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1001Y1 - 바닥 시공용 블록 - Google Patents

바닥 시공용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1001Y1
KR200321001Y1 KR20-2003-0012494U KR20030012494U KR200321001Y1 KR 200321001 Y1 KR200321001 Y1 KR 200321001Y1 KR 20030012494 U KR20030012494 U KR 20030012494U KR 200321001 Y1 KR200321001 Y1 KR 2003210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lock body
floor
circumferential surface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24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래현
Original Assignee
백래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래현 filed Critical 백래현
Priority to KR20-2003-00124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10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10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10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39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characterised by special adaptation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forming soffits, cornices, or shelves, for fixing wall-plates or door-frames, for claustra
    • E04C1/392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characterised by special adaptation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forming soffits, cornices, or shelves, for fixing wall-plates or door-frames, for claustra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4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s, e.g. composed of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or stones with filling material or with insulating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온수파이프를 지그재그로 배열할 수 있도록 관 설치구멍 및 관 설치홈이 형성되어 연결홈으로 서로 통하도록 연결되고 점토를 주재료로 하여 성형되는 블록본체와, 장식용 건축석재로 이루어져 블록본체의 상측면에 부착되는 마감판으로 구성되어 다수 개를 둘레면이 서로 연접되도록 일정한 패턴으로 배열하면 바닥을 이루는 바닥 시공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이에 기층 위로 본 고안을 배열하는 것만으로 시공이 완료되므로 시공 및 철거가 간편한 한편 마감판에 의해 온돌방과 같은 효과를 누릴 수 있어 별도의 장판지가 불필요하다는 이점이 있는 바닥 시공용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블록본체에 황토알갱이가 내포되어 있어 이의 효능으로 건강증진의 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Description

바닥 시공용 블록{A block for constructing the floor}
본 고안은 바닥 시공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조립식이므로 시공이 간편하고 철거 또한 용이해 작업효율이 높고, 장식용 건축석재로 마감되어 질감 및 촉감이 좋음은 물론 외관이 미려하므로 별도의 장판지가 불필요한 바닥 시공용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인체와 항상 접촉되는 바닥(방바닥, 마룻바닥 등)은 질감ㆍ촉감ㆍ보온감 등의 성능이 뛰어나고 항상 쾌적한 곳이어야 하며, 반동ㆍ진동 등이 없어야 한다. 따라서 건축물 시공 시 바닥공사를 기초로 하여 시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바닥의 종래 시공은 도 5에서와 같이 먼저 기층(1) 위로 온수파이프(2)를 지그재그로 배열한 후 기층(1)에 못(3)을 박아 이 못(3)과 온수파이프(2)를 철사(4) 등으로 체결한 다음 그 위로 온수파이프(2)가 매설되도록 발포성 콘크리트를 타설, 콘크리트층(5)을 형성하면 완료된다.
