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0223B1 - 도어 스크린을 포함하는 원형 영상 스크린 - Google Patents

도어 스크린을 포함하는 원형 영상 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0223B1
KR101590223B1 KR1020130035457A KR20130035457A KR101590223B1 KR 101590223 B1 KR101590223 B1 KR 101590223B1 KR 1020130035457 A KR1020130035457 A KR 1020130035457A KR 20130035457 A KR20130035457 A KR 20130035457A KR 101590223 B1 KR101590223 B1 KR 101590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opening
circular
door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5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9582A (ko
Inventor
이상원
Original Assignee
이상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원 filed Critical 이상원
Priority to KR1020130035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0223B1/ko
Publication of KR20140119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9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0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0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58Projection screens collapsible, e.g. foldable; of variable are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60도 전방위에서 영상을 표출하여 주는 시스템의 도어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만곡된 실버 스크린 일부를 절개하여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의 일측에 스크린 막으로 이루어져 있는 개폐 스크린을 형성하여 가이드를 따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벼우면서 도어와 스크린이 최대한 일체화되어 제작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면서 개구부를 오픈 또는 클로즈하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도어 스크린을 포함하는 원형 영상 스크린{Door of screen}
본 발명은 360도 전방위에서 영상을 표출하여 주는 시스템의 도어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360도 전 방위에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여 줄 때 이음새 영상 없이 제작된 영상을 보여주기 위하여 제작된 원통형의 영상 스크린에 설치된 상하로 개폐되는 만곡된 형상의 도어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360도 영상 출력 시스템은, 원통형의 체험관 안쪽에 다수개의 빔 프로젝트을 설치하고 상기 빔 프로젝트들이 컨트롤러에 의해 컨트롤되어 지면서 일렬로 연결된 파노라마 영상을 재생하여 주는 시스템이다. 이때 상기 시스템이 설치된 체험관 안쪽에 있는 사람들은 전후좌우 사방에서 재생되는 파노라마 영상을 감상하게 되면서 생생한 현실감과 몰입감을 느낄 수 있게 해 주는 시스템인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360도 전방위에 걸쳐서 제작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기 위해서는, 원형을 이루는 스크린을 설치하여야지만 하고, 특히 빔 프로젝트의 특성상 조사각도 등을 고려하여 왜곡 없이 제작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기 위해서는 넓은 공간을 확보하고 있어야지만 하는 것이다.
참고로, 이러한 공간에 설치되어 영상 스크린의 크기만 살펴보아도 높이는 5~6m정도이고 둘레는 20~30m정도에 달함으로, 종래의 영상 스크린은 다수개의 스크린 보드를 제작하고 이들을 일렬로 나란히 세워 연결함으로써 원통형의 띠를 이루는 영상 스크린을 만들어 주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 제작된 영상 스크린은, 스크린 보드의 전면을 두껍게 실버 페인팅하여야지만 매끄러운 스크린 면을 형성할 수 있고, 특히 페이팅시 도색 두께에 따른 차이가 발생하게 되며, 시간이 경과 하게 되면 건조해져 페인팅된 부분이 갈라지게 되었다. 특히 종래의 영상 스크린은 다수개의 스크린 보드(1)를 연결하여 구성하면서 안쪽에 내각을 형성하게 되고, 빔 프로젝트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여 주게 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진 부분에 음영진 이음새 영상을 생성하게 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스크린 보드에 도어를 설치할 경우에 음영진 이음새 영상을 생성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일정한 간격으로 직립된 다수개의 지주를 설치하고, 내측에는 각각의 지주 사이를 연결하는 만곡된 파이프를 설치하여 상하로 한 쌍의 원형 파이프 라인을 설치하는 한편, 상기 원형 파이프 라인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고정 프레임이 설치되어 있는 원형 구조물을 구축한 상태에서, 상기 원형 구조물의 전면에 테두리에 천공라인과 테두리단이 형성되어 있는 실버 스크린을 밀착시켜, 상기 실버 스크린의 테두리단이 원형 파이프 라인의 외경에 의해 말려져 이면에 테두리단이 위치되게 되었을 때 고정 프레임의 와이어에 의해 감겨져 고정되어 있음으로써 내측에 매끄러운 원통형의 스크린 면을 가진 영상 스크린을 형성하여 주게 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매끄러운 원통형의 영상 스크린을 형성할 때에는, 내측과 외측의 연결이 차단되게 됨으로, 최대한 음영진 이음새 영상을 생성하지 않으면서 실버 스크린에 내측과 외측을 이동할 수 있는 도어 스크린의 형성이 별도로 요구되게 되었던 것이다.
