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6335B1 - 창문 자동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창문 자동 개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6335B1
KR101976335B1 KR1020180167176A KR20180167176A KR101976335B1 KR 101976335 B1 KR101976335 B1 KR 101976335B1 KR 1020180167176 A KR1020180167176 A KR 1020180167176A KR 20180167176 A KR20180167176 A KR 20180167176A KR 101976335 B1 KR101976335 B1 KR 101976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alignment
fixing
wir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7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춘용
Original Assignee
이춘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춘용 filed Critical 이춘용
Priority to KR1020180167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3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5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screw-and-nut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96Screw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96Screw mechanisms
    • E05Y2201/70Nu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문 자동 개폐 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스크류 축을 지지하는 축 지지블럭의 안정적인 고정을 통해 스크류 축을 따라 이동체가 비틀림이나 처짐없이 안정적으로 직선 이동하여 창문에 대한 자동 개폐 성능을 향상시킴은 물론, 하우징이 측면 또는 바닥면에 개방된 전선 회피 공간을 마련하고 여기에 수용공간 안에 설치되는 각 구성요소들을 연결하는 전선을 수용하여 외측에 원터치 결합 방식으로 리미트 스위치를 간편하게 결합 고정하고, 리미트 스위치 또는 모터 등 주변 연결부재와의 거리 조정이 필요시 전선이 당겨지는 것을 방지시켜 전선 피복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시킴은 물론 전선과 모터의 간섭을 방지하면서 창문 자동 개폐를 위한 안정적인 구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창문 자동 개폐 장치 {APPARATUS FOR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A WINDOW}
본 발명은 창문 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크류 지지블럭을 하우징의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스크류 지지블럭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스크류 축을 비틀림이나 처짐없이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한 체 수평 정렬시켜 스크류 축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체가 안정적으로 창문을 자동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창문 자동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또는 아파트 거실이나 발코니에 설치되는 창틀 프레임에는 회전형 또는 슬라이드형의 창문이 설치되며, 이러한 창문은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열고 닫는 방식에 의하여 개폐되므로, 상기 창문을 개폐하는 경우 반드시 사람이 창문까지 가서 그 창문을 직접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1192호, 등록특허공보 제10-1192730호, 등록특허공보 제10-1824216호 등의 창문 자동 개폐장치가 개시에 이루렀다.
한편, 등록특허공보 제10-1824216호(공고일 2018.01.31)에서는, 창문 자동개폐장치의 구동장치부가 설치되는 하우징을 전선이 가지런하게 정돈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이 하우징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스크류가 조금도 삐뚤어지지 않고 정위치에 바르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우징을 형성하며, 창문이 변형 등의 이유로 삐뚤어지게 슬라이딩되는 경우에도 스크류에 나사식으로 감싸게 삽입되는 암나사블록이 원활하게 나사식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선이 보호되어 고장발생을 최소화하고 창문 자동개폐장치가 원활하게 제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등록특허공보 제10-1824216호는 전선 정리를 위해 하우징내에 하부 공간이 마련될 수 있도록 하는 구동부 설치판이 설치되고 이를 보강지지대가 지지하고 있어야 하므로, 하우징의 바닥부를 이중 구조로 구성해야 하며, 특히 상기 구동부 설치판의 경우 보강지지대에 의해 공중에 부양된 형태를 이루게 되므로 이에 고정되는 스크류 축 지지블럭(암나사블럭)이 