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5336Y1 - 인절미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인절미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5336Y1
KR200235336Y1 KR2020010009867U KR20010009867U KR200235336Y1 KR 200235336 Y1 KR200235336 Y1 KR 200235336Y1 KR 2020010009867 U KR2020010009867 U KR 2020010009867U KR 20010009867 U KR20010009867 U KR 20010009867U KR 200235336 Y1 KR200235336 Y1 KR 2002353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ransmission
main body
cam
shaft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98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길호
Original Assignee
박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길호 filed Critical 박길호
Priority to KR20200100098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53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53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5336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인절미와 같이 찹쌀을 쪄서 친 떡을 적당한 크기로 모나게 절단하는 인절미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인절미 제조장치의 특징은 본체와;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동력발생부재와; 회전력을 감속시키는 감속기와; 감속기와 제2 동력전달부재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1 회전축과; 제1 회전축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회전축과; 제1 회전축과 회전하는 제1 캠과; 제1 캠과 제4 동력전달부재로 연결되어 일정량씩 회전되는 제1 이송부재와; 제1 캠에 의해서 이동된 제4 동력전달부재를 원위치 시키는 제1 탄성부재와; 제7 동력전달부재가 압착로울러의 이동에 의해서 장력이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장력조절부재와; 제7 동력전달부재쪽으로 장력조절부재를 가압하도록 형성하는 제2 탄성부재와; 본체 일측에 형성되는 제2 이동부재와; 제2 회전축과 회전하는 회전판과; 본체와 수직으로 이동되는 절단수단과; 제2 회전축과 회전되는 제2 캠과; 상기 제2 캠에 의해서 일정량씩 반복 이동되는 제2 작동부재와; 제1 이송부재의 진행방향으로 전진되는 작동축과; 상기 작동축을 안내하는 제2 안내부재와; 절단된 재료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재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인절미 제조장치{A manufacturing device for square cake coated with bean flour}
본 고안은 인절미와 같이 찹쌀을 쪄서 친 떡을 적당한 크기로 모나게 절단하는 인절미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절미는 찹쌀을 쪄서 떡메로 친 다음 사람이 칼로 적당한 크기로 썰고, 다양한 고물을 묻혀 완성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재래식 방법으로 많은 양의 인절미를 만들기 위해서는 많은 사람이 동원되어야 했으며, 칼을 이용하여 일일이 떡을 썰어야 하기 때문에 반복작업에 의한 능률과 집중력이 떨어져 떡을 자르는 사람의 실수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1986년 출원된(출원번호 20-1986-7266호) '인절미 절단기'와 1991년 출원된(출원번호 20-1991-7465 호) '인절미 절단기'에서 공개된 바와 같이 자동으로 인절미를 절단하여 사용하고 있지만, 상기 인절미 절단기는 떡메로 쳐서 완성된 재료를 호퍼에 담아 이송스크류를 이용하여 재료를 하부로 밀어내기 때문에 이송스크류에 의하여 재료가 섞이면서 질기고 맛과 질이 떨어지며, 이송스크류에 의해서 하부로 배출되는 재료를 절단할때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절단롤의 폭과 대응되는 크기로 미리 길게 종으로 절단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찹쌀을 쪄서 떡메로 친 떡을 일정한 크기로 한번에 절단하는 인절미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인절미 제조장치의 특징은 사각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고정되어 전원이 인가되면 동력을 발생시켜 회전하는 동력발생부재와;
동력발생부재와 제1 동력전달부재로 연결되어 동력발생부재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감속시키는 감속기와;
본체의 중앙에 횡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감속기와 제2 동력전달부재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1 회전축과;
본체의 일측에 횡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제1 회전축과 제3 동력전달부재로 연결되어 제1 회전축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회전축과;
감속기와 제2 동력전달부재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 1회전축의 본체 배면에 형성되어 제1 회전축과 회전하는 제1 캠과;
본체의 상부에 고정되며 제1 캠과 제4 동력전달부재로 연결되어 일정량씩 회전되는 제1 이송부재와;
상기 제1 이송부재가 일정량 만큼 회전하면서 다시 복귀되도록 제1 캠과 제1 이송부재를 연결하는 제4 동력전달부재의 제1 캠과 연결된 반대쪽 단부에 연결되어 제1 캠에 의해서 이동된 제4 동력전달부재를 원위치 시키는 제1 탄성부재와;
