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4901Y1 - 배관용 서포트 설치용의 레일형 지지부재 - Google Patents

배관용 서포트 설치용의 레일형 지지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4901Y1
KR200234901Y1 KR2020010007193U KR20010007193U KR200234901Y1 KR 200234901 Y1 KR200234901 Y1 KR 200234901Y1 KR 2020010007193 U KR2020010007193 U KR 2020010007193U KR 20010007193 U KR20010007193 U KR 20010007193U KR 200234901 Y1 KR200234901 Y1 KR 2002349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support
channel
pip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71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금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근화철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근화철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근화철강
Priority to KR20200100071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49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49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4901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파이프 서포트의 지지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양측에 지지벽을 일체로 형성한 레일 구조의 배관용 서포트 지지부재에 관한 것이다.
이같은 본 고안은, 찬넬(30)의 상측으로 배관되는 파이프(40)를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며, 파이프 끼움용 절곡부가 형성된 상하 한 쌍의 판재(21,22) 및 상기 하부 판재(22)와 연결되는 역 'T' 자 형의 결합판재(23)로 이루어진 서포트 부재(20)와, 상기 서포트 부재가 찬넬의 상면에 설치되도록 하는 지지부재(10)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저면을 상기 찬넬에 고정하는 소정폭의 띠철판(11)과, 상기 띠철판의 양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수직 연장되는 다단절곡형 지지벽(12)을 구비하는 레일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레일형 지지부재의 내측으로, 상기 서포트 부재의 결합판재가 그 양측 날개부를 상기 지지벽의 내면에 각기 밀착시킨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배관용 서포트 설치용의 레일형 지지부재{Rail Type Holder of Pipe Support}
본 고안은 파이프 서포트의 지지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양측에 지지벽을 일체로 형성한 레일 구조의 배관용 서포트 지지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온수 등의 유체가 이송되는 파이프를 소정 간격으로 배열되는찬넬의 상면에 배관하는 경우, 상기 유체의 불규칙한 흐름시 발생되는 부압으로 인해 파이프가 진동하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파이프 지지용의 서포트 부재 및 이같은 서포트 부재를 소정의 이동 가능폭이 유지된 상태로 찬넬 상면에 접합시키는 지지부재가 제공되는 것이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포트 부재(120)는, 중앙의 파이프 끼움용 절곡부 및 그 양측의 날개부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판재(121,122)를 상하 대칭되게 결합하여 클램프 구조를 이루도록 하며, 상기 하측 판재(122)의 저면에 찬넬(130)의 상면과 접하는 결합판재(123)가 연결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결합판재(123)는 찬넬의 상면과 접하는 접합부와, 이같은 접합부에서 수직 연장되어 상기 하측 판재의 저면과 결합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되는 서포트 부재(120)를 찬넬(130)의 상면에 지지시키게 되는 지지부재(110)는, 수직부(111)를 중심으로 그 상하부에 좌우 대칭되는 방향으로 날개부(112,113)가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같은 한 쌍의 지지부재(110)를 상기 서포트 부재(120)의 좌우측에 상호 대칭을 이루도록 각기 설치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재(110)는 그 수직부(111) 및 상측 날개부(112)를 상기 결합판재(123)의 측면과 상면에 각기 밀착시킨 상태로 그 하측 날개부(113)가 찬넬(130)의 상면에 고정 결합되는 것이며, 이러한 지지부재(110)가 상기 서포트 부재(120)를 좌우측에서 지지함에 따라 서포트 부재(120)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의 이동 가능폭을 유지한체 찬넬(130) 상면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서포트 부재(120) 및 그 지지부재(110)에 의해, 유체 이송용 파이프(140)는 찬넬(130)의 상면과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안정적인 지지상태를 유지하면서 배관되어 부압에 의한 진동현상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서포트 부재(120)는 지지부재(110)에 의해 규제되어 찬넬(130)의 길이 방향으로는 유동이 억제되는 것이며, 찬넬(130)의 수직 방향으로는 상기 지지부재(110)를 따라 안내되면서 소정 폭으로 유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지지부재는 파이프가 배관되는 찬넬의 폭을 넘지않게 짧은 폭으로 형성되어 서포트 부재의 좌우측 면을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구성으로 제공됨에 따라, 파이프의 부압에 의한 진동을 억제하기 위해 파이프를 지지하고 있는 상기 서포트 부재는, 전달되는 진동력에 찬넬의 수직 방향으로 유동하면서 찬넬을 벗어날 우려가 있는 것이었다.
