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4694Y1 - 정육세절기 - Google Patents

정육세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4694Y1
KR200234694Y1 KR2020010009266U KR20010009266U KR200234694Y1 KR 200234694 Y1 KR200234694 Y1 KR 200234694Y1 KR 2020010009266 U KR2020010009266 U KR 2020010009266U KR 20010009266 U KR20010009266 U KR 20010009266U KR 200234694 Y1 KR200234694 Y1 KR 2002346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device
meat
rotary blade
gea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92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오
Original Assignee
박상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오 filed Critical 박상오
Priority to KR20200100092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46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46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4694Y1/ko

Links

Landscapes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육세절기에 관한 것으로, 냉장고기와 생고기류의 육류를 신속하게 다량으로 세절할 수 있도록, 하단에 이동을 위한 바퀴와 고정다리가 부착되고 내측면으로 베어링 하우징이 고정설치된 좌우 몸체, 상기 몸체의 부착된 브라켓에 힌지연결되고 고정막대에 의해 지지되는 투입컨베이어장치 및 배출컨베이어장치, 상기 투입컨베이어장치와 배출컨베이어장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몸체 중간에 설치되는 받침대, 상기 몸체 내측 하단에 설치되는 제1스프라켓이 결합된 모터, 상기 몸체 상단에 설치되고 끝단에 제2기어가 결합되었으며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칼날이 부착된 회전칼날, 상기 몸체 내측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2기어와 맞물리는 제1기어가 결합되었으며 끝단에 제2스프라켓이 결합된 이송톱니, 상기 두 스프라켓을 이어주는 체인, 상기 이송톱니 사이에 끼워지는 스크래퍼, 상기 회전칼날을 덮는 덮개, 상기 회전칼날의 칼날사이에 위치하도록 끝이 빗모양으로 형성되었으며 단면이 곡선인 누름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육세절기{meat cutter}
본 고안은 정육세절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송톱니와 회전칼날을 설치하여 냉장고기와 생고기를 다량으로 얇게 절단할 수 있는 정육세절기에 관한 것이다.
생활수준과 각 가정의 경제력이 향상되면서 점차로 육류의 소비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정육점과 고기를 취급하는 음식점이 주택가에 많이 생겨나고 있으며, 소와 돼지를 키우는 농가도 늘어나고 있다.
위와 같이 고기의 소비가 늘어나면서 고기를 가공하는 기계도 다양하게 만들어지고 있다.
이 중 대표적인 기계로 세절기를 뽑을 수 있는데, 종래의 세절기는 주로 냉동된 고기만을 얇게 절단하는 데에 그쳤으며, 절단시 한조각 한조각을 일일이 절단하도록 이루어져 절단하는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다량의 세절고기를 판매하는 곳에서는 미리 판매예상량을 절단해 놓은 상태로 판매하게 되어 선도 높은 고기를 소비자들에게 제공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때문에 선도 높은 고기를 바로 조리하여 먹으려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송톱니와 다수의 회전칼날을 설치하여 다량의 생고기를 일시에 절단할 수 있도록 된 정육세절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 정육세절기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요부사시도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육류가 가공되는 과정을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장치가 접힌 상태사시도
* 도면에 대한 주요부분의 부호 설명
10 : 몸체 102 : 베어링하우징
11 : 바퀴 12 ; 고정다리
13 : 고정막대 14 : 브라켓
20 : 투입컨베이어장치 21 : 배출컨베이어장치
30 : 받침대 40 : 모타
41, 42 : 스프라켓 43 : 체인
44, 45 : 기어 50 : 회전칼날
60 : 이송톱니 70 : 스크래퍼
80 : 누름판 90 : 덮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정육세절기는, 하단에 이동을 위한 바퀴와 고정다리가 부착되고 내측면으로 베어링 하우징이 고정설치된 좌우 몸체, 상기 몸체의 부착된 브라켓에 힌지연결되고 고정막대에 의해 지지되는 투입컨베이어장치 및 배출컨베이어장치, 상기 투입컨베이어장치와 배출컨베이어장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몸체 중간에 설치되는 받침대, 상기 몸체 내측 하단에 설치되는 제1스프라켓이 결합된 모터, 상기 몸체 상단에 설치되고 끝단에 제2기어가 결합되었으며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칼날이 부착된 회전칼날, 상기 몸체 내측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2기어와 맞물리는 제1기어가 결합되었으며 끝단에 제2스프라켓이 결합된 이송톱니, 상기 두 스프라켓을 이어주는 체인, 상기 이송톱니 사이에 끼워지는 스크래퍼, 상기 회전칼날을 덮는 덮개, 상기 회전칼날의 칼날사이에 위치하도록 끝이 빗모양으로 형성되었으며 단면이 곡선인 누름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좌우 몸체(10) 하단에는 이동을 위한 바퀴(11)와 이동 후 위치고정을 위한 고정다리(12)가 각각 앞뒤로 설치되어 있으며, 외측으로 몸체커버(101)가 결합된다.
따라서, 몸체(10)를 바퀴(11)를 통해 이동시킨 후 앞뒤 끝에 있는 고정다리(12)를 상기 바퀴(11)보다 아래로 내림으로써, 상기 몸체(10)를 지면에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몸체(10)에는 베어링이 내부에 구비된 베어링하우징(102)이 설치되어 있어, 회전칼날(50) 및 이송톱니(60)가 상기 베어링하우징(102)에 고정된 후 원할하게 회전된다.
또한, 상기 몸체(10)의 앞뒤로는 고정막대(13)와 브라켓(14)이 부착되어 있어 투입컨베이어장치(20) 및 배출컨베이어장치(21)가 결합되며, 브라켓(14)에 힌지결합되어 있어 도 5에서와 같이 미사용시 보관하기 용이하도록 컨베이어장치(20, 21)와 고정막대(13)가 아래방향으로 접혀진다.
