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5272A - 출몰 가능한 화면부를 구비한 영상음향장치 - Google Patents

출몰 가능한 화면부를 구비한 영상음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5272A
KR20230145272A KR1020230128322A KR20230128322A KR20230145272A KR 20230145272 A KR20230145272 A KR 20230145272A KR 1020230128322 A KR1020230128322 A KR 1020230128322A KR 20230128322 A KR20230128322 A KR 20230128322A KR 20230145272 A KR20230145272 A KR 202301452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display unit
unit
housing
rack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28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용
김하나
박지훈
추유나
황수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28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5272A/ko
Publication of KR20230145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52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1/00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 A47B81/06Furniture aspects of radio, television, gramophone, or record cabinets
    • A47B81/061Furniture aspects of radio, television, gramophone, or record cabinets the device supports being adjustable
    • A47B81/064Furniture aspects of radio, television, gramophone, or record cabinets the device supports being adjustable verticall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1/00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 A47B81/06Furniture aspects of radio, television, gramophone, or record cabin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2Disposition of sound reproduc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5Mounting of picture tube on chassis or in ho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34Feet; Stands; Pedestals, e.g. wheels for moving casing on fl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4Television stands or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02Adjustable furniture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몰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영상음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단이 개방되며, 내부에 공간이 마련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아래에 설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상기 하우징의 상단을 통해 돌출시킬 수 있는 승강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적어도 2개의 높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유닛을 제어하는 모터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출몰 가능한 화면부를 구비한 영상음향장치{Audio-visual apparatus having appearing and disappearing display unit}
본 발명은 영상음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출몰 가능한 화면부를 구비한 영상음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술의 발전에 따라, 노래와 같은 소리를 재생하는 음향장치와 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 영상장치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음향장치와 영상장치는 별도의 장치로 제작되어 판매되고 있으므로 사용자는 음향장치와 영상장치를 각각 구매할 필요가 있다.
영상장치의 경우에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부가 항상 노출되어 있어 화면부를 보호하거나 숨길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영상장치는 화면부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화면비를 2개 이상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장치의 화면부가 16:9의 화면비를 갖는 경우에, 영상장치는 16:9의 화면비를 갖는 영상과 21:9의 화면비를 갖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영상장치는 21:9의 화면비를 갖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에는 화면부의 상하부나 화면부의 하부에 영상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블랙 스크린이 존재하게 된다. 이와 같이 블랙 스크린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시청자가 영상을 볼 때 몰입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음향장치는 재생되는 노래의 정보나 가사를 출력하기 위한 화면부를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음향장치에 마련되는 화면부는 크기가 작기때문에 사용자가 음향장치에 가까이 있는 경우에만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을 볼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재생되는 소리에 관련된 영상을 출력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음향장치와 영상장치의 두 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영상음향장치에 있어서, 하우징에 수용된 디스플레이부가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출몰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영상음향장치에 관련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는 출몰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영상음향장치는, 상단이 개방되며, 내부에 공간이 마련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아래에 설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을 상기 하우징의 상단을 통해 돌출시킬 수 있는 승강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적어도 2개의 높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유닛을 제어하는 모터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링크; 상기 지지판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링크와 교차하는 제2링크; 및 상기 제1링크의 타단과 상기 제2링크의 타단이 서로 수평방향으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상기 제1링크의 타단과 상기 제2링크의 타단을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링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랙기어; 상기 제1랙기어와 나란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링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랙기어; 상기 제1랙기어와 상기 제2랙기어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랙기어와 상기 제2랙기어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피니언; 및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랙기어의 양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1안내핀; 상기 제2랙기어의 양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2안내핀; 상기 제1랙기어와 마주하고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제1안내핀이 삽입되는 제1안내홈이 마련된 제1랙기어 지지부재; 및 상기 제2랙기어와 마주하고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제2안내핀이 삽입되는 제2안내홈이 마련된 제2랙기어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출몰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영상음향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출몰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영상음향장치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출몰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영상음향장치의 디스플레이부가 하우징에서 완전히 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하우징의 후면을 분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출몰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영상음향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출몰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영상음향장치의 평면도;
도 6은 도 4의 출몰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영상음향장치를 선 6-6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출몰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영상음향장치의 디스플레이부가 완전히 노출된 경우의 승강유닛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4의 승강유닛을 반대쪽에서 바라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출몰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영상음향장치의 승강유닛의 분리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출몰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영상음향장치가 음향장치로 사용되는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출몰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영상음향장치의 승강유닛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21:9의 화면비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영상장치로 작동하는 경우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출몰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영상음향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출몰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영상음향장치의 승강유닛을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출몰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영상음향장치의 승강유닛이 완전히 접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출몰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영상음향장치의 승강유닛이 완전히 펴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출몰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영상음향장치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출몰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영상음향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출몰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영상음향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출몰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영상음향장치의 디스플레이부가 완전히 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하우징의 후면을 분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출몰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영상음향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출몰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영상음향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출몰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영상음향장치(1)는 하우징(10), 디스플레이부(20), 승강유닛(4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디스플레이부(20)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며, 상단에는 개구(11)가 마련된다. 따라서, 하우징(10)은 디스플레이부(2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우징(10)의 상단에 형성된 개구(11)를 통해 디스플레이부(20)가 하우징(10)의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하우징(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출몰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영상음향장치(1)가 실내를 장식하는 가구로서 기능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0)의 외면은 다양한 장식을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영상장치와 소리를 재생하거나 녹음할 수 있는 음향장치로 사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영상음향장치(20)는 TV, 모니터 등과 같은 영상장치로 사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형식의 음원을 재생, 출력, 녹음할 수 있는 음향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20)는 일반적인 LCD TV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일정 곡률로 굽은 곡면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부(20)이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디스플레이부(20)에는 디스플레이부(20)를 제어하여 화면부(21)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제어부(160)가 마련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0)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161)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60)와 전원부(161)는 디스플레이부(20)의 후면(24)에 내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에는 재생한 소리를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부(20)에서 재생되는 소리는 외부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하우징(10)은 직사각형의 평판인 디스플레이부(2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20)의 형상에 대응하는 중공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우징(10)의 상단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11)가 마련되어 있어, 디스플레이부(20)는 하우징(10)의 개구(11)를 통해 하우징(1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하우징(10)의 양 측면에는 하우징(10)을 바닥면에 대해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 스탠드(13)가 마련된다. 한 쌍의 지지 스탠드(13)는 하우징(10)의 바닥이 바닥면에서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바닥면은 하우징(10)이 설치되는 장소, 예를 들면, 방, 거실, 침실 등의 바닥을 말한다.
