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3363B1 - 타일 시공용 미끄럼 방지구 - Google Patents

타일 시공용 미끄럼 방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3363B1
KR100753363B1 KR1020060117351A KR20060117351A KR100753363B1 KR 100753363 B1 KR100753363 B1 KR 100753363B1 KR 1020060117351 A KR1020060117351 A KR 1020060117351A KR 20060117351 A KR20060117351 A KR 20060117351A KR 100753363 B1 KR100753363 B1 KR 100753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tiles
end portion
tile construction
synthet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7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남
Original Assignee
박준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남 filed Critical 박준남
Priority to KR1020060117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33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3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3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8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use in wet roo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05Construction of joints, e.g. dividing strips
    • E04F15/02016Construction of joints, e.g. dividing strips with sealing elements between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2Floor elements with an anti-skid main surface, other than with gro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욕실 등에 바닥재로 사용되는 타일을 시공함에 있어서, 타일의 간격을 유지하고 타일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타일 시공용 미끄럼 방지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단면은
Figure 112006086819080-pat00001
형상을 가지되,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는 것으로서, 몸체 상단부의 표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미세한 돌기가 형성되고, 몸체 하단부에는 양측으로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도록 한 것인 바, 본 발명 미끄럼 방지구를 이용하여 타일 부착을 행하면, 시공에 따른 장점이 매우 많다.
즉, 몸체의 길이가 길면서도 하나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현장에서 필요한 만큼 잘라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몸체 옆으로 타일을 갖다 붙이기만 하면 타일 부착이 끝나게 되므로 전체적으로 타일 시공이 매우 빠르게 행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다양한 칼라 제작이 가능하여 매우 미려하게 시공할 수가 있으며, 몸체 상단부의 폭 크기도 얼마든지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어, 타일의 간격유지에도 매우 편리하다.
또한, 몸체 상단부 표면에 미세한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미끄럼 방지에 매우 효과적이며, 몸체 상단부를 연질로 형성할 경우에는 사람이 밟았을 때 쿠션에 의한 감촉도 좋아 여러모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발명이다.
타일, 미끄럼방지, 간격유지