모터의 구동에 따른 진동으로부터 흔들릴 수 있으며, 이 경우 스크류 축을 따라 직선 이동하는 이동부의 이동이 원활하지 못해, 창문에 대한 자동 개폐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은 등록특허공보 제10-1824216호는 전선을 이중 구조의 바닥부로 회피하기 위하여 바닥판에 전선안내구멍을 천공하여야 하는데, 이 같은 전선안내구멍을 통과하는 전선이 90도로 꺾이며 안내되어야 하는 것이어서 리미트 스위치 또는 모터 등 주변 연결부재와의 거리 조정을 전선이 당겨지는 경우 알루미늄 소재의 날카로운 전선안내구멍 둘레면으로 인하여 전선의 꺾임부 피복이 손상되는 중대한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는 것이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1192호(등록일 2006.11.09)
등록특허공보 제10-1192730호(등록일 2012.10.12)
등록특허공보 제10-1824216호(등록일 2018.01.25)
등록특허공보 제10-1824216호(공고일 2018.01.3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스크류 축을 지지하는 축 지지블럭의 안정적인 고정을 통해 스크류 축을 따라 이동체가 비틀림이나 처짐없이 안정적으로 직선 이동하여 창문의 자동 개폐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창문 자동 개폐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하우징이 측면 또는 바닥면에 개방된 전선 회피 공간을 마련하고 여기에 수용공간 안에 설치되는 각 구성요소들을 연결하는 전선을 간섭없이 수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리미트 스위치 또는 모터 등 주변 연결부재와의 거리 조정시 전선이 당겨지더라도 전선 피복이 손상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창문 자동 개폐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조립성이 용이하며 안정적인 구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창문 자동 개폐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창문 자동 개폐 장치는, 창틀에 체결부재로 고정되는 측면판과 상기 측면판으로 꺽임되는 하부판으로 이루어지는 L자형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양끝단에 배치되는 한 쌍의 축 고정블럭;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축 고정블럭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크류 축; 상기 하우징 타단에 배치되며, 상기 스크류 축을 회전시키도록 구동하는 모터; 창문과 고정 브라켓으로 연결되며, 상기 창문을 자동 개폐시키도록 상기 스크류 축에 나사식으로 설치되면서, 상기 스크류 축의 회전시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이동체; 를 포함하고, 상기 축 고정블럭과 상기 모터는 상기 스크류 축에 대한 비틀림이나 처짐, 그리고 상기 모터의 구동력 전달에 따른 진동으로부터 떨림이 방지되도록 정렬 고정부에 의해 정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렬 고정부는, 상기 축 고정블럭에 양단이 고정되는 상기 스크류 축의 비틀림이나 처짐을 방지시키면서 수평 정렬하도록 상기 하부판으로부터 돌출되는 ∩자형의 제 1 정렬돌기; 상기 축 고정블럭의 하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정렬돌기가 끼움 결합되는 ∩자형의 제 1 정렬홈;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정렬돌기와 상기 축 지지블럭은 저면 또는 측면으로 체결되는 핀 부재에 의해 결합 고정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측면판에는 길이방향으로 전선 수용홈을 형성하고, 상기 전선 수용홈에는 제 1 결합 핀을 가지는 한 쌍의 전선고정용 클램프 블럭을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며,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전선 고정용 클램프 블럭에는 상기 제 1 결합 핀이 끼움되는 제 1 결합홀을 형성한 리미트 스위치를 각각 결합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측면판의 전선 수용홈에는 제 2 결합 핀을 가지는 한 쌍의 기판 고정용 클램프 블럭을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한 쌍을 이루는 상기 기판 고정용 클램프 블럭에는 상기 제 2 결합 핀이 끼움되는 제 2 결합홀을 형성한 기판을 결합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선 고정용 클램프 블럭에는 전선이 안착되는 내측홈부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선 수용홈은 이중 구조를 이루는 측면판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측면판은 상기 창틀에 체결부재로 체결 고정시, 다른 측면판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은 덮개에 의해 덮혀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모터 저면측에는 고정프레임을 결합시키되, 상기 고정프레임에는 상기 모터에 대한 비틀림이나 처짐을 방지시키면서 수평 정렬하도록 상기 제 1 정렬돌기에 안착 가능한 ∩자형의 제 1 정렬홈; 을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정렬 