그러나 이처럼 이루어지는 바닥구조는 1차로 콘크리트를 타설해 기층(1)을 형성한 후 그 위에 2차로 콘크리트층(5)을 형성하기 때문에 2단계에 걸쳐 타설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작업 자체가 여간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양생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모되어 신속한 시공을 이룰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리나 보수 시, 예를 들어 온수파이프(2)를 교체하고자 할 경우 콘크리트층(5)을 깨부수어 철거한 후 온수파이프(2)를 외부로 들어내야 하므로 작업이 꽤 어려운 한편 상당 비용 및 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콘크리트층(5)의 특성상 질감 및 촉감이 좋지 못함과 아울러 미관이 떨어지므로 그 위로 반드시 장판지를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수 개를 그 둘레가 서로 맞닿도록 배열함으로써 바닥(방바닥, 마룻바닥 등)을 구성할 수 있도록 단위화하였기 때문에 시공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반대로 철거 또한 용이하고 표면을 장식용 건축석재로 마감함으로써 자연미가 풍부하고 질감 및 촉감이 좋아 장판지가 필요하지 않은 바닥 시공용 블록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바닥 시공용 블록이 도시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바닥 시공용 블록이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바닥 시공용 블록의 시공상태가 도시된 사시도,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건축물의 바닥 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블록본체 10a : 블록본체의 둘레면
10b : 블록본체의 상측면 11 : 관 설치구멍
12 : 관 설치홈 13 : 연결홈
20 : 마감판 20a : 둘레면
21 : 턱부 22 : 장식부
30 : 황토알갱이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점토를 주재료로 하여 육면체 형상으로 성형되고, 둘레면의 전후를 관통하는 적어도 1개의 관 설치구멍이 형성되며, 둘레면의 좌우에 상기 관 설치구멍의 길이를 따라 관 설치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관 설치구멍과 관 설치홈의 한쪽 끝을 서로 통하도록 연결하는 연결홈이 형성되는 블록본체와; 상기 블록본체의 상측면에 부착되고, 상기 블록본체에 비해 큰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둘레면과 상기 블록본체의 둘레면 사이에 턱부가 형성되며, 대리석 등의 장식용 건축석재에 의해 15~20mm의 두께로 형성되는 마감판으로 구성되어 바닥을 이룰 수 있도록 상기 마감판의 둘레면이 타 마감판의 둘레면과 연접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바닥 시공용 블록이 도시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바닥 시공용 블록이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바닥 시공용 블록(이하 "블록"이라 한다)은 도 1, 2, 3에서와 같이 블록본체(10)와, 상기 블록본체(10)의 상측면(10b)에 부착되는 마감판(20)으로 구성되어 마감판(20)의 둘레면(21)이 타 블록의 것과 연접하도록 일정 패턴으로 배열됨으로써 바닥(방바닥, 마룻바닥 등)을 이룬다.
상기 블록본체(10)는 벽돌을 만들듯이 점토를 주재료로 하는 혼합물(점토, 모래 등)을 성형, 건조한 후 소성한 것으로서, 가로 450mm, 세로 220mm, 두께 70mm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둘레면(10a)의 전후(도면에서 보아 가로방향의 양측)를 완전 관통하는 관 설치구멍(11)이 형성되고, 둘레면(10a)의 좌우에는 관 설치구멍(11)의 길이에 대해 평행하도록 소정 깊이의 관 설치홈(12)이 각각 형성되며, 관 설치구멍(11)과 각 관 설치홈(12)은 그 한쪽 끝이 연결홈(13)에 의해 서로 통하도록 연결된다. 즉 둘레면(10a)의 전후 중 어느 한쪽에 연결홈(13)이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각 관 설치홈(12)은 상호 마주하는 "⊃"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홈(13) 역시 "⊃" 형상으로 형성된다.
참고로 상기 관 설치구멍(11), 관 설치홈(12) 및 연결홈(13)은 온수파이프(도 4의 도면부호 P)를 설치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이고, 블록본체(10)가 점토를 주재료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은 자체 무게를 가볍도록 함으로써 시공 시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하고자 함이다.
상기 마감판(20)은 수축현상으로 블록본체(10)를 원하는 크기로 정확히 만들 수 없어, 그리고 외관 등을 고려해 구비한 것으로서, 대리석이나 옥석 또는 화강석 등과 같이 질감 및 촉감이 좋음은 물론 자연미가 풍부해 주변환경과의 조화가 뛰어난 장식용 건축석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석재인 마감판(20)은 그 특성상 블록본체(10)와는 달리 원하는 크기로 정확히 만들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블록본체(10)를 원하는 크기로 정확히 만들 수 없어 마감판(20)을 구비한 이유를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점토를 주재료로 하는 블록본체(10)는 이를 블록으로 하여 시공할 시 블록으로서 요하는 강도도 얻을 수 있고, 언급한 것처럼 가벼워 시공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렇지만 성질의 특성상 소성 시 소성환경에 따라 각기 상이한 수축현상에 의해 원하는 크기로 정확히 만들 수 없어(수축현상에 따른 최대ㆍ최소수축율을 고려해 원하는 크기에 준하도록 만드는 것뿐이다) 완제품의 표면이 반듯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제품마다 크기 또한 일정하지 못해 이를 시공 시 고른 줄눈을 얻을 수 없으므로 미관을 해치며, 크기가 클 경우 일부를 커터로 절단해 사용해야 했던 것이다.
