 매입하여 설치할 때에, 결합수단에 의해 하우징(10)에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고정부(13)에 의해 설치자가 설치할 위치를 잘못 선정하였을 때에도, 고정부(13)를 회전시켜 위치를 맞출 수 있기 때문에, 설치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설치가 완료가 되면, 영상기(P)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통상의 리모콘(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이나 제어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영상기 리프트(100)를 작동하게 되면, 구동부(20)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구동모터(22)가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을 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구동부(20)의 권취부(22)가 구동모터(22)에 의해 회전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코팅제(61)가 형성된 와이어(60)가 감기거나 풀어지면서 작동부(40)를 상하 리프팅하면서, 하우징(10)의 삽입부(12)로 작동부(40)가 삽입되거나 인출되어 진다.
이때에, 상기 코팅부(61)가 형성된 와이어(60)에 의해 구동부(20)의 귄취부(21)의 파손을 막음과 동시에, 소음저감을 이룰 수 있도록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구동부(20)에 형성된 구동모터(22)의 작동시 발생하는 소음은 일정한 높이로 하우징(10)이 천장(C)으로부터 일정한 이격거리를 형성하면서, 천장(C)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한 고정부(13)와 커버(17)의 소음저감부(15)에 의해 하우징(10)의 삽입부(12)내에서 소음이 공진하지 않고 외부로 방출되면서 소음저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구동부(20)의 권취부(21)에는 자리홈(21a)을 형성하거나, 자리홈(21b)이 형성된 권취부재(23)를 권취부(21)에 결합하여, 와이어(60)가 감길때에 얽히지 않고 순차적으로 감기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작동부(40)가 작동을 하게 되면, 상기 하우징(10)의 프레임(12)과 작동부(40)의 레일바(41)에 결합된 슬라이드부(30)도 작동을 하면서 작동부(40)의 원활한 리프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작용을 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슬라이드부(30)는 하우징(10)의 프레임(14)에 하우징 결합부(31)와 작동부(40)의 레일바(41)에 결합하는 작동부 결합부(32)가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딩 베어링부(33)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면서, 슬라이딩 베어링부(33)에 의해 슬라이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소음저감의 효과는 물론이거니와, 작동부(40)의 원활한 리프팅 작업을 함에 있어, 더욱 견고하면서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작용을 하게 되며, 아울러, 슬라이드부(30)의 너비를 축소시켜 제작이 가능한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영상기 리프터는 하우징에 결합하는 고정부가 하우징으로 부터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있어, 천장에 설치시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으며, 특히, 커버의 조절홀이 구동모터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 설치전 구동모터의 셋팅시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의 절곡부에 의해 하우징이 천장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된 상태에서 하우징 상측에 결합하는 커버의 소음 저감부로 하우징 삽입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천장과 텍스 사이로 빠져나가 하우징 삽입부의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부의 권취부에 형성된 자리홈에 의해 권취부에서 와이어가 잘못 감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측에 베어링을 삽입한 슬라이드부에 의해 소음저감 및 안정적인 리프터가 가능하다.
그리고, 하우징의 삽입홈에 작동부가 삽입되었을 때에, 작동부의 덮개부가 하우징의 걸림턱과 동일선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영상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와 작동부를 연결하는 와이어의 결합시 높이조절 볼트에 의해 용이하게 와이어의 길이를 맞출 수 있어 조립이 간편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표면이 거친 코팅제를 입힌 와이어에 의해 와이어로 인한 구동부의 파손 및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1)

  1. 천장에 결합하여, 영상기(P)를 천장(C)과 텍스(T) 사이에 삽입 및 인출할 수 있도록 하측으로 텍스(T)와 맞닿도록 걸림턱(11)을 형성하고, 내측으로는 삽입부(12)를 형성하며, 상측 모서리부분에는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어진 고정부(13)로 이루어진 프레임(14)을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14) 상측으로 결합되되 가장자리로 소음저감부(15)를 형성하고, 일측으로 조절홀(16)을 구비한 커버(17)로 이루어진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 내측의 삽입부(12)에 결합되며, 권취부(21)와 일측의 구동모터(21)로 구성된 구동부(20)와 상기 하우징(10)의 삽입부(12) 내의 모서리에 설치되는 슬라이드부(30)와 상기 하우징(10)의 삽입부(12) 내의 모서리에 설치된 슬라이드부(30)와 결합하는 레일바(41)를 형성하고, 상측으로는 영상기(P)를 거취할 수 있는 거취대를 결합할 수 있는 거취대홈(42)을 형성한 베이스(43)와 하측의 덮개부(44)를 형성한 작동부(40)와 상기 작동부(40)의 베이스(43)에 결합되며, 상측으로 홈(51)을 형성하고 하측으로 결합부(52)를 형성한 높이조절 볼트(50)와 일측은 상기 구동부(20)의 권취부(21)에 결합되고, 타측은 작동부(40)에 결합하는 높이조절볼트(50)에 결합되되, 외측으로 코팅부(61)를 형성한 와이어(60)로 이루어진 영상기 리프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프레임(14)에 결합한 고정부(13)는 일측으로 프레임(14)의 상측과 결합하는 프레임 결합부(13a)를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 결합부(13a) 보다 상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부(13b)를 형성하며, 상기 절곡된 일측으로는 천장(C)과 결합하는 천장 결합부(13c)를 형성한 것에 특징이 있는 영상기 리프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프레임(14)에 형성된 고정부(13)는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시 결합수단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영상기 리프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조절홀(16)은 구동부(20)의 구동모터(22)를 조작할 수 있도록 동일한 위치에 형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영상기 리프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20)의 권취부(21)에는 자리홈(21a)을 더 형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영상기 리프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20)의 권취부(21)에는 자리홈(21b)이 형성된 권취부재(23)를 결합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영상기 리프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30)는 하우징(10)에 형성된 프레임(14)에 결합하는 하우징 결합부(31)와 작동부(40)의 레일바(41)에 결합하는 작동부 결합부(32)를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 결합부(31)와 작동부 결합부(32)의 결합 및 슬라이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슬라이딩 베어링부(33)를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는 영상기 리프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30)의 하우징 결합부(31)와 작동부 결합부(32)는 슬라이딩 베어링부(33)를 감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영상기 리프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40)의 덮개부(44)는 하우징(10)의 삽입부(12)에 삽입되었을 때에 하우징(10)의 걸림턱(11)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영상기 리프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 볼트(50)는 와이어(60) 결합시 높이를 맞출 수 있도록 결합부(62)의 길이(l)를 4 ∼ 6cm로 형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영상기 리프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60)의 코팅부(61)는 표면이 거친 재질로 코팅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영상기 리프터.
KR1020070034713A 2007-04-09 2007-04-09 영상기 리프터 KR100760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4713A KR100760622B1 (ko) 2007-04-09 2007-04-09 영상기 리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4713A KR100760622B1 (ko) 2007-04-09 2007-04-09 영상기 리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0622B1 true KR100760622B1 (ko) 2007-09-20

