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3569Y1 - 자동차헤치백의쉘프트림홀딩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헤치백의쉘프트림홀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3569Y1
KR200233569Y1 KR2019960066506U KR19960066506U KR200233569Y1 KR 200233569 Y1 KR200233569 Y1 KR 200233569Y1 KR 2019960066506 U KR2019960066506 U KR 2019960066506U KR 19960066506 U KR19960066506 U KR 19960066506U KR 200233569 Y1 KR200233569 Y1 KR 2002335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ilgate
rim
shell rim
cent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65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3319U (ko
Inventor
임재찬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20199600665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3569Y1/ko
Publication of KR199800533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33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35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3569Y1/ko

Links

Landscapes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헤치백의 쉘프트림 홀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테일게이트와 동시에 들려지거나 닫혀지는 센터 쉘프트림이 닫혀진 상태에서도 진동을 일으키지 않게 하여 소음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고, 더 나아가 센터 쉘프트림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테일게이트에는 센터 쉘프트림이 연결되고, 이 센터 쉘프트림의 하측에는 고정핀이 설치되고, 상기 테일게이트의 개폐에 의해 들려지거나 닫혀지는 센터 쉘프트림의 뒷쪽 양단에 인접하여 실린더가 구비되고, 이 실린더의 내측에는 전자석과 리턴스프링과 피스톤이 내설되고, 이 피스톤의 단부에는 홀더가 형성되고, 상기 전자석을 온/오프 시키는 테일게이트스위치가 테일게이트의 개폐에 따라 단속되므로서, 상기 홀더가 상기 고정핀을 잡아주거나 놓아줄 수 있는 쉘프트림 홀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색인어]
자동차, 헤치백, 테일게이트, 쉘프트림