한편 상기 마감판(20)은 블록본체(10)에 실리콘으로 부착되는 바, 부착되었을 시 상측에서 볼 경우 블록본체(10)가 완전히 가려질 수 있도록 블록본체(10)에 비해 면적이 크도록 형성된다. 즉 외관이 미려한 마감판(20)만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 부착되는 것이다.
이러한 마감판(20)은 구체적으로 가로 460mm, 세로 230mm, 두께 15~20mm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 블록본체(10)에 중심이 상호 일치하도록 부착된다. 따라서 마감판(20)의 둘레면(20a) 전체가 블록본체(10)의 둘레면(10a)에서 돌출되고, 이에 블록본체(10)와 마감판(20)의 둘레면(10a)(20a) 사이에는 턱부(21)가 형성된다. 이 때 턱부(21)의 폭은 약 5mm이다.
또 한편 상기 마감판(20)은 외관의 미려함을 더하고자 표면에 음각 또는 양각의 장식부(22)가 형성된다. 여기서 장식부(22)로는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면 어떤 문양을 사용해도 무관하다. 예를 들어 자연문양, 식물문양, 동물문양, 상상동물문양, 상상식물문양, 길상어문양 등이 새겨질 수 있다.
이상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30은 황토알갱이로서, 블록본체(10)를 만들 시 점토를 주재료로 하는 혼합물에 함께 첨가, 혼합해 블록본체(10)에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내포시킨 것이다. 여기서 황토알갱이(30)는 인체에 유익한 황토의 효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황토는 널리 알려진 것처럼 원적외선(far infrared ray)(혈류촉진, 통증완화, 항균ㆍ탈취ㆍ제습기능 등을 행한다) 및 공기중의 비타민이라 할 수 있는 음이온(anion)을 방출하고, 카탈라아제(catalase)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 인체의 노화를 방지하는 등의 여러 효능이 있다.
이상에서처럼 구성되는 본 고안의 블록은 도 4에서와 같이 기층 위로 마감판(20)을 그 둘레면(20a)이 타 마감판(20)의 둘레면(20a)과 연접되도록(마감판은 상호 실리콘으로 부착될 수도 있다) 일정한 패턴으로 배열, 블록본체(10)의 관 설치홈(12)과 타 블록본체(10)의 관 설치홈(12)이 마주하도록 함과 아울러 최외측의 블록을 그 연결홈(13)이 벽면을 향하도록 함으로써 고른 줄눈(폭이 좁을수록 좋다)을 형성하는 바닥을 이루고, 관 설치구멍(11)으로 온수파이프(P)를 삽입해 관통시킨 후 이를 연결홈(13)에 끼운 다음 마주하는 관 설치홈(12) 사이로 재삽입해 관통시킴으로써 온수파이프(P)가 블록본체(10)를 지그재그로 통과하도록 배열하면 시공이 완료된다.
이처럼 시공하면 작업자는 기층 위로 블록을 배열하는 것만으로 바닥을 이룰수 있기 때문에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장식용 건축석재로 이루어진 마감판(20)은 장판지가 설치된 방바닥이나 마룻바닥과 같은 느낌을 제공한다. 아울러 온수파이프(P)로 온수가 흐르도록 하여 온수의 열기로 블록이 가열되도록 하면 블록본체(10)에 내포된 황토알갱이(30)는 다량의 원적외선 등을 방출한다. 반면 수리 및 보수를 하고자 할 경우 블록을 기층 위로 단순히 올려놓았으므로 (마감판을 실리콘으로 부착했을 경우 칼로 실리콘을 자른 후) 그대로 들어내면 된다.