Family

ID=38738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4713A KR100760622B1 (ko) 2007-04-09 2007-04-09 영상기 리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062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469B1 (ko) 2008-02-29 2010-03-29 동오정밀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용 벽걸이 걸개장치
CN109140192A (zh) * 2018-09-12 2019-01-04 格力电器(武汉)有限公司 一种升降装置
CN117647486A (zh) * 2024-01-29 2024-03-05 吉林大学 一种可燃气体泄漏浓度成像检测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686U (ko) * 1999-04-19 2000-11-25 노주석 리프터
KR200365042Y1 (ko) 2004-07-16 2004-10-15 박용균 프로젝터 리프터
JP2005138998A (ja) * 2003-11-04 2005-06-02 Chubu Video Products:Kk プロジェクター天井内収納用昇降装置
KR200424458Y1 (ko) 2006-06-09 2006-08-22 김황복 프로젝터 리프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686U (ko) * 1999-04-19 2000-11-25 노주석 리프터
JP2005138998A (ja) * 2003-11-04 2005-06-02 Chubu Video Products:Kk プロジェクター天井内収納用昇降装置
KR200365042Y1 (ko) 2004-07-16 2004-10-15 박용균 프로젝터 리프터
KR200424458Y1 (ko) 2006-06-09 2006-08-22 김황복 프로젝터 리프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469B1 (ko) 2008-02-29 2010-03-29 동오정밀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용 벽걸이 걸개장치
CN109140192A (zh) * 2018-09-12 2019-01-04 格力电器(武汉)有限公司 一种升降装置
CN117647486A (zh) * 2024-01-29 2024-03-05 吉林大学 一种可燃气体泄漏浓度成像检测装置
CN117647486B (zh) * 2024-01-29 2024-04-16 吉林大学 一种可燃气体泄漏浓度成像检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02802B2 (en) Control of architectural opening coverings
JP3201528U (ja) 電動ロールスクリーン省エネ補助装置
CN105525857B (zh) 窗帘控制器
US20030173036A1 (en) Blind and methods for operating thereof
KR100760622B1 (ko) 영상기 리프터
US20070044925A1 (en) Lockable cord pulling device
US10538961B2 (en) Dual-use pole for non-cord window blind assembly and blind slat lift mechanism using same
KR101530169B1 (ko) 케이블릴 콘센트 승강장치
JP2003301673A (ja) 電動ブラインド
KR200471267Y1 (ko) 롤 블라인드
KR100968703B1 (ko) 이동수단을 구비한 상향식 전동스크린
KR20100013472A (ko) 드럼 좌우측에 안내롤러를 갖는 그릴 승하강장치
JPH06146754A (ja) ブラインドの操作コードゲート
KR101060623B1 (ko) 블라인드
KR200449540Y1 (ko) 슬라이드레일형 프로젝터 리프터
JP2581990Y2 (ja) 電動ブラインド
JP3159296U (ja) 日射遮蔽装置のケーブル接続装置
JP5419436B2 (ja) シャッター装置のロック機構、及び、それを備えるシャッター装置
JP5342872B2 (ja) 横型ブラインドのスラット角度調節装置
JP2015132140A (ja) コードゲート、遮蔽装置
KR200415925Y1 (ko) 유무선 겸용 전동스크린
KR200358014Y1 (ko) Tv의 위치조절장치, 및 위치조절장치가 장착된 tv
KR200282802Y1 (ko) 프로젝터 리프터
JP2021188281A (ja) ブラインド用巻取装置
JP6218431B2 (ja) 日射遮蔽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