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3109A - 케이블배관용 사이드 클램프 - Google Patents

케이블배관용 사이드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3109A
KR20070023109A KR1020050077317A KR20050077317A KR20070023109A KR 20070023109 A KR20070023109 A KR 20070023109A KR 1020050077317 A KR1020050077317 A KR 1020050077317A KR 20050077317 A KR20050077317 A KR 20050077317A KR 20070023109 A KR20070023109 A KR 20070023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mounting
hanger
side clamp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7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0319B1 (ko
Inventor
김영산
Original Assignee
김영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산 filed Critical 김영산
Priority to KR1020050077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0319B1/ko
Publication of KR20070023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3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0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0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한 폭으로 재단된 금속 철판을 절곡시켜 전/후방이 개방되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면의 일측 편에는 너트공을 형성하고 양 측면에는 장착홈을 형성하여 장착홈을 찬넬의 윙부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너트공을 통해 장착볼트를 나사 결합하여 고정시키며, 상면과 저면 및 양 측면에는 장착공을 뚫어 전선배관용 행거를 결합시켜 배관파이프를 설치할 수 있도록 된 케이블배관용 사이드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한 폭으로 재단된 금속 철판을 절곡시켜 전/후방이 개방되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하여 강도를 현저히 강화시켜 주므로 중량체의 금속관을 배관(설치)하여 장시간(기간)이 경과 하더라도 흔들리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상/하면과 양 측면에 형성된 장착공에 전선배관용 행거를 장착하여 배관파이프를 설치하여 주므로 배관파이프를 수평 및 수직으로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공간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사이드클램프. 너트공. 장착공. 장착홈. 전선배관용 행거.

Description

케이블배관용 사이드 클램프{A Side Clamp For Electric Wire Cable Pip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배관용 사이드 클램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배관용 사이드 클램프를 찬넬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배관용 사이드 클램프의 다른 설치 상태를 보인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케이블트레이 2: 빔 4: 지지대
5: 찬넬 6: 절곡단부 7: 찬넬고정장치
10: 사이드클램프 15: 장착홈 17: 장착공
18: 너트공 19: 장착볼트 20: 케이블배관용행거
21: 반원고정부 22: 결속편 23: 장착편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에서 분기되는 케이블용 전선배관을 빔에 설치할 때에 사용되는 케이블배관용 사이드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일정한 폭으로 재단된 금속 철판을 절곡시켜 전/후방이 개방되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면의 일측 편에는 너트공을 형성하고 양 측면에는 장착홈을 형성하여 장착홈을 빔의 윙부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너트공을 통해 장착볼트를 나사 결합하여 고정하며, 상면과 저면 및 양 측면에는 장착공을 뚫어 전선배관용 행거를 결합시켜 배관파이프를 설치할 수 있도록 된 전선배관용 사이드 클램프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종래에는 설치되어 있는 케이블트레이에서 분기되는 케이블 배관을 설치하고자 할 때에 트레이의 측면(사이드)에 짧은 길이로 재단된 찬넬을 용접하거나 홀을 가공하여 배관 실시하였으나, 찬넬을 용접하거나 홀을 뚫어주게 되면 트레이가 손상되고, 트레이에 용접되는 찬넬과 홀은 위치가 한정되어 있으므로 위치를 변경하면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없으며, 용접하거나 홀을 가공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다소 나마 해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인은 국내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 20-1998-67530호 "건축용 관 결속구"를 제안하였다.