본체 배면에 형성된 제1 캠과 제4 동력전달부재에 의해서 일정량 만큼 회전하는 제1 이송부재의 전면에서 제6 동력전달부재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한 쌍의 동력전달 기어와;
제1 이송부재와 제6 동력전달부재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동력전달 기어와 제7 동력전달부재로 연결되어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제1 이송부재의 상부에서 제1 이송부재의 진행방향으로 제1 이송부재의 이동량 만큼 회전하며 떡의 두께에 따라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압착로울러와;
동력전달 기어와 압착로울러를 연결하는 제7 동력전달부재가 압착로울러의 이동에 의해서 장력이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장력조절부재와;
상기 장력조절부재를 본체와 고정하여 장력조절부재가 항상 제7 동력전달부재쪽으로 가압하도록 형성하는 제2 탄성부재와;
제1 이송부재가 이동되는 방향의 본체 일측에 형성되어 제1 회전축의 본체 전면에서 제5 동력전달부재와 연결되어 제1 이송부재를 따라 이동되는 떡을 다시 이동시키는 제2 이동부재와;
제1 회전축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회전축의 본체 전면과 배면에 고정되어 제2 회전축과 회전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원주 일측에 힌지로 고정되어 회전판의 회전에 따라 이동되는 제1 작동부재와;
회전판의 회전에 따라 회전판의 원주를 회전파는 제1 작동부재에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이송축과;
상기 이송축이 본체에서 수직으로 이동되도록 고정하는 제1 안내부재와;
제1 안내부재에 의해서 본체와 수직으로 이동되는 이송축의 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이송축과 함께 상.하로 이동되면서 제1 이송부재를 따라 이동되는 재료를 제2 이송부재로 이동시키는 절단수단과;
본체에 횡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제2 회전축의 본체 내부에 형성되어 제2 회전축과 회전되는 제2 캠과;
상기 제2 캠에 의해서 제2 힌지를 중심으로 일정량씩 반복 이동되는 제2 작동부재와;
제2 캠에 의해서 작동되는 제2 작동부재의 제2 캠과 밀착되는 반대쪽에서 제2 작동부재의 회전에 의해서 제1 이송부재의 진행방향으로 전진되는 작동축과;
상기 작동축을 안내하는 제2 안내부재와;
제2 작동부재와 밀착되는 작동축의 반대쪽 단부에 고정되어 절단수단에 의해서 절단된 재료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재를을 포함한다.
절단수단은, 제1 이송부재에 의해서 이송되는 재료를 횡으로 절단하는 횡절단부재와,
상기 횡절단부재에 의해서 절단된 재료가 놓여지며, 종으로 다수개의 절단날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종절단부재와,
횡절단부재에 의해서 절단되어 종절단부재의 상부에 올려지는 재료를 압착시키면서 종절단부재를 통과시켜 재료를 제2 이송부재로 이동시키는 누름부재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인절미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인절미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인절미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인절미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압착로울러의 높이 조절에 따른 동력절달 부재의 늘어짐을 방지하는 장력조절 부재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제1 이송부재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방법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동작 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인절미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작동상태 1.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인절미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작동상태 2.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인절미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작동상태 3.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인절미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작동상태 4.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인절미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작동상태 5.
도 12는 도 11에 따른 종절단부재와 누름부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인절미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작동상태 6.
도 14는 도 13에 따른 종절단부재와 누름부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15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횡절단부재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인절미 제조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인절미 제조장치의 일실시예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1)의 내부에 전원이 인가되면 회전하는 동력발생부재(M)를 통상의 모터로 형성한다.
상기 동력발생부재(M)의 일측에는 감속기(2)를 고정하고 제1 동력전달부재(101)로 동력발생부재(M)와 연결하여 동력발생부재(M)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일정한 회전속도록 감속시킨다.
동력발생부재(M)의 회전력을 제1 동력전달부재(101)로 연결하여 감속기키는 감속기(2)는 본체(1)의 내부 중앙에서 횡으로 관통되게 고정되는 제1 회전축(4)과 제2 동력전달부재(102)로 연결하여 제1 회전축(4)을 회전시킨다.