하우징(10)의 전면(15)에는 복수의 관통공(15a)이 마련되어 있다. 복수의 관통공(15a)은 액세서리(31,32,33)를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액세서리(31,32,33)는 하우징(10)의 전면(15)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15a)을 이용하여 고정되며, 하우징(10)에 대해 책과 같은 물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도 1,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한 액세서리(31)는 복수의 관통공(15a)의 일부 관통공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는 평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액세서리(32)는 관통공(15a)에 일단이 고정될 수 있는 봉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액세서리(33)는 대략 ㄷ자 형상이며, 양단이 관통공(15a)에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액세서리는 대략 L자 형상이며, 일단이 관통공에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액세서리(31,32,33)는 일 예일 뿐이며, 액세서리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우징(10)의 후면(16)에도 하우징(10)의 전면(15)과 동일하게 복수의 관통공(16a)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10)의 후면(16)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16a)에도 상술한 액세서리(31,32,33)를 고정할 수 있다.
하우징(10)의 내부의 바닥 부근에는 디스플레이부(20)에서 재생되는 소리를 외부로 출력하는 적어도 1개의 스피커(18,19)를 설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하우징(10)의 내부에 디스플레이부(20)와 별도로 2개의 스피커(18,19)가 설치되어 있다. 2개의 스피커(18,19)에서 출력되는 소리는 하우징(10)의 전면(15)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15a)을 통해 외부로 전달될 수 있다. 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하우징(10)의 전면(15)에 스피커(18,19)에 대응하는 개구를 형성하여 스피커(18,19)의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또는, 적어도 1개의 스피커(18,19)는 하우징(10)의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적어도 2개의 스피커(18,19)를 디스플레이부(20)와 별도로 설치하면, 디스플레이부(20)에 스피커를 내장하는 것에 비해 큰 스피커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음향장치로 사용시에 좋은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승강유닛(40)은 하우징(10)의 내부에 디스플레이부(20)의 아래에 설치되며, 디스플레이부(20)를 하우징(10)에 대해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승강유닛(40)은 디스플레이부(20)를 하우징(10)의 상단의 개구(11)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돌출시켜 화면부(21)가 노출되도록 하고, 돌출된 디스플레이부(20)를 하강시켜 하우징(10)의 내부에 수납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부(20)가 하우징(10)의 내부에 수납되면, 디스플레이부(20)의 화면부(21)가 하우징(10)에 의해 보호된다.
승강유닛(40)은 디스플레이부(20)를 적어도 2개의 높이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승강유닛(40)은 디스플레이부(20)가 하우징(10)의 내부에 완전히 수납되어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제1위치(도 1 및 도 4 참조)와 디스플레이부(20)가 하우징(10)의 외부로 완전히 노출되는 제2위치(도 3 및 도 7 참조) 사이에서 디스플레이부(2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승강유닛(40)은 디스플레이부(20)의 화면부(21)의 일부가 노출되는 위치에 디스플레이부(20)를 위치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승강유닛(40)은 디스플레이부(20)를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 4, 도 6, 도 7,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출몰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영상음향장치에 사용되는 승강유닛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도 4의 출몰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영상음향장치를 선 6-6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출몰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영상음향장치의 화면부가 완전히 노출된 경우의 승강유닛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4의 승강유닛을 반대쪽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출몰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영상음향장치의 승강유닛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승강유닛(40)은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며, 하우징(10)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승강유닛(40)은 지지판(50), 제1링크(60), 제2링크(70), 구동부(80), 모터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판(50)은 하우징(10)의 내부에 수납되는 디스플레이부(20)의 하단에 고정되며, 디스플레이부(20)를 지지한다. 지지판(50)은 디스플레이부(20)의 하단에 대응하는 형상과 크기를 갖는 사각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링크(60)은 지지판(50)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링크(60)의 일단(61)은 지지판(50)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링크(60)의 타단(62)은 구동부(80)에 연결되어 구동부(80)에 의해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2링크(70)는 지지판(50)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링크와 교차하도록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제2링크(70)의 일단(71)은 지지판(50)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링크(60)와 제2링크(70)는 X자 형태로 배치된다. 제2링크(70)의 타단(72)은 구동부(80)에 연결되어 구동부(80)에 의해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된다.