삭제
즉,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제작된 영상이 깔끔하게 보여지도록 하는 스크린의 역할을 하다가 때가 되면 Open 또는 Close되는 도어의 역할도 수행하는 원형 스크린의 도어 스크린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은 상기 도어 스크린은 자동으로 Open/Close되어 용이하게 운영되어 지도록 할 뿐만 아니라, 화재나 비상사태가 발생시 가벼워 수동으로도 도어스크린이 개폐되어 지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원통형의 구조물에 실버 스크린이 말려져 내측으로 길게 만곡된 매끄러운 스크린 면을 형성하는 원통형의 영상 스크린에 있어서,
상기 영상 스크린에는 실버 스크린의 일측을 절개하여 오픈된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실버 스크린의 절개된 부위는 원형 파이프 라인의 외경을 따라 외측으로 만곡시켜 고정 프레임에 감겨져 있는 와이어로 감아 고정함으로써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개구부를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의 후방에는 좌측과 우측은 직립되어 있고 상부와 하부는 만곡되어 있는 도어 프레임 안쪽에 테두리에 천공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스크린 막이 와이어에 의해 감겨져 도어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는 개폐 스크린을 형성하여,
상기 원형 구조물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롤러가 도어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 와이어를 감아 주었다 풀어주었다 하면서 개폐 스크린을 상하로 이동시켜 줌으로써 개구부를 Open 또는 Close하여 주는 원통형의 영상 스크린에 있어서 도어 스크린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만곡된 실버 스크린의 일부를 절개하여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의 일측에 스크린 막으로 이루어져 있는 개폐 스크린을 형성함으로써, 도어와 실버 스크린의 구분이 없이 최대한 일체화된 상태의 원통형의 스크린 막을 구현하여 줄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개폐 스크린이 상하로 이동하면서 사람들이 밖으로 이동할 수 도어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고, 이러한 개폐 스크린은 가벼운 스크린 막으로 이루어져 자동으로 개폐되어 지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동으로도 개폐되어 질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원형 스크린의 부분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원형 스크린의 화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형 구조물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 스크린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 스크린의 배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 스크린의 배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 스크린의 배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 스크린의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통형의 영상 스크린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상기 도 3의 실버 스크린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상기 개구부의 배면을 일부 보여주는 것이고, 도 6은 상기 개구부 이면에 형성되어 있는 개폐 스크린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일정한 간격으로 직립된 다수개의 지주(11)들이 설치되어 있고, 내측에는 상기 지주(11)들 사이를 연결하는 만곡된 파이프 라인들이 연결되어 상부와 하부에 각각의 원형 파이프 라인(12,13)을 형성하고, 상기 원형 파이프 라인과 이격된 상태로 고정 프레임(14)이 설치되어 있는 원형 구조물(10)을 구축한 상태에서,
상기 원형 구조물(10)의 전면에는 테두리에 천공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실버 스크린(16)이 밀착되어 있고, 상기 실버 스크린(16)의 상단과 하단은 원형 파이프 라인(12)에 의해 말려져 이면에 위치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14)의 와이어(Wire)에 감겨져 고정되어 있는 원통형의 영상 스크린을 구축함으로써,