이는, 철판을 " ⊂"형으로 절곡하여 길이가 짧은 상측지지구와 길이가 긴 하측지지구로 형성하고, 상/하측지지구의 양측에는 협지부를 대향되게 형성하되 하측지지구의 양측 협지부에는 톱니(지압)부를 형성하고, 상측지지구에는 고정볼트공을 형성하여 고정볼트를 나사 결합시키며, 하측지지구에는 복수개의 결합공을 뚫어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관결속구는, H빔 또는 찬넬의 윙부를 상/하측지지구의 사이에 끼워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측지지구의 고정볼트공에 고정볼트를 나사 결합시켜 줌으로서 관결속구를 H빔 또는 찬넬에 고정시키고, H빔 또는 찬넬에 고정된 관결속구에서 하측지지구의 결합공에는 전선배관용 행거를 이용하여 배관파이프를 설치하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상측지지구와 하측지지구가 " ⊂"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하측지지구에 중량체의 금속관을 배관(설치)하게 되면 시간(기간)이 경과 할수록 하중에 의해 지지력과 결속력이 떨어져 하측지지구가 아래로 쳐지면서 흔들리거나 이탈될 우려가 있고, 상측지지구와 하측지지구의 양 측면에 형성된 협지부의 높이가 너무 낮기 때문에 결합공에는 전선배관용 행거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없으며, 결합공이 하측지지구에만 형성되어 있으므로 배관파이프를 수평으로만 설치할 수 있고 설치공간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더욱 개선된 케이블배관용 사이드 클램프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일정한 폭으로 재단된 금속 철판을 절곡시켜 전/후방이 개방되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면의 일측 편에는 너트공을 형성하고 양 측면에는 장착홈을 형성하여 장착홈을 찬넬의 윙부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너트공을 통해 장착볼트를 나사 결합하여 고정시키며, 상면과 저면 및 양 측면에는 장착공을 뚫어 전선배관용 행거를 결합시켜 배관파이프를 설치할 수 있도록 된 전선배관용 사이드 클램프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정한 폭으로 재단된 금속 철판을 절곡시켜 전/후방이 개방되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하여 강도를 현저히 강화시켜 줌으로서 중량체의 금속관을 배관(설치)하여 장시간(기간)이 경과 하더라도 흔들리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된 전선배관용 사이드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하면과 양 측면에 형성된 장착공에 전선배관용 행거를 장착하여 배관파이프를 설치하여 줌으로서 배관파이프를 수평 및 수직으로 설치할 수 있고, 설치공간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된 전선배관용 사이드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일정한 폭의 금속 철판을 절곡하여 몸체를 전/후방이 개방되는 상면(11)과 저면(12) 및 양 측면(13)의 직육면체형상으로 형성한 것과;
상면(11)의 일측 편에는 너트공(18)을 형성하여 장착볼트를 나사 결합시키고, 그 너트공(18)이 형성된 부분의 양 측면 상측부에는 장착홈(15)을 형성한 것과;
상면(11)과 저면(12) 및 양 측면(13)에는 장착공(17)을 각각 뚫어주고, 각 장착공(17)에는 통상의 전선배관용 행거(20)를 결합시켜 배관파이프(26)를 설치한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클램프(10)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클램프(10)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클램프(1)의 사시도 및 찬넬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클램프(1)의 다른 설치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클램프(10)는, 일정한 폭의 재단된 금속판(철판)을 절곡하여 전후가 개방되고 상면(11)과 저면(12) 및 양 측면(13)으로 되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하였고, 양단부를 당접시킨 상태에서 용접(스폿트 용접)을 실시하여 일체형으로 형성하였다.
상면(11)의 후방 측에는 너트공(18)을 형성하여 장착볼트(19)를 나사 결합시키도록 하였고, 양 측면(13)에서 너트공(18)과 동일한 후방 측에는 "ㄱ"형으로 된 장착홈(15)을 후단으로 개방되도록 형성하였고, 장착홈(15)을 형성하는 하단면에는 톱니부(16)를 형성하여 결속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면(11)과 저면(12) 및 양 측면(13)의 전방 측에는 장착공(17)을 각각 뚫어 주되, 양 측면에 뚫어지는 장착공(17)은 하측부에 뚫어 주었고, 각 장착공(17)에는 한 쌍이 대향되게 결합되는 전선배관용 행거(20)를 장착하였다.
각 장착공(17)에 장착되는 전선재관용 행거(20)는 글루브(21-1)가 형성된 반원고정부(21)의 일단에는 결속공(22-1)이 뚫어진 결속편(22)을 일체로 형성하고, 타단에는 장착공(17)에 삽입되는 장착편(23)을 외향으로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양단에 결속편(22)과 장착편(23)이 형성된 한 쌍의 반원공정부(21)를 대향시켜 각 장착공(17)에 장착시키면서 배관파이프(26)를 설치하게 된다.
이하, 사용(설치)상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클램프(10)는 케이블트레이(1)에서 분기되는 배관파이프(26)를 설치할 때에 빔(2)의 윙부(3)에 설치하여 사용하게 된다.