본체(1)의 내부에서 횡으로 고정되는 제1 회전축(4)은 본체(1)의 전면과 배면으로 돌출되게 고정한다.
본체(1)의 내부 중앙에 고정되는 제1 회전축(4)의 일측에는 상기 제1 회전축(4)과 제3 동력전달부재(103)로 연결되어 제1 회전축(4)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 회전축(5)을 고정한다.
본체(1)의 전면과 배면으로 돌출되도록 횡으로 관통되게 고정되는 제1 회전축(4)의 본체(1) 배면으로 돌출되는 부분에는 도 4 및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상기 제1 회전축(4)과 회전하는 제1 캠(41)을 고정한다.
제1 회전축(4)에 의해서 회전하는 제1 캠(41)이 고정되는 본체(1)의 상부에는 본체(1)의 일측단부에서 반대쪽 단부로 재료를 이송시키는 제1 이송부재(6)를 고정한다.
상기 제1 이송부재(6)는 제1 이송로울러(61)를 본체(1)의 양쪽 단부에 고정하고 제1 이송로울러(61)를 제1 이송밸트(62)로 연결하여 제1 이송로울러(61)가 회전되면 재료가 놓여지는 제1 이송밸트(62)가 본체(1)의 일측으로 이동하면서 재료를 옮긴다.
본체(1)의 상부에 고정되는 제1 이송부재(6)의 제1 이송로울러(61)는 제1 회전축(4)에 의해서 회전되는 제1 캠(41)과 제4 동력전달부재(104)로 연결한다.
제1 캠(41)과 제4 동력전달부재(104)로 연결되는 제1 이송부재(6)의 제1 이송로울러(61)는 한쪽방향으로는 제4 동력전달부재(104)에 의해서 회전하며, 반대쪽으로 회전할 때는 공회전하도록 형성한다.
제4 동력전달부재(104)와 연결되어 제1 이송부재(6)의 제1 이송로울러(61)을 이송시키는 제1 캠(41)은 사용자가 제1 회전축(4)에서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제1 회전축(4)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 캠(41)의 중심편차를 조절하여 제1 이송부재(6)의 제1 이송로울러(61)의 회전량을 조절한다.
상기 제1 이송부재(6)의 제1 이송로울러(61)의 회전량을 조절하면, 재료가 올려지는 제1 이송밸트(62)의 이송량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재료의 폭을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다.
제1 이송부재(6)의 제1 이송로울러(61)와 제1 캠(41)을 연결하는 제4 동력전달부재(104)의 제1 캠(41)과 고정되는 반대쪽은 제1 탄성부재(7)로 연결한다.
제1 탄성부재(7)에 의해서 연결된 제4 동력전달부재(104)는 제1 회전축(4)에 의해서 제1 캠(41)이 하한점으로 내려가면 당겨지면서 제1 이송부재(6)의 제1 이송로울러(61)를 회전시키며, 제1 캠(41)이 상한점으로 올라가면 제4 동력전달부재(104)를 당기는 힘이 제거되면서 제1 탄성부재(7)에 의해서 제4 동력전달부재(104)가 복귀된다.
이때, 제1 이송부재(6)의 제1 이송로울러(61)는 반대쪽으로 역회전 할때는 공회전하기 때문에 제1 이송로울러(61)에 의해서 전진하는 제1 이송밸트(62)는 뒤로 밀리지 않는다.
제1 회전축(4)에 의해서 회전하는 제1 캠(41)과 제4 동력전달부재(104)로 연결되어 일정량씩 회전하는 제1 이송부재(6)가 고정된 본체(1)의 전면에는 상기 제1 이송부재(6)의 제1 이송로울러(61)와 제6 동력전달부재(106)로 연결되어 제1 이송로울러(61)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는 동력전달 기어(108)가 형성된다.
상기 동력전달 기어(108)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의 제1 이송부재(6)의 상부에 고정되는 압착 로울러(9)와 제7 동력전달부재(107)로 연결되어 제1 이송부재(6)가 회전할 때 동력전달 기어(108)가 제6 동력전달부재(106)에 의해서 회전하면서 압착 로울러(9)를 회전시킨다.