고정부는, 상기 하부판으로부터 서로 마주하는 대칭 구조로 돌출 연장되면서 전선이 안착되는 ∪자형 전선 유도홈을 형성한 한 쌍의 정렬 수직판; 상기 축 고정블럭 중심부 하단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전선 유도홈으로 삽입된 전선을 누름 정렬하고, 상기 축 고정블럭에 양단이 고정되는 상기 스크류 축의 비틀림이나 처짐을 방지시키면서 수평 정렬하도록 상기 전선 유도홈의 상단 일부에 끼움되어 상기 정렬 수직판에 의해 지지되는 제 2 정렬돌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정렬 수직판과 상기 축 고정블럭에는 각각 제 1 및 제 2 수평 확장부를 연장시켜 이들을 체결부재로 체결 고정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정렬돌기에는 상기 전선 유도홈에 삽입되는 전선이 상부로 들리지 않도록 누름 정렬시키는 누름 경사홈을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축 고정블럭에 인접하는 상기 정렬 수직판의 제 1 수평확장부에는 고정프레임의 제 3 수평 확장부를 체결부재로 체결 고정하고, 상기 고정프레임에는 제 1 결합홀을 형성한 상기 리미트 스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제 3 결합 핀을 돌출 형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스크류 축을 지지하는 축 지지블럭의 안정적인 고정을 통해 스크류 축을 따라 이동체가 비틀림이나 처짐없이 안정적으로 직선 이동하여 창문에 대한 자동 개폐 성능을 향상시킴은 물론, 하우징이 측면 또는 바닥면에 개방된 전선 회피 공간을 마련하고 여기에 수용공간 안에 설치되는 각 구성요소들을 연결하는 전선을 수용하여 리미트 스위치 또는 모터 등 주변 연결부재와의 거리 조정이 필요시 전선이 당겨지더라도 전선 피복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시킴은 물론 전선과 모터의 간섭을 방지하면서 창문 자동 개폐를 위한 안정적인 구동이 이루어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창문 자동 개폐 장치 구조를 보인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창문 자동 개폐 장치 일단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창문 자동 개폐 장치의 타단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창문 자동 개폐 장치의 구조를 보인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창문 자동 개폐 장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창문 자동 개폐 장치 구조를 보인 단면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창문 자동 개폐 장치의 구조를 보인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창문 자동 개폐 장치의 일단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창문 자동 개폐 장치의 타단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창문 자동 개폐 장치의 구조를 보인 결합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 자동 개폐 장치는, 하우징(10), 축 고정블럭(20), 스크류 축(30), 모터(40), 이동체(50), 그리고 정렬고정부(60)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10)은 창틀(101)에 체결부재(103)로 고정되는 측면판(11)과, 상기 측면판(11)으로 꺽임되는 하부판(12)으로 이루어지는 L자형 구조물로 구성되며, L자형 구조물인 상기 하우징(10)은 하우징 커버(90)에 의해 밀폐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측면판(11)에는 길이방향, 즉 상기 스크류 축(30)을 따라 전선 수용홈(1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선 수용홈(13)에는 제 1 결합 핀(71)을 가지는 한 쌍의 전선 고정용 클램프 블럭(70, 70')을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전선 고정용 클램프 블럭(70, 70')에는 상기 제 1 결합 핀(71)이 끼움되는 제 1 결합홀(105a)을 형성한 리미트 스위치(105, 105')를 각각 결합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전선 수용홈(13)의 양단에 각각 전선 고정용 클램프 블럭(70, 70')을 배치한 후 이에 리미트 스위치(105, 105')를 원터치로 결합하여 두면, 상기 스크류 축(30)을 따라 상기 이동체(50)의 직선 이동이 이루어질 때, 상기 이동체(50)의 직선 이동 거리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서로 마주하는 상기 전선 고정용 클램프 블럭(70, 70')의 이격 거리 내에서 상기 전선 고정용 클램프 블럭(70, 70')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는 상기 리미트 스위치(105, 105')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때 상기 전선 수용홈(13)을 따라 수평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상기 전선 고정용 클램프 블럭(70, 70')은 조정된 위치에서 미끄럼이 방지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도시없음)가 부가 될 수 있다.