구동부(80)는 제1링크(60)의 타단(62)과 제2링크(70)의 타단(72)이 서로 수평방향으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제1링크(60)의 타단(62)과 제2링크(70)의 타단(72)을 구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동부(80)는 제1링크(60)와 연결되는 제1랙기어(81), 제2링크(70)와 연결되는 제2랙기어(82), 제1랙기어(81)와 제2랙기어(82)를 구동하는 피니언(85), 및 피니언(85)을 회전시키는 모터(1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랙기어(81)와 제2랙기어(82)는 기어 치가 형성된 일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평행하게 설치되며, 제1랙기어(81)와 제2랙기어(82)의 사이에는 피니언(85)이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랙기어(81)는 피니언(85)의 아래쪽에 설치되며, 제2랙기어(82)는 피니언(85)의 위쪽에 설치된다. 피니언(85)은 제1랙기어(81)의 기어 치 및 제2랙기어(82)의 기어 치와 치합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피니언(85)이 회전하면 제1랙기어(81)와 제2랙기어(82)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수평 이동하게 된다.
제1랙기어(81)의 일단에는 제1링크(60)의 타단(62)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제1랙기어(81)의 양단에는 한 쌍의 제1안내핀(83-1,83-2)이 설치된다. 즉, 제1랙기어(81)에는 2개의 제1안내핀(83-1,83-2)이 설치된다. 제1랙기어(81)의 일단에 설치되는 한 개의 제1안내핀(83-1)은 제1링크(60)와 제1랙기어(81)가 서로 회전하도록 연결하는 힌지축에 동축 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제1안내핀(83-1,83-2))은 동일 높이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높이가 다르도록 제1랙기어(81)에 설치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링크(60)와 연결되는 힌지축에 설치되는 제1안내핀(83-1)의 설치 높이가 제1랙기어(81)의 타단에 설치되는 제1안내핀(83-2)의 설치 높이보다 일정 높이(Δh)만큼 더 높도록 한 쌍의 제1안내핀(83-1,83-2)을 설치할 수 있다.
제1랙기어(81)에 설치된 한 쌍의 제1안내핀(83-1,83-2)은 제1랙기어(81)의 일측에 제1랙기어(81)와 마주하며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1랙기어 지지부재(91)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랙기어 지지부재(91)에는 한 쌍의 제1안내핀(83-1,83-2)이 삽입되어 안내될 수 있도록 2개의 제1안내홈(91-1,91-2)이 마련된다.
2개의 제1안내홈(91-1,91-2)은 제1랙기어(81)에 설치된 한 쌍의 제1안내핀(83-1,83-2)의 높이 차이(Δh)와 동일한 높이 차이를 갖도록 형성된 상측 제1안내홈(91-1)과 하측 제1안내홈(91-2)으로 구성된다. 상측 제1안내홈(91-1)은 제1랙기어(81)의 제1안내핀(83-1)을 안내하고, 하측 제1안내홈(91-2)은 제1안내핀(83-2)을 안내한다. 제1안내홈(91-1,91-2)은 제1랙기어(81)의 이동을 안내하며, 제1랙기어(81)의 이동 거리를 제한한다. 따라서, 제1안내홈(91-1,91-2)은 장공으로 형성되며, 장공은 승강유닛(40)의 지지판(50)이 가장 낮게 위치하는 제1위치와 가장 높게 위치하는 제2위치에 있을 때, 제1랙기어(81)의 한 쌍의 제1안내핀(83-1,83-2)가 간섭되지 않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한 쌍의 제1안내핀(83-1,83-2)이 제1안내홈(91-1,91-2)에 의해 안정적으로 안내되도록 제1안내핀(83-1,83-2)의 외주면에는 안내홈이 마련될 수 있다.
제2랙기어(82)의 일단에는 제2링크(70)의 타단(72)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랙기어(82)의 양단에는 한 쌍의 제2안내핀(84-1,84-2)이 설치된다. 즉, 제2랙기어(82)에는 2개의 제2안내핀(84-1,84-2)이 설치된다. 제2랙기어(82)의 일단에 설치되는 한 개의 제2안내핀(84-1)은 제2링크(70)와 제2랙기어(82)가 서로 회전하는 힌지축에 동축 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제2안내핀(84-1,84-2)은 동일 높이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높이가 다르도록 제2랙기어(82)에 설치될 수 있다.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링크(70)와 연결되는 힌지축에 설치되는 제2안내핀(84-1)의 설치 높이가 제2랙기어(82)의 타단에 설치되는 제2안내핀(84-2)의 설치 높이보다 높도록 한 쌍의 제2안내핀(84-1,84-2)을 설치할 수 있다. 제2랙기어(82)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2안내핀(84-1,84-2)은 제1랙기어(81)에 설치된 한 쌍의 제1안내핀(83-1,83-2)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제2랙기어(82)에 설치된 한 쌍의 제2안내핀(84-1,84-2)은 제2랙기어(82)의 일측에 제2랙기어(82)와 마주하며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2랙기어 지지부재(92)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랙기어 지지부재(92)에는 한 쌍의 제2안내핀(84-1,84-2)이 삽입되어 안내될 수 있도록 2개의 제2안내홈(92-1,92-2)이 마련된다.
2개의 제2안내홈(92-1,92-2)은 제2랙기어(82)에 설치된 한 쌍의 제2안내핀(84-1,84-2)의 높이 차이와 동일한 높이 차이를 갖도록 형성된 상측 제2안내홈(92-1)과 하측 제2안내홈(92-2)으로 구성된다. 상측 제2안내홈(92-1)은 제1랙기어(82)의 제2안내핀(84-2)을 안내하고, 하측 제2안내홈(92-2)은 제2안내핀(84-1)을 안내한다. 제2안내홈(92-1,92-2)은 제2랙기어(82)의 이동을 안내하며, 제2랙기어(82)의 이동 거리를 제한한다. 따라서, 제2안내홈(92-1,92-2)은 장공으로 형성되며, 장공은 승강유닛(40)의 지지판(50)이 가장 낮게 위치하는 제1위치와 가장 높게 위치하는 제2위치에 있을 때, 제2랙기어(82)의 한 쌍의 제2안내핀(84-1,84-2)이 간섭되지 않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제2랙기어 지지부재(92)는 제1랙기어 지지부재(91)와 평행하게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된다.