이상에서와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블록본체 및 이 블록본체의 상측면에 부착되는 마감판으로 구성되어 다수 개를 둘레면이 서로 연접되도록 일정한 패턴으로 배열하면 바닥을 이룰 수 있기 때문에 기층 위로 본 고안을 배열하는 것만으로 시공이 완료되므로 시공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반대로 철거 또한 간편하여 시공 또는 철거 시 소요되는 인력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마감판이 질감 및 촉감이 좋고 외관이 미려한 장식용 건축석재(대리석, 옥석, 화강석 등)로 이루어지므로 이에 별도로 장판지를 추가 설치할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다. 이는 마감판의 표면에 새겨진 장식부로 인해 더욱 부각된다.
그리고 블록본체에 다량의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출되는 것으로 알려진 황토알갱이가 내포되어 있으므로 이의 효능으로 본 고안을 사용하는 것만으로도 건강증진의 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점토를 주재료로 하여 육면체 형상으로 성형되고, 둘레면(10a)의 전후를 관통하는 적어도 1개의 관 설치구멍(11)이 형성되며, 둘레면(10a)의 좌우에 상기 관 설치구멍(11)의 길이를 따라 관 설치홈(1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관 설치구멍(11)과 관 설치홈(12)의 한쪽 끝을 서로 통하도록 연결하는 연결홈(13)이 형성되는 블록본체(10)와; 상기 블록본체(10)의 상측면(10b)에 부착되고, 상기 블록본체(10)에 비해 큰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둘레면(20a)과 상기 블록본체(10)의 둘레면(10a) 사이에 턱부(21)가 형성되며, 대리석 등의 장식용 건축석재에 의해 15~20mm의 두께로 형성되는 마감판(20)으로 구성되어 바닥을 이룰 수 있도록 상기 마감판(20)의 둘레면(20a)이 타 마감판(20)의 둘레면(20a)과 연접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시공용 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본체(10)에는 황토알갱이(30)가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내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시공용 블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판(20)은 표면에 문양 등의 장식부(2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시공용 블록.
KR20-2003-0012494U 2003-04-23 2003-04-23 바닥 시공용 블록 KR2003210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494U KR200321001Y1 (ko) 2003-04-23 2003-04-23 바닥 시공용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494U KR200321001Y1 (ko) 2003-04-23 2003-04-23 바닥 시공용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1001Y1 true KR200321001Y1 (ko) 2003-07-23

Family

ID=49411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2494U KR200321001Y1 (ko) 2003-04-23 2003-04-23 바닥 시공용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100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929B1 (ko) * 2006-06-05 2007-06-04 박문식 건물벽체용 다기능성 콘크리트 브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929B1 (ko) * 2006-06-05 2007-06-04 박문식 건물벽체용 다기능성 콘크리트 브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88396B (zh) 轻质建筑隔热块体及其建筑方法
US10753092B1 (en) Fiber reinforced surface covering
KR101075928B1 (ko) 난방용 배관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200321001Y1 (ko) 바닥 시공용 블록
CN2777113Y (zh) 锁扣复合地面砖
CN102003055A (zh) 一种反面带凸条或凸块或凹洞的瓷砖或装饰石材
EP1416104A1 (en) Improved tile-, floor tile- or similar-type ceramic piece
KR100733632B1 (ko) 황토석 타일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EP1785537A2 (en) Decorative load bearing blocks
KR101944357B1 (ko) 스톤타일
KR20090008171A (ko) 건축용 황토판넬.
CN217000590U (zh) 一种防滑人造石板
KR200163722Y1 (ko) 대리석이부착된건축용패널
KR200246525Y1 (ko) 단열블록
KR100722580B1 (ko) 타일지지프레임이 결합된 황토석 타일 구조물
CN2828188Y (zh) 石英砂墙板
CN210288956U (zh) 一种防污罩面漆的仿面砖结构
JP3115030U (ja) セメントブロック及びセメントブロックを用いた構造体
KR970006468Y1 (ko) 건축용 벽체
KR200342431Y1 (ko) 홈이 형성된 자연석의 부착구조
CN115680236A (zh) 一种地坪模块及其施工方法
KR200206960Y1 (ko) 담장용 블럭
KR200211919Y1 (ko) 용암석 원목타일
JP4403718B2 (ja) 出隅用板状建材の製造方法
KR200367749Y1 (ko) 건축자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