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9675Y1 - 프로젝터 리프터 - Google Patents

프로젝터 리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9675Y1
KR200239675Y1 KR2020010008564U KR20010008564U KR200239675Y1 KR 200239675 Y1 KR200239675 Y1 KR 200239675Y1 KR 2020010008564 U KR2020010008564 U KR 2020010008564U KR 20010008564 U KR20010008564 U KR 20010008564U KR 200239675 Y1 KR200239675 Y1 KR 2002396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or
mounting means
housing
lift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85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주석
Original Assignee
노주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주석 filed Critical 노주석
Priority to KR20200100085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96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96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9675Y1/ko

Links

Landscapes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프로젝터를 수납한 리프터의 승,하강 동작 신뢰성을 보장하면서 박형화를 도모하여 낮은 천장에서도 설치가 가능토록 한 프로젝터 리프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프로젝터 리프터는 건물의 천장 내측에 설치되며 하방향으로 개방된 상자형상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상측에 구비되며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승,하강되어 하우징내로 삽입되거나 또는 외부로 인출되며, 내부에 프로젝터가 탑재되는 탑재수단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상측과 탑재수단 상측을 연결하여 탑재수단의 승,하강시 유동을 방지하며 탑재수단의 승,하강 동작에 연동하여 수직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되는 유동방지수단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프로젝터 리프터는 유동방지수단이 폭방향으로 소정변위를 가지면서 수직하는 방향으로 길이 조절을 이루기 때문에 유효 동작구간을 최소로 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리프터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프로젝터 리프터{Projector lifter}
본 고안은 프로젝터 리프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승하강 동작에 의해 프로젝터를 천장내에 수납시키거나 또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프로젝터 리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로젝터는 PC, DVD, VCR, 켐코더등의 외부기기를 연결하여 원하는PC 화면이나 동영상등을 초대형 화면으로 스크린에 투사하여 사용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프로젝터는 기존에 사용하던 OHP 기기의 번거로움을 해소하여 바로 스크린에 PC상의 각종자료를 초대형화면으로 투사하여 회의, 프리젠테이션 등을 진행할 수 있는 장점으로 기업이나 공공기관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외에도 일반가정이나 소형극장, 카페 등에서 영화감상 등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프로젝터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크게 영상을 만들어 내는 소자의 종류에 따라 PRT 방식 프로젝터와, LCD 방식 프로젝터로 대별된다.
여기서, PRT프로젝터는 고성능 PRT(TV에 사용하는 브라운과 같은 것) 을 채용해 화면을 투사하는 것으로 투사렌즈가 3개로 되어 구성되어 있으며, 화질이 자연스럽고 선명한 화면을 표현할 수 있으므로 A/V전용으로 일부 사용되고 있다.
또한, LCD프로젝터는 화면 표시를 위해 LCD를 사용한 것으로 요즘은 크기는 점점 작아지고 밝기는 더욱 밝아지고 있으며, 또한 PC와의 호환성이 우수하여 학교, 관공서, 기업체에는 대부분 LCD방식의 프로젝터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프로젝터는 주로 바닥면에 설치하거나 또는 천정에 고정시켜 사용하게 되는데, 이는 사용하지 않는 중에도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없는 단점이 발생하며, 특히 파손의 위험이 큰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종래에는 프로젝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천장 벽면측에 근접하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리프터가 제안되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프로젝터 리프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터는 크게 케이스(100)와 구동장치 및 가이드장치로 구성된다.
케이스(100)는 내측에 수납공간부를 마련하여 프로젝터(p)를 수납시키도록 이루어지며, 구동장치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선택적으로 천장(c)내부로 수납 및 인출된다.
구동장치는 도면에서 바라보면 천장(c)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크게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10)와, 상기 모터(11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드럼 샤프트(120)와, 상기 드럼 샤프트(120)의 외주연에 일단이 감기고 타단은 케이스(100)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한쌍의 와이어(130)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동장치는 모터(110)의 구동력에 의해 드럼 샤프트(120)가 회전을 이루게 되면, 한쌍의 와이어(130)가 드럼 샤프트(120)의 외주연을 따라 감기거나 또는 풀리게 되는데, 이러한 와이어(130)의 감김 또는 풀림에 의해 케이스(100)의승,하강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가이드장치는 상기 케이스(100)의 승,하강 동작시 케이스(100)가 이송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가이드장치는 크게 가이드바(140)와 가이드레일(145)로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바(14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부재로서 케이스(100)의 상측 네모서리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145)은 가이드바(140)를 감싸는 형태로 천장(c) 내부에 설치된다.