케이블트레이(1)는, 한 쌍의 빔(2)을 윙부(3)가 대향되도록 이격시키고, 이격된 빔(2)의 하측에 찬넬(5)을 교차되게 배치하며, 찬넬(5)에 장착되는 찬넬고정장치(7)에 의해 윙부(3)를 억류시켜 줌으로서 설치를 완료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케이블트레이(1)에서 배관파이프(26)를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클램프(10)의 장착홈(15)을 빔(2)의 윙부(3)에 결합시키고, 상면(11)에 형성된 너트공(18)에 장착볼트(19)를 나사 결합시켜 준다.
장착볼트(19)를 너트공(18)에 나사 결합시키면 장착볼트(19)의 하단이 윙부(3)의 상면과 접촉되고, 하단면에 형성된 톱니부(16)가 윙부(3)의 저면에 받쳐지면서,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클램프(10)는 빔(2)의 윙부(3)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빔(2)의 윙부(3)에 사이드클램프(10)를 장착(고정)시킨 상태에서 각 장착공(17)에는 전선배관용 행거(20)를 이용하여 배관파이프(26)를 설치한다.
각 장착공(17)에 장착되는 전선배관용 행거(20)는, 도 1과 도 3a 및 도 3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수평상태로 장착시키거나 수직상태로 장착시킨다.
각 장착공(17)에 전선배관용 행거(20)를 수평 또는 수직 상태로 장착시킨 상 태에서 대향되어 원통을 형성하는 반원고정부(21)의 사이에 배관파이프(26)를 수평 또는 수직으로 삽입하고, 대향되는 결속편(22)의 결속공(22-1)에 결속볼트(24)와 결속너트(25)를 체결시켜 주면 배관파이프(26)는 대향되는 반원고정부(21)에 억류되어 고정되며, 전선배관용 행거(20)의 장착 및 배관파이프(26)의 설치를 완료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클램프(10)의 각 장착공(17)에 장착되는 전선배관용 행거(20)의 방향을 변화시키면서 배관파이프(26)를 수평/수직 또는 경사지도록 하면서 다양한 방향으로 장착시킬 수 있으며, 특정한 장착공(17)에만 전선배관용 행거(20)를 장착하여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배관파이프(26)를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배관용 사이드 클램프는, 일정한 폭으로 재단된 금속 철판을 절곡시켜 전/후방이 개방되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면의 일측 편에는 너트공을 형성하고 양 측면에는 장착홈을 형성하여 장착홈을 찬넬의 윙부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너트공을 통해 장착볼트를 나사 결합하여 고정시키며, 상면과 저면 및 양 측면에는 장착공을 뚫어 전선배관용 행거를 결합시켜 배관파이프를 설 치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일정한 폭으로 재단된 금속 철판을 절곡시켜 전/후방이 개방되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하여 강도를 현저히 강화시켜 주므로 중량체의 금속관을 배관(설치)하여 장시간(기간)이 경과 하더라도 흔들리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상/하면과 양 측면에 형성된 장착공에 전선배관용 행거를 장착하여 배관파이프를 설치하여 주므로 배관파이프를 수평 및 수직으로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공간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일정한 폭의 금속 철판을 절곡하여 몸체를 전/후방이 개방되는 상면(11)과 저면(12) 및 양 측면(13)의 직육면체형상으로 형성한 것과;
    상면(11)의 일측 편에는 너트공(18)을 형성하여 장착볼트를 나사 결합시키고, 그 너트공(18)이 형성된 부분의 양 측면 상측부에는 장착홈(15)을 형성한 것과;
    상면(11)과 저면(12) 및 양 측면(13)에는 장착공(17)을 각각 뚫어 주고, 각 장착공(17)에는 통상의 전선배관용 행거(20)를 결합시켜 배관파이프(26)를 설치한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배관용 사이드 클램프.
  2. 청구항 1에 있어서, 후방으로 개방되도록 양 측면(13)에 형성되는 너트공(18)은, "ㄱ"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배관용 사이드 클램프.
  3. 청구항 1에 있어서, 후방으로 개방되도록 양 측면(13)에 형성되는 너트공(18)은, 하단면에 톱니부(16)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배관용 사이드 클램프.