제1 캠(41)에 의해서 일정량씩 이동하는 제1 이송로울러(61)와 제6 동력전달부재(106) 및 제7 동력전달부재(107)로 연결된 압착 로울러(9)는 동력전달기어(108)에 의해서 회전방향이 바뀌면서 제1 이송부재(6)의 제1 이송밸트(62)와, 상기 제1 이송부재(6)의 상부에 형성되는 압착 로울러(9) 사이에 놓여지는 재료를 한쪽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동력전달 기어(108)에 의해서 회전되는 압착로울러(9)는 재료의 두께에 따라 상.하로 높이조절이 가능하며 압착로울러(9)가 상.하로 이동될 때 제7 동력전달부재(107)가 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7 동력전달부재(107)의 중간에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장력조절부재(8)를 본체(1)에 회전가능하게 고정한다.
본체(1)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장력조절부재(8)의 일측단부는 제7 동력전달부재(107)와 밀착되며 반대쪽 단부에는 제2 탄성부재(71)로 고정되어 장력조절부재(8)가 항상 제2 탄성부재(71)에 의해서 당겨지면서 제7 동력전달부재(107)의 장력을 항상 일정하게 한다.
제1 이송부재(6)의 상부에 고정되는 압착 로울러(9)의 일측에는 제1 이송부재(6)를 따라 이동되는 재료가 상부로 들려지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봉(91)을 형성한다.
본체(1)의 배면에서 제1 회전축(4)에 연결되는 제1 캠(41)으로 동력이 전달되어 회전하는 제1 이송부재(6)가 고정된 본체(1)의 전면에는 상기 제1 회전축(4)과 제5 동력전달부재(105)로 연결되는 제2 이송부재(6a)가 본체(1)의 일측에 고정된다.
본체(1)에 고정되는 제2 이송부재(6a)는 제1 이송부재(6)의 제1 이송밸트(62)가 이동하는 방향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이송부재(6a)는 제1 이송부재(6)와 같이 이송밸트와 이송로울러로 이루어지며, 이송로울러는 제5 동력전달부재(105)로 제1 회전축(4)과 연결되어 항상 회전한다.
상부에는 제1 이송부재(6)가 고정되고 일측에는 제2 이송부재(6a)가 고정되는 본체(1)의 내부에서 제1 회전축(4)과 제3 동력전달부재(103)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2 회전축(5)의 본체(1) 전면과 배면에는 상기 제2 회전축(5)에 고정되어 회전되는 회전판(51)을 도 1 및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한다.
제1 회전축(4)과 제3 동력전달부재(103)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2 회전축(5)의 양측 단부에 고정되는 회전판(51)에는 상기 회전판(51)의 원주상에 제1 힌지(52)로 고정되는 제1 작동부재(53)를 고정한다.
회전판(51)에 제1 힌지(52)로 고정되는 제1 작동부재(53)는 회전판(51)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한다.
회전판(51)에 제1 힌지(52)로 고정되어 회전판(51)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제1 작동부재(53)의 회전판(51)이 고정된 단부 반대쪽에는 이송축(55)이 고정된다.
상기 제1 작동부재(53)의 단부와 고정되는 이송축(55)은 본체(1)에 고정되는 제1 안내부재(54)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제1 작동부재(53)에 의해서 이동되는 이송축(55)이 수직으로 정확히 이동되도록 한다.
회전판(51)의 회전에 의하여 제1 작동부재(53)와 함께 상.하로 이동되는 이송축(55)의 단부에는 도 1 및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수단(200)을 고정하여 제1 이송부재(6)의 제1 이송밸트(62)에 놓여져 이동되는 재료를 제2 이송부재(6a)로 이동시키면서 절단한다.
제1 이송부재(6)의 제1 이송밸트(62)에 놓여져 이동되는 재료를 절단하는 절단수단(200)은 재료를 횡방향으로 절단하는 횡절단부재(201)를 제1 이송부재(6)의 일측단부에 고정시켜 회전판(51)이 1회전하면서 이송축(55)이 하부로 내려갈때 재료를 절단하도록 형성한다.
제1 이송부재(6)의 일측에서 재료를 절단하는 횡절단부재(201)는 도 1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끝이 모아지는 양날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단수단(200)의 횡절단부재(201) 하부에는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절단날(202a)이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종절단부재(202)를 고정한다.