한 쌍의 제2안내핀(84-1,84-2)이 제2안내홈(92-1,92-2)에 의해 안정적으로 안내되도록 제2안내핀(84-1,84-2)의 외주면에는 제1안내핀(83-1,83-2)과 동일하게 안내홈이 마련될 수 있다.
제1랙기어(81)와 제2랙기어(82) 사이에 설치되는 피니언(85)은 모터(100)에 의해 회전된다. 따라서, 피니언(85)은 모터(100)의 모터 축에 직접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구동부(80)에 감속기(101)가 일체로 설치된 모터(10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피니언(85)은 감속기(101)의 출력축에 설치된다. 따라서, 모터(100)의 회전에 의해 감속기(101)의 출력축이 회전하면, 피니언(85)도 출력축과 일체로 회전한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구동부(80)에 기어 감속기(101)가 일체로 설치된 기어드 모터(100)를 사용한다.
도 9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랙기어(81)와 제2랙기어(82)는 피니언(85)의 하측과 상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피니언(85)이 회전할 때 제1랙기어(81)와 제2랙기어(82)는 반대방향으로 이동한다.
예를 들어, 도 14에서, 피니언(85)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랙기어(81)와 제2랙기어(82)는 제1링크(60)와 연결된 일단과 제2링크(70)와 연결된 일단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링크(60)가 연결된 제1랙기어(81)의 일단과 제2링크(70)가 연결된 제2랙기어(82)의 일단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랙기어(81)와 제2랙기어(82)에 각각 연결된 제1링크(60)와 제2링크(70)에 의해 지지판(50)은 하강한다.
피니언(85)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랙기어(81)와 제2랙기어(82)는 제1링크(60)와 연결된 일단과 제2링크(70)와 연결된 일단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도 14의 화살표 A와 B 참조). 제1링크(60)가 연결된 제1랙기어(81)의 일단과 제2링크(70)가 연결된 제2랙기어(82)의 일단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랙기어(81)와 제2랙기어(82)에 각각 연결된 제1링크(60)와 제2링크(70)에 의해 지지판(50)은 상승한다.
또한, 제1랙기어(81)와 제2랙기어(82)가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1랙기어(81)와 제2랙기어(82) 사이에는 2개의 아이들 기어(86), 즉, 제1아이들 기어와 제2아이들 기어가 마련될 수 있다. 2개의 아이들 기어(86)는 피니언(85)의 좌측과 우측에 설치된다.
또한, 피니언(85)과 2개의 아이들 기어(86)는 지지 브라켓(87)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즉, 2개의 아이들 기어(86)는 지지 브라켓(87)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지지 브라켓(87)에는 피니언(85)이 설치된 축이 관통하는 관통구멍(87a)이 마련된다. 이와 같이 피니언(85)과 2개의 아이들 기어(86)를 지지 브라켓(87)에 의해 지지하면, 피니언(85)에 의해 제1랙기어(81)와 제2랙기어(82)가 이동하는 경우에도 피니언(85)과 2개의 아이들 기어(86)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승강유닛(40)은 지지판(50)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위치검출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검출유닛은 승강유닛(40)에 의해 지지판(50)이 상하로 이동할 때, 지지판(50)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일 예로서, 위치검출유닛은 지지판(50)이 가장 낮은 곳인 제1위치에 위치한 경우와 지지판(50)이 가장 높은 곳인 제2위치에 위치한 경우를 검출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위치검출유닛은 제2랙기어 지지부재(92)의 상측 제2안내홈(92-1) 주변에 설치된 2개의 위치검출센서, 즉 제1위치검출센서(141) 및 제2위치검출센서(142)와 제2랙기어(84)의 제2안내핀(84-2)에 마련되며, 제1 및 제2위치검출센서(141,142)를 작동시키는 도그(143)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50)이 제1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제2랙기어(82)의 제2안내핀(84-2)에 마련된 도그(143)가 모터(100)에 인접하여 설치된 제1위치검출센서(141)를 작동시킨다. 제1위치검출센서(141)가 작동되면, 모터 제어부(150)는 제1위치검출센서(141)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지지판(50)이 제1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모터 제어부(150)는 제1위치검출센서(141)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 디스플레이부(20)가 완전히 하우징(10)에 수용되어 화면부(2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50)이 제2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제2랙기어(82)의 제2안내핀(84-2)에 마련된 도그(143)가 하우징(10)의 측벽에 인접하여 설치된 제2위치검출센서(142)를 작동시킨다. 제2위치검출센서(142)가 작동되면, 모터 제어부(150)는 제2위치검출센서(142)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지지판(50)이 제2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모터 제어부(150)는 제2위치검출센서(142)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 디스플레이부(20)가 하우징(10)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화면부(21)가 외부로 완전히 노출된 상태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위치검출유닛을 구성하는 위치검출센서(141,142)로 리미트 스위치를 사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일 뿐이며, 위치검출센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승강유닛(40)은 지지판(50)의 상하 이동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지지판(50)이 하우징(10)의 내부 측벽에 대해 안내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판(50)의 양단에는 한 쌍의 가이드부(51)가 설치된다. 즉, 한 쌍의 가이드부(51)가 지지판(50)의 양단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가이드부(51)는 지지판(50)에 대해 수직하게 설치되며, 고정 브라켓(55)에 의해 지지판(50)에 고정된다.