안쪽에 매끄러운 스크린 면에 의해 이음새 영상 없이 영상이 깔끔하게 제작된 영상이 보여지게 되고,
특히 이때, 상기 실버 스크린(16)의 일측을 절개하여 오픈된 공간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실버 스크린의 절개된 부위를 각각 원형 파이프 라인과 지주의 외경을 따라 말아 만곡시킨 후 고정 프레임(14)에 감겨져 있는 와이어로 감아 고정함으로써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개구부(17)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17)의 후방에는 좌측과 우측은 직립되어 있고 상부와 하부는 만곡되어 있는 도어 프레임(25)을 형성한 상태에서 안쪽에는 테두리에 천공라인(22)이 형성되어 있는 스크린 막(21)이 와이어(25a)에 의해 감겨져 견장된 상태로 도어 프레임(25)에 고정되어 있는 개폐 스크린(20)을 형성하여
상기 원형 구조물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롤러(30)에 의해 도어 프레임(25)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 와이어(31)가 감겨졌다 풀렸다 하면서 개폐 스크린(20)을 상하로 움직여 줌으로써,
상기 개폐 스크린(20)이 실버 스크린(16)과 최대한 일체화된 상태의 스크린을 구현하여 주면서 개구부(17)를 오픈 또는 클로즈 하여주는 도어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참고로 상기 지주(11)는 직립된 원통형의 금속 파이프로서, 원형의 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한 것이지만, 실시 예에 따라 절개된 실버 스크린을 말아주거나 혹은 지주와 지주 사이에 별도의 설치되어 와이어가 감겨지는 고정 프레임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지주(11)의 안쪽에는 좌우로 길게 만곡되어져 있는 원통형의 파이프을 용접하여 원형의 파이프 라인(12,13)를 형성하고, 실시 예에 따라 상부의 원형 파이프 라인(12)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체 이격된 상태에 있는 복수 개의 파이프 라인을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고정 프레임(14)은 지주의 배면에 상기 원형의 파이프 라인과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고정 프레임과, 상기 지주와 지주 사이에 별도로 설치되어 있는 직립된 고정 프레임으로 나누어져 있고, 이들은 말려진 실버 스크린 혹은 절개된 실버 스크린의 상부와 하부 혹은 좌측과 우측 끝단을 고정하여 주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실버 스크린(16)은 연질로 이루어져 있고, 특히 표면에 금속분말을 포함한 액채가 도포되어 색의 재현과 반사율이 우수한 스크린 면을 형성하고 있으며, 스피커와 우퍼의 재생을 위하여 작은 구멍들이 천공되어 있게 된다.
더불어 이러한 실버 스크린(16)의 테두리에는 테두리단과 다수 개의 천공홀들이 일렬로 나란이 천공되어져 좌에서 우로 혹은 상부에서 하부로 천공라인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지주(11)의 이면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 프레임(14)에는 와이어가 감겨져 있으며, 이때 상기 와이어는 탄성력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고무 와이이로서, 상기 실버 스크린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있는 천공라인의 홀에 끼워져 고정프레임(14)에 감겨져 고정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실버 스크린이 원형의 구조물에 설치되어 원통형의 매끄러운 스크린 면을 형성하여 주게 될 때,
상기 실버 스크린(16)의 일부를 절개하고, 이때 절개된 부위를 외측으로 만곡시켜 각각 파이프 라인과 지주의 외경을 따라 말아 준 상태에서 절개된 실버 스크린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있는 천공홀에 와이어를 끼워 고정 프레임에 고정하여 줌으로써,
원통형의 스크린에 내측과 외측을 이동할 수 있는 개구부(17)를 형성하여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개구부(17)의 후단에는 오픈된 공간을 막아 주는 개폐 스크린(20)이 설치되게 되고, 이때 상기 개폐 스크린(20)은 도어 프레임(25)과 스크린 막(21)으로 이루어져 있게 된다.