횡절단부재(201)의 하부에서 다수개의 절단날(202a)로 고정되는 종절단부재(202)의 하부에는 제5 동력전달부재(105)에 의해서 회전하는 제2 이송부재(6a)가 위치되도록 형성하는 가장 바람직하다.
다수개의 절단날(202a)로 형성되는 종절단부재(202)의 상부에는 절단수단(200)의 횡절단부재(201)와 연결되어 상기 횡절단부재(201)가 하강할 때 함께 하강하는 누름부재(203)를 형성한다.
횡절단부재(201)와 연결되어 하강하는 누름부재(203)의 하부에는 종절단부재(202)의 절단날(202a)과 대응되는 절단홈(203a)을 형성하여 누름부재(203)가 하강할 때 종절단부재(202)의 절단날(202a)로 누름부재(203)의 절단홈(203a)이 삽입되면서 누름부재(203)가 종절단날(202a)의 하부까지 관통되도록형성한다.
제1 회전축(4)과 제3 동력전달부재(103)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2 회전축(5)에는 상기 제2 회전축(5)과 함께 회전하는 제2 캠(56)을 고정한다.
제2 회전축(5)과 회전하는 제2 캠(56)의 일측에는 제2 힌지(57a)에 의해서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본체(1)에 고정된 제2 작동부재(57)를 고정한다.
제2 힌지(57a)에 의해서 본체(1)에 고정된 제2 작동부재(57)의 일측단부는 제2 캠(56)과 밀착시켜 제2 캠(56)이 회전될 때 제2 캠(56)이 제2 작동부재(57)의 단부를 밀면서 제2 힌지(57a)를 중심으로 제2 작동부재(57)가 좌.우로 이동된다.
제2 캠(56)에 의해서 이동되는 제2 작동부재(57)의 제2 캠(56)과 밀착되는 반대쪽 단부에는 제2 작동부재(57)와 밀착되어 상기 제2 작동부재(57)에 의해서 좌.우로 이동되는 작동축(58)을 제2 안내부재(59)로 고정한다.
제2 안내부재(59)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고정되는 작동축(58)은 제2 작동부재(57)에 의해서 좌.우로 이동되며 제2 작동부재(57)의 일측단부에는 절단수단(200)의 횡절단부재(201)의 하부까지 연장되는 이동부재(3)가 고정되어 제2 작동부재(57)가 제2 캠(56)에 의해서 이동될 때 제2 작동부재(57)의 일측단부에 고정된 작동축이 이동부재(3)를 이동시키면서 절단수단(200)의 횡절단부재(201)에 의해서 절단된 재료를 누름부재(203)의 하부로 옮긴다.
작동축(58)이 이동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는 제2 안내부재(59)에는 제3 탄성부재(72)가 이동부재(3)와 연결되어 제2 작동부재(57)에 의해서 이동부재(3)가 일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제3 탄성부재(72)에 의해서 다시 복귀된다.
상기에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는 체인과 스프로킷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풀리와 밸트로 형성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체(1)의 상부에 고정되는 제1 이송부재(6)와 본체(1)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2 이송부재(6a)의 간격을 통상의 간격조절구에 의해서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찹쌀을 쪄고 떡메로 쳐서 완성된 떡을 본체(1)의 상부에 형성된 제1 이송부재(6)의 제1 이송밸트(62)에 올려 놓는다.
제1 이송부재(6)의 제1 이송밸트(62)에 떡이 올려지면 동력발생부재(M)에 전원을 인가시켜 동력발생부재(M)를 회전시킨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발생부재(M)가 회전하면 제1 동력전달부재(101)로 감속기(2)에 회전이 전달되며, 감속기(2)는 동력발생부재(M)의 회전력을 감속시켜 제2 동력전달부재(102)로 연결된 제1 회전축(4)을 회전시킨다.
감속기(2)와 제2 동력전달부재(102)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1 회전축(4)은 제3 동력전달부재(103)로 제2 회전축(5)을 회전시킨다.
감속기(2)와 연결된 제2 동력전달부재(102)에 의해서 회전되는 제1 회전축(4)의 배면에는 도 4 및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캠(41)이 고정되어 제1 회전축(4)의 회전에 따라 상한점과 하한점으로 이동하면서 회전한다.