즉, 케이스(100)의 상,하 이동시 가이드바(140)가 가이드레일(145)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됨으로써 유동이 방지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프로젝터 리프터는 와이어(130) 구동방식에 의해 케이스(100)의 승,하강 동작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와이어(130)와 샤프트(120)간에 슬립현상을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상기 슬립현상이 한쌍의 와이어(130)에 각각 발생하는 경우에는 케이스(100)가 기울어진 상태로 승,하강되므로 자칫 프로젝터(p)의 파손을 유발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제품의 신뢰성을 크게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프로젝터 리프터는 구조적으로 박형화시키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천장(c) 내부 높이가 낮은 건물에서는 설치가 불가능하거나 또는 케이스(100)가 천장(c) 내부로 완전 수납시킬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프로젝터 리프터는 기본적으로 프로젝터(p)를 수납시키기 위한 케이스(100)가 갖는 높이와, 가이드바(140)가 갖는 높이 그리고 구동장치의 설치높이를 모두 합하면 최소 1m 이상의 설치공간을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천장(c)의 내부 높이가 낮은 건물에서는 설치가 불가능해지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프로젝터를 수납한 프로젝터의 승,하강 동작 신뢰성을 보장하면서 박형화를 도모하여 낮은 천장에서도 설치가 가능토록 한 프로젝터 리프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프로젝터 리프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프로젝터 리프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프로젝터 리프터를 나타낸 측면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프로젝터 리프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요부 구성도.
도 5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프로젝터 리프터의 승,하강을 나타낸 구성도.
도 7은 도 2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내지 도 10은 도 7에 나타낸 프로젝터 리프터의 구성도.
도 11는 도 2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우징 20 : 구동수단
21 : 모터 22 : 회전축
23 : 밴드 와이어 30 : 탑재수단
31 : 프레임 31a : 관통홀
32 : 케이스 33 : 브래킷
34 : 포스트 40 : 유동방지수단
41 : 연결체 41a, 41b : 지지편
41c : 슬릿 c : 천장
p : 프로젝터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프로젝터 리프터는 건물의 천장 내측에 설치되며 하방향으로 개방된 상자형상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상측에 구비되며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승,하강되어 하우징내로 삽입되거나 또는 외부로 인출되며, 내부에 프로젝터가 탑재되는 탑재수단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상측과 탑재수단 상측을 연결하여 탑재수단의 승,하강시 유동을 방지하며 탑재수단의 승,하강 동작에 연동하여 수직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되는 유동방지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으로서, 상기 구동수단은 전원 공급을 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일단이 연결되어 감김 또는 풀림되며 타단은 탑재수단 상측에 연결되는 금속밴드로 구성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측면에 유동방지수단의 일단이연결되며 중앙에는 소정크기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테두리측으로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판재형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관통홀을 통과하는 크기를 가지며 내부에 프로젝터를 수납시키는 공간부가 마련되고 상측면에 구동수단의 일단이 연결되는 상자형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면 테두리에 일정간격을 두고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수회 절곡되어 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되며, 이 타단은 케이스의 구멍에 일치되는 구멍이 형성된 브래킷과; 상기 프레임과 케이스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디어 이들을 연결하며 케이스가 프레임의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포스트 구성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으로서, 상기 유동방지수단은 일정한 길이를 갖는 한쌍의 지지편을 상호 중심에서 엇갈리게 배치하고 이들 지지편을 그 중심에서 힌지 결합시킨 연결체를 최소 2개 이상 연결하여 연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유동방지수단은 하우징과 탑재수단의 사방으로 구비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유동방지수단은 하우징과 탑재수단을 연결함에 있어 120도의 각도를 갖는 삼각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프로젝터 리프터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터 리프터는 크게 외체를 형성하는 하우징(10)과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수단(20)과 프로젝터(p)가 탑재되는 탑재수단(30) 그리고 탑재수단(30)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수단(40)으로 구성된다.