이로서 상기 이동체(50)의 직선 이동 거리를 간편하게 재 설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전선 고정용 클램프 블럭(70, 70')에는 전선(107)이 안착되는 내측홈부(7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전선(107)은 상기 전선 수용홈(13)을 따라 직선 이동이 가능한 상기 전선 고정용 클램프 블럭(70, 70')에 의해 꼬임 등이 방지되면서 정렬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리미트 스위치(105, 105')의 거리 조정시 상기 전선(107)이 당겨지더라도 상기 전선 수용홈(13)을 벗어나지 않게 되고 따라서 전선 피복이 손상되거나 상기 전선(107)과 상기 모터(40)의 간섭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측면판(11)의 전선 수용홈(13)에는 제 2 결합 핀(81)을 가지는 한 쌍의 기판 고정용 클램프 블럭(80)을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한 쌍을 이루는 상기 기판 고정용 클램프 블럭(80)에는 상기 제 2 결합 핀(81)이 끼움되는 제 2 결합홀(106a)을 형성한 회로 기판(106)을 결합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회로기판(106) 또한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회로기판(106)으로부터 인출되는 전선(107)이 표면으로 노출됨이 없이 안정적으로 정렬되어 상기 전선(107) 피복이 손상되거나 상기 전선(107)과 상기 회로 기판(106)의 간섭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전선 수용홈(13)은 이중 구조를 이루는 측면판(11, 11')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측면판(11)은 상기 창틀(101)에 체결부재(103)로 체결 고정시, 다른 측면판(11')에는 관통홀(11b)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1b)은 덮개(11c)에 의해 덮혀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축 고정블럭(20, 20')은 한 쌍의 구조물로, 상기 하우징(10)의 양끝단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다.
이같은 상기 축 고정블럭(20, 20')의 중심부 하단에는, ∩자형의 제 2 정렬홈(62)을 형성한 것이다.
상기 스크류 축(30)은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축 고정블럭(20, 20')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모터(40)는 상기 하우징(10)의 타단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스크류 축(30)을 회전시키도록 구동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모터(40)의 저면측에는 고정프레임(41)을 결합시키되, 상기 고정프레임(41)에는 상기 정렬 고정부(60)에 포함되는 후술하는 제 1 정렬돌기(61)에 안착 가능한 ∩자형의 제 1 정렬홈(42)을 형성한 것이다.
이에따라, 상기 모터(40)는 상기 제 1 정렬홈(42)에 끼움 결합되는 상기 제 1 정렬돌기(61)에 의해 비틀림이나 처짐이 방지되면서 수평 정렬이 가능하게 되면서, 상기 모터(40)의 구동에 따른 진동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이동체(50)는 창문(102)과 고정 브라켓(104)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창문(102)을 자동 개폐시키도록 상기 스크류 축(30)에 나사식으로 설치되면서, 상기 스크류 축(30)의 회전시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것이다.
상기 정렬 고정부(60)는 상기 축 고정블럭(20, 20')과 상기 모터(40)를 수평 정렬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축 고정블럭(20, 20')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상기 스크류 축(30)의 비틀림이나 처짐, 그리고 상기 모터(40)의 구동력 전달에 따른 진동으로부터 떨림을 방지시키는 것이며, 상기 하부판(12)으로부터 돌출되는 ∩자형의 제 1 정렬돌기(61)와, 상기 축 고정블럭(20, 20')의 하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정렬돌기(61)가 끼움 결합되는 ∩자형의 제 2 정렬홈(62)을 포함하는 한편, 상기 제 1 정렬돌기(61)와 상기 축 지지블럭(20, 20')은 저면 또는 측면으로 체결되는 핀 부재(63)에 의해 결합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정렬 고정부(60)를 통해 상기 축 고정블럭(20, 20')과 상기 모터(40)가 수평 정렬되면서, 상기 축 고정블럭(20, 20')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스크류 축(30)은 비틀림이나 처짐없이 안정적인 회전이 가능하게 되면서, 상기 스크류 축(30)을 따라 상기 이동체(50)가 안정적으로 직선 이동하면서 창문에 대한 개폐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창문 자동 개폐 장치를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하우징 커버(90)를 분리시킨 하우징(10)을 창틀(101)에 고정나사와 같은 체결부재(103)를 통해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0)의 일단에서 제 1 정렬돌기(61) 양끝단에 각각 축 고정블럭(20, 20')을 설치한 후, 상기 축 고정블럭(20, 20')에 스크류 축(30)의 양단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 1 정렬돌기(61)의 저면측 또는 상기 축 고정블럭(20, 20')의 측면에서 핀 부재(63)를 체결하여, 상기 축 고정블럭(20, 20')과 상기 제 1 정렬돌기(61)를 고정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하우징(10)의 타단에서 상기 제 1 정렬돌기(61)에 모터(40)가 고정된 고정프레임(41)의 제 1 정렬홈(42)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정프레임(41)을 핀 부재 등을 통해 상기 제 1 정렬돌기(61)에 고정시킨 후, 상기 모터(40)의 구동축에 상기 스크류 축(30)의 일단을 연결시킨다.
