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1591Y1 - 콘트롤 단자 점퍼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콘트롤 단자 점퍼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1591Y1
KR200231591Y1 KR2020010004611U KR20010004611U KR200231591Y1 KR 200231591 Y1 KR200231591 Y1 KR 200231591Y1 KR 2020010004611 U KR2020010004611 U KR 2020010004611U KR 20010004611 U KR20010004611 U KR 20010004611U KR 200231591 Y1 KR200231591 Y1 KR 2002315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cb
terminals
connector
ju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46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규완
Original Assignee
황규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규완 filed Critical 황규완
Priority to KR20200100046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15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15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1591Y1/ko

Links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트롤 단자 점퍼용 커넥터(CONNECTOR FOR CONTROLLING JUMPER)에 관한 것으로서, PCB(Printed Circuit Board : 인쇄 회로 기판) 상에 터미널 블럭의 단자들과 내부 멀티플 단자를 PCB 상의 내부 와이어로 연결되어 있도록 하고, 외부 멀티플 단자를 이용하여 쉽게 분기할 수 있으며, PCB의 보호기능과 PCB 고장시 착탈 가능한 케이스(case)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단자들의 연결이나 분리가 매우 용이하므로 협소한 장소나 단자로부터 분기되는 와이어(wire)들의 움직임이 빈번한 설치장소에서의 전기 또는 통신선로의 작업 소요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고, 통전의 신뢰성을 얻을 수 있으며, 동시에 사용자를 전기 누전으로 인한 감전 사고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Description

콘트롤 단자 점퍼용 커넥터{CONNECTOR FOR CONTROLLING JUMPER}
본 고안은 콘트롤 단자 점퍼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터미널 블럭(Terminal Block)의 단자들과 멀티플(multiple) 단자를 내부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사용하므로서, 단자로 부터 분기시에 필요한 작업을 편리하게 하도록 한 콘트롤 단자 점퍼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단자 작업시에는 한쪽 터미널 블럭에서 다른쪽 터미널 블럭으로 단자들이 분기하는 작업시에 분기하는 단자의 갯수만큼에 해당하는 단자볼트로 전선을 고정해 주어야 하므로 이에 따른 시간과 노동력이 많이 소요되었다.
또한, 협소한 장소나 터미널 블럭의 단자로 부터 분기되는 와이어(wire)의 움직임이 많은 설치장소(예, 소방전용함 또는 전력용 판넬등의 출입구등)에서 단자들이 흐트러지거나 이탈시 전기의 누전으로 인한 감전사고등의 위험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종래의 방식에 의한 단자 작업은 터미널 블럭의 고장 또는 불량시에도 마찬가지로 터미널 블럭을 제거 및 교체를 하기 위해 터미널 블럭내의 분기되는 수만큼의 단자볼트를 해체하여 단자들을 따로 분리해야 하므로 작업능률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PCB 상에 터미널 블럭의 단자들과 내부 멀티플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이용하므로서, 전기 및 통신의 통전의 신뢰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단자 작업시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크게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컨트롤 단자 점퍼용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콘트롤 단자 점퍼용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콘트롤 단자 점퍼용 커넥터의 PCB 앞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콘트롤 단자 점퍼용 커넥터의 PCB 뒷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콘트롤 단자 점퍼용 커넥터의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터미널 블럭 11 : 접속단자 수용홀
12 : 구획벽 13 : 내부 멀티플 단자
14 : 단자핀 15 : 단자 보호면
16 : PCB 17 : 내부 와이어
18 : PCB고정용 19 :블럭용접연결부
20 : 단자용접연결부 21 : 외부 멀티플 단자
22 : 단자 소켓 23 : 지지판
24 : 주케이스 25 : 보조케이스
26 : 볼트 고정부 27 : 걸림돌기
본 고안은 콘트롤 단자 점퍼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개의 접속단자 수용홀이 구비되고, 내부에는 다수개의 접속단자가 고정되는 터미널 블럭과 다수개의 단자가 고정되는 멀티플 단자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블럭과 내부 멀티플 단자가 고정되는 PCB(인쇄회로기판)와; 상기 터미널 블럭의 단자들과 내부 멀티플 단자의 단자들은 PCB 상의 내부와이어(wire)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터미널 블럭의 단자들과 내부 멀티플 단자는 PCB 상의 용접연결부에 의해서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내부 멀티플 단자는 하나 이상의 단자와 연결되는 플랫타입 (flat type)의 와이어로 연결 되는 외부 멀티플 단자와 접속 또는 분리된다.
