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8827Y1 - 조리용 냄비 - Google Patents

조리용 냄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8827Y1
KR200238827Y1 KR2020010011892U KR20010011892U KR200238827Y1 KR 200238827 Y1 KR200238827 Y1 KR 200238827Y1 KR 2020010011892 U KR2020010011892 U KR 2020010011892U KR 20010011892 U KR20010011892 U KR 20010011892U KR 200238827 Y1 KR200238827 Y1 KR 2002388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food
hole
pot
cooking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18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경원
Original Assignee
정경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경원 filed Critical 정경원
Priority to KR20200100118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88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88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8827Y1/ko

Links

Landscapes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물 조리시 음식 냄새를 탈취시키기 위해 냄비에 사용되는 필터통을 간편하게 세척할 수 있는 조리용 냄비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상단 외주연부에 스커트부(1)를 형성하고 바닥면이 천공되며 양쪽에는 손잡이(2)가 형성된 냄비 본체(3)와; 상기 냄비 본체내에 안착되는 조리용 통(4)과; 상부에는 손잡이 (6)가 달린 일정 중량의 뚜껑(5)이 결합되는 조리용 냄비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 통(4)의 상면 주연부에 일정간격으로 돌기(41)가 형성된 구멍 (42)을 형성하고 상기 냄비 본체(3)와 조리용 통(4)사이에는 상부에 환홈(71)을 가지며 환홈내의 주연부와 하부에 형성된 다수의 돌부(72)의 저면에 음식물 수증기 통과 구멍(73)(74)을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수증기 통과링형 관(70)을 설치하는 한편, 상기 뚜껑(5)의 저면 주연부에 일정간격으로 구멍(51)을 형성하고 그와 인접된 내부쪽으로 장공(52)을 다수개 형성하여 내부에 자석(53)을 부착시킨 다음 필터통 (55)을 삽입하여 자력에 의하여 부착 결합되도록됨을 특징으로하는 조리용 냄비로서 이것은 냄새가 많이 나는 음식을 조리할 때 냄새를 완전히 탈취 및 기화시켜 실내에 음식물 냄새가 나지 않도록함은 물론, 조리가 끝난 후에 음식물 냄새를 탈취시켜주는 숯이 담긴 필터를 간편하게 청소를 할 수 있도록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조리용 냄비{a cooking pan}
본 고안은 음식물 조리시 음식 냄새를 탈취시키기 위해 냄비에 사용되는 필터통을 간편하게 세척할 수 있는 조리용 냄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숯이 내장된 필터통을 뚜껑에 부분적으로 간편하게 결합 분리할 수 있도록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용 냄비로 국이나 찌개류의 음식물을 끓이게되면 냄비의 내부 압력이 커져서 뚜껑은 열리게되고 열린 틈 사이로 음식물이 넘쳐 흐르거나 조리하는 음식 냄새가 실내로 퍼져 나가게 되어 청국장과 같이 톡특한 냄새가 많이 나는 음식은 주변 사람들에게 불쾌감은 물론 음식 맛을 떨어뜨리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같이 청국장과 같이 톡특한 냄새가 많이 나는 음식물로 하여금 주변 사람에게 불쾌감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음식물 냄새를 탈취,기화시켜 냄새를 최대한 없애주기 위하여 본원 출원인은 이전에 선출원한 국내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0-4507호(조리용 냄비)를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그러나 본원 출원인이 선출원한 조리용 냄비는 음식 조리가 끝나면 음식물 냄새를 제거하기 위하여 숯이 담긴 숯저장용환통을 꺼내어 숯을 모두 쏟아 부은 다음 물로 환통 내부를 청소한 후 다시 숯을 담아서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과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고안은, 냄새가 많이 나는 청국장과 같은 음식을 조리할 때 냄새를 완전히 탈취 및 기화시켜 실내에 음식물 냄새가 나지 않도록함은 물론, 조리가 끝난 후에 음식물 냄새를 탈취시켜주는 숯이 담긴 필터통을 간편하게 청소가 가능하도록한데 그 목적을 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뚜껑의 내부에 다수의 구멍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자석을 부착시켜 숯이 담긴 필터통을 결합 부착되도록함으로서 그 목적은 달성된다.
도1은 본 고안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을 종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요부인 필터부를 분리한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수증기 통과 링형 관의 평면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시도로서 분리 사시도
도6은 도5의 종방향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 설명*
1: 스커트부 2:6: 손잡이
3: 냄비 본체 4: 조리용 통
5: 뚜껑 41: 돌기
42:51: 구멍 52: 장공
53: 자석 54: 숯
55: 필터통 56: 음식물 증기 인입구멍
57: 음식물 증기 배출구멍 58: 캡
59: 나사 70: 수증기 통과 링형 관
71: 환홈 72:돌부
73:74: 음식물 수증기 통과구멍 81: 환홈
82: 환턱 83: 84: 구멍