하우징(10)은 건물의 천장(c)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종 구성품이 설치 또는 내장될 수 있도록 내부에 소정크기의 공간이 마련되며, 도면에서 바라보면 하측면이 개방된 상자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하우징(10)의 내부 상측에는 구동수단(20)이 마련되며, 이 구동수단(20)의 하측으로 탑재수단(30)이 구비되도록 이루어진다.
구동수단(20)은 탑재수단(3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생성 및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모터(21)와 회전축(22) 그리고 밴드 와이어(2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모터(21)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소정의 회전력을 생성하는 것으로서, 그 출력단에는 회전축(22)이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회전축(22)의 일단에는 소정폭을 갖는 강제로 성형된 박판의 밴드 와이어(23)가 결합되며, 이러한 밴드 와이어(23)는 회전축(22)의 외주연을 따라 감김되거나 풀림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구동수단(20)은 전술한 하우징(10)의 내부 상측에 설치 고정되며, 모터(21)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배선된다.
탑재수단(30)은 프로젝터(p)를 탑재시키는 것으로서, 전술한 구동수단(20)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승,하강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탑재수단(30)은 크게 프레임(31)과 케이스(32) 그리고 브래킷(33)및 포스트(34)로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31)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재형의 부재로서, 중앙에는 상자형상을 갖는 케이스(32)가 통과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사각형의 관통홀(31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31)은 테두리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관통된 구멍(미도시)이 형성되며, 이 관통된 구멍(미도시)으로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포스트(34)가 삽입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32)는 상자 형상을 갖는 부재로서 상측면 중앙부에는 구동수단(20)의 밴드 와이어(23)의 일단이 연결되며, 이 밴드 와이어(23)를 통해 모터(21)의 구동력을 전달받게 된다.
여기서, 상기 브래킷(33)은 일단이 케이스(32)의 상측면 테두리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되며, 타단은 수회 절곡되어 프레임(31)의 상측에 위치되게 되는데, 이때의 브래킷(33) 타단은 프레임(31)의 테두리에 형성된 관통 구멍(미도시)과 일치되는 위치를 갖는다.
또한, 상기 브래킷(33)의 타단은 프레임(31)의 테두리에 형성된 관통구멍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며, 이들 브래킷(33) 및 프레임(31)에 각각 형성된 관통구멍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포스트(34)가 삽입된다.
상기 포스트(34)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일종의 축으로서, 브래킷(33)과 프레임(31)에 형성된 각각의 관통구멍을 삽입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포스트(34)는 그 양측 끝단부가 관통구멍의(미도시) 지름에 비하여 크게 제작됨으로써 관통구멍(미도시)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탑재수단(30)은 프레임(31)과 케이스(32)가 상호 포스트(34)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케이스(32)가 프레임(31)으로부터 포스트(34)가 갖는 길이만큼 하향 이동되거나 또는 상향 이동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유동방지수단(40)은 탑재수단(30)의 승,하강 동작시 탑재수단(30)이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의 유동을 안정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하우징(10)의 내부 상측면과 탑재수단(30)의 프레임(31) 테두리측에 연결 구성된다.
이러한 유동방지수단(40)은 일정한 길이를 갖는 한쌍의 지지편(41a),(41b)을 서로 중심에서 어긋나게 배치 시켜 교차되는 중심을 힌지 결합시켜 연결체(41)를 형성하고, 이러한 연결체(41)를 2조 이상 연속적으로 연결구성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연결체(41)는 한쌍의 지지편(41a),(41b)이 X자형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교차되는 중심을 힌지결합시킨 부재이며, 이러한 연결체(41)는 최소 2조 이상이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체(41)를 2조 이상 연결시키는 방법은 연결체(41)와 연결체(41)의 각 끝단부를 서로 힌지 결합하여 상호 연결되는 부위의 형상이 마름모꼴을 갖도록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유동방지수단(40)은 폭방향으로 소정변위를 가지면서 이와 동시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해지게 된다.
