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1015A - 이중 황동 솥 - Google Patents

이중 황동 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1015A
KR20090121015A KR1020080047097A KR20080047097A KR20090121015A KR 20090121015 A KR20090121015 A KR 20090121015A KR 1020080047097 A KR1020080047097 A KR 1020080047097A KR 20080047097 A KR20080047097 A KR 20080047097A KR 20090121015 A KR20090121015 A KR 200901210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rbal medicine
brass
outer shell
endothelial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7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육태웅
이임흥
Original Assignee
육태웅
이임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육태웅, 이임흥 filed Critical 육태웅
Priority to KR1020080047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21015A/ko
Publication of KR20090121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10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황동 솥에 관한 것으로서, 한약재를 증숙하거나 또는 그 한약재에 포함된 성분을 추출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철 또는 황동 재질로 이루어지며, 하방을 향하여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외부열원에 의해 가열되는 외피부재와, 상기 외피부재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한약재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외피부재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하방을 향하여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황동 재질의 내피부재와, 상기 외피부재와 상기 내피부재가 이격되어 형성된 공간부에 채워지며, 상기 외부열원에 의해 가열된 상기 외피부재의 열을 상기 내피부재로 전달하는 열전달물질과, 상기 내피부재를 상기 외피부재로부터 이격시키도록, 상기 외피부재의 테두리에 배치되며, 상기 내피부재를 접촉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내피부재의 상부측으로부터 상기 내피부재를 덮는 덮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중 황동 솥{Brass Pot with bi-layer}
본 발명은 한약재를 증숙하거나 또는 그 한약재에 포함된 성분을 추출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솥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약재의 원재료의 영양소 파괴를 최소화시키고, 한약재가 타거나 눌러 붙는 것을 방지하며, 한약재의 미세 독소를 중화하고, 한약재로 전달되는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이중 황동 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방에서 한약을 제조하기 위해서, 한약재를 찌거나(증숙), 한약재를 달이기(추출) 위해서 솥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솥은 일반적으로 철을 이용하여 제작된다. 이러한 철재 솥을 이용하여 한약재를 증숙하거나, 한약재를 달이는 경우, 한약재를 철재 솥에 수용시키고, 외부의 열원으로부터 솥에 열을 가하게 된다.
이때, 외부열원에 의해 직접 열이 가해지는 철재 솥의 외주면 부분은 외주면의 다른 부분보다 더욱 심하게 가열되는 경향이 있다. 솥의 외주면의 일부에 열이 집중되면 솥의 내주면에 놓인 한약재 중 일부에 열이 집중되게 되어 한약재의 유익한 영향소가 파괴되며, 한약재의 증숙 또는 추출과정에서 한약재가 솥의 내주면에 눌러 붙거나 타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열이 한약재에 균일하게 전달되지 않으므로 열효율이 낮아 연료비 부담을 가중시키며 귀중한 약재도 사용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철재 솥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산화되어 녹이 발생될 수 있으며, 한약재의 증숙 또는 추출과정에서 산화물질이 한약재에 섞이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황동은 황동으로부터의 발생되는 원적외선이 항균기능을 가지며, 녹이 잘 슬지 않고, 열전도율이 높은 물리 화학적 성질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한약재에 열을 고르게 전달할 수 있도록 솥의 구조를 개선할 필요성과, 아울러 이를 위하여 황동을 이용할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사항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 한약재이 증숙 또는 추출시, 한약재의 영양소 파괴를 최소화시키고, 한약재가 타거나 눌러 붙는 것을 방지하며, 한약재를 위생적으로 처리하며, 한약재로 전달되는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이중 황동 솥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 황동 솥은, 한약재를 증숙하거나 또는 그 한약재에 포함된 성분을 추출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철 또는 황동 재질로 이루어지며, 하방을 향하여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외부열원에 의해 가열되는 외피부재와, 상기 외피부재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한약재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외피부재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하방을 향하여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황동 재질의 내피부재와, 상기 외피부재와 상기 내피부재가 이격되어 형성된 공간부에 채워지며, 상기 외부열원에 의해 가열된 상기 외피부재의 열을 상기 내피부재로 전달하는 열전달물질과, 상기 내피부재를 상기 외피부재로부터 이격시키도록, 상기 외피부재의 테두리에 배치되며, 상기 내피부재를 접촉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내피부재의 상부측으로부터 상기 내피부재를 덮는 