하우징(10)의 내부 양측면에는 지지판(50)에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부(51)의 상하 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 수용부(130)가 마련된다.
도 6을 참조하면, 각 가이드부(51)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2개의 평행한 돌기(52)를 포함하며, 각 가이드 수용부(130)는 가이드부(51)의 2개의 돌기(52)를 수용할 수 있는 2개의 장홈(131)을 포함한다. 2개의 장홈(131)은 수직방향으로 하우징(10)의 높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된다. 따라서, 승강유닛(40)에 의해 지지판(50)이 상승 또는 하강할 때, 지지판(50)의 양단에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부(51)는 하우징(10)의 내면에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 수용부(130)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지지판(50)의 상하 수직 운동은 한 쌍의 가이드부(51)와 가이드 수용부(130)에 의해 안정적으로 안내된다.
또한, 승강유닛(40)은 제2랙기어 지지부재(92)의 일측에 설치된 적어도 한 개의 댐퍼(110)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110)는 디스플레이부(20)의 하강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댐퍼(110)는 승강유닛(40)이 디스플레이부(20)를 상승시킬 때, 구동부(80)에 걸리는 부하를 줄이는 역할도 수행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랙기어 지지부재(92)의 일측에 하우징(10)의 바닥면에 수직하게 2개의 댐퍼(110)를 설치하였다. 댐퍼(110)는 댐퍼 몸체(111)와 댐퍼 몸체(111)에 대해 출몰하도록 설치되는 댐퍼 로드(112)를 포함한다. 따라서, 승강유닛(40)의 지지판(50)이 하강하면, 댐퍼(110)의 로드(112)의 상단이 지지판(50)에 의해 접촉하고, 지지판(50)이 계속 하강하면, 댐퍼(110)의 로드(112)가 댐퍼 몸체(111)로 삽입되면서 지지판(50)의 충격을 흡수한다.
또한, 승강유닛(40)은 제1링크(60)와 제1랙기어(81) 사이 또는 제2링크(70)와 제2랙기어(82)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 댐퍼(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1링크(60)와 제1랙기어(81) 사이에 지지 댐퍼(120)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 댐퍼(120)의 일단은 제1랙기어(81)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지지 댐퍼(120)의 타단은 제1링크(60)의 대략 중앙부(6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제1랙기어(81), 지지 댐퍼(120), 및 제1링크(60)의 일부는 삼각형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피니언(85)에 의해 제1랙기어(81)가 이동하는 경우에, 제1링크(60)는 지지 댐퍼(120)에 의해 제1랙기어(81)에 대해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지지 댐퍼(120)는 지지판(50)이 완전히 하강할 때, 승강유닛(40)에 걸리는 충격을 완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승강유닛(40)의 모터(100)는 모터 제어부(150)에 의해 제어된다. 모터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부(20)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부(20)의 후면에 제어부(16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모터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부(20)이 하우징(10)의 상단에서 돌출되는 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모터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부(20)이 하우징(10)에 대해 4개의 높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승강유닛(40)을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승강유닛(40)의 지지판(50)이 가장 낮은 높이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부(20)의 화면부(21)가 하우징(10)의 상단으로 노출되지 않는 제1위치, 승강유닛(40)의 지지판(50)이 가장 높은 높이에 위치하여 화면부(21)가 하우징(10)의 상단으로 완전히 노출되는 제2위치, 승강유닛(40)의 지지판(50)이 제1위치에서 약간 상승하여 화면부(21)의 일부가 하우징(10)의 상단의 개구(11)를 통해 노출되는 제3위치, 및 승강유닛(40)의 지지판(50)이 제3위치보다 높고 제2위치보다는 낮은 높이로 상승하여 화면부(21)가 하우징(10)의 상단으로 제3위치보다 더 노출되는 제4위치 중 한 곳에 위치하도록 승강유닛(4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4위치는 화면부(21)의 노출된 부분의 화면비가 21:9가 되는 위치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0)의 화면부(21)의 화면비가 16:9인 경우에는, 승강유닛(40)의 지지판(50)이 제2위치에 위치한 경우에, 시청자는 16:9의 화면비를 갖는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의 상단에는 디스플레이부(20)의 돌출 상태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스위치(22)가 마련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0)의 상단에는 5개의 선택 스위치(22)가 마련된다. 4개의 선택 스위치(22)는 디스플레이부(20)이 위치할 수 있는 4개의 위치 각각에 대응한다. 따라서, 4개의 스위치(22) 중 한 개를 누르면 디스플레이부(20)는 선택된 선택 스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나머지 한 개의 버튼은 영상음향장치(1)를 온/오프 시키는 전원 버튼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출몰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영상음향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출몰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영상음향장치(1)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0)의 화면부(21)가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제1위치에 위치한다.
디스플레이부(20)가 제1위치에 있는 경우, 승강유닛(40)의 상태가 도 4 및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승강유닛(40)의 지지판(50)이 제1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1링크(60)와 제2링크(70)가 대략 수평 상태로 위치한다. 이때, 제1링크(60)의 타단(62)과 제2링크(70)의 타단(72)은 서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다. 또한, 제2링크(70)의 제2안내핀(84-2)에 마련된 도그(143)는 제1위치검출센서(141)를 작동시킨다. 따라서, 모터 제어부(150)는 승강유닛(40)의 지지판(50)이 제1위치에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0)의 화면부(21)가 하우징(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디스플레이부(20)을 동작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20)는 하우징(1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음향만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음향 출력 없이 영상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화면부(21)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하우징(10)의 전면(15)에 마련된 복수의 관통공(15a)을 통해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 화면부(21)에 출력하는 영상은 일반적인 영상이 아니라 복수의 관통공(15a)을 통해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으며, 하우징(10)에 장식 효과, 조명 효과 등과 같은 일정한 효과를 줄 수 있는 특별한 영상이 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0)가 하우징(10) 내에 완전히 수용된 상태에서 영상과 음향을 동시에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출몰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영상음향장치(1)를 음향장치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제3위치에 대응하는 선택 스위치(22)를 눌러 디스플레이부(20)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위치에 위치시킨다.