그리고, 상기 PCB는 PCB를 고정시켜주는 주케이스와 보조케이스로 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콘트롤 단자 점퍼용 콘넥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이하에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콘트롤 단자 점퍼용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콘트롤 단자 점퍼용 커넥터의 PCB 앞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콘트롤 단자 점퍼용 커넥터의 PCB 뒷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콘트롤 단자 점퍼용 커넥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에 따르면, 상기 터미널 블럭(10)은 하나 이상의 단자(A0∼A9, B0∼B9)를 가지는 접속단자 수용홀(11)이 마련되고, 다층이며, 각 단자(A0∼A9, B0∼B9)를 분리해주는 하나 이상의 구획벽(12)을 가지며,접속단자 수용홀(11)의 내부에는 접속 단자가 고정이 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처럼, 상기의 구획벽(12)은 접속단자 수용홀(11)에 연결되는 단자들을 서로 격리시켜주므로, 전기적인 쇼트 (short)를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멀티플 단자(13)는 하나 이상의 단자(A'0∼A'9, B'0∼B'9)를 가지고, 각각의 단자(A'0∼A'9, B'0∼B'9)에 해당하는 단자핀(14)을 가지며, 측면에 단자 보호면(15)을 가지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와같은 구성에 따르면, 측면의 단자 보호면(15)으로 인해서 단자핀(14)의 휘어짐 또는 부러짐등을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PCB(16)는 PCB(16)의 앞면과 뒷면 모두 내부와이어(17)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복수개의 터미널 블럭(10)과 내부 멀티플 단자(12)들을 PCB(14)에 설치시 PCB(10)의 양면 모두 내부와이어(17)를 사용하므로 확장성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PCB(16)의 양 끝면에는 PCB(16)를 고정시키기 위한 PCB고정용 홀(18)을 가진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PCB(16) 상에 터미널 블럭(10)의 단자(A0-A9 또는 B0-B9)를 블럭용접연결부(19)에 고정시키고, 내부 멀티플 단자(13)의 단자(A'0∼ A'9 또는 B'0∼B'9)를 단자용접연결부(20)에 고정시켜 준다. 또한,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터미널 블럭(10)의 단자(A0∼A9 또는 B0∼B9)는 PCB(16)상의 내부와이어(17)를 통해서 내부 멀티플 단자(13)의 단자(A'0∼A'9 또는 B'0∼B'9)에 해당되는 단자의 용접연결부(20)에 연결되며, 터미널 블럭(10)과 내부 멀티플 단자(13)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렇게 연결하면, 터미널 블럭(10)과 내부 멀티플 단자(13)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볼트와 같은 부품이 필요없이 PCB(16)에 고정이 가능하며, PCB(16)상의 터미널 블럭(10)의 단자 A0와 내부 멀티플 단자(13)의 단자핀 A'0이 서로 연결되고, 단자(A1∼A9)는 단자(A'1∼A'9)와 연결되고, 단자(B0∼B9)는 단자(B'0∼B'9)와 연결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4에 따르면, 상기 내부 멀티플 단자(13)와 연결되는 외부 멀티플 단자(21)는 다수개의 단자소켓(22)을 가지며 측면에 지지핀(23)을 가진다.
이러한 단자소켓(22)에는 플랫타입(flat type) 또는 멀티플(multiple) 와이어(A'0∼A'9 또는 B'0∼B'9)가 삽입이 된다.
이와 같이, 이렇게 구성되는 외부 멀티플 단자(21)를 상기 내부 멀티플 단자(13)에 삽입하여 고정시에 지지판(23)이 단자 보호면(15)을 잡아주게 되어 서로이탈이 되지 않으며, 결과적으로, 터미널 블럭(10)의 단자(A1∼A9 또는 B0∼B9)와 내부 멀티플 단자(13)의 단자(A'1∼A'9 또는 B'0∼B'9) 및 외부 와이어(A'0∼A'9 또는 B'0∼B'9)가 서로 연결이 되어, A0은 A'0과 A'0에 연결되며 B0은 B'0과 B'0에 연결됨을 알 수 있다.