상기 컨베이어장치(20, 21)의 끝단에는 벨트(203, 213)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력조절장치(201, 21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벨트(203, 213)를 구동시키는 모터(202, 21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투입컨베이어장치(20)는 배출컨베이어장치(21)보다 조금 높게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컨베이어장치(20, 21)사이를 이어주는 받침대(30)가 몸체(10)에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투입컨베이어장치(20)를 통해 유입된 육류는 가공후 받침대(30)를 통해 배출컨베이어장치(21)에 떨어져 밖으로 배출된다.
상기 몸체(10)의 일측면에는 상기 회전칼날(50)과 이송톱니(60)를 구동시키는 모터(4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40)의 끝단에는 제1스프라켓(41)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스프라켓(41)은 이송톱니(60)에 끝단에 결합된 제2스프라켓(42)과 체인(43)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회전칼날(50)은 몸체(10)의 베어링하우징(102)에 결합되고 상기 컨베이어장치(20, 21)사이 위치하며 칼날(51)이 일정한 간격으로 나열되어 있다. 또한, 끝단에 제2기어(45)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회전칼날(50) 하단에 위치하고 상기 칼날(51) 사이사이에 끼워지는 이송톱니(60)는 끝단에 상기 제2기어(45)와 맞물리는 제1기어(44)가 결합되어 있으며, 제1기어(44)의 바깥쪽으로 제2스프라켓(42)이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40) 구동시 이송톱니(60)도 따라서 회전하며, 상기 이송톱니(60)와 기어(44,45)에 의해 연결된 회전칼날(50)은 상기 이송톱니(60)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육류를 썰게된다.
상기 이송톱니(60)는 투입컨베이어장치(20)를 통해 운반된 육류를 회전칼날(50)까지 이동시키며, 상기 회전칼날(50)이 육류를 절단할 때 육류를 단단히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이송톱니(60)는 육류에 손상을 적게 입히는 플라스틱 및 합성수지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톱니(60) 하단으로는 상기 몸체(10)에 회전되지 않게 고정되고, 상기 이송톱니(60) 사이사이에 끼워지는 스크래퍼(70)가 설치되어 상기 이송톱니(60)사이에 부착되는 육류찌거기를 제거한다.
상기 회전칼날(50)의 윗쪽으로는 혹 발생할지도 모른 안전사고에 대비하여덮개(90)가 설치되어 있어, 사용자가 기계사용중 상기 회전칼날(50)에 접촉되지 않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회전칼날(50) 전면으로는 끝이 빗모양으로 형성된 누름판(80)이 설치되어 있어, 가공을 위해 투입되는 육류를 상기 회전칼날(50) 바깥쪽으로 밀어 내어 칼날(51)에 엉겨 붙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누름판(80)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어 투입컨베이어장치(20)를 통해 유입된 육류가 상기 누름판(80)에 쉽게 부착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고안 일실시예에 따른 요부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앞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회전칼날(50)의 빈공간에 이송톱니(60)와, 누름판(80)이 설치되고, 상기 이송톱니(60) 사이에는 스크래퍼(70)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40)의 구동에 의해 스프라켓(41, 42)과 기어(44, 45)가 회전할때, 상기 회전칼날(50), 이송톱니(60), 스크래퍼(70) 및 누름판(80)은 서로간의 아무런 간섭없이 회전할 수 있다.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육류가 가공되는 과정을 나타낸 상태도로서, 투입컨베이어장치(20)를 통해 유입된 육류(8)는 상기 이송톱니(60)에 의해 회전칼날(50) 쪽으로 절입되고 누름판(80)에 의해 눌러져 얇게 썰어진 후 받침대(30)를지나 배출컨베이어장치(21)를 통해 밖으로 배출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육류세절기에 의하면, 다량의 냉장 및 냉동고기를 빠른 시간에 가공하여 유통시킬 수 있어, 보다 맛있고 신선한 고기를 소비자에게 제공하여 보다 안전하고 건강한 식생활문화에 이바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하단에 이동을 위한 바퀴(11)와 고정다리(12)가 부착되고 내측면으로 베어링 하우징(102)이 고정설치된 좌우 몸체(10),
    상기 몸체(10)의 부착된 브라켓(14)에 힌지연결되고 고정막대(15)에 의해 지지되는 투입컨베이어장치(20) 및 배출컨베이어장치(21),
    상기 투입컨베이어장치(20)와 배출컨베이어장치(21)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몸체(10) 중간에 설치되는 받침대(30),
    상기 몸체(10) 내측 하단에 설치되는 제1스프라켓(41)이 결합된 모터(40),
    상기 몸체(10) 상단에 설치되고 끝단에 제2기어(45)가 결합되었으며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칼날(51)이 부착된 회전칼날(50),
    상기 몸체(10) 내측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2기어(45)와 맞물리는 제1기어(44)가 결합되었으며 끝단에 제2스프라켓(42)이 결합된 이송톱니(60),
    상기 두 스프라켓(41, 42)을 이어주는 체인(43),
    상기 이송톱니(60) 사이에 끼워지는 스크래퍼(70),
    상기 회전칼날(50)을 덮는 덮개(90),
    상기 회전칼날(50)의 칼날(51)사이에 위치하도록 끝이 빗모양으로 형성되었으며 단면이 곡선인 누름판(8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육세절기.
KR2020010009266U 2001-04-03 2001-04-03 정육세절기 KR2002346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266U KR200234694Y1 (ko) 2001-04-03 2001-04-03 정육세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266U KR200234694Y1 (ko) 2001-04-03 2001-04-03 정육세절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4694Y1 true KR200234694Y1 (ko) 2001-10-10