또한, 유동방지수단(40)을 구성하는 연결체(41)중 양측 끝에 위치하는 연결체(41)는 힌지결합부위에 슬릿을 형성하여 폭방향 변위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유동방지수단(40)은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10)과 탑재수단(30)의 사방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에는 탑재수단(30)이 승,하강 동작을 할 때 별도의 가이드부재에 의존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의 유동을 안정되게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7내지 도 10은 도 2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하에서는 도 2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며 동일부품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터 리프터는 외체를 형성하는 상자형상을 갖는 하우징(10)과, 이 하우징(10) 내부 상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수단(20)과, 상기 구동수단(20)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하우징(10) 내로 삽입 또는 외부로 인출되는 것으로 프로젝터(p)가 탑재되는 탑재수단(30)과, 상기 탑재수단(30)의 승,하강 동작을 안정되게 안내하는 유동방지수단(40)으로 구성된다.
하우징(10)은 천장(c)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에 구동수단(20) 및 유동방지수단(40) 그리고 탑재수단(30)을 수용할 정도의 공간이 구비된다.
이러한 하우징(10)의 내부 상측에는 구동수단(20)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구동수단(20)은 전원공급을 받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21)와, 이 모터(21)의 출력단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을 이루는 회전축(22), 그리고, 회전축(22)에 일단이 연결되어 감김 또는 풀림 작용을 하는 와이어(23)밴드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탑재수단(30)은 상자형상으로 제작되어 그 내부에 프로젝터(p)가 탑재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측면으로는 전술한 구동수단(20)의 와이어(23)밴드 일단이 연결된다.
이와 같은 탑재수단(30)은 유동방지수단(40)에 의해 승,하강 동작시 발생하는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유동방지수단(40)은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한쌍의 지지편(41a),(41b)을 X자형으로 배치시키고 교차되는 중심을 힌지 결합한 연결체(41)를 하나 이상 연결 구성한 것으로, 이러한 유동방지수단(40)은 일단이 하우징(10)의 내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케이스(32)의 상측 테두리측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유동방지수단(40)은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10)과 탑재수단(30)의 사방으로 구성되지만, 이에 제한하지 않고 탑재수단(30)의 유동을 안정적으로 방지시킬 수 있는 구조적인 특징을 갖는다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동방지수단(40)을 120도의 각도를 갖는 삼각형상으로 구비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는 탑재수단(30)의 구성을 단순히 상자형상을 갖는 케이스(32)만으로 구성시킨 것에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프로젝터 리프터의 작동 상태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 되 관련도면 제2도 내지 제6도를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모터(21)가 어느 일방향으로 작동하게 되면, 이 모터(21)의 출력단에 일체로 결합된 회전축(22)이 동일 방향으로 회전을 이루게 되고, 이 회전축(22)의 회전에 의해 와이어(23) 밴드가 감김 또는 풀림 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23) 밴드가 풀리는 경우에는 케이스(32)가 하향 이동을이루게 되는데, 이때의 케이스(32)는 유동방지수단(40)에 의해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의 유동이 방지되는데, 이때의 유동방지수단(40)은 다수개의 연결체(41)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폭방향으로 좁아지면서 결과적으로 수직방향으로 신장된다.