상기의 PCB(16)는 주케이스(24)와 2개의 보조케이스(25)에 의해서 지지되는데, 이들 케이스는 보조케이스(25) 양 끝단의 볼트 고정부(26)에 고정볼트(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설치장소에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렇게 설치된 PCB(16)가 고장 또는 불량시, 2개의 보조케이스(2 5) 중 어느 한곳의 고정볼트를 제거하고 보조케이스(25)를 잡아당겨 빼낸 후, 주케이스(24)의 걸림돌기(27)사이에 있는 PCB(16)를 잡아당겨 빼낸 다음 수리 및 교체하는 작업을 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도 4와 같이 구성하므로서, 주케이스(24)와 2개의 보조케이스(25)는 PCB(16)를 감싸며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PCB(16)를 외부의 충격이나 압력으로 부터 보호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콘트롤 단자 점퍼용 커넥터는 PCB 상에 터미널 블럭과 내부 멀티플 단자를 내부 와이어로 연결되어 있도록 구성하므로서 전기적인 안정성을 기할 수 있으며, 또한, 단자들의 연결이나 분리가 매우 용이하므로 협소한 장소나 와이어들의 움직임이 빈번한 설치장소에서사용시 전기공급 또는 통신선로로 이용시 통전의 신뢰성을 얻을 수 있고, 동시에 사용자를 전기 누전으로 인한 감전 사고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이미 설치되어 있는 PCB 상의 고장 또는 불량 등의 문제점 발생시 주케이스와 보조케이스로 부터 쉽게 분리되므로 고장시의 교체 및 수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다수개의 접속단자 수용홀(11)이 구비되고, 내부에는 다수개의 접속단자가 고정되는 터미널 블럭(10)과 다수개의 단자가 고정되는 멀티플 단자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블럭(10)과 내부 멀티플 단자(13)가 고정되는 PCB(16)와;
    상기 터미널 블럭(10)의 단자들은 내부 멀티플 단자(13)와 PCB(16)상의 내부 와이어(17)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트롤 단자 점퍼용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블럭(10)은 PCB(16) 상에서 블럭용접연결 부(19)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트롤 단자 점퍼용 커넥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멀티플 단자(13)는 PCB(16) 상에서 단자용접연결부(2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트롤 단자 점퍼용 커넥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멀티플 단자(13)는 다수의 단자를 가지는 외부 멀티플 단자(22)와 접속 또는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트롤 단자 점퍼용 커넥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CB(16)는 주케이스(24)와 보조케이스(25)로 부터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트롤 단자 점퍼용 커넥터.
  6. 제 4항에 있어서, 외부 멀티플 단자(21)는 단자소켓(22)에 삽입되는 와이어 (A'0∼A'9 또는 B'0∼B'9)가 플랫타입(flat type) 또는 멀티플(multiple) 와이어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트롤 단자 점퍼용 커넥터.
KR2020010004611U 2001-02-22 2001-02-22 콘트롤 단자 점퍼용 커넥터 KR2002315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4611U KR200231591Y1 (ko) 2001-02-22 2001-02-22 콘트롤 단자 점퍼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4611U KR200231591Y1 (ko) 2001-02-22 2001-02-22 콘트롤 단자 점퍼용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1591Y1 true KR200231591Y1 (ko) 2001-07-19

Family

ID=73063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4611U KR200231591Y1 (ko) 2001-02-22 2001-02-22 콘트롤 단자 점퍼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159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3433A (ko) * 2001-06-08 2002-12-16 인벤텍 어플라이언시스 코퍼레이션 위치가변형 커넥터를 구비한 배터리 팩 회로기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3433A (ko) * 2001-06-08 2002-12-16 인벤텍 어플라이언시스 코퍼레이션 위치가변형 커넥터를 구비한 배터리 팩 회로기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46828A1 (en) Coaxial module with surge protector
EP2192006B1 (en) Junction box for a vehicle
KR20060107565A (ko) 인터페이스 강화 장치 및 시스템
KR200231591Y1 (ko) 콘트롤 단자 점퍼용 커넥터
US5385488A (en) Patch panel
KR20110005943A (ko) 직류 전원 분배반
CN1151625A (zh) 电信和数据线路总配线架电缆接线用的模块式多重端子板
US20030036313A1 (en) Plug connector with adapter
RU2569326C2 (ru) Присоединительный модуль распределителя
KR200243895Y1 (ko) 단자대 모듈의 접지 구조
KR19980042058A (ko) 전자 카드 서랍용 캐비넷의 보수 방법 및 그 보수된 캐비넷
US5755580A (en) Universal cable connecting box for vehicles
KR100766996B1 (ko) 차량용 퓨즈 및 릴레이 박스
KR101103276B1 (ko) 정션박스
KR200449732Y1 (ko) 조립형 분전반용 플러그
JP2005184993A (ja) 複数電源供給方式
EP0516455B1 (en) Electrical, intrinsically-safe interface devices
KR100568073B1 (ko) 차량용 다기능 컨넥터
CN202259967U (zh) 一种防雷转接连接器组件及其防雷模块
CN213089595U (zh) 一种免焊线组装的led路灯
JP2001210413A (ja) 車両用ワイヤハーネスの配索構造
KR100394682B1 (ko) 배터리 모듈의 직렬 연결장치
KR200252568Y1 (ko) 커넥터
KR20100085086A (ko)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장치
KR20090006552U (ko) 조인트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