이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상기 서포트 부재를 파이프 지지라는 본래의 기능과는 무관하게 필요 이상으로 길게 형성하였으며, 이렇게 길게 형성된 서포트 부재를 찬넬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설치하여 찬넬의 폭을 벗어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하는 것이었다. 이에 따라, 서포트 부재는 파이프의 진동 억제 과정에서 측방향으로의 유동이 발생하더라도 찬넬을 벗어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었지만, 그 자체의 부피가 불필요하게 매우 커지는 것이므로 재료가 다량 소모되는데 따른 생산원가의 상승을 초래하는 것이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좌우 한 쌍으로 제공되어 서포트 부재의 결합판재 측면을 각각 지지하는 것이므로, 양측 지지부재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아니라 작업 과정에서 다양한 조립공차가 발생될 수 있는 것이었다. 다시 말해, 지지부재를 찬넬의 상면에 결합시켜 서포트 부재를 지지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부주의나 작업상의 난점으로 인해 지지부재의 수직면이 서포트 부재의 측면에 긴밀히 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그 하측 날개부를 찬넬의 상면에 용접하게 되는 현상이 빈번히 발생되는 것이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포트 부재(120)를 구성하는 결합판재(123)의 측면과 상기 지지부재(110) 사이에 화살표로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틈새가 형성되는 것이었으며, 이로 인해 서포트 부재의 측면과 홀딩부재의 수직면이 상호 간에 충분한 면접촉을 이루지 못한체 일부분만이 점접촉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서포트 부재는 찬넬의 상면에 안정적인 지지상태를 유지하지 못한체 설치되는 것이었으며, 이같은 서포트 부재는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찬넬의 상면에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복수개 설치되는 것이므로, 상기와 같이 각각의 서포트 부재가 찬넬에 견고하지 설치되지 못해 파이프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지 못하는 관계로, 파이프는 부압에 의해 심하게 유동되는 것일 뿐만아니라 그로 인해 파이프 간의 연결부위가 풀이지는 등의 문제를 초래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지지부재가 양측에 지지벽을 갖는 일체형의 레일 구조로 형성되어 그 내측의 끼움공간이 가변됨 없이 일정한 폭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므로서, 서포트 부재의 측면과 지지부재의 내면이 조립상의 편차에 의한 이격 없이 항상 충분한 면접촉을 이루면서 밀착됨에 따라, 서포트 부재의 안정적인 지지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배관용 서포트 설치용의 레일형 지지부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또한, 찬넬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레일형 지지부재를 제공하여, 지지부재 내측으로 끼워지는 서포트 부재가 파이프를 지지하는 본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최소한의 길이만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게되어 재료 소모의 감소에 따른 생산원가의 절감을 가져올 수 있는 배관용 서포트의 레일형 지지부재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배관용 서포트를 지지하는 종래 지지부재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지지부재가 배관용 서포트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배관용 서포트를 지지하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부재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지지부재가 배관용 서포트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지지부재 11: 띠철판 12: 지지벽 20: 서포트 21: 상부판재 22: 하부판재 23: 결합판재 30: 찬넬 40: 파이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찬넬의 상측으로 배관되는 파이프를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며, 파이프 끼움용 절곡부가 형성된 상하 한 쌍의 판재 및 상기 하부 판재와 연결되는 역 'T' 자 형의 결합판재로 이루어진 서포트 부재와, 상기 서포트 부재가 찬넬의 상면에 설치되도록 하는 지지부재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저면을 상기 찬넬에 고정하는 소정폭의 띠철판과, 상기 띠철판의 양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수직 연장되는 다단절곡형 지지벽을 구비하는 레일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레일형 지지부재의 내측으로, 상기 서포트 부재의 결합판재가 그 양측 날개부를 상기 지지벽의 내면에 각기 밀착시킨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또한, 상기 레일형 지지부재는, 상기 찬넬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찬넬의 폭 이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그 내측으로 끼워지는 상기 서포트 부재를 지지할 수 있는 간격이 찬넬의 폭 이상으로 확대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배관용 서포트를 지지하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부재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지지부재가 