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1967Y1 - 홀소우의 톱날 - Google Patents

홀소우의 톱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1967Y1
KR200231967Y1 KR2020010004480U KR20010004480U KR200231967Y1 KR 200231967 Y1 KR200231967 Y1 KR 200231967Y1 KR 2020010004480 U KR2020010004480 U KR 2020010004480U KR 20010004480 U KR20010004480 U KR 20010004480U KR 200231967 Y1 KR200231967 Y1 KR 2002319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w blade
saw
coupling member
hole
incr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44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일
Original Assignee
박찬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일 filed Critical 박찬일
Priority to KR20200100044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19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19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1967Y1/ko

Links

Landscapes

  • Drilling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교적 직경이 큰 구멍을 뚫는데 사용하는 홀소우(Hole Saw)의 톱날에 관한 것으로 제작성을 향상시키고 재료의 낭비를 최소화 시키며, 진원의 홀소우를 형성하여 절삭가공의 효율을 높히고 생산성을 증대시키고자 한 것이다.
기 열처리가공된 밴드형의 톱날(10)을 절단한 후 이를 밴딩시켜 결합부재(3)에 일체화로 융착 고정시킴에 있어, 별도의 상부 및 하부 삽입부재(6),(8)로 상기 결합부재(3)를 결합 고정시킨 다음, 톱날고정부재(7)로 톱날(1)의 일단을 고정한 상태에서 작업다이(4)를 회전시켜 고정지지부재(5)를 통해 자동적으로 톱날(1)을 감싸고, 동시에 용접기(9)로 톱날(1)의 열처리와 접속부(1b)의 용접을 수행하므로서 종래 절삭가공에 따른 재료의 낭비를 없애고 진원의 홀소우 톱날을 만들어 절삭가공의 효율을 증대시키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홀소우의 톱날{HOLE SAW BLADE}
본 고안은 비교적 직경이 큰 구멍을 뚫는데 사용하는 홀소우(Hole Saw)의 톱날에 관한 것으로 제작성을 향상시키고 재료의 낭비를 최소화 시키며, 진원의 홀소우 톱날을 형성하여 절삭가공의 효율을 높히고 생산성을 증대시키고자 한 것으로 원가절감에 따른 경제성을 제공하고자 함에 주안점을 둔 것이다.
홀소우라함은 비교적 두께가 얇은 금속철판등에 구멍을 뚫는데 사용되는 원통형상의 톱을 뜻하는 것으로, 흔히 직경이 큰 구멍을 뚫는데 사용되는데 즉, 홀소우는 기본적으로 톱날이 원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톱날의 중앙부에는 구멍가공시 위치결정과 중심축 역할을 하는 별도의 드릴이 일체화로 결합되어 완성된 홀소우를 이루게 된다.
한편 종래 홀소우로서 본고안의 선출원인 실용신안 출원 제1999-3552호의 고안을 예시할 수 있는데, 이 고안은 도3에서 도시한바와 같이 날(1a)을 갖는 톱날(1)과 톱날(1)의 중앙부에 끼워져 중심축 역할을 하는 드릴(20)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서, 톱날(1)은 기 열처리 가공되어 두루마리형으로 감겨진 밴드형의 톱날을 소망하는 직경의 크기만큼 절단한 후 둥굴게 말아 상부를 결합부재(3)의 하부 톱날끼움부(3a)에 끼워 용접에 의해 결합시켜 완성하므로서, 내부가 막혀있는 원형봉을 모재로 하여 그 내부를 절삭가공하여 얻어진 기존의 홀소우에 비해 경제적, 시간적 잇점이 있었다.
그런데, 둥굴게 말아진 톱날(1)의 접속부(1b)를 서로 맞대어 용접하고 또한 톱날(1)과 결합부재(3)의 접속부(3b)도 용접을 하므로서 결합부재(3)와 톱날(1)이 일체화가 되도록 하는 과정에 있어, 접속부(1b),(3b)의 용접이 불완전하여 사용중에 용접부위가 떨어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거나, 혹은 다른 면에 비해 용접한 접속부(1b) 부분이 튀어 나와 톱날(1)이 전체적으로 진원이 되지 않아 절삭효율이 떨어지는 현상이 생기고, 톱날(1)을 원통형으로 감고 그때마다 용접하여야 하므로 생산성이 좋지 않았다.
본원 고안은 재료의 낭비가 최소화되고 제작이 용이하며, 진원의 홀소우의 톱날을 제공하므로서 제작성의 향상과 경제성, 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갖고자 한 것으로 이에 따른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홀소우 톱날의 제작과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홀소우의 톱날 제작과정의 상태도.
도3은 종래 홀소우의 톱날과 드릴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톱날 1a ; 날 1b,3b ; 접속부
2 ; 나사선 3 ; 결합부재 3a ; 톱날끼움부
4 ; 작업다이 5 ; 고정지지부재 6 ; 상부삽입부재
7 ; 톱날고정부재 8 ; 하부삽입부재 9 ; 용접기
10 ; 톱날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홀소우 톱날의 제작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홀소우 톱날 제작과정의 상태도로서 이하 종래구조와 동일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로 설명한다.
본 고안의 톱날(1)은, 기 열처리 가공되어 두루마리형으로 감겨진 밴드형의 톱날(10)을 소망하는 직경의 크기만큼 절단한 후 둥굴게 말아 상부를 결합부재(3)의 하부 톱날끼움부(3a)에 끼워 결합되며, 결합부재(3)의 중앙부에는 드릴이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선(2)이 형성된다.
이러한 홀소우를 제작하는 과정이 도2에 개시되어 있는데, 360°회전이 가능한 작업다이(4)의 상부에서 결합부재(3)를 중심으로 상부는 상부삽입부재(6)가 나사선(2)에 나사결합 고정되고, 하부는 상기 작업다이(4)상에 공정된 하부삽입부재(8)가 결합부재(3)의 하부에 지지 고정되면서 상기 결합부재(3)를 상,하 밀착 고정하고 있고, 그 외부로는 산소가스와 고주파로 열처리를 할 수 있는 용접기(9)가 위치하고 있다.
또한, 결합부재(3)의 주변으로는 톱날(1)과 결합부재(3)에 밀착하여 고정지지부재(5)와 톱날고정부재(7)가 위치하는데, 이들은 상부로부터 현수 지지되어 그 끝이 톱날(1)의 날(1a) 부근까지 내려와 있으며, 고정지지부재(5)는 상부에 현수 고정되어 있는 반면, 톱날고정부재(7)는 작업다이(4) 및 결합부재(3)와 동일하게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한 제작과정을 살펴 보면, 상,하부삽입부재(6),(8)를 통하여 밀착 고정된 결합부재(3)의 톱날끼움부(3a)에 톱날(1)을 위치시킴과 동시에 상부에서 고정지지부재(5)와 톱날고정부재(7)가 내려와 톱날(1)의 일단에 나란히 위치하게 되면, 용접기(9)가 상,하 이동하면서 톱날(1)의 표면에 열을 가하기 시작하고, 이어서 작업다이(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고정지지부재(5)를 제외한 전체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톱날(1)을 지지 고정하고 있는 톱날고정부재(7)의 옆에 있던 고정지지부재(5)가 한바퀴 돌게 되면[실제로는 고정지지부재(5)는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나머지가 회전함], 용접기(9)의 작동으로 인하여 톱날(1)의 외면 전체가 열처리된 상태에서 톱날(1)을 결합부재(3)의 톱날끼움부(3a) 주위로 부드럽게 감아 주게 된다.
이렇게 되면, 톱날(1)의 양단 접속부(1b)가 서로 대면하게 되고, 이때 다시 용접기(9)가 상,하 이동하면서 접속부(1b)를 완벽하게 용접하게 되는데, 톱날(1)이 일단 1차 열을 받은 상태에서 재차 열처리하게 되어 용접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서로 당기는 성질에 의해 균질하게 열처리되게 되어 열처리 원상태의 경도가 나오게 되고, 용접자국이나 어긋난 부위가 없이 진원의 홀소우 톱날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된 본원고안의 홀소우의 톱날은 기 열처리가공된 톱날을 절단하여 사용하므로 제작이 간편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며, 종래 톱날을 형성하기 위하여 모재의 내부를 절삭가공하므로서 발생하였던 재료의 손실이 없기 때문에 경제성을 갖고, 또한 진원의 홀소우 톱날을 형성하여 절삭가공의 효율을 높히고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결합부재(3)의 단부에 톱날(1)을 일체화로 결합시켜서된 홀소우에 있어서,
    상기 톱날(1)은 열을 가해 권취시켜 접속부(1b)를 용접한 후 용접부의 균질화를 위하여 재열처리해서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소우의 톱날.
KR2020010004480U 2001-02-21 2001-02-21 홀소우의 톱날 KR2002319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4480U KR200231967Y1 (ko) 2001-02-21 2001-02-21 홀소우의 톱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4480U KR200231967Y1 (ko) 2001-02-21 2001-02-21 홀소우의 톱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1967Y1 true KR200231967Y1 (ko) 2001-07-19