상기와 같이 회전하는 제1 캠(41)에는 제1 이송부재(6)의 제1 이송로울러(61)와 제4 동력전달부재(104)로 연결되어 제1 캠(41)이 회전하면서 하한점으로 내려가면 제4 동력전달부재(104)와 제1 탄성부재(7)를 당겨 제1 이송부재(6)의 제1 이송로울러(61)가 일정량씩 회전하며, 제1 캠(41)이 상한점으로 회전하면서 이동하면 제1 탄성부재(7)의 탄성에 의해서 제4 동력전달부재(104)가 당겨진다.
이때, 제1 이송부재(6)의 제1 이송로울러(61)는 한쪽방향으로만 회전하고 반대쪽으로는 공회전하기 때문에 제1 이송로울러(61)는 제1 탄성부재(7)에 의해서 회전하지 않고 제4 동력전달부재(104)만 회전한다.
제1 캠(41)이 1회전할 때 일정량 만큼 이동하는 제1 이송부재(6)가 고정된 본체(1)의 전면에는 상기 제1 이송부재(6)의 제1 이송로울러(61)가 제6 동력전달부재(106)로 동력전달 기어(108)와 연결되며, 상기 동력전달 기어(108)는 제7 동력전달부재(107)로 제1 이송부재(6)의 상부에 형성된 압착로울러(9)를 제1 이송부재(6)와 동일한 양만큼 회전시키면서 재료가 이동되록한다.
제1 이송로울러(61)의 상부에 고정된 압착로울러(9)의 간격을 조절할 때 압착로울러(9)와 동력전달 기어(108)를 연결하는 제7 동력전달부재(107)의 중간에는 제2 탄성부재(71)에 의해서 항상 당겨지는 장력조절부재(8)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압착로울러(9)를 조절하면서 제7 동력전달부재(107)가 느슨해져도 제2 탄성부재(71)에 의해서 항상 당겨지는 장력조절부재(8)가 제7 동력전달부재(107)를 밀거나 당기면서 항상 장력을 일정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제1 이송부재(6)의 제1 이송로울러(61) 및 제1 이송밸트(62)와 압착 로울러(9)에 의해서 일정량씩 이동하는 재료가 절단수단(200)의 횡절단부재(201)에 위치된다.
제1 이송부재(6)에 의해서 이동되는 재료를 절단하는 절단수단(200)은 제1 회전축(4)과 제3 동력전달부재(103)로 연결된 제2 회전축(5)의 회전판(51)에 의해서 상.하로 이동된다.
회전판(51)에 제1 힌지(52)로 연결된 제1 작동부재(53)가 이송축(55)에 연결되고 상기 이송축(55)은 절단수단(200)의 횡절단부재(201)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횡절단부재(201)는 연속적으로 상.하로 이동된다.
제1 회전축(4)에 고정된 제1 캠(41)에 의해서 제1 이송부재(6)에 올려진 재료가 이동되면서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재료가 절단수단(200)의 횡절단부재(201)의 일측으로 돌출된다.
이때, 횡절단부재(201)는 회전판(51)에 의해서 상.하 왕복 되기 때문에 횡절단부재(201)의 일측으로 재료가 돌출되면 회전판(51)이 회전하면서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횡절단부재(201)가 하강하면서 재료를 횡으로 절단한다.
재료를 횡절단부재(201)가 절단하면 재료를 하부로 떨어지면서 종절단부재(202)의 상부에 올려지며,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횡절단부재(201)는 회전판(51)의 회전에 의해서 다시 상승된다.
횡절단부재(201)가 재료를 절단하고 상승될 때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회전축(5)에 고정되어 회전되는 제2 캠(56)이 제2 작동부재(57)의 일측단부를밀면서 제2 작동부재(57)가 제2 힌지(57a)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제2 작동부재(57)가 제2 캠(56)에 의해서 제2 힌지(57a)를 중심으로 회전되면 제2 작동부재(57)의 제2 캠(56)과 밀착된 반대쪽 단부는 제2 안내부재(59)에 이동가능하게 삽입 고정된 작동축(58)을 일측으로 밀어 이동부재(3)를 절단수단(200)의 누름부재(203) 하부로 횡절단부재(201)에 의해서 절단되어 종절단부재(202)의 상부에 놓여진 재료를 옮긴다.