참고로, 상기 스크린 막(21)은 가벼우면서 연질인 실버 스크린으로 이루어져 있고, 테두리엔 봉재된 테두리 단(24)과, 다수개의 천공홀(23)이 일렬로 뚫려 있는 천공라인(22)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스크린 막(21)은 테두리에 형성되어 있는 천공홀(23)에 와이어(25a)가 끼워져 도어 프레임(25)에 감겨지게 되고, 상기 스크린 막이 견장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도어 프레임(25)은 속이 빈 사각형의 프레임이거나 ㄷ자 형태의 프레임으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특히 좌측과 우측은 직립되어 있고, 상부와 하부는 원형의 파이프 라인과 동일한 각도로 만곡되어져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도어 프레임(25)의 좌측과 우측에는 일측으로 돌출된 고정축에 끼워져 이격된 상태에 놓여 있는 롤러가 설치되어 있게 된다. 이때의 롤러는 도어 프레임(25)에 결합홀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홀에 고정축이 형성되어 있는 롤러가 끼워져 설치되지만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도어 프레임의 좌측과 우측에 일체로 고정축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축에 롤러가 끼워질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도어 프레임(25)은 개구부(17) 후방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27) 안쪽에 위치되어, 개폐 스크린(20) 동작시 도어 프레임(25)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롤러가 가이드(27)의 내입홈(27a)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개구부(17)를 오픈(open)하여 주거나 혹은 클로즈(close)하여 주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27)의 상부에는, 한 쌍의 가이드를 연결하는 회전축(29)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29)에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롤러(30)가 회전축에 고정 설치되어 있게 된다. 참고로 이때의 상기 가이드 롤러(30)는 양측에 한 쌍의 가이드 편이 형성되어 있고, 안쪽에는 도어 프레임(25)과 연결되어 있는 고정 와이어(31)가 설치되어 있어, 권취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구동 모터(28)가 동작하게 되면 상기 회전축(29)이 회전하게 되면서 가이드 롤러(30) 역시 회전하도록 되고 이때 도어 프레임(25)과 연결되어 있는 고정 와이어(31)가 상기 가이드 롤러에 의해 권취되게 되면서 개폐 스크린(20)을 상하로 움직여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만곡된 실버 스크린(16) 일부를 절개하여 개구부(17)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의 일측에 스크린 막(21)으로 이루어져 있는 개폐 스크린(20)을 형성하여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벼우면서 도어와 스크린이 최대한 일체화되어 매끈하게 영상이 보여지도록 하면서 개구부(17)를 오픈 또는 클로즈하여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참고로, 상기 구동모터(28)는 컨트롤러에 의해 on/off 컨트롤되며,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 내부에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컨트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스마트 단말기나 리모콘을 통해 그 동작이 제어될 수도 있는 것이다.
1:스크린 보드 2:이음새 영상
10:원형 구조물 11:지주
12:상부 원형 파이프 라인 13:하부 원형 파이프 라인
14:고정 프레임 25a:와이어
16:실버 스크린 17:개구부
20:개폐 스크린 21:스크린 막
22:천공라인 23:천공홀
24:테두리단 25:도어 프레임
27:가이드
27a:내입홈 28:구동모터
29:회전축 30:가이드 롤러
31:고정 와이어

Claims (3)

  1. 일정한 간격으로 직립된 다수개의 지주(11)들이 설치되어 있고, 내측에는 상기 지주(11)들 사이를 연결하는 만곡된 파이프 라인들이 연결되어 상부와 하부에 각각의 원형 파이프 라인(12,13)을 형성하고, 상기 원형 파이프 라인과 이격된 상태로 고정 프레임(14)이 설치되어 있는 원형 구조물(10)을 구축한 상태에서, 상기 원형 구조물(10)의 전면에는 테두리에 천공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실버 스크린(16)이 밀착되어 있고, 상기 실버 스크린(16)의 상단과 하단은 원형 파이프 라인(12)에 의해 말려져 이면에 위치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14)의 와이어(15)에 감겨져 고정되어 있는 원형의 영상 스크린에 있어서,
    실버 스크린(16)의 일측을 절개하여 오픈된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실버 스크린의 절개된 부위는 각각 원형 파이프 라인과 지주의 외경을 따라 상부와 양측면을 외측으로 말아 이면에 위치시키고 상기 고정 프레임(14)에 감겨져 있는 와이어(15)로 감아 고정함으로써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개구부(17)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17)에는 좌측과 우측은 직립되어 있고 상부와 하부는 만곡되어 있는 도어 프레임(25)을 형성하고, 상기 도어 프레임(25)의 안쪽에는 테두리에 천공라인(22)이 형성되어 있는 스크린 막(21)이 와이어(25a)에 의해 감겨져 견장된 상태로 도어 프레임(25)에 고정되어 있는 개폐 스크린(20)을 형성하여,