이때, 상기 모터(40)의 저면측에는 고정프레임(41)을 결합시키되, 상기 고정프레임(41)에는 상기 제 1 정렬돌기(61)에 안착 가능한 ∩자형의 제 1 정렬홈(42)을 형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1 정렬돌기(61)의 저면측 또는 상기 축 고정블럭(20, 20')의 측면에서 핀 부재(63)를 체결하여, 상기 축 고정블럭(20, 20')과 상기 제 1 정렬돌기(61)를 고정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스크류 축(30)에는 이동체(50)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이동체(50)를 고정 프레임(104)을 통해 창문(102)에 연결한다.
다음으로, 상기 하우징(10)의 측면판(11)에 형성되는 전선 수용홈(13)에 한 쌍을 이루는 전선 고정용 클램프 블럭(70, 70')을 일정거리 이격시켜 안착시킨 후, 상기 전선 고정용 클램프 블럭(70, 70')에 각각 리미트 스위치(105, 105')를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시키는 한편, 상기 리미트 스위치(105, 105')는 상기 전선 수용홈(13)을 따라 배선하면서 기판 고정용 클램프 블럭(80)에 원터치 방식으로 고정된 회로기판(106)으로 연결시키고, 상기 회로기판(106)은 상기 모터(40)와 전선으로 연결시킨다.
그러면, 상기 리미트 스위치(105, 105')에 연결되는 전선(107)은 상기 이동체(50)의 직선 이동이 이루어질 때, 상기 전선 고정용 클램프 블럭(70, 70')가 상기 기판 고정용 클램프 블럭(80)에 의해 상기 전선 수용홈(13)내에서 정렬될 수 있음은 물론 외부로의 노출이 차단되면서 전선 피복이 벗겨지는 등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조립 완료된 후에 창문을 개폐할 수 있는데, 이때는 회로기판(1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위치(도시생략)를 작동시키면 스위치의 신호에 따라 모터(40)를 동작시키게 되며, 모터(40)의 회전에 의해 스크류 축(30)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크류 축(30)은 축 고정블럭(20, 20')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스크류 축(30)에는 이동체(50)가 나사식으로 감싸게 설치되며, 상기 이동체(50)는 고정프레임(104)을 통해 창문(102)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이동체(50)의 직선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창문(102)의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창문(102)이 개폐를 위해 전방이나 후방측으로 이동하다가 전방측 리미트 스위치(105)나 후방측 리미트 스위치(105')에 이동체(50)가 접촉하면, 각각의 리미트 스위치(105, 105')가 동작되어 모터(40)를 정지시켜서 창문의 이동을 정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이 창문(102)이 개폐될 때, 구동부가 되는 스크류 축(30)과 이동체(50)에는 전선(107)이 없고 하우징(10)의 측면판(11)에 형성되는 전선 수용홈(13)에 전선(107)이 배치되므로 피복 벗겨짐 등의 전선 손상을 막을 수 있고, 상기 모터(40)의 구동에 따른 진동을 최소화시킴은 물론, 상기 스크류 축(30)의 비틀림이나 처짐을 방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것으로서, 이는 전술한 일 실시예에서 보여준 측면판(11)에 형성되는 전선 수용홈(13)을 하부판으로 옮겨 적용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렬 고정부(60')는, 상기 하부판(12)으로부터 돌출 연장되면서 전선(107)이 안착되는 ∪자형 전선 유도홈(611a)을 형성한 대칭 구조를 이루는 한 쌍의 정렬 수직판(611), 및 상기 축 고정블럭(20, 20')의 하단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전선 유도홈(611a)의 상단 일부에 끼움되어 상기 정렬 수직판(611)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기 전선 유도홈(611a)으로 삽입된 전선(107)이 상부로 들리지 않도록 누름 정렬하면서 상기 축 고정블럭(20, 20')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스크류 축(30)의 비틀림이나 처짐을 방지시키게 되는 제 2 정렬돌기(621)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정렬 수직판(611)과 상기 축 고정블럭(20, 20')에는 각각 제 1 및 제 2 수평 확장부(21, 611b)를 연장시켜 이들을 체결부재(300)로 체결 고정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 