제2 캠(56)에 의해서 일측으로 재료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재(3)는 제3 탄성부재(72)로 본체(1)에 고정된 제2 안내부재(59)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캠(56)이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작동부재(57)의 일측단부에서 이탈되면 제3 탄성부재(72)의 탄성에 의해서 이동부재(3)가 제2 안내부재(59)를 따라 작동축(58)과 복귀되며, 작동축(58)과 단부가 밀착된 제2 작동부재(57)는 제2 힌지(57a)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때,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횡절단부재(201)가 상부로 상승했을 때 제1 이송부재(6)가 도 7과 같이 이동되면서 재료가 다시 횡절단부재(201)의 일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공정은 제1 회전축(4)과 제2 회전축(5)이 1 회전할 때 발생되는 주기로 이루어진다.
제2 캠(56)에 의해서 이동되는 이동부재(3)로 누름부재(203)의 하부로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재료가 이동되고, 횡절단부재(201)의 일측으로 재료가 다시 돌출되면 절단수단(200)의 횡절단부재(201)와 누름부재(203)가 회전판(51)에 의해서 상.하 이동되는 이송축(55)에 의해 하강한다.
횡절단부재(201)와 누름부재(203)가 하강할 때 횡절단부재(201)는 제1 이송부재(6)에 의해서 이송되어 돌출되는 재료를 절단하고, 누름부재(203)는 도 1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절단날(202a)로 형성되는 종절단부재(202)의 절단날(202a)에 누름부재(203)의 절단홈(203a)이 삽입되면서 하강하며, 하강하는 누름부재(203)의 하부에는 횡절단부재(201)에 의해서 횡으로 길게 절단된 재료가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누름부재(203)에 의해서 눌리면서 종절단부재(202)의 절단날(202a)을 통과하여 상기 종절단부재(202)의 하부에 고정된 제2 이송부재(6a)로 떨어진다.
횡절단부재(201)에 의해서 횡으로 길게 절단되는 재료가 누름부재(203)에 의해서 눌리면서 절단날(202a)을 통과하면 재료는 일정한 크기로 종절단부재(202)의 절단날(202a)에 의해서 절단되며, 일정한 크기로 절단되어 제2 이송부재(6a)로 떨어지는 재료는 상기 제2 이송부재(6a)에 의해서 본체(1)의 일측으로 이동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인절미 제조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에 속한다.
본 고안은 찹쌀을 쪄서 떡메로 친 떡을 종절단부재와 횡절단부재를 이용하여 일정한 크기로 한번에 절단하기 때문에 별도의 인력이 필요없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인력으로 떡을 썰지 않기 때문에 떡을 썰면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3)

  1. 사각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고정되어 전원이 인가되면 동력을 발생시켜 회전하는 동력발생부재와;
    동력발생부재와 제1 동력전달부재로 연결되어 동력발생부재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감속시키는 감속기와;
    본체의 중앙에 횡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감속기와 제2 동력전달부재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1 회전축과;
    본체의 일측에 횡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제1 회전축과 제3 동력전달부재로 연결되어 제1 회전축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회전축과;
    감속기와 제2 동력전달부재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 1회전축의 본체 배면에 형성되어 제1 회전축과 회전하며, 간격을 조절하여 재료의 크기나 폭을 조절하는 제1 캠과;
    본체의 상부에 고정되며 제1 캠과 제4 동력전달부재로 연결되어 일정량씩 회전되는 제1 이송부재와;
    상기 제1 이송부재가 일정량 만큼 회전하면서 다시 복귀되도록 제1 캠과 제1 이송부재를 연결하는 제4 동력전달부재의 제1 캠과 연결된 반대쪽 단부에 연결되어 제1 캠에 의해서 이동된 제4 동력전달부재를 원위치 시키는 제1 탄성부재와;
    본체 배면에 형성된 제1 캠과 제4 동력전달부재에 의해서 일정량 만큼 회전하는 제1 이송부재의 전면에서 제6 동력전달부재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한 쌍의 동력전달 기어와;
    상기 동력전달 기어와 제7 동력전달부재로 연결되어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제1 이송부재의 상부에서 제1 이송부재의 진행방향으로 제1 이송부재의 이동량 만큼 회전하며 떡의 두께에 따라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압착로울러와;
    동력전달 기어와 압착로울러를 연결하는 제7 동력전달부재가 압착로울러의 이동에 의해서 장력이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장력조절부재와;
    상기 장력조절부재를 본체와 고정하여 장력조절부재가 항상 제7 동력전달부재쪽으로 가압하도록 형성하는 제2 탄성부재와;