본고안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1 내지 도2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단 외주연부에 스커트부(1)를 형성하고 바닥면이 천공되며 양쪽에는 손잡이(2)가 형성된 냄비 본체(3)와; 상기 냄비 본체내에 안착되는 조리용 통(4)과; 상부에는 손잡이(6)가 달린 일정 중량의 뚜껑(5)이 결합되는 조리용 냄비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 통(4)의 상면 주연부에 일정간격으로 돌기(41)가 형성된 구멍 (42)을 형성하고 상기 냄비 본체(3)와 조리용 통(4)사이에는 상부에 환홈(71)을 가지며 환홈내의 주연부와 하부에 형성된 다수의 돌부(72)의 저면에 음식물 수증기 통과 구멍(73)(74)을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수증기 통과 링형 관(70)을 설치하는 한편, 상기 뚜껑(5)의 저면 주연부에 일정간격으로 구멍(51)을 형성하고 그와 인접된내부쪽으로 장공(52)을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하여 내부에 자석(53)을 부착시킨 다음 금속재 필터통(55)을 삽입하여 자력에 의하여 부착 결합되도록한 구성이다.
상기 필터통(55)의 내부에는 숯(54)을 내장하고 하부에는 음식물 증기 인입구멍(56)을 형성하고 양측면에는 음식물 증기 배출구멍(57)을 형성하며 하부면에는 숯(54)을 넣고 빼낼 수 있도록 캡(58)을 나사(59)로 결합한 구성이다.
한편, 상기 뚜껑(5)의 저면에 형성된 구멍(51)과 조리용 통(4)의 주연부 상면에 형성된 돌기(41)는 서로 결합하여 일체화되도록한 구성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열수단으로 냄비의 하부를 가열하면 조리용 통(4)속에 들어 있는 음식물은 일정 온도에서 끓게되고 여기에서 생기는 수증기는 뚜껑(5)의 장공(52)에 결합된 필터통(55)의 음식물 증기 인입구멍(56)을 통과하면서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숯을 지나서 음식물 증기 배출구멍(57)으로 통과하여 뚜껑(55)의 주연부에 형성된 구멍(51)으로 배출하게 된다.
이 때 필터통(55)에 내장된 숯(54)은 음식물의 냄새를 흡수 탈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뚜껑(5)의 주연부에 형성된 구멍(51)으로 냄새가 걸러져 통과된 수증기는 조리용 통(4)의 구멍(42)을 통과하여 수증기 통과링형 관(70)의 음식물 수증기 통과구멍(73)(74)을 통하여 조리용 통(4)과 냄비 본체(3)와의 사이로 나오게 되며 이와같이 나온 수증기는 냄비 본체(3)의 하부에서 가열되는 열에 의하여 기화되면서 냄새는 완전히 제거가 되는 것이다.
이렇게하여 음식물이 조리가 완료되어 냄비를 세척할 때 필터통(55)을 뚜껑 (5)으로부터 간편에게 당겨서 빼내어 분리하여 세척한 다음 뚜껑(5)의 장공(52)에 넣어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오래 사용하여 숯을 교환할 때에는 필터통(55)의 상면에 결합된 나사 (59)를 풀고 캡(58)을 연다음 숯(54)을 빼내고 교체한다음 캡(58)을 나사(59)로 다시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도5에 도시된 바와같이 뚜껑의 저면에 구멍(51)이 형성된 주연부에 환홈(81)을 형성하고 이와 결합되는 조리용 통(4)의 상면 주연부에는 환턱(82)을 형성하여 음식물 수증기가 뚜껑에 형성된 구멍(83)을 통하여 배출되면 뚜껑의 구멍 주위에 형성된 환홈을 따라 이동되면서 조리용 통(4)의 환턱(82)부에 형성된 구멍(84)으로 통과되도록한 것이다.
이와같이 조리용 통(4)에 형성된 환턱(82)은 뚜껑을 덮을 때 뚜껑의 구멍 (83)과 조리용 통(4)의 구멍(84)이 일치되지 않게 덮더라도 조리용 통에서 끓는 음식물 수증기가 뚜껑의 구멍을 통하여 조리용 통의 구멍으로 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그 이후의 작용효과는 상술한 본 고안과 동일한 것이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냄새가 많이 나는 음식을 조리할 때 냄새를 완전히 탈취 및 기화시켜 실내에 음식물 냄새가 나지 않도록함은 물론, 조리가 끝난 후에 음식물 냄새를 탈취시켜주는 숯이 담긴 필터를 간편하게 청소를 할 수 있도록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상단 외주연부에 스커트부(1)를 형성하고 바닥면이 천공되며 양쪽에는 손잡이(2)가 형성된 냄비 본체(3)와; 상기 냄비 본체내에 안착되는 조리용 통(4)과; 상부에는 손잡이(6)가 달린 일정 중량의 뚜껑(5)이 결합되는 조리용 냄비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 통(4)의 상면 주연부에 일정간격으로 돌기(41)가 형성된 구멍 (42)을 형성하고 상기 냄비 본체(3)와 조리용 통(4)사이에는 상부에 환홈(71)을 가지며 환홈내의 주연부와 하부에 형성된 다수의 돌부(72)의 저면에 음식물 수증기 통과 구멍(73)(74)을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수증기 통과링형 관(70)을 설치하는 한편, 상기 뚜껑(5)의 저면 주연부에 일정간격으로 구멍(51)을 형성하고 그와 인접된 내부쪽으로 장공(52)을 다수개 형성하여 내부에 자석(53)을 부착시킨 다음 필터통(55)을 삽입하여 자력에 의하여 부착 결합되도록됨을 특징으로하는 조리용 냄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통(55)의 내부에는 숯(54)을 내장하고 하부에는 음식물 증기 인입구멍(56)을 형성하고 양측면에는 음식물 증기 배출구멍(57)을 형성하며 하부면에는 숯(54)을 넣고 빼낼 수 있도록 캡(58)을 나사(59)로 결합함을 특징으로하는 조리용 냄비
  3. 상단 외주연부에 스커트부(1)를 형성하고 바닥면이 천공되며 양쪽에는 손잡이(2)가 형성된 냄비 본체(3)와; 상기 냄비 본체내에 안착되는 조리용 통(4)과; 상부에는 손잡이(6)가 달린 일정 중량의 뚜껑(5)이 결합되는 조리용 냄비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 통(4)의 조리용 통(4)의 상면 주연부에는 일정 간격의 구멍(84)을 형성한 환턱(82)을 형성하고 상기 뚜껑(5)의 저면에는 환홈(81)을 형성하되 환홈 내면에는 일정간격으로 구멍(51)을 형성하고 그와 인접된 내부쪽으로 장공(52)을 다수개 형성하여 내부에 자석(53)을 부착시킨 다음 필터통(55)을 삽입하여 자력에 의하여 부착 결합되도록하는 한편, 상기 냄비 본체(3)와 조리용 통(4)사이에는 상부에 음식물 수증기 통과 구멍(73)을 일정간격으로 형성한 환홈(71)을 가지며, 하부에는 원주에 따라 소정 크기의 돌부(72)를 다수개 형성하되 상기 돌부의 저면에는 음식물 수증기 통과 구멍(74)을 가진 수증기 통과 링형 관(70)을 설치함을 특징으로하는 조리용 냄비
KR2020010011892U 2001-04-25 2001-04-25 조리용 냄비 KR2002388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1892U KR200238827Y1 (ko) 2001-04-25 2001-04-25 조리용 냄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1892U KR200238827Y1 (ko) 2001-04-25 2001-04-25 조리용 냄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8827Y1 true KR200238827Y1 (ko) 2001-10-12