Description

타일 시공용 미끄럼 방지구{nonslip tool for tile}
도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시공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이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이 체결된 상태의 사용상태 단면도
* 도면 부호
10 : 몸체 11 : 몸체의 상단부
12 : 몸체의 하단부
13 : 구멍 14 : 돌기
15 : 오목부 20 : 타일
30 : 슬라브 40 : 몰탈
본 발명은 욕실 등에 바닥재로 사용되는 타일을 시공함에 있어서, 타일의 간격을 유지하고 타일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타일 시공용 미끄럼 방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이나 주방, 수영장 등과 같이 습윤한 환경의 장소에는 바닥 구조물의 내수성과 내구성을 위한 외장재로서 타일이 시공되고 있는바, 특히 도자기 타일이나 석재 타일 등의 바닥용 타일들은 고광택 및 고평활 표면을 가지기 때문에 외관이 미려하고, 우수한 내마모성, 내구성, 내변색성 등으로 인하여 우리 생활 주변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도자기 타일의 경우에는 유약코팅에 의하여, 대리석 등의 석재 타일의 경우에는 세밀한 표면 연마 때문에 표면이 매끄러워 사람들이 보행시 미끄러지기 쉽고, 특히 타일 표면에 물이 묻어 있는 경우에는 수막현상에 의하여 더더욱 미끄러짐 현상이 심해져서 안전사고까지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타일의 성형시 표면에 큰 요철을 형성시켜 표면이 가시적으로도 거친 느낌을 주는 제품이 사용되기도 하나, 이러한 타일에서는 타일 고유의 광택이 반감되어 사용자에게 미려하고 고급스러운 느낌을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또 다른 방법으로, 타일 시공 후 테이프(tape)나 띠를 부착하는 방법으로 미끄럼을 방지하기도 하지만 이 경우에도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테이프나 띠가 쉽게 떨어져 나가 자주 보수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타일을 바닥에 시공할 때는 바닥에 기초 몰탈을 깐 다음 타일의 폭을 감안하여 실로서 시공기준선을 설정한 후, 상기 시공 기준선에 맞춰 한장 한장 균일한 틈을 유지하면서 타일을 기초 바닥에 깔아 시공하게 되며, 상기 타일을 다 깐 뒤에도 타일 사이에 형성된 틈에 시멘트, 몰탈 등을 채워 메꾸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타일 시공방법은 시공할 때 가로 방향으로 일일이 실을 띠워가면서 타일을 바닥에 깔고 시공하여야 함으로, 시공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함은 물론 시간이 과다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타일 간의 가로 세로줄과 열을 정확히 맞추어야 함은 물론 타일과 타일 사이의 틈도 깔끔하게 채워 넣으려면 숙련된 기술을 필요로 하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이 안출 된 것으로서, 본 발명 타일 시공용 미끄럼 방지구는 타일의 미끄럼을 방지함은 물론 타일 시공시 타일 간의 간격을 쉽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타일 시공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단면은
Figure 112006086819080-pat00002
형상을 가지되,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는 바 형상의 몸체(10)를 갖는 합성수지재로서, 상기 몸체(10) 상단부(11)의 표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미세한 돌기(14)가 형성되고, 몸체(10) 하단부(12)에는 양측으로 다수개의 장공(13)이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에 있어, 몸체(10) 상단부(11)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구성하고, 몸체 하단부(12)는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에 있어 몸체(10) 상단부(11)와 하단부(12)가 만나는 모서리 부위는 직각으로 형성하지 아니하고 내측으로 경사지게 오목부(15)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에 있어,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몸체(10)의 상단부(11) 및 하단부(12)에는 항균제를 포함 시킴으로서, 물때나 곰팡이 등의 번식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같는 본 발명에 있어, 가장 큰 특징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미끄럼 방지구를 욕실 바닥의 슬라브 위에 설치하고, 상기 미끄럼 방지구 양측면에 타일을 부착시키도록 함으로서 타일 간격을 용이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타일의 시공이 간편해지며, 또한 본체 상단에 미세한 돌기(14)가 형성되어 있어 미끄럼을 방지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의 시공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이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사시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이 체결된 상태의 사용상태 단면도임을 알 수 있는 바,
본 발명은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면은
Figure 112006086819080-pat00003
형상을 가지되,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잘라 사용하면 된다.
한편, 몸체(10) 상단부(11)의 표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미세한 돌기(14)가 형성되어 있고, 몸체 하단부(12)에는 양측으로 다수개의 장공(1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 미끄럼 방지구를 타일(20)이 부착되는 슬라브(30) 몰탈(40) 위에 반듯하게 올려놓고, 본 발명 몸체(10) 양 옆으로 타일(20)을 밀착시켜 부착시키기만 하면 타일간의 간격을 정확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타일 시공을 쉽게 끝마칠 수 있게 된다.
상기에 있어, 본 발명 몸체(10) 하단부(12)에는 장공(1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공(13)을 통하여 몰탈(40)이 올라오므로, 몸체(10) 하단부(12)에 맞닿아 있는 타일 밑부분까지도 몰탈(40)이 닿게 되어 견고하게 타일(20) 부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 미끄럼 방지구의 상단부(11)의 표면에는 미세한 돌기(14)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미끄럼을 방지하게 된다.
즉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타일(20)을 몸체 양 옆에 부착하여도 몸체(10) 상단부(11)는 타일(20) 위쪽으로 약간 돌출되어 지게 되며, 상기 돌출된 부위의 표면에는 미세한 돌기(1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마찰력이 증대되어 미끄럼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돌기(14)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의 상단부는 그 폭(L)을 얼마든지 선택하여 구성시킬 수가 있다.
즉, 본 발명 미끄럼 방지구는 공장에서 칼라 및 몸체 상단부의 폭(L) 수치를 다양하게 제작할 수가 있는 것이므로, 현장에서는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칼라 및 폭(L)을 선택하여 사용하면 얼마든지 원하는 시공이 가능하게 되는 편리함이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 미끄럼 방지구에 있어, 몸체(10) 상단부(11)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구성하고, 몸체(10) 하단부(12)는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구성할 수도 있는 바, 몸체(10) 상단부(11)를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구성하면 쿠션력이 향상되어, 사용자가 몸체의 상단부(11)를 밟았을 때 감촉이 좋고, 돌기(14)에 의해 형성된 마찰력도 증대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몸체 상단부(11)를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구성하게 되면 사람이 위에서 밟았을 때 몸체가 약간 옆으로 찌그러지면서 맞닿아 있는 타일의 옆면에 힘을 가할 수 있으나, 몸체의 상단부(11)와 하단부(12)가 만나는 부위가 오목부(15)로 형성되어 있어 이를 충분히 커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합성수지재로 구성된 몸체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항균제를 포함시키도록 구성하면, 물때나 곰팡이 등의 번식을 방지하는 효과도 가지게 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 타일 시공용 미끄럼 방지구는 타일의 미끄럼을 방지함은 물론 타일 시공시 타일 간의 간격을 쉽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타일 시공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몸체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현장에서 필요한 만큼 잘라서 사용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또한 몸체의 길이가 길면서도 하나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타일 시공시 기준선을 맞추기가 매우 쉽고, 또한 몸체 옆으로 타일을 갖다 붙이기만 하면 타일간의 간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전체적으로 타일 시공이 매우 빠르면서도 쉽게 이루어지게 되며, 나중에 타일이 파손되었을 경우에도 매우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공장에서 다양한 칼라로 제작할 수 있어 매우 미려한 시공이 가능하게 되므로 인테리어 측면에서도 매우 뛰어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몸체 상단부의 폭도 얼마든지 다양한 크기로 제작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어 타일의 간격유지에도 매우 편리하다.
또한, 몸체 상단부 표면에 미세한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미끄럼 방지에 매우 효과적이며, 몸체 상단부를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할 경우에는 쿠션에 의한 감촉도 좋은 장점이 있다.
또한, 합성수지재로 구성된 몸체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항균제를 포함시켜 제작할 경우 물때나 곰팡이 등의 번식을 방지하는 효과도 가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그 효과가 상당하여 타일 시공시 아주 편리하게 사용할 수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4)