Family

ID=73098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9266U KR200234694Y1 (ko) 2001-04-03 2001-04-03 정육세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469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213B1 (ko) * 2015-09-22 2016-01-11 주식회사 신원종합상사 오징어 포 즉석 구이장치
KR20230149909A (ko) 2022-04-20 2023-10-30 주식회사 한우연 정육 로봇을 이용한 정육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213B1 (ko) * 2015-09-22 2016-01-11 주식회사 신원종합상사 오징어 포 즉석 구이장치
KR20230149909A (ko) 2022-04-20 2023-10-30 주식회사 한우연 정육 로봇을 이용한 정육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3841B1 (en) Slicer
KR101449700B1 (ko) 고기 세절기
CN101310865A (zh) 小型自动绞肉机
WO2010082857A1 (en) Multifunctional kitchen appliance
CN111941504B (zh) 一种农业用大蒜辅助切割装置
CN208841483U (zh) 一种麻辣猪肉片生产用切片装置
KR200234694Y1 (ko) 정육세절기
CN218285723U (zh) 一种厨房切配机
JP2003019695A (ja) 食品細断装置
KR200316203Y1 (ko) 닭고기 절단기
CN213557504U (zh) 一种食品加工用粉碎装置
CN111805602B (zh) 一种厨用切丝装置
CN215969126U (zh) 一种豆腐生产用自动切块机
CN101389249B (zh) 用于切碎食品的旋转工作刀具的出料附件及食品切碎装置
CN209812403U (zh) 一种食品加工用切片装置
CN212754215U (zh) 一种烘干效果较好的撒葱机
CN108638151A (zh) 一种可调节切片宽度且便于清洁的农产品用切片机
CN2933757Y (zh) 丝片切削机
KR200238297Y1 (ko) 육류 절단기
JP4453065B2 (ja) 食品千切り器
CN206123725U (zh) 电动切丝切片装置
US3614970A (en) Meat cubing machine
KR200243902Y1 (ko) 식품 세단기
CN220898549U (zh) 食材直出式料理机
CN211941117U (zh) 一种家用切辣椒片料理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