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1835Y1 - 미끄럼 방지타일 - Google Patents

미끄럼 방지타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1835Y1
KR200231835Y1 KR2019990005264U KR19990005264U KR200231835Y1 KR 200231835 Y1 KR200231835 Y1 KR 200231835Y1 KR 2019990005264 U KR2019990005264 U KR 2019990005264U KR 19990005264 U KR19990005264 U KR 19990005264U KR 200231835 Y1 KR200231835 Y1 KR 2002318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slip
contour groove
groov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52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8966U (ko
Inventor
김선수
Original Assignee
김선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수 filed Critical 김선수
Priority to KR20199900052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1835Y1/ko
Publication of KR200000189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89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18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1835Y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Floor Finish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미끄럼 방지 효과가 뛰어나며 미려한 입체 문양을 갖는 미끄럼 방지 타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통상의 타일 제조방법의 성형공정 중에, 타일의표면에 형성한 일정 모양의 문형 및 그 문형의 둘레를 따라 소정깊이로 형성한 윤곽홈과, 상기 타일 표면의 문형위에 그 문형과 동일한 형태로 재단되어 부착되는 미끄럼 방지 소재와 그 하면에는 타일의 윤곽홈을 따라 돌출된 고정돌기를 형성시키고, 이 고정돌기와 상기 윤곽홈을 결합시켜 제조한다. 미끄럼 방지 소재 표면에는 각종 도형이나 꽃, 동물의 문양을 인쇄하거나 입체적으로 인각하여 장식용을 겸할 수 있다.