    제1 이송부재가 이동되는 방향의 본체 일측에 형성되어 제1 회전축의 본체 전면에서 제5 동력전달부재와 연결되어 제1 이송부재를 따라 이동되는 떡을 다시 이동시키는 제2 이동부재와;
    본체 전면과 배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2 회전축과 회전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원주 일측에 힌지로 고정되어 회전판의 회전에 따라 이동되는 제1 작동부재와;
    상기 제1 작동부재에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이송축과;
    상기 이송축이 본체에서 수직으로 이동되도록 고정하는 제1 안내부재와;
    제1 안내부재에 의해서 본체와 수직으로 이동되는 이송축의 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이송축과 함께 상.하로 이동되면서 제1 이송부재를 따라 이동되는 재료를 제2 이송부재로 이동시키는 절단수단과;
    본체에 횡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제2 회전축에 형성되어 제2 회전축과 회전되는 제2 캠과;
    상기 제2 캠에 의해서 제2 힌지를 중심으로 일정량씩 반복 이동되는 제2 작동부재와;
    제2 캠에 의해서 작동되는 제2 작동부재의 제2 캠과 밀착되는 반대쪽에서 제2 작동부재의 회전에 의해서 제1 이송부재의 진행방향으로 전진되는 작동축과;
    상기 작동축을 안내하는 제2 안내부재와;
    제2 작동부재와 밀착되는 작동축의 반대쪽 단부에 고정되어 절단수단에 의해서 절단된 재료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절미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절단수단은, 제1 이송부재에 의해서 이송되는 재료를 횡으로 절단하는 횡절단부재와,
    상기 횡절단부재에 의해서 절단된 재료가 놓여지며, 종으로 다수개의 절단날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종절단부재와,
    횡절단부재에 의해서 절단되어 종절단부재의 상부에 올려지는 재료를 압착시키면서 종절단부재를 통과시켜 재료를 제2 이송부재로 이동시키는 누름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절미 제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횡절단부재의 절단면은 폭의 단부에서 중심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절미 제조장치.
KR2020010009867U 2001-04-09 2001-04-09 인절미 제조장치 KR2002353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867U KR200235336Y1 (ko) 2001-04-09 2001-04-09 인절미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867U KR200235336Y1 (ko) 2001-04-09 2001-04-09 인절미 제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8676A Division KR20020078329A (ko) 2001-04-09 2001-04-09 인절미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5336Y1 true KR200235336Y1 (ko) 2001-10-11

Family

ID=73064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9867U KR200235336Y1 (ko) 2001-04-09 2001-04-09 인절미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533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6442660U (zh) 一种膨化食品生产用切刀机构
EP0272341B1 (en) Production of pastas
CN205756926U (zh) 一种面条自动加工装置的切面机构
KR200235336Y1 (ko) 인절미 제조장치
US1945306A (en) Machine and method for producing wall board
CN103190457B (zh) 多功能仿手工麻花成型机组
CN202738689U (zh) 自动回转压面方馒头组合机
KR20020078329A (ko) 인절미 제조장치
CN207604432U (zh) 一种自动折叠揉面机
CN102783507A (zh) 自动回转压面方馒头组合机
CN107627355B (zh) 食品切割、拉花、穿串一体机
EP1256279B1 (en) Line for processing rolled-up food products, particularly for producing croissants
CN213320392U (zh) 一种提高切片效率的果蔬切片机
CN210043090U (zh) 一种用于面条加工的切面装置
CN111838241A (zh) 一种食品加工用花卷成型机
CN114083605B (zh) 中药切片机
GB2139080A (en) Slicing apparatus for bakery products
CN213226604U (zh) 一种刨切机同步理皮机构
KR100208955B1 (ko) 오징어채 제조장치
CN211532540U (zh) 一种切面机
CN214644237U (zh) 一种米凉面切割装置
CN219813047U (zh) 一种面团切粒装置
CN217986497U (zh) 一种鲜面条成型机
KR890002895Y1 (ko) 개피떡의 성형장치
CN216415811U (zh) 一种油条生产加工和面切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3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