Description

자동차 헤치백의 쉘프트림 홀딩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 헤치백의 쉘프트림 홀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헤치백 차량에서 테일게이트가 개폐될 때 함께 들려지거나 닫혀지는 센터 쉘프트림을 닫혀진 상태에서는 항상 고정시켜 줌으로써, 센터 쉘프트림의 요동에 의한 차체 뒷부분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 헤치백의 쉘프트림 홀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종류에는 소형차종 중에서 3도어나 5도어 형식을 취하는 종류가 있고, 이러한 차종은 통상 후방유리가 설치된 테일게이트가 개폐되는 헤치 백차종으로 차체의 뒷부분을 개방가능하게 하였다.
종래에는 테일게이트가 개방되는 헤치백 차량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실내의 센터 쉘프트림(20)과 테일게이트(15) 사이에 트렁크룸이 형성되어 있고, 테일게이트(15)가 개방되었을 경우 센터 쉘프트림(20)도 동시에 개방되어야 하므로, 센트 쉘프트림(20)의 앞쪽은 힌지부(5)로 지지되고, 뒷쪽의 양옆은 테일게이트(15)에 천으로 된 끝이나 와이어로 연결되어 동시에 들려지거나 닫혀질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센터 쉘프트림(20)의 뒷쪽은 별도로 잡아주는 수단이 없는 관계로 차량 주행 중 진동을 일으키면서 소음을 발생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테일게이트와 동시에 들려지거나 닫혀지는 센터 쉘프트림이 닫혀진 상태에서도 진동을 일으키지 않게 하여 소음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고, 더 나아가 센터 쉘프트림의 손상을 방기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테일게이트에는 센터 쉘프트림이 형성되고, 이 센터 쉘프트림의 하측에는 고정편이 설치되고, 상기 테일게이트의 개폐에 의해 들려지거나 닫혀지는 센터 쉘프트림의 뒷쪽 양단에 인접하여 실린더가 구비되고, 이 실린더의 내측에는 전자석과 리턴스프링과 피스톤이 내설되고, 이 피스톤의 단부에는 홀더가 형성되고, 상기 전자석을 온/오프 시키는 테일게이트 스위치가 테일게이트의 개폐에 따라 단속되므로서, 상기 홀더가 상기 고정핀을 잡아주거나 놓아줄 수 있는 쉘프트림 홀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일반적인 쉘프트림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쉘프트림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쉘프트림 홀딩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제4도의 제3도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힌지부 10 : 테일게이트 스위치
15 : 테일게이트 20 : 센터 쉘프트림
25 : 고정핀 30 : 사이드 쉘프트림
35 : 실린더 40 : 피스톤
45 : 리턴스프링 50 : 전자석
55 : 홀더 60 : 지지바
본 고안은, 제2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일게이트(15)에 연결된 센터 쉘프트림(20)과, 상기 센터 쉘프트림(20)의 뒷쪽 저면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지기바(60) 및 이 지지바(60)의 양단에 형성되는 고정핀(25)과, 센터 쉘프트림(20)의 양앞에 배치되는 사이드 쉘프트림(30)에 설치되는 실린더(35)와, 상기 실린더(35)에 내설된 전자석(50) 및 리턴스프링(45)과, 상기 실린더(35)의 피스톤(40) 단부에 형성된 홀더(55)로 구성된다.
상기 사이드 쉘프트림(30)은 테일게이트(15)가 개폐될 때 센터 쉘프트림(20)과의 단차를 줄이며 테일게이트(15)가 닫혀진 상태에서 센터 쉘프트림(20)을 받쳐 주는 지지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핀(25)은 환봉형상으로 센터 쉘프트림(20)의 저면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바(70)의 양쪽 끝에 돌출 형성된다.
상기 센터 쉘프트림(20)은 앞쪽이 힌지부(5)로 지지되고 뒷쪽 양옆이 끈 등으로 테일게이트(15)에 연결되어, 테일게이트(15)의 개폐와 함께 힌지부(5)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들려지거나 닫혀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실린더(35)는 센터 쉘프트림(20)의 뒷쪽 양단에 있는 고정핀(25)에 인접한 사이드 쉐프트림(30)에 설치되며, 이 실린더(35)의 내측에는 테일게이트 스위치(10)의 조작에 따라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는 전자석(50)과 리턴스프링(45)과 피스톤(40)이 내설된다.
상기 피스톤(40)의 단부에는 고정피(25)의 앞쪽으로 위치되는 홀더(55)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40)의 단부에는 고정핀(25)의 앞쪽으로 위치되는 홀더(55)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테일게이트(15)가 닫혀진 상태에서는 테일게이트 스위치(10)가 오프되어 있게 되고, 상기 실린더(35)의 내측에 있는 전자석(50)으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게 되므로, 실린더(35)의 피스톤(40)에 있는 홀더(55)가 센터 쉘프트림(20)에 있는 고정핀(25)을 잡아주게 되고, 이에 따라 센터 쉘프트림(20)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테일게이트(15)를 열게 되면, 테일게이트 스위치(10)가 온되면서 배터리 전원이 실린더(35)의 전자석(50)으로 공급되고, 전자석(50)의 자력에 의해 피스톤(40)이 당겨지면서 그 단부에 있는 홀더(55)가 고정핀(25)으로부터 이탈되므로, 센터 쉘프트림(20)도 함께 들려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테일게이트(15)의 개방과 동시에 센터 쉘프트림(20)은 힌지부(5)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들려지게 되므로, 사용자는 트렁크룸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테일게이트(15)를 닫게 되면, 테일게이트 스위치(10)가 오프되면서 전자석(50)의 복원력에 의해 전진되면서 그 단부의 홀더(55)가 센터 쉘프트림(20)의 고정핀(25)을 잡아주게 되므로, 센터 쉘프트림(20)의 고정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안에 따른 자동차 헤치백의 쉘프트림 홀딩구조는 테일게이트의 개폐에 따라 온/오프되는 테일게이트 스위치를 구비하고, 이 테일게이트 스위치에 의해 전자석을 단속시킴에 따라 실린더의 피슨톤에 있는 홀더가 센터 쉘프트림에 있는 고정핀을 잡아주거나 놓아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평상시 프렁크룸을 사용하는데 지장이 없고, 테일게이트가 닫혀진 상태에서 차량을 운행하는 경우에도 센터 쉘프트림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센터 쉘프트림이 차체 진동에 의해 요동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소음발생이나 센터 쉘프트림의 손상 등을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테일게이트(15)의 개폐에 따라 함께 들려지거나 닫혀질 수 있도록 된 센터쉘프트림(20)을 포함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센터 쉘프트림(20)의 뒷쪽 저면에는 지지바(60) 및 이것의 양단에 형성되는 고정핀(25)이 구비되고, 센터 쉘프트림(20)에 인접 배치되는 사이드 쉘프트림(30)에는 실린더(35)가 구비되는 동시에 이 실린더(35)의 내측에는 전자석(50) 및 리턴스프링(45)이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35)의 피스톤(40)에 홀더(55)가 형성되어, 테일게이트(15)의 개폐에 따라 조작되는 테일케이트 스위치(10)의 온/오프에 따라 상기 홀더(55)가 고정핀(25)을 선택적으로 잡아줄 수 있도록 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치백의 쉘프트림 홀딩구조.
KR2019960066506U 1996-12-31 1996-12-31 자동차헤치백의쉘프트림홀딩구조 KR2002335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6506U KR200233569Y1 (ko) 1996-12-31 1996-12-31 자동차헤치백의쉘프트림홀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6506U KR200233569Y1 (ko) 1996-12-31 1996-12-31 자동차헤치백의쉘프트림홀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3319U KR19980053319U (ko) 1998-10-07
KR200233569Y1 true KR200233569Y1 (ko) 2001-12-28