Description

미끄럼 방지타일{Non-slip ti1e}
본 고안은 미끄럼방지 타일에 관한 것이다. 좀더 상세하게는 욕실 바닥용 타일에 일정 모양의 무늬를 갖는 고무판 소재를 결합시켜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 타일에 관한 것이다.
욕실이나 식당의 주방 같은 특히 물을 많이 사용하는 곳에서는 바닥재로서내화물(도자기) 타일이나 석재 타일이 흔히 사용되고 있다.
바닥재로 사용되는 도자기 타일은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시켜 주기 위하여 통상 표면에 유약을 도포하여 구워내며, 석재 타일은 표면을 광택이 나도록 연마하여 붙이기 때문에 건조한 상태에서는 어느정도 마찰력이 유지되나 물에 젖게되면 그 물이 타일표면에 수막을 형성하여 윤활작용을 하기 때문에 미끄러져서 종종 큰 부상을 당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바닥재의 단점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불산 등의 강산과 지방족 카르본산염 등의 부식완화제로 이루어진 처리제를 사용하여 도자기 타일이나 석재 타일의 표면을 부식시킴으로서 바닥재의 표면에 일정 크기의 미세기공을 형성시켜 표면 마찰력을 강화시켜 주는 방법이 공개특허공보 제92-8158호 및 일본공개실용신안공보 소63-159278호 등에 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도자기 같은 바닥재의 경우 미세기공의 크기가 너무 크면 때같은 것이 끼어서 미관만 손상시킬 뿐 마찰력 강화의 효과가 상쇄되고, 미세기공이 너무 작으면 마찰력 강화를 기할 수 없어 미끄럼방지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또한 강산이나 강알카리로 부식처리를 하면 부식처리 후에 생기는 막대한 양의 강산성 내지 강염기성 폐수는 커다란 환경공해를 일으킬 수도 있다.
이에, 본 고안자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동반하지 않으면서도 간편하고 편리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여러 가지 문양으로 미감도 나타낼 수 있는 미끄럼 방지 타일을 개발하게 되어 본 고안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고안의 목적은 별도의 마찰력 강화 처리제에 의한 표면처리나 특별한 접착방법 없이도 용이하게 제작이 가능하며, 다양한 문양의 마찰소재가 타일과 일체감이 들도록 부착된 미려한 미끄럼 방지 타일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타일본체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미끄럼 방지 소재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미끄럼 방지 타일을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미끄럼 방지 타일을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미끄럼 방지 타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타일본체 11: 윤곽홈
12: 문양 13: 미끄럼 방지 소재
14: 꽃무늬
본 고안은 타일의 표면에 형성한 일정 모양의 문형 및 그 문형의 둘레를 따라 소정깊이로 윤곽홈이 형성된 타일과; 하면에는 상기 타일의 윤곽홈을 따라 돌출되게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각종 도형이나 꽃 혹은 동물모형이 인쇄되거나 인각된 미끄럼 방지 소재를 서로 결합하여서 된 구조의 미끄럼 방지 소재이다.
상기 미끄럼 방지 소재는 마찰력과 탄성을 갖는 고무재이거나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되어 있으며, 상기 미끄럼 방지 소재의 두께와 윤곽홈(11)의 홈 간격과 상기 고정돌기의 돌기 두께를 동일하게 형성하여 결합시킨다.
본 고안의 제조방법을 상술하면, 소정의 깊이와 간격을 갖는 윤곽홈이 있는 문형이 표면에 형성된 타일을 제조하는 타열 제조단계와; 상기 타일 표면에 형성된윤곽홈을 따라서 하면에 고정돌기를 형성하고, 상면에는 각종 도형이나 동물 또는 꽃의 문양을 인쇄하거나 인각한 고무소재 또는 합성수지로 된 미끄럼 방지 소재를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미끄럼 방지 소재의 하면에 형성한 고정돌기를 상기 타일의 윤곽홈내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고정화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윤곽홈의 홈 간격은 1.5∼3mm, 상기 고정돌기의 돌기 두께는 홈간격과 같게 형성함으로써 윤곽홈과 고정돌기가 결합했을 때 견고한 결합력을 발휘한다. 사용되는 고무종류로는 천연고무나 합성고무 어느 종류나 사용할 수 있는데, 특히생고무, SBR, BR, 실리콘고무 등이 좋고, 마찰력과 탄성을 갖도록 제조된 열가소성 합성수지로는 플라스티졸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무소재 등을 이용한 미끄럼 방지 소재의 제조방법은 통상의 플라스틱 성형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성형방법으로는 사출성형, 트랜스퍼성형, 열성형 등의 방법이 이용된다. 도형이나 꽃, 동물 등 여러 가지 무늬를 금형에 형성시켜, 미끄럼 방지 소재의 상면에 무늬가 나타나게 하며, 하면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도록 성형하되 필요에 따라 양쪽 면에만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미끄럼 방지용 타일(10)의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실시예에 따라서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기재하는 것일 뿐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통상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타일을 제조한다. 샤못트(chamotte) 및 생점토 등의 점토질내화물 원료를 분쇄, 혼련, 혼합하여 조합토(組合土)를 제조하고, 이를 주형성형법 또는 수타성형법(手打成形法)으로 성형한 후, 건조, 소성하는 타일 제조단계를 수행한다. 도 1을 참조하여, 타일의 표면에 문형에 따른 윤곽홈(11) 형성은 상기 성형단계에서 문형(12) 모양이 인각된 주형으로 성형하거나 별도의 도형을만들어 찍어서 제조한다. 필요에 따라 유액을 도포하고 건조, 소성하여 타일본체(10)를 제조한다. 상기 문형(12)의 형태는 사각형이나 원형 외에도 타원형, 돔형, 8각형, 별모양 등 다양한 형태로 만들 수 있다.
그런 다음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일본체(10)에 일정한 형태로형성된 윤곽홈(11)을 따라 고정돌기(13a)를 형성한 미끄럼 방지 소재(13)를 만든다. 미끄럼 방지 소재의 제조는 통상의 플라스틱 성형기술에 의한다. 사출성형, 트랜스퍼성형, 열성형 방법 등이 적용될 수 있는데, 상기 미끄럼 방지 소재(13)의 상면에는 도형, 꽃(14)이나 동물모양 등의 문양이 양각형태로 발현될 수 있도록 금형을 제조하거나, 성형 후에 스크린 인쇄 또는 플렉소 인쇄 기술을 이용하여 다색으로 인쇄해 넣을 수도 있다. 상기 문영의 형상은 다양하게 선택하여 디자인 할 수 있으며, 특별히 주문자가 요청하는 그림을 그려 넣을 수도 있다. 미끄럼 방지 소재의 두께가 두꺼울 경우는 그 가장자리를 경사가 지도록 마감하여 타일과의 접착부분에 턱이 생기지 않도록 성형할 수도 있다.
상기 제조된 미끄럼 방지 소재(13)를 타일본체(10)의 문형(12)에 맞게 부착시키고, 부착된 미끄럼 방지 소재(13)의 양쪽 하면에 형성한 고정돌기(13a)를 눌러상기 윤곽홈내에 삽입하므로 고정한다. 이때 상기 윤곽홈(11)의 홈 간격은 1.5∼3mm이고, 상기 고정돌기의 돌기 두께는 상기 윤곽홈(11) 간격과 같게 형성하여, 상기 고정돌기가 윤곽홈에 압착되며 끼워지도록 한다. 필요할 경우 윤곽홈(11) 및 고정돌기는 일부를 생략할 수도 있고, 이 때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견고하게 접착시킨다. 이와 같이 제조된 미끄럼 방지 타일(10)은 미끄럼 방지 효능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입체감이 살아있는 무늬가 어우러져서 보기 좋은 형상의 제품이 된다.
도 5는 원 형태의 미끄럼 방지 소재(13')를 타일 중앙에 부착시킨 형태로서 단순하며 실용적인 미끄럼 방지 타일(10')제품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타일본체에 다양한 형태의 문형을 만들고, 그 문형위에 그림이 있는 여러 가지 미끄럼 방지 소재를 성형하여 부착하므로 다양한 형태의 제품을 변형시켜 만들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조방법은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여러 가지 모양과 문양의 미끄럼 방지 소재를 붙여서 다양하고 아름다운 형태의 입체감을 내는 장식용을 겸한 미끄럼 방지 타일을 제조할 수 있어 욕실에서 일어나는 미끄럼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려한 미관으로 장식용도 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타일의 표면에 형성한 일정 모양의 문형 및 그 문형의 둘레를 따라 소정깊이로 윤곽홈이 형성된 타일과; 하면에는 상기 타일의 윤곽홈을 따라 돌출되게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각종 도형이나 꽃 혹은 동물모형이 인쇄되거나 인각된 미끄럼 방지 소재를 서로 결합하여서 된 미끄럼 방지 타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 소재는 마찰력과 탄성을 갖는 고무재 또는 열가소성 합성수지로서 생고무, SBR, BR, 실리콘고무 또는 플라스티졸 중에서 선택된 1개이며, 그 두께가 1.5∼3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타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윤곽홈(11)의 홈 간격은 1.5∼3mm이고, 상기 고정돌기의 돌기 두께는 상기 윤곽홈과 동일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타일.
KR2019990005264U 1999-03-31 1999-03-31 미끄럼 방지타일 KR2002318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264U KR200231835Y1 (ko) 1999-03-31 1999-03-31 미끄럼 방지타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264U KR200231835Y1 (ko) 1999-03-31 1999-03-31 미끄럼 방지타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966U KR20000018966U (ko) 2000-10-25
KR200231835Y1 true KR200231835Y1 (ko) 2001-07-19

