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3420Y1 - 수로관덮개 - Google Patents

수로관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3420Y1
KR200233420Y1 KR2019980013655U KR19980013655U KR200233420Y1 KR 200233420 Y1 KR200233420 Y1 KR 200233420Y1 KR 2019980013655 U KR2019980013655 U KR 2019980013655U KR 19980013655 U KR19980013655 U KR 19980013655U KR 200233420 Y1 KR200233420 Y1 KR 2002334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water pipe
waterway
opening
suppor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36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7828U (ko
Inventor
나용수
Original Assignee
노강호
주식회사 광호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강호, 주식회사 광호산업 filed Critical 노강호
Priority to KR20199800136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3420Y1/ko
Publication of KR199900078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78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34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3420Y1/ko

Links

Landscapes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로관의 개방부를 덮고 있는 덮개에 의해 수로관을 파손으로부터 보호하고, 덮개를 견고히 하면서도 설치를 간단히 할 수 있도록 하는 수로관 덮개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부가 개방된 수로관의 내벽 상부에 걸려 지지되도록 덮개 저면의 단턱에 의해 형성된 조립돌출부와, 상기 조립돌출부로부터 수로관의 양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수로관의 상면 및 지면에 지지되는 크기(폭)로 형성된 지지단부와, 상기 덮개 상면의 폭방향 양 단부에 형성되는 라운드와, 상기 덮개의 상면에 형성되는 개구 및 이 개구를 통해 철망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로관 덮개
본 고안은 우수를 한 곳으로 집수시켜 배수시키는 수로관의 상부에 설치되어 수로관의 보호 및 외부로부터 수로관으로 흙등의 유입을 차단하는 수로관 덮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업용 수로나 도로(일반도로 및 고속도로)의 배수로, 도로변 옹벽 및 절개부의 보호용 우수 배수로, 또는 골프장의 배수로(이하, 수로관이라 칭함)에 있어 그 상부가 개방형인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덮개를 설치하여 수로관을 파손으로부터 보호하고, 흙 등의 유입을 방지하게 된다.
제1도는 종래 수로관 덮개의 설치 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100)으로부터 매입되는 수로관(50)의 상부가 개방되는 바, 이에 덮개(60)가 설치된다.
상기 수로관(50)의 내측벽에는 걸림단턱(52)이 형성되어 대략 단면이 직사각형을 이루는 덮개(6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60)의 상면에는 수직으로 관통된 다수의 유입공(62)이 촘촘히 뚫려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수로관 덮개(60)에 의해 수로관(50)을 보호하고 외부로부터의 흙 등의 유입을 방지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덮개(60)는 수로관(50)의 걸림단턱(52)을 통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또는 농기계 차량) 등이 덮개(60)를 통과할 때 그 하중에 의해 걸림단턱(52)이 파손되는 문제점을 갖고 된다.
또한 상기 덮개(60)의 경우에는 1개의 수로관(50)에 4개의 덮개(60)를 필요로 하게 되어 준설작업시 비용과 인력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또한 덮개(60)의 상부에 천공된 유입공(62)을 통해 우수를 유입하도록 하고 있지만 그 기능은 제대로 하지 못하고 토사나 이물질의 유입만을 좋게 하여 수로관(50)의 내부에 토사가 쌓여 우수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게 되며, 심지어는 구간별로 막히어 우수가 역류되면서 범람하는 현상까지 발생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수로관의 개방부를 덮고 있는 덮개에 의해수로관을 파손으로부터 보호하고, 덮개를 견고히 하면서도 설치를 간단히 할 수 있도록 하는 수로관 덮개를 제공하는데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상부가 개방된 수로관의 내벽 상부에 걸려 지지되도록 덮개의 저면에 단턱에 의해 형성된 조립돌출부와, 상기 조립돌출부로부터 수로관의 양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수로관의 상면 및 지면에 지지되는 크기(폭)로 형성된 지지단부와, 상기 덮개 상면의 폭방향 양 단부를 라운드와, 상기 덮개 상면에 형성되는 개구 및 이 개구를 통해 철망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종래 수로관 덮개의 설치 예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수로관 덮개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수로관 덮개의 설치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수로관 덮개 12 : 단턱
14 : 조립돌출부 16 : 지지단부
18 : 상면 19 : 설치홈
22 : 개구 24 : 철망
30 : 수로관 32 : 내벽
100 : 지면 R : 라운드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수로관 덮개의 사시도이고, 제3도는 본 고안의 수로관 덮개의 설치 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로관 덮개(10)는 상부가 개방된 수로관(30)의 내벽(32) 상부에 걸려 지지되도록 저면에 단턱(12)에 의해 조립돌출부(14)가 형성되고, 상기 조립돌출부(14)로부터 수로관(30)의 양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수로관(30)의 상면(34) 및 지면(100)에 지지되는 크기(폭)로 지지단부(16)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10) 상면(18)의 폭방향 양 단부가 라운드(R)로 형성되며, 상기 덮개(20)의 상면(18)에 개구(22)를 형성하고, 이에 철망(24)을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우수를 수로관(30)으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면중 설명부호 (19)는 덮개(10)의 설치홈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덮개(20)에 의하면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돌출부(14)에 의하여 수로관(30)에 조립이 정확하면서 간단히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덮개(20)의 저면에 형성된 지지단부(16)가 수로관(30)의 상면과 함께 지면(100)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덮개(20)에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지지단부(16)가 하중을 분산시키게 되어 덮개(20)는 물론 수로관(30)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1개의 수로관(30)에 대해 1개의 덮개(20)가 설치되어 시공이 간단히 이루어지게 되고, 동시에 준설작업시 인력과 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다.
한편 덮개(20)의 상면(18) 폭방향 양 단부가 라운드(R)로 형성되어 차량 등이 쉽게 넘을 수 있으며, 덮개(20)를 파손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덮개(20)에는 이중으로 철근을 배근하였고, 제품 제작시 콘크리트 배합을 저 슬럼프로 시방하여 유압성형이 아닌 저,고주파로 진동을 주어 콘크리트의 강도를 높여 약 50TON 이상의 하중에서도 파손되지 않도록 하였다.
한편 본 고안의 덮개(20)가 설치된 수로관(30)은 주로 농수로관에 많이 사용되나, 덮개(20)가 견고하게 제작되어 도로변의 우수 관로용으로의 사용이 가능하며, 주위 미관에도 잘 조화가 되며, 농로에서의 안전사고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덮개(20)를 이용하여 개방된 수로관(30)을 덮음으로서, 농로나 도로의 경우 도로 폭을 넓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수로관의 개방부를 덮고 있는 덮개에 의해 수로관을 파손으로부터 보호하고, 덮개를 견고히 하면서도 설치를 간단히 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Claims (1)