2 정렬돌기(621)에는 상기 전선 유도홈(611a)에 전선(107)이 삽입시 상기 전선(107)이 상부로 들리지 않도록 누름 정렬시키기 위한 누름 경사홈(621a)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축 고정블럭(20)에 인접하는 상기 정렬 수직판(611)의 제 1 수평확장부(611b)에는 고정프레임(711)의 제 3 수평 확장부(711b)를 체결부재(300)로 체결 고정하고, 상기 고정프레임(711)에는 제 1 결합홀(105a)을 형성한 리미트 스위치(105, 105')를 고정하기 위한 제 3 결합 핀(711a)을 돌출 형성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첨부된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하부판(12)에 좌우 한쌍을 이루는 정렬 수직판(611)을 연장시킨 상태에서, 상기 정렬 수직판(611)의 양끝단에 각각 축 고정블럭(20, 20')과 고정프레임(711)을 인접하여 설치한 후, 상기 축 고정블럭(20, 20')의 하면에서 돌출되는 제 2 정렬돌기(621)를 상기 정렬 수직판(611) 사이에 형성되는 전선 유도홈(611a)으로 인입시키고, 상기 고정프레임(711)에는 리미트 스위치(105, 105')를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한 것이다.
그러면, 상기 제 2 정렬돌기(621)에 의해 축 고정블럭(20, 20')이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되면서, 상기 축 고정블럭(20, 20')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크류 축(30)은 그 회전시 비틀림이나 처짐이 방지되고, 이에따라 상기 스크류 축(30)에서 이동체(50)는 안정적으로 직선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이동체(50)의 안정적인 직선 이동으로부터 창문 또한 안정적으로 개폐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정렬 수직판(611)에 연장되는 상기 제 1 수평 확장부(611b)로 인해, 상기 회로 기판(106)의 수평 고정을 위한 지지면적이 확보되면서, 상기 회로 기판(106)은 안정적인 평면 부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예인 첨부된 도 1 내지 도 4에서와 동일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로 표시하여 그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창문 자동 개폐 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하우징 11, 11'; 측면판
12; 하부판 13; 전선 수용홈
20, 20'; 축 고정블럭 21; 제 1 수평 확장부
30; 스크류 축 40; 모터
41; 고정프레임 50; 이동체
60; 정렬 고정부 61; 제 1 정렬돌기
62; 제 1 정렬홈 63; 핀 부재
70; 전선 고정용 클램프 블럭 71; 제 1 결합 핀
72; 내측홈부 80; 기판 고정용 클램프 블럭
81; 제 2 결합 핀 90; 하우징 커버
103; 체결부재 104; 고정 브라켓
105,105'; 리미트 스위치 106; 회로기판
107; 전선 611; 정렬 수직판
611a; 전선 유도홈 611b; 제 2 수평 확장부
621; 제 2 정렬돌기 621a; 누름 경사홈
711; 고정프레임 711a; 제 3 결합 핀
711b; 제 3 수평 확장부

Claims (10)

  1. 창틀에 체결부재로 고정되는 측면판과 상기 측면판으로 꺽임되는 하부판으로 이루어지는 L자형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양끝단에 배치되는 한 쌍의 축 고정블럭; 한 쌍의 상기 축 고정블럭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크류 축; 상기 하우징 타단에 배치되며, 상기 스크류 축을 회전시키도록 구동하는 모터; 및, 창문과 고정 브라켓으로 연결되며, 상기 창문을 자동 개폐시키도록 상기 스크류 축에 나사식으로 설치되면서, 상기 스크류 축의 회전시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이동체; 를 포함하고,
    상기 축 고정블럭과 상기 모터는 상기 스크류 축에 대한 비틀림이나 처짐, 그리고 상기 모터의 구동력 전달에 따른 진동으로부터 떨림이 방지되도록 정렬 고정부에 의해 정렬 고정하되, 상기 정렬 고정부는,
    상기 축 고정블럭에 양단이 고정되는 상기 스크류 축에 대한 비틀림이나 처짐을 방지시키면서 수평 정렬하도록 상기 하부판으로부터 돌출되는 ∩자형의 제 1 정렬돌기; 및,
    상기 축 고정블럭 중심부 하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정렬돌기가 끼움 결합되는 ∩자형의 제 1 정렬홈;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정렬돌기와 상기 축 고정블럭은 저면 또는 측면으로 체결되는 핀 부재에 의해 결합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자동 개폐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판에는 길이방향으로 전선 수용홈을 형성하고,