    개구부 상단의 원형 구조물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롤러(30)가 도어 프레임(25)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 와이어(31)를 권취하면서 가이드(27)의 내입홈 안쪽에 끼워져 있는 도어프레임(25)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개폐 스크린(20)이 내려와 오픈된 개구부(17)를 닫아 주었을 때에는 상기 개폐 스크린(20)과 실버 스크린(16)이 최대한 밀착된 상태에 놓여 360도 전방위에서 원형의 띠로 연결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영상이 상기 스크린 막과 실버스크린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고,
    상기 고정와이어(31)가 감겨졌을 때에는 개폐 스크린(20)이 올라가 닫혀져 있는 개구부를 오픈하여 일측에 타측으로 혹은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 스크린은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있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컨트롤러가 스마트 단말기와 통신채널을 형성하게 되면 상기 스마트단말기의 지시에 따라 컨트롤러가 전동모터를 구동시켜 회전축을 회전시켜 주게 되고, 상기 회전축과 일체로 이루진 가이드 롤러가 회전하게 되면서 도어 프레임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를 감아 주거나 풀어주면서
    상기 개폐 스크린(20)이 개구부를 오픈하여 주거나 닫아주는 도어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상기 개폐 스크린이 닫혀져 있을 때에는 이웃한 스크린과 연결되어 원형의 띠를 이루는 영상이 보여지도록 하는 스크린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도어 스크린을 포함하는 원형 영상 스크린
  2. 삭제
  3. 삭제
KR1020130035457A 2013-04-01 2013-04-01 도어 스크린을 포함하는 원형 영상 스크린 KR101590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5457A KR101590223B1 (ko) 2013-04-01 2013-04-01 도어 스크린을 포함하는 원형 영상 스크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5457A KR101590223B1 (ko) 2013-04-01 2013-04-01 도어 스크린을 포함하는 원형 영상 스크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9582A KR20140119582A (ko) 2014-10-10
KR101590223B1 true KR101590223B1 (ko) 2016-01-29

Family

ID=51991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5457A KR101590223B1 (ko) 2013-04-01 2013-04-01 도어 스크린을 포함하는 원형 영상 스크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02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33143B (zh) * 2018-05-02 2021-04-02 天筑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视频播放器同步控制的展示用自动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5919A (ja) 2001-08-31 2003-03-12 Nippon Galaxy Engineering:Kk 映像表示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9952A (ja) * 1997-09-24 1999-04-06 Bunka Shutter Co Ltd 防火スクリーン装置
KR101217295B1 (ko) * 2011-06-17 2012-12-31 (주)디스트릭트홀딩스 영사용 원형 스크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5919A (ja) 2001-08-31 2003-03-12 Nippon Galaxy Engineering:Kk 映像表示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9582A (ko) 2014-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1516772A (ja) 収納式表示装置
US20150292261A1 (en) Roller curtain structure
KR20170143081A (ko)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US5982537A (en) Speaker apparatus with a picture projecting screen
KR20230145272A (ko) 출몰 가능한 화면부를 구비한 영상음향장치
KR101590223B1 (ko) 도어 스크린을 포함하는 원형 영상 스크린
WO2022141657A1 (zh) 便携式的显示装置
US20090219616A1 (en) Theater-type projection screen
JP2017031672A (ja) ロールスクリーンの連結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2360447B1 (ko) 멀티미디어 설비
KR200439974Y1 (ko) 롤 스크린
KR101297233B1 (ko) 4방향으로 전개되도록 절첩부재가 구비된 휴대용 스크린장치
WO2005076250A1 (en)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n image using a large balloon
CN104698732A (zh) 一种窗帘式投影幕
US6817124B1 (en) Artistic black/white board
CN105138213A (zh) 动态切换图片的方法和装置
JPWO2019111553A1 (ja) 表示装置
CN213877415U (zh) 一种电子设备
KR200402702Y1 (ko) 프로젝터 스크린 장치
JP2007009426A (ja) 連通口を有する網戸
KR200239675Y1 (ko) 프로젝터 리프터
KR100924499B1 (ko) 시청자 감응형 회전 디스플레이 장치
TWI549513B (zh) 螢幕壁掛結構
KR200333463Y1 (ko) 프로젝터 리프터
JP2009105547A (ja) パネル型表示装置の壁面設置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