Family

ID=73100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1892U KR200238827Y1 (ko) 2001-04-25 2001-04-25 조리용 냄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882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37294B2 (ja) 蒸気調理器
US5653161A (en) Food steamer with pressure venting
US5584235A (en) Food steamer flavoring support
US4462308A (en) Steam cooker
JP4572253B2 (ja) 調理容器蓋の臭い排出装置
US5913965A (en) Automatic baster for a roasting pan
CA1287499C (en) Cooking utensil
KR200238827Y1 (ko) 조리용 냄비
KR200323694Y1 (ko) 넘침 방지 냄비뚜껑 손잡이
KR20100114290A (ko) 가열용기용 뚜껑
KR200197452Y1 (ko) 조리용 냄비
CN211242809U (zh) 蒸汽加热式烹饪器具
KR200359499Y1 (ko) 넘침 방지 냄비뚜껑
CN208192883U (zh) 一种电热锅
CN208658945U (zh) 蒸笼盖、蒸笼组件和烹饪厨具
KR200350628Y1 (ko) 주방용 냄비
KR20090121015A (ko) 이중 황동 솥
JPH0475612A (ja) ジャーポット
CN208864049U (zh) 蒸笼盖、蒸笼组件和烹饪厨具
KR200398064Y1 (ko) 조리용기용 기능성 뚜껑
KR101945939B1 (ko) 찜기 겸용 전골냄비
KR200482851Y1 (ko) 다기능 육류 구이판
KR101430343B1 (ko) 냄새 저감형 조리용기
KR200451270Y1 (ko) 조리용기용 뚜껑
KR200352899Y1 (ko) 다용도 집열식 조리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