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8711Y1 - 배수관 매설 기초재 포대기 - Google Patents

배수관 매설 기초재 포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8711Y1
KR200238711Y1 KR2020010002747U KR20010002747U KR200238711Y1 KR 200238711 Y1 KR200238711 Y1 KR 200238711Y1 KR 2020010002747 U KR2020010002747 U KR 2020010002747U KR 20010002747 U KR20010002747 U KR 20010002747U KR 200238711 Y1 KR200238711 Y1 KR 2002387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drain pipe
base material
string
found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27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구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100027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87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87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8711Y1/ko

Links

Landscapes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수관 매설 기초재 포대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초재가 충전된 끈이 달린 포대를 배수관의 기초로 사용한 배수관 매설 기초재 포대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배수관 매설 기초재 포대기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포대와 상기 포대 이면의 폭방향으로 형성된 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배수관 매설 기초재 포대기{quilt}
본 고안은 배수관 매설 기초재 포대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초재가 충전된 끈이 달린 포대를 배수관의 기초로 사용한 배수관 매설 기초재 포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수관을 매설하기 위해서는 배수관을 매설할 부위의 원지반을 굴착하고 배수관이 안착될 기초지반을 다짐한다. 이와 같이 다짐된 기초지반 자체에 배수관을 설치하거나 기초지반 상에 모래를 깔거나 콘크리트를 타설한 기초 구조물에 배수관을 설치하여 매설한다.
먼저, 기초지반 자체에 배수관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다짐을 잘 한다고 해도 기초지반의 평탄도가 불량하고, 특히 기초지반이 연약지반인 경우 지지력 감소로 인해 부등침하가 발생하여 배수관이 파손될 우려가 크다.
한편, 기초지반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기초 구조물 위에 배수관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기초지반의 평탄도를 향상시키고 연약지반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 설치, 콘크리트 양생기간이 소요되어 공사기간이 길고 공사비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다른 한편, 기초지반에 모래를 깔고 배수관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평탄도와 연약지반에 대한 지지력이 기초지반 자체보다는 상대적으로 좋으며 콘크리트 타설에 의한 시공보다 공사기간이 짧은 장점이 있다. 그러나, 배수관의 이음부에서 누수가 발생할 경우 누수에 의해 모래에 골이 형성되어 평탄도가 불량해지고 계속적인 누수로 인해 기초지반을 연약하게 할 우려가 커서 기초 구조물의 안정성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배수관을 지지하는 기초를 간단히 구축할 수 있도록 한 배수관 매설 기초재 포대기를 제공하는데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 매설 공법을 도시한 공정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배수관이 매설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포대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원지반 3 : 기초지반
5 : 포대기 7 : 포대
9,10a : 끈 10b : 고리
11 : 기초재 13 : 배수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배수관 매설 기초재 포대기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포대와 상기 포대 이면의 폭방향으로 형성된 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포대 이면의 양단에 형성된 끈과 고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 매설 공법을 도시한 공정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배수관이 매설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포대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배수관 매설 공법은 먼저 배수관(13)을 매설할 위치를 지정하고 일정깊이로 굴착하는 터파기 작업을 한다. 터파기 작업은 배수관(13)의 매설 방식에 따라 돌출형과 반구형으로 나뉘어진다. 돌출형은 배수관(13)이 원지반(1) 상에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고 그 위에 흙을 쌓는 형식이며, 반구형은 원지반(1) 상에 도랑을 파서 매설하고 되메우기 하는 형식이다. 배수관(13)이 상하수도관인 경우에는 반구형 형식으로 매설되는 일반적인 시공 형태이며 바람직하다. 터파기를 한 후 그 내부를 정리하는데, 예컨대 흙막이, 배수(물 퍼내기), 기초지반(3) 다지기 등을 행한다.
다음에, 기초지반(3)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갖는 포대(7)를 깐다. 포대(7)의 길이가 짧을 경우에는 포대(7)간의 평탄도에 차이가 남으로, 포대(7)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배수관(13) 하나의 길이와 같거나 약간 길게, 더욱 바람직하게는 배수관(13)이 설치되는 전체길이와 같은 길이로 제작되는 것이다. 포대(7)는 통상 자루와 같은 직물 또는 부직물, 비료포대와 같은 합성수지로 제조되며 폴리프로필렌의 합성수지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 포대(7) 위(또는 표면)에 모래와 같은 기초재(11)를 포설하고 쌓인 기초재를 고르는 정지 작업을 행한다. 이때, 포설량은 배수관의 크기(예컨대, 직경)에 따르며, 포설 작업과 정지 작업은 포크레인과 같은 건설기계를 이용하는 것이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포설 작업과 정지 작업이 끝난 후에는 롤러 등을 이용하여 다짐 작업을 행한다.
다짐 작업이 행해진 기초재(11)를 포대(7)로 감싸 덮는다. 이때, 포대(7)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포대(7) 밑(또는 이면)에 포대(7)의 폭방향으로 끈(9)을 일정간격으로 배치하고 포대(7)를 감싸 묶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끈(9)이 포대(7)에 미리 고정된 경우에는 끈(9)을 배치할 필요 없이 바로 포대(7)를 감싸고 묶을 수도 있다. 묶는 방식은 흔히 서로 얽어서 매는 방식도 있고, 끈(9) 양끝에 흔히 찍찍이라 불리는 벨크로 테이프를 부착하거나 등산배낭에 많이 사용하는 착탈 가능한 체결구를 고정시켜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끈(9)을 각각 2개씩 사용하여 하나는 포대(7)를 묶는데 사용하고, 나머지 끈(9)은 배수관(13)과 함께 묶는데 사용함으로써 배수관(13)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포대(7) 밑의 양단에도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끈(10a)과 고리(10b)가 형성되어 서로 연결시킴으로써 포대(7)의 양단으로 기초재(11)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 감싸져 묶긴 포대(7) 위에 배수관(13)을 설치한다. 배수관(13)이 설치되면, 배수관(13)의 무게로 인해 포대(7)가 배수관(13)의 외관형태로 변형하면서 배수관(13)을 일부 감싸며 지지하는 구조를 취하게 된다. 배수관(13)은 토압이나 차량 등의 하중에도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가지며 특히 하수도관인 경우에는 하수에 의해서 부패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배수관(13)으로서 원심력으로 제조되는 철근콘크리트 관인 흄관이 사용될 수 있다. 이렇게 배수관(13)을 계속 포대(7) 위에 설치하면서 배수관(13)을 연결시키는데, 연결부에는 누수방지와 이탈방지를 위해 몰탈 등으로 충전한다.
배수관(13)의 매설이 끝나면 나머지 공간을 퍼낸 토사나 일반 토사로 성토하고 다짐함으로써 배수관(13) 매설은 완료된다.
한편, 전술한 배수관(13)의 기초 형식에 사용되는 포대(7)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포대(7) 이면의 폭방향으로 끈(9)이 달린 포대기(5)로 이루어짐으로써, 배수관(13) 매설에 사용되는 기초재(11)를 안정적으로 감싸 기초재(11)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포대(7) 이면의 길이방향 양단에 끈(10a)과 고리(10b)가 형성됨으로써, 포대(7)의 양단으로 기초재(11)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기초재(11)를 포대(7) 내에 확실히 담아 둘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배수관 매설 기초재 포대기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배수관 매설 기초재 포대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기초재가 포대와 끈에 의해 포대 내부에 갇혀 있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배수관으로부터 누수현상이 발생하여도 기초재에 골이 파이는 현상이 방지되어 배수관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둘째, 포대를 깔고 기초재를 포설함으로써 공사기간이 단축되어 공사비가 절감될 수 있다.
셋째, 기초재가 포설된 포대에 배수관이 설치됨으로써 기초재의 유연성으로 인해 배수관의 외관형태에 맞게 밀착 지지함으로써 외부의 하중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포대를 작업 현장에 맞게 제작하고 끈으로 묶어 기초를 형성시키는 포대기의 제작이 용이하여 작업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작업할 수 있어서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다.