배관용 서포트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용 서포트(20)를 찬넬(30)의 상면에 지지시키기 위한 본 고안의 지지부재(10)는 레일형 구조를 갖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지지부재(10)는 소정 폭으로 제공되는 띠철판(11)과, 이같은 띠철판(11)의 폭방향 양단에서 수직으로 각기 입설된체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수직 절곡되는 좌우 지지벽(12)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레일형의 지지부재(10)는, 그 지지벽(12)이 상기 찬넬(30)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띠철판(11)의 저면을 찬넬(30)의 상면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하므로서 찬넬(30) 상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지지벽(12)이 띠철판(11)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는 구조이므로 양측 지지벽(12) 사이의 간격이 가변되지 않고 항상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지지부재(10)에 의해 배관용 서포트(20)가 찬넬(30)의 상면에 안정적으로 설치되는 구성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배관용 서포트(20)는 종래의 서포트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이같은 서포트의 구조를 간략히 서술하면, 상기 서포트는 중앙에 위치하는파이프 끼움용의 절곡부 및 이같은 절곡부의 양단에서 각기 수평 연장되는 좌우 날개부를 갖는 상하 한 쌍의 판재(21,22)와, 상기 하부판재(22)의 절곡부와 연결되는 역 'T'자 형의 결합판재(23)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 판재(21,22)는 상호 대칭을 이루는 상태로 위치하며, 그 마주보는 날개부에 체결볼트가 설치되어 이같은 체결볼트의 조임을 통해 상기 상하부 판재(21,22)는 그 내측에 파이프 끼움공을 형성한체 탈착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서포트 부재(20)는, 그 하측의 결합판재(23)가 전술한 찬넬(30) 상면에 용접된 레일형 구조의 지지부재(10) 내측으로 슬라이드되면서 끼워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10)를 구성하는 띠철판(11)의 폭, 다시 말해 띠철판(11)의 좌우측에 입설되는 지지벽(12) 사이의 간격은 상기 역 'T' 자형으로 이루어진 결합판재(23)의 하부 폭과 동일하거나 미세한 정도로 크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지지부재(10)로 삽입되는 결합판재(23) 하부의 양측 날개부가 상기 좌우측 지지벽(12)의 내면과 각각 충분한 면접촉을 이루면서 밀착되는 것이므로, 상기 결합판재(23) 및 그와 일체로 연결된 상하부 판재(21,22)로 이루어지는 서포트 부재(20)는 지지부재(10)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되어 유동이 방지된체 안정적인 설치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같은 서포트 부재(20)는 상기 지지벽(12)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찬넬(30)의 수직 방향으로는 소정 간격 슬라이드 이동 가능케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0)는 띠철판(11)과 그 양측의 지지벽(12)이 상기 서포트 부재(20)의 결합판재(23)와 동일폭을 유지한체 일체형 구조로 제공되는 것이므로, 상기 서포트 부재(20)를 찬넬의 상면에 지지시키는 과정에서 지지벽(12) 내면과 결합판재(23)의 양측 날개부 간에 이격이 발생될 우려가 없는 것이다. 즉, 작업자의 부주의나 작업상의 난점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서포트 부재(20)와 지지부재(10) 간의 조립공차가 미연에 방지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레일형 지지부재(10)는 종래의 한 쌍으로 제공되는 지지부재와 마찬가지로 찬넬의 폭을 넘지 않는 길이로 제공될 수 있는 것이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소정 길이로 제공되어 찬넬(30)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지지부재(10)를 소정 길이로 구성할 경우, 지지부재(10)가 서포트 부재(20)의 유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서포트 부재(20)가 유동하면서 찬넬(30)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므로, 서포트 부재(20)의 길이를 파이프(40) 지지용도 이상으로 불필요하게 길게 형성할 필요가 없어지는 것이다.
즉, 서포트 부재(20)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공이 용이할 뿐만아니라 재료비가 저렴한 지지부재(30)의 폭을 연장되게 형성하므로서, 서포트 부재(20)를 파이프(4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로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일 실시예에 의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을 따른 배관용서포트 설치용의 레일형 지지부재에 의하여, 배관용 서포트가 찬넬의 상면에 안정적으로 설치되는 것이므로 상기 서포트에 의해 지지되는 파이프가 안정적인 배관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져 그 내측의 간격이 가변되지 않는 지지부재에 서포트 부재를 슬라이드 끼움하면 되는 것이므로, 설치작업이 용이한 동시에 작업상의 조립편차가 발생치 않아 효율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되는 결과를 가져오는 것이다.
또한, 소정 길이의 레일형 지지부재에 의해 서포트 부재의 길이 축소가 가능해 짐에 따라, 제품 가공이 용이해지는 동시에 재료의 절감을 가져와 경제적인 것이다.