KR1020050077317A 2005-08-23 2005-08-23 케이블배관용 사이드 클램프 KR100720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7317A KR100720319B1 (ko) 2005-08-23 2005-08-23 케이블배관용 사이드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7317A KR100720319B1 (ko) 2005-08-23 2005-08-23 케이블배관용 사이드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3109A true KR20070023109A (ko) 2007-02-28
KR100720319B1 KR100720319B1 (ko) 2007-05-21

Family

ID=41634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7317A KR100720319B1 (ko) 2005-08-23 2005-08-23 케이블배관용 사이드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031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905B1 (ko) * 2007-03-22 2009-03-05 서한컨설탄트(주) 전선배관용 파이프걸이크램프
KR100925716B1 (ko) * 2009-07-27 2009-11-10 대신산전 주식회사 케이블 배관용 빔 클램프 어셈블리
KR100935436B1 (ko) * 2007-11-26 2010-01-06 김종현 사이드클램프조립체
KR101031892B1 (ko) * 2011-01-21 2011-05-02 (주) 신담엔지니어링 케이블 트레이 클램프
KR101587162B1 (ko) * 2015-06-10 2016-01-20 신성종합건축사사무소(주) 공동주택 배전용 케이블트레이 스페이서
CN112448352A (zh) * 2020-11-28 2021-03-05 龚卫珍 一种模块化安装的电力金具
US20220161743A1 (en) * 2019-03-27 2022-05-26 Sumitomo Wiring Systems, Limited Wire harnes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106A (ja) 1996-07-08 1998-01-27 Toyota Auto Body Co Ltd ワイヤハーネス類固定用クランプ
JP2001241408A (ja) 2000-02-29 2001-09-07 Sumitomo Wiring Syst Ltd フラットハーネス用クランプ
KR200366024Y1 (ko) 2004-07-19 2004-11-03 김장성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KR200370973Y1 (ko) 2004-09-15 2004-12-23 김장성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905B1 (ko) * 2007-03-22 2009-03-05 서한컨설탄트(주) 전선배관용 파이프걸이크램프
KR100935436B1 (ko) * 2007-11-26 2010-01-06 김종현 사이드클램프조립체
KR100925716B1 (ko) * 2009-07-27 2009-11-10 대신산전 주식회사 케이블 배관용 빔 클램프 어셈블리
KR101031892B1 (ko) * 2011-01-21 2011-05-02 (주) 신담엔지니어링 케이블 트레이 클램프
KR101587162B1 (ko) * 2015-06-10 2016-01-20 신성종합건축사사무소(주) 공동주택 배전용 케이블트레이 스페이서
US20220161743A1 (en) * 2019-03-27 2022-05-26 Sumitomo Wiring Systems, Limited Wire harness
US11904781B2 (en) * 2019-03-27 2024-02-20 Sumitomo Wiring Systems, Limited Wire harness with body protrusion
CN112448352A (zh) * 2020-11-28 2021-03-05 龚卫珍 一种模块化安装的电力金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0319B1 (ko) 2007-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0319B1 (ko) 케이블배관용 사이드 클램프
CA2279777C (en) Sway brace fitting
RU2274771C2 (ru) Узловой соединитель для закрепления монтажных шин
KR100935436B1 (ko) 사이드클램프조립체
KR20090051729A (ko) 파이프 배관 고정용 배관 클램프
KR100883391B1 (ko) 파이프 체결장치
KR100684650B1 (ko) 탄성부재를 갖는 송·배전 전주용 완금밴드
KR20050039798A (ko) 흙막이 벽의 설치구조
RU2754397C2 (ru) Консоль для крепления фасадных элементов
KR100638632B1 (ko) 전력용 케이블트레이 체결구조
JP3077974U (ja) 建築用骨材の吊持装置
KR200402039Y1 (ko) 랙 행거
KR101370455B1 (ko) 기능성 클램프
KR101001094B1 (ko) 배선·배관용 클램프
JPS622883Y2 (ko)
KR200236524Y1 (ko) 콘센트박스
KR100886970B1 (ko) 고정클램프
KR100639755B1 (ko) 공동주택용 지중케이블 지지장치
JP4289255B2 (ja) ラック
KR200397269Y1 (ko) 갱폼 고정용 클램프
KR102615347B1 (ko) 건축용 입상관 지지장치
JP7153359B2 (ja) 等電位ボンディング金具
JP7232707B2 (ja) ブラケット構造
KR102011573B1 (ko) 방호벽 설치용 클램프
KR200408491Y1 (ko) 거푸집용 체결부재의 고정브라켓 장착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