덮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외피부재는 철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피부재의 내주면 중심에 대하여 동심으로 환형의 돌기부가 복수개 마련되고, 그 내주면은 황동으로 코팅 되어 있으며, 상기 내피부재는 그 내주면 중심에 대하여 동심으로 환형의 돌기부가 복수개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열전달물질은 밀납, 파라핀, 대두유, 또는 열매체유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부재는 철 재질로 이루어지지며, 상기 덮개부개는 황동재질의 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약재를 증숙하거나 또는 그 한약재에 포함된 성분을 추출할 때, 상기 외부열원에 의해 가열된 한약재로부터 발생된 증기를 정제하기 위해서, 상기 덮개부재는 상기 증기가 배출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된 황동 재질의 판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덮개부재의 구멍 위에 배치되며, 하단에는 상기 구멍과 연통될 수 있는 유입구가 마련되고, 상단에는 상기 증기가 유출될 수 있는 유출구가 마련되며, 상기 증기에 함유된 미세물을 제거하고 상기 증기의 냄새를 제거하도록 하단에 여과부를 구비하는 제1 항아리부와, 하단은 개방되고 상단은 폐쇄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항아리부의 유출구 위에서, 그 유출구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내피부재로부터 상승된 상기 증기가 내측면에 접촉되어 냉각되어 액체상태로 된 후, 그 액체가 상기 내측면을 따라 하방으로 흘러내려 배출되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제2 항아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황동 솥은, 한약재를 중탕의 방법으로 가열하므로 한약재의 영양소 파괴를 최소화하고, 한약재가 솥의 내주면에 눌러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한약재의 미세 독소가 중화되므로 한약재를 위생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아울러 한약재에 전달되는 열효율이 향상되므로, 원재료의 처리시간을 단 축하고 연료소비를 줄임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황동 솥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2는 도1에 도시된 이중 황동 솥의 주요부분에 대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1 및 도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황동 솥은, 한약재(1)를 증숙하거나 또는 그 한약재(1)에 포함된 성분을 추출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외피부재(10)와, 내피부재(20)와, 열전달물질(30)과, 지지부재(40)와, 덮개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외피부재(10)는 외부열원(2)에 의하여 가열되는 부분으로서, 그 형상은 하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으며, 철 또는 황동의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외피부재(10)가 철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외피부재(10)의 내주면은 황동으로 코팅 처리되며, 상기 외피부재(10)의 내주면은 그 내주면의 중심에 대하여 동심으로 복수의 돌기부(11)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내피부재(20)는 한약재(1)가 수용되는 부분으로써, 상기 외피부재(10)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외피부재(1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하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상기 내피부재(20)의 재질은 황동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내피부재(20)의 내주면에는 상기 외피부재(10)와 마찬가지로, 그 내주면의 중심에 대하여 동심으로 복수개의 돌기부(21)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열전달물질(30)은 상기 외부열원(2)에 의해 상기 외피부재(10)에 가해진 열을 상기 내피부재(20)로 전달하기 위해서, 상기 외피부재(10)와 상기 내피부재(20) 사이의 공간부(12)에 채워지는 물질로서, 열전도율이 높은 밀납, 파라핀, 대두유, 또는 열매체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열전달물질(30)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40)는 상기 내피부재(20)를 상기 외피부재(10)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해서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외피부재(10)의 테두리에 배치되고, 상기 내피부재(20)의 테두리와 접촉되어, 상기 내피부재(20)를 접촉지지한다. 상기 지지부재(40)는 철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피부재(10)와 상기 내피부재(20) 사이의 공간부(12)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40)는 상기 외피부재(10)로부터 전달된 열이 상기 공간부(12)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덮개부재(50)는 상기 내피부재(20)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내피부재(20)를 덮기 위해서 마련되는 것으로 황동 재질의 판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황동 솥은, 한약재(1)를 증숙하거나 또는 그 한약재(1)에 포함된 성분을 추출할 때, 상기 외부열원(2)에 의해 가열된 한약재(1)로부터 발생된 증기를 정제하기 위해서, 제1 항아리부(60)와, 제2 항아리부(70)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덮개부재(50)는 상기 증기가 배출될 수 있는 구멍(5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항아리부(60)는 상기 덮개부재(50)의 구멍(51) 위에 배치되는 것으 로서, 유입구(61)와, 유출구(62)와, 여과부(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입구(61)는 상기 구멍(51)과 연통될 수 있도록 제1 항아리부(60)의 하단에 마련되고, 상기 유출구(62)는 상기 증기가 제1 항아리부(60) 내부에서 상측으로 상승하여 유출되도록 제1 항아리부(60)의 상단에 마련된다.
