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7704Y1 - 자동차용공기안내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공기안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7704Y1
KR200237704Y1 KR2019980001755U KR19980001755U KR200237704Y1 KR 200237704 Y1 KR200237704 Y1 KR 200237704Y1 KR 2019980001755 U KR2019980001755 U KR 2019980001755U KR 19980001755 U KR19980001755 U KR 19980001755U KR 200237704 Y1 KR200237704 Y1 KR 2002377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let
garnish
vehicle
h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17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6024U (ko
Inventor
장원석
Original Assignee
유철진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철진,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철진
Priority to KR20199800017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7704Y1/ko
Publication of KR199900360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60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77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7704Y1/ko

Links

Landscapes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터 쿨러(Inter-Cooler)를 사용하는 차량에 공급되는 공기를 손실없이 공급할 수 있는 자동차용 공기 안내구에 관한 것으로, 후드 에어 스코프 가니쉬(34)의 내측에 공기를 유입하도록 형성된 유입구(22)를 갖는 인입부(24)와, 상기 인입부(24)로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도록 하부측이 개방된 몸체부(28)와, 상기 몸체부(28)의 하부 개방측의 출구 외측에 실링부(30)를 형성하도록 구성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공기 안내구
본 고안은 자동차용 공기 안내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터 쿨러(Inter-Cooler)를 사용하는 차량에 공급되는 공기를 손실없이 공급할 수 있는 자동차용 공기 안내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 쿨러의 방식을 사용하는 자동차의 구성으로, 첨부된 도 1 을 살펴보면, 엔진룸의 상측부에 형성되어 있는 인터 쿨러에 공기를 공급을 위해 보닛(Bonnet)(2)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후드 에어 스코프 가니쉬(Hood AirScoopGarnish)(4)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보닛(2)에 형성되어 있는 후드 에어 스코프 가니쉬(4)는 자동차의 전면측에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어 주행의 속도에 따라 공기의 공급량을 조절하도록 형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후드 에어 스코프 가니쉬(4)의 입구를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는 후드 에어 스코프 가니쉬(4)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인터쿨러로 일부만 공급되고 유입되는 대부분의 공기는 인터 쿨러로 유입되지 않고 엔진룸의 전체로 유입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유입 공기가 손실되는 문제점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후드 에어 스코프 가니쉬로 유입되는 공기를 엔진룸내의 전체로 공급되지 않고 인터 콜러로만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여 유입 공기의 손실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자동차용공기 안내구를 제공함에 있다.
도 1 은 종래의 자동차의 후드 에어 스코프 가니쉬를 나타내는 도면.
도 2 는 본 고안의 자동차용 공기 안내구의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자동차용 공기 안내구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 유입구 24:인입부
28: 몸체부 30: 실링부
34: 후드 에어 스코프 가니쉬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자동차용 공기 안내구는, 상기 후드 에어 스코프 가니쉬의 내측에 공기를 유입하도록 형성된 유입구를 갖는 인입부와, 상기 인입부로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도록 하부측이 개방된 사각 박스 모양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28)의 하부 개방측의 출구 외측에 폴리우레탄재의 실링부(30)를 형성한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자동차용 공기 안내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와 같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는 본 고안의 자동차용 공기 안내구의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의 자동차용 공기 안내구의 단면도이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공기 안내구의 구성은, 상기 보닛(32)의 대략 중앙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후드 에어스코프 가니쉬(34)의 내측의 엔진룸(도시않음)측에 주행시에 발생하는 공기의 흡입력를 이용하여 공기를 유입하도록 형성된 길게 형성된 타원형의 유입구(22)를 갖는 인입부(24)를 형성하여 후드 에어 스코프 가니쉬(34)의 입구측에 결합시켜 고정한다.
상기의 인입부(24)의 일단에는 유입구(22)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인입하도록 사각 박스형의 몸체(28)를 형성하고 있으며, 그 하단측은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28)의 하단부 개방측에는 인터 쿨러와 맞닿도록 형성되어 있어 인터 쿨러로 공급되는 공기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링부(30)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의 공기 손실방지용 실링부(30)는 인터 쿨러의 상부측에 공기 유입측의 상부 외측을 감싸아 덮도록 되어 있어 보닛(32)을 열면 인터 쿨러에서 이탈된다.
또한 상기 보닛(32)을 닫게 되면 후드 에어 스코프 가니쉬(34)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 안내구의 실링부(30)는 인터 쿨러의 상부측에 맞닿음되면서 실링부(30)를 압착시키므로 실링성을 높이게 되어 틈사이로 손실되는 공기를 최소한 줄일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공기 안내구는 자동차가 주행하기 시작하면 주행 속도에의해 후드 에어 스코프 가니쉬(34)를 입구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유입된 공기는 후드 에어 스코프 가니쉬(34)의 입구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유입구(22)로 유입된다.
상기 유입구(22)로 유입된 공기는 인입부(24)를 따라 이동되어 인입부(24)의 일단부측에 형성되어 있는 몸체(28)의 내측으로 유입된다. 상기 하부측이 개방되어 있는 몸체(28)내로 유입된 공기는 몸체(28) 내로 퍼지면서 인입되어 몸체(28)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실링부(30)와 맞닿도록 형성되어 있어 인터 쿨러의 전면에 골고루 퍼져 인입되므로 인터 쿨러에 필요한 공기를공급한다.
또한, 실링부(30)는 완충성과 시일성을 높이기 위하여 폴리우레탄 등과 같은 합성수지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자동차용 공기 안내구에 의해 에어 스코프 가니쉬로 유입되는 공기를 엔진룸내의 전체로공급되지 않고 인터 쿨러로만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여 유입공기의 손실를 최소화할 수 있어 인터 쿨러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보닛의 일부분에 설치된 후드 에어 스코프 가니쉬에 형성된 자동차용 공기 안내구에 있어서,
    상기 후드 에어 스코프 가니쉬(34)의 내측에 공기를 유입하도록 형성된 유입구(22)를 갖는 인입부(24)와,
    상기 인입부(24)로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도록 하부측이 개방된 사각박스 모양의 몸체부(28)와,
    상기 몸체부(28)의 하부 개방측의 출구 외측에 폴리우레탄재의 실링부(3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 안내구.
KR2019980001755U 1998-02-12 1998-02-12 자동차용공기안내구 KR2002377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1755U KR200237704Y1 (ko) 1998-02-12 1998-02-12 자동차용공기안내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1755U KR200237704Y1 (ko) 1998-02-12 1998-02-12 자동차용공기안내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024U KR19990036024U (ko) 1999-09-15
KR200237704Y1 true KR200237704Y1 (ko) 2002-02-19