Family

ID=54761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5264U KR200231835Y1 (ko) 1999-03-31 1999-03-31 미끄럼 방지타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183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7514B1 (ko) * 2002-03-16 2005-03-18 신예철 바닥 장식물 성형 방법
KR20220167079A (ko) * 2021-06-11 2022-12-20 허송회 암벽등반 트레이닝을 위한 블록 가변형 보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022B1 (ko) * 2002-05-06 2005-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루프 랙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7514B1 (ko) * 2002-03-16 2005-03-18 신예철 바닥 장식물 성형 방법
KR20220167079A (ko) * 2021-06-11 2022-12-20 허송회 암벽등반 트레이닝을 위한 블록 가변형 보드
KR102596696B1 (ko) * 2021-06-11 2023-10-31 허송회 암벽등반 트레이닝을 위한 블록 가변형 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966U (ko) 2000-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05296A (ko) 미끄럼 방지 타일
US4528227A (en) Mosaic style artwork
KR200231835Y1 (ko) 미끄럼 방지타일
KR200347768Y1 (ko) 미끄럼 방지 타일
KR20000019124U (ko) 미끄럼 방지타일
KR101703335B1 (ko) 부조장식 벽면형성방법
KR200424950Y1 (ko) 가로수 보호블록
KR100753363B1 (ko) 타일 시공용 미끄럼 방지구
KR200430185Y1 (ko) 인조 대리석 부분 장식 판재
KR100477514B1 (ko) 바닥 장식물 성형 방법
KR200163855Y1 (ko) 고정돌기가형성된보도블록
KR200300604Y1 (ko) 장식면이 형성된 장식타일
KR200160430Y1 (ko) 보도 블록
KR20080000573U (ko) 미끄럼방지 타일
TWI644773B (zh) Colorful cement bri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181072Y1 (ko) 음·양각으로 문양이 형성된 인조 손톱
KR20080073482A (ko) 모퉁이 장식타일
KR0178067B1 (ko) 무늬타일 및 그 제조방법
JP2987486B2 (ja) レリーフ模様付き陶磁器の成形方法及び成形型並びに陶磁器製品
KR880001781B1 (ko) 장식 표시물 제조방법
KR20080076261A (ko) 인조 대리석의 문양 성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인조 대리석
KR200145415Y1 (ko) 건축물의 모서리 부착용 벽체
KR970006468Y1 (ko) 건축용 벽체
JP4403718B2 (ja) 出隅用板状建材の製造方法
JPH07156598A (ja) 型取り装飾品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