Family

ID=54004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6506U KR200233569Y1 (ko) 1996-12-31 1996-12-31 자동차헤치백의쉘프트림홀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356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23751B (zh) * 2020-07-22 2024-04-05 上海牟尼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远程无线充电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3319U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33569Y1 (ko) 자동차헤치백의쉘프트림홀딩구조
KR19990035848A (ko) 3-도어 자동차
KR100380447B1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풀 핸들
KR100508269B1 (ko) 자동차용 커버링 셀프 센터 트림
KR100410923B1 (ko) 자동차의 엔진룸용 조명등 조립체
KR970005628Y1 (ko) 지프형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장착구조
KR19990034588A (ko) 해치 백 자동차의 셀프 트림 개폐장치
KR19980022033U (ko) 트렁크 룸의 램프 스위치구조
JP2951539B2 (ja) トランクリッドのカーテシスイッチの取付構造
KR19980043483U (ko) 전자석 실린더를 이용한 자동차 트렁크 보드의 고정장치
KR100232926B1 (ko) 자동차 도어의 이중 힌지 장치
KR0128790Y1 (ko) 해치백 자동차의 셀프트림 절첩구조
KR200215859Y1 (ko) 플랩도어의 번호판등 점등장치
KR19990059708A (ko) 자동차용 사이드밀러의 내측커버 취부구조
KR19980021197U (ko) 자동차용 스페어 타이어 수납구조
JP3050896U (ja) 自動車の盗難警報装置
KR19980041386U (ko) 차량용 트렁크 리드의 토션바 및 와이어링 고정 클립 어셈블리
KR19980030257U (ko) 밴형 차량의 백도어 오픈 시스템
KR19980028683U (ko) 자동차용 트렁크구조
KR19990059946A (ko) 차량용 도어 잠금 해제장치
KR19980035781A (ko) 자동차용 패키지 트레이 지지 구조
KR19990019163A (ko) 자동차의 트렁크리드 장착 구조
KR980007904U (ko) 자동차용 개방스위치
KR19980053325U (ko) 자동차 헤치백의 쉘프트림 홀딩부 힌지구조
KR19990018646U (ko) 차량용 트렁크 개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