상기 여과부(63)는 상기 내피부재(20)의 한약재(1)가 가열되어 증기가 발생될 때, 그 증기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물, 예컨대 미세한 중금속을 여과하고, 한약재(1)의 역한 냄새를 제거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것으로서, 망부재(63b)와 숯(63a)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망부재(63a)는 상기 제1 항아리부(60)의 하측에 숯(63a)이 수용된 상태로 놓이게 되며, 상기 망부재(63a)로는 대나무 소쿠리가 사용되며, 숯(63a)은 대나무숯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항아리부(70)는 제1 항아리부(60)를 통하여 상승된 증기가 냉각되어 액상으로 될 때, 그 액상의 추출액을 모을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다. 상기 제2 항아리부(70)는, 그 하단은 개방되고 상단은 폐쇄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항아리부(60)의 유출구(62) 상측에서 그 유출구(62)를 감싸도록 안착된다. 이때, 상기 제1 항아리부(60)의 유출구(62)는 상기 제2 항아리부(70)의 내측으로 들어가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제2 항아리부(70)에는, 상기 내피부재(20)로부터 상기 제2 항아리부(70)까지 상승된 상기 증기가 상기 제2 항아리부(70)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응결된 후, 그 액상의 추출액(이하 '정제액'이라함)이 상기 제2 항아리부(7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71)가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항아리부(60)와 상기 제2 항아리부(70)는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황동 솥은, 상기 증기의 냉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제2 항아리부(70) 상측에 냉각수(81)를 담은 물통(8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에 의한 이중 황동 솥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한약재(1)를 증숙하거나, 한약재(1)에 포함된 성분을 추출하기 위해서, 원하는 한약재(1)를 내피부재(20)에 넣고, 내피부재(20)를 덮개부재(50)로 덮은 후, 외부열원(2)을 이용하여 외피부재(10)에 열을 가한다.
외부열원(2)은 외피부재(10)를 먼저 가열하며, 외피부재(10)에 전달된 열은 열전달물질(30)로 전달된다. 이 과정에서, 외피부재(10)의 내주면은 그 중심에 대하여 동심으로 복수개의 돌기부(1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피부재(10)가 열전달물질(30)과 접촉하는 표면적이 증가하여, 외피부재(10)의 열이 효과적으로 열전달물질(30)에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열전달물질(30)에 전달된 열은 다시 내피부재(20)에 전달되고, 내피부재(20)와 접촉하고 있는 한약재(1)에 그 열이 전달된다. 이 과정에서, 내피부재(20)의 내주면은 그 중심에 대하여 동심으로 복수개의 돌기부(2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내피부재(20)가 한약재(1)와 접촉하는 표면적이 증가하여, 내피부재(20)의 열이 효과적으로 한약재(1)에 전달된다. 이와 같이, 열이 외피부재(10)와 열전달물질(30)과 내피부재(20)를 거치면서 한약재(1)로 전달되기 때문에, 내피부 재(20)의 표면은 고루 가열되게 되어, 표면의 일부에 열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시간이 경과하면서, 한약재(1)는 증숙되거나, 한약재(1)에 포함된 성분이 추출되고, 추출된 성분이 끓게 된다. 한약재(1)로부터 추출된 성분이 끓을 때 발생되는 증기는 상기 덮개부재(50)에 마련된 구멍(51)을 통하여 상측으로 상승한다.
이때, 상기 증기는 제1 항아리부(60)의 유입구(61)를 통하여 상승되고, 제1 항아리부(60)에 마련된 여과부(63)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증기가 여과부(63)의 숯(63a)을 통과하면서, 한약재(1)의 추출성분에서 우러나온 미세한 중금속 등이 숯(63a)에 흡착되고, 한약재(1)의 역한 냄새가 숯(63a)에 흡수되게 된다.
상기 여과부(63)를 통과한 증기는 계속하여 상승하여, 제1 항아리부(60)의 유출구(62)를 통해 유출되어, 제2 항아리부(70)까지 상승된다. 상승된 증기가 제2 항아리부(70)의 내주면에 닿으면, 외부공기와의 온도 차이에 의하여, 상기 증기는 냉각된다. 이때, 상기 제2 항아리부(70)의 상부에는 냉각수(81)를 담은 물통(80)을 놓아둠으로써, 상기 증기의 냉각을 촉진시킬 수 있다.