Claims (2)

  1. 찬넬의 상측으로 배관되는 파이프를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며, 파이프 끼움용 절곡부가 형성된 상하 한 쌍의 판재 및 상기 하부 판재와 연결되는 역 'T' 자 형의 결합판재로 이루어진 서포트 부재와, 상기 서포트 부재가 찬넬의 상면에 설치되도록 하는 지지부재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저면을 상기 찬넬에 고정하는 소정폭의 띠철판과, 상기 띠철판의 양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수직 연장되는 다단절곡형 지지벽을 구비하는 레일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레일형 지지부재의 내측으로, 상기 서포트 부재의 결합판재가 그 양측 날개부를 상기 지지벽의 내면에 각기 밀착시킨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서포트 설치용의 레일형 지지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형 지지부재는, 상기 찬넬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찬넬의 폭 이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그 내측으로 끼워지는 상기 서포트 부재를 지지할 수 있는 간격이 찬넬의 폭 이상으로 확대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서포트 설치용의 레일형 지지부재.
KR2020010007193U 2001-03-16 2001-03-16 배관용 서포트 설치용의 레일형 지지부재 KR2002349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7193U KR200234901Y1 (ko) 2001-03-16 2001-03-16 배관용 서포트 설치용의 레일형 지지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7193U KR200234901Y1 (ko) 2001-03-16 2001-03-16 배관용 서포트 설치용의 레일형 지지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4901Y1 true KR200234901Y1 (ko) 2001-10-08

Family

ID=73054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7193U KR200234901Y1 (ko) 2001-03-16 2001-03-16 배관용 서포트 설치용의 레일형 지지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4901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517B1 (ko) * 2012-01-12 2012-05-21 주식회사 삼안 상수도 소형관 이음새 연결장치
KR101392459B1 (ko) * 2011-11-22 2014-05-08 한국가스공사 파이프 지지 장치
KR20200003431A (ko) * 2018-06-28 2020-01-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관지지용 구조체
KR102098608B1 (ko) * 2018-11-22 2020-04-08 현대건설(주) 진동 저감용 배관 지지장치
KR200495111Y1 (ko) 2020-08-26 2022-03-07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가변식 파이프 배관 지지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2459B1 (ko) * 2011-11-22 2014-05-08 한국가스공사 파이프 지지 장치
KR101147517B1 (ko) * 2012-01-12 2012-05-21 주식회사 삼안 상수도 소형관 이음새 연결장치
KR20200003431A (ko) * 2018-06-28 2020-01-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관지지용 구조체
KR102107213B1 (ko) * 2018-06-28 2020-05-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관지지용 구조체
KR102098608B1 (ko) * 2018-11-22 2020-04-08 현대건설(주) 진동 저감용 배관 지지장치
KR200495111Y1 (ko) 2020-08-26 2022-03-07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가변식 파이프 배관 지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34901Y1 (ko) 배관용 서포트 설치용의 레일형 지지부재
EP2924329A1 (en) Clamp for connecting pipes and pipe coupler comprising same
KR20100022055A (ko) 유체 제어 장치 및 그 조립 방법
US4572553A (en) Flange connector
US4540309A (en) Attachment device
CN204649057U (zh) 一种塑料换热器的布管系统
KR20070023109A (ko) 케이블배관용 사이드 클램프
JP6122359B2 (ja) 屋根上面状物品設置用桟の固定金具
CN1284154A (zh) 用于安装气体或液体输送管道的紧固装置
KR20100003653U (ko) 배관지지가대
CN210950267U (zh) 一种防堵塞波纹膨胀节
KR101829819B1 (ko) 파형강판 터널
JP2004360234A (ja) 鉄筋結合金具
CN108238104B (zh) 用于连接支撑台和副车架的斜拉梁和工程车
KR100991352B1 (ko) 관연결구
JP2010174497A (ja) 3ウェイ方式のパネル連結構造及び連結金具
KR102107213B1 (ko) 배관지지용 구조체
CN203463428U (zh) 一种固定总成以及空调机
CN219017755U (zh) 一种水冷式板状热交换装置
CN216216628U (zh) 一种四向型钢连接件结构
CN104421256A (zh) 一种固定总成以及空调机
CN209955032U (zh) 用于支撑砂浆管的支撑组件以及切片机
CN216743153U (zh) 双层管道及其支架结构
CN209762437U (zh) 滑动支架
CN212657368U (zh) 一种简易可调管道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