  1. 상부가 개방된 수로관(30)의 내벽(32) 상부에 걸려 지지되도록 덮개(20)의 저면에 단턱(12)에 의해 형성된 조립돌출부(14)와, 상기 조립돌출부(14)로부터 수로관(30)의 양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수로관(30)의 상면 및 지면(100)에 지지되는 크기(폭)로 형성된 지지단부(16)와, 상기 덮개(20) 상면(18)의 폭방향 양 단부에 형성되는 라운드(R)와, 상기 덮개(20)의 상면(18)에 형성되는 개구(22) 및 이 개구(22)를 통해 철망(24)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관 덮개.
KR2019980013655U 1998-07-24 1998-07-24 수로관덮개 KR2002334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3655U KR200233420Y1 (ko) 1998-07-24 1998-07-24 수로관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3655U KR200233420Y1 (ko) 1998-07-24 1998-07-24 수로관덮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828U KR19990007828U (ko) 1999-02-25
KR200233420Y1 true KR200233420Y1 (ko) 2001-10-25

Family

ID=69504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3655U KR200233420Y1 (ko) 1998-07-24 1998-07-24 수로관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342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478B1 (ko) 2008-07-07 2008-11-19 통명석재 주식회사 배수로 덮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478B1 (ko) 2008-07-07 2008-11-19 통명석재 주식회사 배수로 덮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828U (ko) 199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6658B1 (ko)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233420Y1 (ko) 수로관덮개
JP3171331B2 (ja) マンホールの排水装置
KR100523962B1 (ko) 건축용 옹벽 보호 시설물
KR101653722B1 (ko) 조립식 원심력 배수로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272996B1 (ko) 개량된 배수구
KR102364315B1 (ko) 넘침 방지용 수로관
KR200172110Y1 (ko) 노면 배수구 보호덮개
JP2005120713A (ja) 道路用コンクリート溝
KR200190032Y1 (ko) 조립식 배수관
KR200268873Y1 (ko) 도로 경사면의 조립식 유형 측구의 연결구조
KR970001828Y1 (ko) 토목용 배수로 쇄글방지장치
KR200259246Y1 (ko) 수로관
KR200340204Y1 (ko) 망판이 배수구에 고정된 배수관
KR102634487B1 (ko) 도시 침수 방지를 위한 빗물 유입 유도장치
JPH06341121A (ja) ガードフエンスの構造及び該ガードフエンスの施工方法
KR100490959B1 (ko) 건축용 2중 옹벽 시설물
JPS6227537Y2 (ko)
KR102410480B1 (ko) 도로변의 배수로 시스템
KR200340985Y1 (ko) 배수로 유닛의 보강 브라켓
JP2004076377A (ja) 側溝
KR200251406Y1 (ko) 도로 경사면의 객토 유실방지구
KR200170137Y1 (ko) 교량용 배수구
KR200313315Y1 (ko) 조립식 배수로
JP6343300B2 (ja) 洪水防止側溝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1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