    상기 전선 수용홈에는 제 1 결합 핀을 가지는 한 쌍의 전선 고정용 클램프 블럭을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며,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전선 고정용 클램프 블럭에는 상기 제 1 결합 핀이 끼움되는 제 1 결합홀을 형성한 리미트 스위치를 각각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자동 개폐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판의 전선 수용홈에는 제 2 결합 핀을 가지는 한 쌍의 기판 고정용 클램프 블럭을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한 쌍을 이루는 상기 기판 고정용 클램프 블럭에는 상기 제 2 결합 핀이 끼움되는 제 2 결합홀을 형성한 회로기판을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자동 개폐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고정용 클램프 블럭에는 전선이 안착되는 내측홈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자동 개폐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수용홈은 이중 구조를 이루는 측면판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측면판은 상기 창틀에 체결부재로 체결 고정시, 다른 측면판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은 덮개에 의해 덮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자동 개폐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저면측에는 고정프레임을 결합시키되, 상기 고정프레임에는 상기 모터에 대한 비틀림이나 처짐을 방지시키면서 수평 정렬하도록 상기 제 1 정렬돌기에 안착 가능한 ∩자형의 제 1 정렬홈; 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자동 개폐 장치.
  8. 창틀에 체결부재로 고정되는 측면판과 상기 측면판으로 꺽임되는 하부판으로 이루어지는 L자형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양끝단에 배치되는 한 쌍의 축 고정블럭; 한 쌍의 상기 축 고정블럭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크류 축; 상기 하우징 타단에 배치되며, 상기 스크류 축을 회전시키도록 구동하는 모터; 및, 창문과 고정 브라켓으로 연결되며, 상기 창문을 자동 개폐시키도록 상기 스크류 축에 나사식으로 설치되면서, 상기 스크류 축의 회전시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이동체; 를 포함하고,
    상기 축 고정블럭과 상기 모터는 상기 스크류 축에 대한 비틀림이나 처짐, 그리고 상기 모터의 구동력 전달에 따른 진동으로부터 떨림이 방지되도록 정렬 고정부에 의해 정렬 고정하되, 상기 정렬 고정부는,
    상기 하부판으로부터 서로 마주하는 대칭 구조로 돌출 연장되면서 전선이 안착되는 ∪자형 전선 유도홈을 형성한 한 쌍의 정렬 수직판;
    상기 축 고정블럭 중심부 하단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전선 유도홈으로 삽입된 전선을 누름 정렬하고, 상기 축 고정블럭에 양단이 고정되는 상기 스크류 축의 비틀림이나 처짐을 방지시키면서 수평 정렬하도록 상기 전선 유도홈의 상단 일부에 끼움되어 상기 정렬 수직판에 의해 지지되는 제 2 정렬돌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정렬 수직판과 상기 축 고정블럭에는 각각 제 1 및 제 2 수평 확장부를 연장시켜 이들을 체결부재로 체결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자동 개폐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정렬돌기에는 상기 전선 유도홈에 삽입되는 전선이 상부로 들리지 않도록 누름 정렬시키는 누름 경사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자동 개폐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축 고정블럭에 인접하는 상기 정렬 수직판의 제 1 수평확장부에는 고정프레임의 제 3 수평 확장부를 체결부재로 체결 고정하고,
    상기 고정프레임에는 제 1 결합홀을 형성한 리미트스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제 3 결합 핀을 돌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자동 개폐 장치.