  1. 단면은
    Figure 112006086819080-pat00004
    형상을 가지되,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는 바 형상의 몸체를 갖는 합성수지재로서, 상기 몸체(10) 상단부(11)의 표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미세한 돌기(14)가 형성되고, 몸체(10) 하단부(12)에는 양측으로 다수개의 장공(13)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시공용 미끄럼 방지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 상단부(11)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구성하고, 몸체 하단부(12)는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구성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시공용 미끄럼 방지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상단부(11)와 하단부(12)가 만나는 모서리 부위를 직각으로 형성하지 아니하고 내측으로 경사진 오목부(15)로 구성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시공용 미끄럼 방지구.
  4. 제1항에 있어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몸체(10)의 상단부(11) 및 하단부(12)에 항균제를 포함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시공용 미끄럼 방지구.
KR1020060117351A 2006-11-27 2006-11-27 타일 시공용 미끄럼 방지구 KR100753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7351A KR100753363B1 (ko) 2006-11-27 2006-11-27 타일 시공용 미끄럼 방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7351A KR100753363B1 (ko) 2006-11-27 2006-11-27 타일 시공용 미끄럼 방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3363B1 true KR100753363B1 (ko) 2007-08-30

Family

ID=38615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7351A KR100753363B1 (ko) 2006-11-27 2006-11-27 타일 시공용 미끄럼 방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33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05900A (zh) * 2019-06-18 2019-09-06 刘建民 一种塑料悬浮地板
KR102436482B1 (ko) * 2021-07-22 2022-09-28 주식회사 연합스틸 건식 방수 타일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300A (ko) * 2001-02-01 2001-06-05 최경열 항균 발수 타일줄눈 몰탈 및 시공방법
KR20020016460A (ko) * 2000-08-25 2002-03-04 신현준 욕실바닥 시공방법
JP2002088935A (ja) * 2000-09-14 2002-03-27 Nichiha Corp 外装材の縦目地ジョイナー
KR20030085280A (ko) * 2002-04-30 2003-11-05 김아름 재료 분리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6460A (ko) * 2000-08-25 2002-03-04 신현준 욕실바닥 시공방법
JP2002088935A (ja) * 2000-09-14 2002-03-27 Nichiha Corp 外装材の縦目地ジョイナー
KR20010044300A (ko) * 2001-02-01 2001-06-05 최경열 항균 발수 타일줄눈 몰탈 및 시공방법
KR20030085280A (ko) * 2002-04-30 2003-11-05 김아름 재료 분리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05900A (zh) * 2019-06-18 2019-09-06 刘建民 一种塑料悬浮地板
KR102436482B1 (ko) * 2021-07-22 2022-09-28 주식회사 연합스틸 건식 방수 타일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0731B1 (en) Snap together floor structure
US8539727B2 (en) Mechanically-held tile
EP2225425A1 (en) Low-obscuring tile installation spacer
KR100753363B1 (ko) 타일 시공용 미끄럼 방지구
KR100592618B1 (ko) 구조화된 표면을 갖는 엘라스토머로 된 바닥 재료
US2379595A (en) Floor slab
JPWO2006070482A1 (ja) 路面ブロック
KR20120129512A (ko) 미끄럼 방지 타일
US20160007810A1 (en) Ergonomic Shower Tr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0474374Y1 (ko) 미끄럼방지 욕조
KR200171883Y1 (ko) 미끄럼방지기능을 갖는 마감재
KR200236114Y1 (ko) 인조 계단석
KR100352034B1 (ko) 논스립과 전면미장판이 일체로 부착된 계단의 조립식 수직블럭
KR200231835Y1 (ko) 미끄럼 방지타일
JP3114727U (ja) 床面用石質板
KR100465655B1 (ko) 쿠션 타일 및 그 제조 방법
KR960009427Y1 (ko) 계단용 미끄럼 방진물의 설치구조
CN215670786U (zh) 一种防滑瓷砖
KR200309348Y1 (ko) 실내 바닥용 발판
JP3229488U (ja) フロアタイル
KR20020088330A (ko) 건축용 미끄럼 방지 고무타일.
KR200213975Y1 (ko) 미끄럼방지용 합성수지 바닥장식재
KR200321001Y1 (ko) 바닥 시공용 블록
JP2024006837A (ja) 置き型タイル
ITTO20140064U1 (it) Tappeto ornamentale in materiale plastico elastomeric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