Family

ID=73096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4480U KR200231967Y1 (ko) 2001-02-21 2001-02-21 홀소우의 톱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196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9210A (ko) * 2015-02-12 2016-08-22 허우영 풀사료 곤포 사일리지용 시료 채취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9210A (ko) * 2015-02-12 2016-08-22 허우영 풀사료 곤포 사일리지용 시료 채취기
KR101677456B1 (ko) * 2015-02-12 2016-11-23 허우영 풀사료 곤포 사일리지용 시료 채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31967Y1 (ko) 홀소우의 톱날
KR200243511Y1 (ko) 홀소우
WO2006080775A1 (en) A manufacturing method of machinery parts for linear motion and linear bushing manufactured by the above method
KR20000011605A (ko) 시이트링의제조방법
JP4536312B2 (ja) 溶接裏当て用鋼板の製造方法
JP3582312B2 (ja) はんだ成形機
JPH02229671A (ja) 電縫鋼管製造用鋼帯の接続構造
CN217640968U (zh) 非晶纳米晶铁芯及制造铁芯的工装组
JPH0497776A (ja) ミシン用ボビンの製造方法
JP2006170331A (ja) 係止突起付きボルトとそ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CN212442977U (zh) 一种钢筋煨圆装置
JPH0613152B2 (ja) 溶接リングの製造方法
JP2004009068A (ja) ハイドロフォーム加工性に優れたテーラード鋼管及びその製造方法
JPS60106634A (ja) 無端金属バンドの製造方法
KR100221986B1 (ko) 식기의 유리뚜껑에 사용되는 테두리 및 그 제조방법
SE9301013D0 (sv) Foerfarande foer tillverkning av en bulbplattstaang och en bulbplattstaang erhaallen genom foerfarandet
KR890003774B1 (ko) 플랜지 소재의 제조방법
KR20050051202A (ko) 풀리의 제조공정
JPH0311869B2 (ko)
JP2000033491A (ja) コンクリートパイル用溶接継手座板の製造方法
CN117583733A (zh) 罐体的激光焊接方法及压缩机外壳
JPH0626526A (ja) ヨーク製造方法
JPH0518489A (ja) ノーブロー工法用フイツテイングの製造方法
JP5442301B2 (ja) 建築構造用リング鋼材の製造方法
KR100330449B1 (ko) 노치를 이용하여 원통형-경사형 셸을 일체로 제조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1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