제3위치에 대응하는 선택 스위치(22)가 눌리면, 구동부(80)의 모터(100)가 작동하여 피니언(85)을 회전시켜, 제1링크(60)의 타단(62)과 제2링크(70)의 타단(72)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제1랙기어(81)와 제2랙기어(82)를 이동시킨다. 예를 들면, 도 14에서 피니언(85)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랙기어(81)는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랙기어(82)는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링크(60)의 타단(62)와 제2링크(70)의 타단(72)이 서로 가까워지게 된다. 지지판(50)이 일정 높이 상승하면, 모터 제어부(150)는 모터(100)를 정지시킨다. 그러면, 디스플레이부(20)의 화면부(21)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상단에서 일정 높이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이때, 제2랙기어(82)의 제2안내핀(84-2)에 마련된 도그(143)는 제1위치검출센서(141)에서 이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20)가 제3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0)의 화면부(21)가 하우징(10)의 상단에서 약간 노출된 상태가 된다. 이때, 하우징(10)에서 노출되는 화면부(21)의 부분 크기는 출력되는 음향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을 정도로 정해질 수 있다.
출몰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영상음향장치(1)를 21:9의 화면비를 갖는 영상장치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제4위치에 대응하는 선택 스위치(22)를 눌러 디스플레이부(20)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위치에 위치시킨다.
제4위치에 대응하는 선택 스위치(22)가 눌리면, 구동부(80)의 모터(100)가 작동하여 피니언(85)을 회전시켜, 제1링크(60)의 타단(62)과 제2링크(70)의 타단(72)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제1랙기어(81)와 제2랙기어(82)를 이동시킨다. 예를 들면, 도 14에서 피니언(85)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랙기어(81)는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랙기어(82)는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링크(60)의 타단(62)과 제2링크(70)의 타단(72)이 서로 가까워지게 된다. 이때, 제1링크(60)의 타단(62)과 제2링크(70)의 타단(72) 사이의 간격은 제3위치에 위치하는 제1링크(60)의 타단(62)과 제2링크(70)의 타단(72) 사이의 간격보다 좁게 된다.
지지판(50)이 설정된 제4위치에 대응하는 높이까지 상승하면, 모터 제어부(150)는 모터(100)를 정지시킨다. 그러면, 디스플레이부(20)의 화면부(21)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상단에서 제3위치보다 더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이때, 제2랙기어(81)의 제2안내핀(84-2)에 마련된 도그(143)는 제1위치검출센서(141)보다 제2위치검출센서(142)에 가까이 위치하나 제2위치검출센서(142)를 동작시키지는 않는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20)가 제4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부(21)가 하우징(10)의 상단에서 화면비 21:9가 되도록 돌출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화면비 21:9를 갖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면, 블랙 스크린 없이 화면부(21)에 꽉 찬 영상을 볼 수 있다.
출몰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영상음향장치(1)의 디스플레이부(20)의 화면부(21)를 완전히 노출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제2위치에 대응하는 선택 스위치(22)를 눌러 디스플레이부(20)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위치에 위치시킨다.
제2위치에 대응하는 선택 스위치(22)가 눌리면, 구동부(80)의 모터(100)가 작동하여 피니언(85)을 회전시켜, 제1링크(60)의 타단(62)과 제2링크(70)의 타단(72)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제1랙기어(81)와 제2랙기어(82)를 이동시킨다. 예를 들면, 도 14에서 피니언(85)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랙기어(81)는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랙기어(82)는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링크(60)의 타단(62)과 제2링크(70)의 타단(72)이 서로 가까워지게 된다. 이때, 제1링크(60)의 타단(62)과 제2링크(70)의 타단(72) 사이의 간격은 제4위치에 위치하는 제1링크(60)의 타단(62)과 제2링크(70)의 타단(72) 사이의 간격보다 좁게 된다.
제2랙기어(82)의 제2안내핀(84-2)에 마련된 도그(143)가 제2위치검출센서(142)를 작동시키면, 모터 제어부(150)는 모터(100)를 정지시킨다. 그러면, 디스플레이부(20)의 화면부(21)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의 상단을 통해 완전히 돌출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20)의 화면부(21)의 화면비가 16:9인 경우에는 노출된 화면부(21)의 화면비는 16:9가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화면비 16:9를 갖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면, 블랙 스크린 없이 화면부(21)에 꽉 찬 영상을 볼 수 있다.
출몰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영상음향장치(1)의 디스플레이부(20)를 하우징(10)에 삽입하여, 화면부(2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경우에는 사용자는 제1위치에 대응하는 선택 스위치(22)를 눌러, 디스플레이부(20)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위치에 위치시킨다.
제1위치에 대응하는 선택 스위치(22)가 눌리면, 구동부(80)의 모터(100)가 작동하여 피니언(85)을 회전시켜, 제1링크(60)의 타단(62)과 제2링크(70)의 타단(72)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1랙기어(81)와 제2랙기어(82)를 이동시킨다. 예를 들면, 도 15에서 피니언(85)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랙기어(81)는 화살표 C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랙기어(82)는 화살표 D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링크(60)의 타단(62)과 제2링크(70)의 타단(72)이 서로 멀어지게 된다.