상기 증기가 냉각되면, 액체상태로 제2 항아리부(70)의 내주면에 응결되고, 응결된 액체(정제액)는 제2 항아리부(70)의 내주면을 따라 하방으로 흘러내리게 되며, 제2 항아리부(70)에 마련된 배출구(71)를 통하여 제2 항아리부(70) 밖으로 배출되게 된다. 제2 항아리부(70) 밖으로 배출된 정제액은 수집용기(90)로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한약재(1)를 증숙시키거나, 한약재(1)에 포함된 성 분을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된 성분을 정제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이중 황동 솥은, 한약재(1)의 증숙 또는 한약재(1)에 포함된 성분을 추출하기 위해서, 외피부재(10)와 내피부재(20)를 구비하고, 그 외피부재(10)와 내피부재(20) 사이에 열전달물질(30)을 사용하므로, 소위 중탕의 방법을 활용하여, 한약재(1)의 영양소 파괴를 최소화하고, 한약재(1)가 내피부재(20)에 눌러 붙는 것을 방지하여, 고품질의 한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외피부재(10)의 내주면이 열전도율이 우수한 황동으로 코팅되어 있으며, 내피부재(20)가 열전도율이 우수한 황동으로 이루어지고, 외피부재(10)와 내피부재(20) 사이에 열전도율이 높은 열전달물질(30)이 채워져 있으므로, 외부열원(2)에 의한 열을 효과적으로 한약재(1)에 전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외피부재(10)의 내주면과, 내피부재(20)의 내주면에는 복수개의 돌기부(11,21)를 마련되므로, 외피부재(10)와 열전달물질(30)의 접촉면적과, 내피부재(20)와 한약재(1)의 접촉면적이 증가되어 열효율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내피부재(20)는 황동의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황동으로부터 원적외선이 방출되어 항균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황동의 유효성분이 용출되어 한약재(1)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한 독소를 중화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외피부재(10)와 내피부재(20)를 동시에 사용하지 않고, 그 중 하나만을 사용하여 한약재(1)를 증숙하거나 추출하는 경우에, 그 외피부재(10) 또는 내피 부재(20)의 표면은 외부열원(2)에 의해 불균일하게 가열되나, 본 발명에 따른 이중 황동 솥은, 외부열원(2)에 의해 외피부재(10)에 가해진 열이 열절단물질을 거쳐 내피부재(20)에 전달되므로, 내피부재(20)가 고루 가열되고, 열효율이 향상되어, 연료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 황동 솥은, 한약재(1)의 증숙 또는 추출할 때, 제1 항아리부(60)와 제2 항아리부(70)를 이용하여 추출된 성분의 정제도 가능하게 한다. 이때 내피부재(20)에 수용된 한약재(1)의 추출성분이 끓으면서 증발된 증기가 제1 항아리부(60)의 여과부(63)를 통과하면서, 추출성분에 포함된 미세 중금속이 여과부(63)의 숯(63a)에 흡착되고, 한약재(1)의 역한 냄새가 숯(63a)에 의해 제거되게 되므로, 제1 항아리부(60)와 제2 항아리부(70)를 통과한 증기가 정제되어, 제2 항아리부(70)의 배출구(71)를 통하여 배출된 정제액은 노약자나 어린이가 부담없이 편하게 마실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항아리부(70)의 유출구(62)에 건강에 유익한 물질, 예컨대 십전대보 원료 등을 별도의 소쿠리에 담아 안착시켜 놓으면, 인체에 더욱 유익한 정제액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중 황동 솥은 덮개부재(50)와 제1 항아리부(60)와 제2 항아리부(70)를 제거한 상태에서는, 전통차를 덖거나, 청(淸)을 만드는데 사용가능 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황동 솥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이중 황동 솥의 주요부분에 대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한약재 2... 외부열원
10... 외피부재 11... 외피부재의 돌기부
12... 공간부 20... 내피부재
21... 내피부재의 돌기부 30... 열전달물질
40... 지지부재 50... 덮개부재
51... 구멍 60...제1 항아리부
61... 유입구 62... 유출구
63... 여과부 70... 제2 항아리부
71... 배출구 80... 물통

Claims (3)

  1. 한약재를 증숙하거나 또는 그 한약재에 포함된 성분을 추출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철 또는 황동 재질로 이루어지며, 하방을 향하여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외부열원에 의해 가열되는 외피부재와,
    상기 외피부재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한약재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외피부재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하방을 향하여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황동 재질의 내피부재와,
    상기 외피부재와 상기 내피부재가 이격되어 형성된 공간부에 채워지며, 상기 외부열원에 의해 가열된 상기 외피부재의 열을 상기 내피부재로 전달하는 열전달물질과,