Family

ID=69712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1755U KR200237704Y1 (ko) 1998-02-12 1998-02-12 자동차용공기안내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770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024U (ko) 1999-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00867B (zh) 用于车辆内燃机的进气系统
JP4388798B2 (ja) 内燃機関のための粗空気を吸い込むための装置
KR200237704Y1 (ko) 자동차용공기안내구
KR20050036056A (ko) 차량의 흡기장치
US5478098A (en) Air intake device for automotive engine
KR101474824B1 (ko) 차량용 공조케이스 실링장치
US20030172812A1 (en) Air filte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942090B1 (ko) 자동차용 흡기시스템
KR100448494B1 (ko) 자동차의 인터쿨러 덕트
KR20020038311A (ko) 자동차용 에어크리너
KR0140547Y1 (ko) 철도차량의 공기안내용 덕트
KR200205046Y1 (ko) 에어 클리너의 공기흡입구가 설치된 자동차의 본네트
KR101292850B1 (ko) 차량용 프런트 앤드 에어 덕트
JPS6010202Y2 (ja) エアクリ−ナインテ−ク部回りのバイパス装置
KR100901599B1 (ko) 자동차의 흡기 시스템
JPH01301484A (ja) 鞍乗型車両の吸気装置
JP2517508Y2 (ja) 気化器への吸気誘導構造
KR20030041311A (ko) 자동차의 인터쿨러 덕트
KR19980035705A (ko) 자동차용 에어 클리너의 인/아웃렛 구조
KR100521555B1 (ko) 에어덕트의 장착구조
KR0131840Y1 (ko) 자동차용 도어트림의 디프로스터 덕트 결합구조
KR0125283Y1 (ko) 자동차의 에어클리너의 덮개 밀폐장치
JPS6030201Y2 (ja) 燃料タンクキヤツプ
JPS61295116A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のモ−タ冷却構造
KR950029090A (ko) 압축공기를 이용한 트럭용 실내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