제2랙기어(82)가 화살표 D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랙기어(82)의 제2안내핀(84-2)에 마련된 도그(143)가 제2위치검출센서(142)를 작동시키면, 모터 제어부(150)는 모터(100)를 정지시킨다. 그러면, 디스플레이부(20)의 화면부(21)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상단의 개구(11)를 통해 하우징(10) 내부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가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디스플레이부의 돌출 높이를 선택하는 것을 디스플레이부에 마련된 선택 스위치로 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다른 예로서, 리모콘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의 돌출 높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리모콘에 디스플레이부의 복수의 위치에 대응하는 복수의 선택 버튼을 마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와 같이 디스플레이부이 4개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는 경우에, 리모콘에는 이 4개의 위치에 대응하는 4개의 선택 버튼이 마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출몰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영상음향장치는 하나의 장치로 실내를 장식할 수 있는 장식 가구, 영상장치, 및 음향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출몰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영상음향장치는 화면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16:9의 화면비를 갖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부로 21:9의 화면비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에 블랙 스크린이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출몰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영상음향장치는 디스플레이부를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할 수 있으므로 화면부를 보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1: 출몰 가능한 화면부를 구비한 영상음향장치
10; 하우징 11; 개구
13; 지지 스탠드 20; 디스플레이부
21; 화면부 22; 선택 스위치
31,32,33; 액세서리 40; 승강유닛
50; 지지판 51; 가이드부
60; 제1링크 70; 제2링크
80; 구동부 81; 제1랙기어
82; 제2랙기어 83-1,83-2; 제1안내핀
84-1,84-2; 제2안내핀 85; 피니언
86; 아이들 기어 87; 지지 브라켓
91; 제1랙기어 지지부재 91-1,91-2; 제1안내홈
92; 제2랙기어 지지부재 92-1,92-2; 제2안내홈
100; 모터 101; 감속기
110; 댐퍼 120; 지지 댐퍼
130; 가이드 수용부 150; 모터 제어부
160; 제어부 161; 전원부

Claims (11)

  1. 개구를 포함하는 상단을 포함하며, 내부에 공간이 마련된 하우징;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화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스피커;
    승강유닛;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2곳 이상의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승강유닛을 제어하도록 형성된 모터 제어부; 및
    상기 화면부에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소리를 출력하도록 형성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링크;
    상기 지지판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링크와 교차하는 제2링크; 및
    상기 제1링크의 일단과 상기 제2링크의 일단을 구동하도록 형성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링크의 일단과 상기 제2링크의 일단은 수평방향으로 서로를 향하도록 이동하거나 멀어지도록 이동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링크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링크;
    상기 제3링크와 평행하며, 상기 제2링크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링크;
    상기 제3링크와 상기 제4링크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3링크와 상기 제4링크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형성되는 피니언;
    상기 제3링크와 상기 제4링크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3링크와 상기 제4링크의 이동을 안정화시키도록 형성되는 제1기어와 제2기어; 및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키도록 형성되는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2곳 이상의 위치 중 하나는:
    상기 화면부가 상기 하우징의 상단으로부터 노출되지 않는 제1위치;
    상기 화면부의 제1부분이 상기 하우징의 상단으로부터 노출되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제2위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하우징의 상단의 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측의 상측으로 이동하여 멈추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부의 일부분이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서 유지되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제3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화면부의 일부분의 크기는 상기 화면부의 제1부분의 크기보다 작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부가 상기 제1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상기 스피커를 통해 오디오 컨텐츠만 출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부가 상기 제3위치에 있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부의 일부분에 상기 오디오 컨텐츠에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도록 형성된, 영상음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3링크의 양단에 마련되는 한 쌍의 제1안내핀;
    상기 제4링크의 양단에 마련되는 한 쌍의 제2안내핀;
    상기 제3링크와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제1안내핀이 삽입되는 제1안내홈이 마련된 제1지지부재; 및
    상기 제4링크와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제2안내핀이 삽입되는 제2안내홈이 마련된 제2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영상음향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안내핀에 포함된 2개의 제1안내핀은 서로 높이가 다르게 상기 제3링크에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제2안내핀에 포함된 2개의 제2안내핀은 서로 높이가 다르게 상기 제4링크에 설치되는, 영상음향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지지판의 양단에서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 양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를 수용하여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의 수직 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영상음향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는 2개의 평행한 돌기로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수용부는 상기 2개의 돌기를 수용하는 2개의 장홈으로 형성되는, 영상음향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하강시 충격을 흡수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한 개의 댐퍼를 더 포함하는, 영상음향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댐퍼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수직하게 설치된 2개의 댐퍼를 포함하는, 영상음향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댐퍼는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3링크 사이 또는 상기 제2링크와 상기 제4링크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 댐퍼를 포함하는, 영상음향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지지판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형성된 위치검출유닛을 더 포함하는, 영상음향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전면과 후면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관통공을 포함하는, 영상음향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영상음향장치.