    상기 내피부재를 상기 외피부재로부터 이격시키도록, 상기 외피부재의 테두리에 배치되며, 상기 내피부재를 접촉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내피부재의 상부측으로부터 상기 내피부재를 덮는 덮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황동 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부재는 철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피부재의 내주면 중심에 대하여 동심으로 환형의 돌기부가 복수개 마련되고, 그 내주면은 황동으로 코팅되어 있으며,
    상기 내피부재는 그 내주면 중심에 대하여 동심으로 환형의 돌기부가 복수개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열전달물질은 밀납, 파라핀, 대두유, 또는 열매체유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부재는 철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덮개부개는 황동재질의 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황동 솥.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한약재를 증숙하거나 또는 그 한약재에 포함된 성분을 추출할 때, 상기 외부열원에 의해 가열된 한약재로부터 발생된 증기를 정제하기 위해서, 상기 덮개부재는 상기 증기가 배출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된 황동 재질의 판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덮개부재의 구멍 위에 배치되며, 하단에는 상기 구멍과 연통될 수 있는 유입구가 마련되고, 상단에는 상기 증기가 유출될 수 있는 유출구가 마련되며, 상기 증기에 함유된 미세물을 제거하고 상기 증기의 냄새를 제거하도록 하단에 여과부를 구비하는 제1 항아리부와,
    하단은 개방되고 상단은 폐쇄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항아리부의 유출구 위에서, 그 유출구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내피부재로부터 상승된 상기 증기가 상기 내측면에 접촉되어 냉각되어 액체상태로 된 후, 그 액체가 상기 내측면 을 따라 하방으로 흘러내려 배출되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제2 항아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황동 솥.
KR1020080047097A 2008-05-21 2008-05-21 이중 황동 솥 KR200901210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097A KR20090121015A (ko) 2008-05-21 2008-05-21 이중 황동 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097A KR20090121015A (ko) 2008-05-21 2008-05-21 이중 황동 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1015A true KR20090121015A (ko) 2009-11-25

Family

ID=41604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7097A KR20090121015A (ko) 2008-05-21 2008-05-21 이중 황동 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2101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9455A1 (ko) * 2017-09-20 2019-03-28 김해욱 커피 제조 장치
CN110326973A (zh) * 2019-07-17 2019-10-15 宁波福特恩净水设备有限公司 一种下置式饮水机及其水汽分离盒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9455A1 (ko) * 2017-09-20 2019-03-28 김해욱 커피 제조 장치
CN110326973A (zh) * 2019-07-17 2019-10-15 宁波福特恩净水设备有限公司 一种下置式饮水机及其水汽分离盒
CN110326973B (zh) * 2019-07-17 2021-04-02 宁波福特恩净水设备有限公司 一种下置式饮水机及其水汽分离盒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2946C (zh) 蒸笼
KR101756705B1 (ko) 진공 증숙 및 중탕 장치
KR100788306B1 (ko) 초음파진동자를 이용한 약재용 진공 저온 추출장치
KR100682119B1 (ko) 고온진공 증숙기 및 이를 이용한 증숙법
CN2914949Y (zh) 直火咖啡壶
CN101160082A (zh) 用于排出烹饪容器的盖中的气味的装置
KR20090121015A (ko) 이중 황동 솥
KR20090044151A (ko) 증류 추출기
KR101973909B1 (ko) 가정용 다기능 농축액 제조기
CN106039492A (zh) 一种中草药保健气疗仪
CN106419514A (zh) 一种可自动控制的电加热汽锅
JP4831060B2 (ja) 電子レンジ用の小型抽出装置
CN207604790U (zh) 一种新型的沥米饭电饭锅结构
KR102027651B1 (ko) 건강보조식품용 농축기
KR100412328B1 (ko) 농축기
TWI423837B (zh) 純露香精油蒸餾設備
CN111450570B (zh) 一种萃取本草液的方法
KR20150145549A (ko) 진공증류 약탕기
TWI284026B (en) Counter-flow cookware having down opening for cooking
JP4831044B2 (ja) 電子レンジ用の小型抽出装置
KR960007592Y1 (ko) 다용도 중탕 요리기
KR100656597B1 (ko) 가정용 음식쓰레기 건조기
CN212089238U (zh) 蒸汽功能茶壶
CN108670839A (zh) 一种可过滤药渣的中药保健壶
CN210131120U (zh) 一种用于酒黄精饮片蒸煮的蒸煮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