KR1020180167176A 2018-12-21 2018-12-21 창문 자동 개폐 장치 KR101976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176A KR101976335B1 (ko) 2018-12-21 2018-12-21 창문 자동 개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176A KR101976335B1 (ko) 2018-12-21 2018-12-21 창문 자동 개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6335B1 true KR101976335B1 (ko) 2019-08-28

Family

ID=67775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7176A KR101976335B1 (ko) 2018-12-21 2018-12-21 창문 자동 개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63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8354B1 (ko) 2020-03-12 2020-09-22 주식회사 한일윈 구리스 차단부가 구비된 자동 슬라이드 창호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9285U (ko) * 1988-07-20 1990-02-08
KR200431192Y1 (ko) 2006-07-21 2006-11-23 기 동 조 창문 자동개폐장치
KR100914254B1 (ko) * 2009-03-06 2009-08-26 김판곤 미닫이식 창문의 개폐장치
JP2012062720A (ja) * 2010-09-17 2012-03-29 Solic:Kk 自動ドア用取付装置
KR101192730B1 (ko) 2011-01-26 2012-10-18 (주)일진윈테크 창문 자동개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창문 자동개폐제어방법
KR101824216B1 (ko) 2017-11-29 2018-01-31 주식회사 한일윈 창문 자동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9285U (ko) * 1988-07-20 1990-02-08
KR200431192Y1 (ko) 2006-07-21 2006-11-23 기 동 조 창문 자동개폐장치
KR100914254B1 (ko) * 2009-03-06 2009-08-26 김판곤 미닫이식 창문의 개폐장치
JP2012062720A (ja) * 2010-09-17 2012-03-29 Solic:Kk 自動ドア用取付装置
KR101192730B1 (ko) 2011-01-26 2012-10-18 (주)일진윈테크 창문 자동개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창문 자동개폐제어방법
KR101824216B1 (ko) 2017-11-29 2018-01-31 주식회사 한일윈 창문 자동개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8354B1 (ko) 2020-03-12 2020-09-22 주식회사 한일윈 구리스 차단부가 구비된 자동 슬라이드 창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6335B1 (ko) 창문 자동 개폐 장치
US20030160124A1 (en) Sealed cable drum assembly
KR102258640B1 (ko) 팬 장치
EP3812660B1 (en) Transmission assembly and air conditioner
EP4124930A1 (en) Hinge and electronic device
RU2708274C2 (ru) Шарнир и дверной блок
CN114608083B (zh) 窗式空气管理装置
KR200467638Y1 (ko) 도어 힌지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캐비닛
JPS6185730A (ja) 電気器具の遠隔従属操作具
KR100702561B1 (ko) 옥외형 전기 통신장비의 케이블 인입장치
JPH0659721U (ja) 室内機の電源ケーブル取付構造
JP3501049B2 (ja) 入線プレート
JP5638665B2 (ja) 送風機
WO2013129331A1 (ja) 電動日射遮蔽装置のモーターユニット及び電動日射遮蔽装置のモーターユニット組み立て方法
KR20210069822A (ko) 회전형 셔터 구조를 갖는 배전반
CN112154717A (zh) 电力转换装置
CN109707215B (zh) 一种门锁支架结构
JP3580149B2 (ja) ワイヤハーネス用電線保持具
JP7066583B2 (ja) 電動シャッター
CN221054745U (zh) 一种支架组件及其终端设备
KR100386863B1 (ko) 칸막이 부착타입 책상의 배선장치
JP2023088178A (ja) 電動シャッター装置
JP2000039525A (ja) スプライス棚
CN111051638B (zh) 移动装置
US11408217B2 (en) Cable routing structure and window-glass lifting device using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