Claims (2)

  1. 소정의 길이를 갖는 포대와,
    상기 포대 이면의 폭방향으로 형성된 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배수관 매설 기초재 포대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대 이면의 양단에 형성된 끈과 고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배수관 매설 기초재 포대기.
KR2020010002747U 2001-02-06 2001-02-06 배수관 매설 기초재 포대기 KR2002387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747U KR200238711Y1 (ko) 2001-02-06 2001-02-06 배수관 매설 기초재 포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747U KR200238711Y1 (ko) 2001-02-06 2001-02-06 배수관 매설 기초재 포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8711Y1 true KR200238711Y1 (ko) 2001-09-26

Family

ID=73095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2747U KR200238711Y1 (ko) 2001-02-06 2001-02-06 배수관 매설 기초재 포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871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36115A (en) Foundation waterproofing and drainage system
CN106988343A (zh) 一种市政道路管线保护结构及其施工方法
JP5114234B2 (ja) 道路盛土の補強構造
KR100641815B1 (ko) 보강토목섬유매트 및 이를 사용한 성토시공법
KR200238711Y1 (ko) 배수관 매설 기초재 포대기
CN108894206B (zh) 沙洲污水管、井抗浮体系及施工方法
KR100673057B1 (ko) 지하 매설용 합성수지관체
KR20020065164A (ko) 배수관 매설 공법
JP3756077B2 (ja) 地中埋設物の埋設方法と埋設構造
JPH03206212A (ja) 管状杭における土留工法および管状杭
KR102084842B1 (ko) 옹벽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KR200223114Y1 (ko) 암 절취사면용 옹벽 보강구조
JP4175755B2 (ja) 埋設管路の浮上防止構造
JPH01315522A (ja) 杭体
CN215483082U (zh) 一种重力式挡土墙
JPH05132930A (ja) ドレーン層付き基礎杭の造成方法
KR20010007973A (ko) 연약지반의 망포자루형 시멘트콘크리트 말뚝 시공법 및망포자루형 시멘트콘크리트말뚝
KR100524188B1 (ko) 콘크리트 흄관의 연결구조
KR102139811B1 (ko) 세굴 방호공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100688617B1 (ko) 저면이 평탄한 하수관
JP2000319884A (ja) 補強土壁構造
JP4651328B2 (ja) 管状体の埋設工法
CN113107003A (zh) 一种重力式挡土墙及施工方法
JPH0790863A (ja) 盛土用土留壁
RU2171944C1 (ru) Полимерконтейне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