여기서, 상기 유동방지수단(40)이 완전히 신장된 상태를 이루게 되면, 이 유동방지수단(40)의 하측단과 연결된 프레임(31)의 하강이 완료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31)의 하강이 완료되더라도 케이스(32)는 프레임(31)에 포스트(34)로 연결된 상태이므로 포스트(34)가 갖는 길이만큼 하향 이동되어 하강 동작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케이스(32)가 하강된 상태에서 다시 상승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모터(21)의 역구동에 의해 와이어(23) 밴드가 회전축(22)에 감김되어 케이스(32)가 상향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23) 밴드의 승강력은 케이스(32)에만 전달되므로, 상기 케이스(32)는 프레임(31)의 관통홀(31a)을 통과하여 상향 이동을 이루게 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32)에 작용하는 승강력은 결과적으로 포스트(34)로 연결된 프레임(31)에 전달되며, 이러한 승강력에 의해 케이스(32)를 포함한 프레임(31) 일체가 상향 이동을 이루어 하우징(10)내로 완전 수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32)의 승강시 유동방지수단(40)은 프레임(31)의 상향 이동에 연동하여 각 연결체(41)의 폭이 넓어지는 형태를 갖게 되어 수직방향으로 수축을 이루게 된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프로젝터 리프터는 유동방지수단이 폭방향으로 소정변위를 가지면서 수직하는 방향으로 길이 조절을 이루기 때문에 유효 동작구간을 최소로 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리프터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유동방지수단은 구동수단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을 이루는 탑재수단을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건물의 천장 내측에 설치되며 하방향으로 개방된 상자형상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상측에 구비되며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승,하강되어 하우징내로 삽입되거나 또는 외부로 인출되며, 내부에 프로젝터가 탑재되는 탑재수단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상측과 탑재수단 상측을 연결하여 탑재수단의 승,하강시 유동을 방지하며 탑재수단의 승,하강 동작에 연동하여 수직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되는 유동방지수단;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리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전원 공급을 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일단이 연결되어 감김 또는 풀림되며 타단은 탑재수단 상측에 연결되는 금속밴드 와이어;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리프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수단은
    상측면에 유동방지수단의 일단이 연결되며 중앙에는 소정크기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테두리측으로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판재형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관통홀을 통과하는 크기를 가지며 내부에 프로젝터를 수납시키는 공간부가 마련되고 상측면에 구동수단의 일단이 연결되는 상자형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면 테두리에 일정간격을 두고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수회 절곡되어 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되며, 이 타단은 케이스의 구멍에 일치되는 구멍이 형성된 브래킷과;
    상기 프레임과 케이스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디어 이들을 연결하며 케이스가 프레임의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포스트;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리프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수단은 일정한 길이를 갖는 한쌍의 지지편을 상호 중심에서 엇갈리게 배치하고 이들 지지편을 그 중심에서 힌지 결합시킨 연결체를 최소 2개 이상 연결하여 연동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리프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수단은 하우징과 탑재수단의 사방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리프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수단은 하우징과 탑재수단을 연결함에 있어 120도의 각도를 갖는 삼각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리프터.
KR2020010008564U 2001-03-28 2001-03-28 프로젝터 리프터 KR2002396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8564U KR200239675Y1 (ko) 2001-03-28 2001-03-28 프로젝터 리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8564U KR200239675Y1 (ko) 2001-03-28 2001-03-28 프로젝터 리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9675Y1 true KR200239675Y1 (ko) 2001-10-18

Family

ID=73081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8564U KR200239675Y1 (ko) 2001-03-28 2001-03-28 프로젝터 리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967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875B1 (ko) * 2002-02-05 2004-06-07 홍부표 수납식 조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875B1 (ko) * 2002-02-05 2004-06-07 홍부표 수납식 조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7166B2 (en) Cabinet projection screen with automatic cover-lifting function
WO2007003012A1 (en) Audio visual system
KR200239675Y1 (ko) 프로젝터 리프터
KR20210050800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8962036B (zh) 一种可折叠显示装置
KR200282802Y1 (ko) 프로젝터 리프터
KR102091359B1 (ko) 건축물용 전기 케이블 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전기 케이블 포설방법
EP4116798A1 (en) Shelter and sheltering apparatus
JP2549484B2 (ja) シアター装置
KR100760622B1 (ko) 영상기 리프터
KR200402702Y1 (ko) 프로젝터 스크린 장치
KR101976335B1 (ko) 창문 자동 개폐 장치
JP2581757Y2 (ja) ビデオプロジェクターの投影装置
KR200344907Y1 (ko) 홈시어터용 스크린장치
KR101590223B1 (ko) 도어 스크린을 포함하는 원형 영상 스크린
KR200279696Y1 (ko) 승강형 반사판을 갖는 프로젝터 시스템
KR20090119445A (ko) 이동수단을 구비한 상향식 전동스크린
KR200413444Y1 (ko) 전동식 리프터
KR20070063224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높이 조절 구조
KR20200116029A (ko) 멀티미디어 설비
KR200424458Y1 (ko) 프로젝터 리프터
KR200233195Y1 (ko) 천정내장용 프로젝터 장치
CN220323705U (zh) 一种环幕影厅
KR20050065049A (ko) 홈시어터용 스크린장치
JP2585044Y2 (ja) スクリー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2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