KR1020230128322A 2016-01-21 2023-09-25 출몰 가능한 화면부를 구비한 영상음향장치 KR202301452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8322A KR20230145272A (ko) 2016-01-21 2023-09-25 출몰 가능한 화면부를 구비한 영상음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7747A KR102584460B1 (ko) 2016-01-21 2016-01-21 출몰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영상음향장치
KR1020230128322A KR20230145272A (ko) 2016-01-21 2023-09-25 출몰 가능한 화면부를 구비한 영상음향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7747A Division KR102584460B1 (ko) 2016-01-21 2016-01-21 출몰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영상음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5272A true KR20230145272A (ko) 2023-10-17

Family

ID=5936191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7747A KR102584460B1 (ko) 2016-01-21 2016-01-21 출몰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영상음향장치
KR1020230128322A KR20230145272A (ko) 2016-01-21 2023-09-25 출몰 가능한 화면부를 구비한 영상음향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7747A KR102584460B1 (ko) 2016-01-21 2016-01-21 출몰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영상음향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10492607B2 (ko)
EP (3) EP3930313B1 (ko)
KR (2) KR102584460B1 (ko)
CN (1) CN108476299B (ko)
WO (1) WO201712684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00762S1 (en) * 2018-04-27 2020-11-03 Lg Electronics Inc. Television receiver
TWM595944U (zh) * 2019-01-22 2020-05-21 宏齊科技股份有限公司 移動式顯示裝置
WO2020243575A1 (en) 2019-05-31 2020-12-03 Touchstone Home Products, Inc. Lift for television or other visual display screen
WO2021132997A1 (en) 2019-12-27 2021-07-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KR102224097B1 (ko) * 2020-08-07 2021-03-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220063488A (ko) * 2020-11-10 2022-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52766B1 (ko) * 2020-12-09 2021-05-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52777B1 (ko) 2020-12-09 2021-05-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244204S (en) 1976-02-11 1977-05-03 Koehring Company Motor-transformer unit
KR19990019109A (ko) 1997-08-29 1999-03-15 윤종용 화면 위치 조정방법
KR19990032452A (ko) 1997-10-18 1999-05-15 정몽규 쇽업소버 스프링 탈착장치
KR19990032452U (ko) 1997-12-31 1999-07-26 전주범 텔레비젼 수상기의 전방커버장치
US6431319B1 (en) * 2000-02-29 2002-08-13 Ferno-Washington, Inc. Height-adjustable equipment cart with detachable table
JP2004337430A (ja) 2003-05-16 2004-12-02 Takachiho Koeki Kk ディスプレイ収納装置
CN101128137A (zh) * 2005-01-24 2008-02-20 米切尔·基施纳 薄屏幕封闭体
EP1898640A4 (en) 2005-06-24 2012-03-07 Sony Corp DISPLAY / AUDIO DEVICE
KR20070018556A (ko) * 2005-08-10 2007-02-14 세일전자 주식회사 액정텔레비젼 수납케이스
US7806490B1 (en) * 2006-07-10 2010-10-05 Importadvantage, Inc. Panel mounted appliance elevator apparatus
KR20100012517A (ko) * 2008-07-29 2010-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JP4784672B2 (ja) * 2009-01-22 2011-10-05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装置用スピーカ取り付け部材
US9788019B2 (en) 2011-03-09 2017-10-10 Hfi Innovation Inc. Method and apparatus of transform unit partition with reduced complexity
KR101415471B1 (ko) * 2012-08-03 2014-08-06 유국일 텔레비전용 스피커장치
KR101291948B1 (ko) 2012-09-28 2013-07-31 김충연 버스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동 접이식 거치대
KR102088910B1 (ko) * 2013-03-15 2020-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40125540A (ko) 2013-04-19 2014-10-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5111890A1 (ko) * 2014-01-24 2015-07-30 엘지전자(주)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106211A (ko) 2014-03-11 2015-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17117A (ko) * 2014-04-09 2015-10-19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26840A3 (ko) 2018-07-19
US10492607B2 (en) 2019-12-03
US20190357675A1 (en) 2019-11-28
US20190014902A1 (en) 2019-01-17
EP3930313B1 (en) 2023-06-07
EP3930313C0 (en) 2023-06-07
KR102584460B1 (ko) 2023-10-05
CN108476299B (zh) 2020-12-25
CN108476299A (zh) 2018-08-31
EP3930313A1 (en) 2021-12-29
US20210345773A1 (en) 2021-11-11
US11723461B2 (en) 2023-08-15
EP3367675A2 (en) 2018-08-29
EP4221189A1 (en) 2023-08-02
EP3367675A4 (en) 2018-12-05
KR20170087764A (ko) 2017-07-31
WO2017126840A2 (ko) 2017-07-27
US11064804B2 (en) 2021-07-20
EP3367675B1 (en) 2021-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4460B1 (ko) 출몰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영상음향장치
US9010707B2 (en) Wall mounting apparatus for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9645605B2 (en) Display apparatus having deformable display modu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415471B1 (ko) 텔레비전용 스피커장치
KR20190053712A (ko) 디스플레이 장치
JP2010264732A (ja) 移動式スクリーンを備える黒板装置
KR20110137641A (ko) 모니터 위치 가변형 전자교탁의 구조
JPH04237033A (ja) スクリーン内蔵avラック及びスクリーン昇降機構
KR20140090052A (ko) 지지프레임 및 이를 갖춘 디스플레이 장치 및 텔레비전
JP4952431B2 (ja) スピーカー装置
KR20210028417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20070272044A1 (en) Remote controller assembly that is mounted easily and conveniently
KR200495809Y1 (ko) 스마트 욕실 천정 시스템
KR20220119799A (ko) 디스플레이 일체형 노래반주기
WO2009063216A1 (en) Display apparatus
JP3111671U (ja) Dvd再生機能付き商品展示装置
KR200483007Y1 (ko) 침대용 헤드
KR200424130Y1 (ko) 천정 부착형 멀티미디어 시스템
JP3994288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EP4082391A1 (en) Cabinet with a holographic system
JPH0530852U (ja) 電動スクリーン装置
GB2513150A (en) A stand
KR200403191Y1 (ko) 홈시어터 스피커시스템을 구비한 티브이 받침대
KR20040071051A (ko) 높이 조절의 기능을 가진 벽걸이(pdp) tv 지지대
JPH11175189A (ja) プレゼンテーションシステムの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